KR101690908B1 -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08B1
KR101690908B1 KR1020160050570A KR20160050570A KR101690908B1 KR 101690908 B1 KR101690908 B1 KR 101690908B1 KR 1020160050570 A KR1020160050570 A KR 1020160050570A KR 20160050570 A KR20160050570 A KR 20160050570A KR 101690908 B1 KR101690908 B1 KR 101690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ushion
unit
pocket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임
Original Assignee
홍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임 filed Critical 홍정임
Priority to KR102016005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이 개시된다. 기능성 아웃솔은 발바닥 형상을 갖으며, 상면에 형성된 전방 홈부 및 후방 홈부를 포함하고, 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를 포함하게 형성되며, 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형성된 몸체, 몸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전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지지부, 몸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후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지지부, 상기 전방 홈부 내에 위치하며, 하부가 상기 몸체에 결속되는 복수의 쿠션포켓, 및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며, 하부가 상기 몸체에 결속되는 복수의 쿠션포켓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Functional outsole, cushion pocket and shoes}
본 발명은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 장착되어 쿠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발용 쿠션포켓을 구비하는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갑피 부분과 밑창 부분으로 구성되며, 밑창 부분은 아웃솔 및 미들솔로 이루어진다. 아웃솔은 미끄럼을 방지하고 내마모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종래에 주로 고무재질로 만들어졌다. 미들솔은 종래에 착지시 충격을 흡수하고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부위로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발포 성형하여 만들어졌다.
한편, 발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행 중 발이 지면과 접촉할 때 신체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능성 신발이 등장하였다. 종래의 기능성 신발로 에어 쿠션신발 및 스프링 쿠션신발 등이 있다.
에어 쿠션신발은 에어가 충진된 에어쿠션이 밑창 부분에 삽입된 형태를 갖고 있다. 에어쿠션은 두 장의 시트를 접합하여 내부에 에어를 충진시키고 밀봉하여 제작된 것으로,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터질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신발의 변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에어쿠션이 눌려질 때마다 에어쿠션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감에 따라 에어 쿠션신발은 완충력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에어 쿠션신발과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0222(2005년 11월 04일) "신발용 에어쿠션"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22543(2012년 6월 28일) "에어 쿠션신발" 등이 있다.
스프링 쿠션신발은 밑창 부분 내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게재한 구성을 갖는다. 스프링 쿠션신발을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스프링의 녹으로 마모될 수 있으며, 스프링 압축 및 복귀에 따른 소리가 발생할 수 있고, 스프링 무게로 인한 신발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스프링 쿠션신발과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88875(2012년 10월 8일) "밸런스 기능성 쿠션신발창"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중 및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기 순환이 용이하여 쿠션 기능이 극대화되고, 신발의 조립이 용이한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체의 중심이 세워져 자세를 교정시키는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쿠션포켓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기능성 신발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균형있게 골고루 분산시켜며, 쿠션포켓의 신축성을 장시간 유지시키는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에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아웃솔은 발바닥 형상을 갖으며, 상면에 형성된 전방 홈부 및 후방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형성되며, 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전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지지부, 상기 몸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후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지지부, 상기 전방 홈부 내에 위치하며, 하부가 상기 몸체에 결속되는 복수의 쿠션포켓, 및 상기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며, 하부가 상기 몸체에 결속되는 복수의 쿠션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전방 홈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후방 홈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중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를 더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 및 상기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의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홈부 내에는 제1 쿠션포켓, 제2 쿠션포켓, 제3 쿠션포켓, 제4 쿠션포켓 및 제5 쿠션포켓 순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세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쿠션포켓은 두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포켓은 세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쿠션포켓은 네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쿠션포켓은 네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쿠션포켓은 세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홈부 내에는 제6 쿠션포켓 및 제7 쿠션포켓이 가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6 쿠션포켓 및 상기 제7 쿠션포켓은 두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포켓은,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하부에서 상부로 내부에 충진되는 에어량의 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를 포함하는 에어기둥이 형성되며, 상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단위포켓, 상기 단위포켓의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 및 상기 단위포켓의 하부를 통해 상기 단위포켓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포켓은, 복수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이웃한 단위포켓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이웃한 단위포켓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부, 및 이웃한 단위포켓의 하부와 연결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부는 상기 몸체와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기둥에는 네 개의 접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보다 작은 내경 또는 단면적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는 상기 에어기둥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상기 기능성 아웃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에 의하면, 아웃솔이 전방 지지부 및 후방 지지부를 구비하여 아웃솔의 밑단이 아치 형태의 구조를 가짐으로 몸체, 전방 지지부 및 후방 지지부가 연동 작용으로 체중 및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전방 홈부 및 후방 홈부 각각에 복수의 쿠션포켓이 위치하므로, 착지시 전방 지지부 및 후방 지지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각각 전방 홈부 및 후방 홈부 부위로 분산시켜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쿠션포켓이 아웃솔의 몸체에 결속되어 전방 홈부 및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므로, 쿠션포켓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공기 순환이 용이하여 쿠션 기능이 극대화되고, 쿠션포켓의 틀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신발의 조립이 용이하고,
뒷꿈치, 발바닥, 앞꿈치(발가락쪽) 순으로 걷는 삼단 보행법에 따라 걷는 경우에, 뒷꿈치, 발바닥, 앞꿈치 순으로 지압효과가 발생하여 발 마사지 효과 및 혈액 순환을 도우며,
발바닥이 신발에 밀착되는 부위를 쿠션포켓이 눌린 만큼 반발력으로 발을 밀어줌으로써, 신체의 균형을 잡도록 하고 나아가 신체의 중심이 세워져 자세를 교정시키데에 도움을 주며, 한 짝의 신발이 몸의 4개의 기둥(전방 지지부 및 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이 제1 기둥이고, 후방 지지부 및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이 제2 기둥)으로 작용 및 기능하여 몸 전체의 중심 및 균형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이 전족부 및 중족부에 위치하는 발 반사구를 지압하고,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이 후족부에 위치하는 발 반사구를 지압하므로, 발 반사구마다 지압 효과가 있어 발 마사지 효과로 신체의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며,
쿠션포켓의 1차 에어 쿠션에 의한 충격 흡수를 통해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한 후에 2차 탄성부재에 의한 충격 흡수로 발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착지할 있도록 하여, 착지시 발생되는 충격량을 단위포켓이 1차 지탱한 후에 몸무게로 인한 하중을 단위포켓 및 그에 삽입된 탄성부재가 동시에 지탱하므로 관절 근육 및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관절 근육 및 발바닥의 피로도가 감소되며, 안정된 보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위포켓에 삽입된 탄성부재가 기둥역할을 수행하여 단위포켓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단위포켓의 중심을 잡아주어 발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착지할 있도록 유도하며,
단위포켓의 통풍구를 통해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통기성이 향상되어 습기를 방지 및 제거할 수 있으며 단위포켓의 삽입된 탄성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신축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위포켓 구성으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골고루 분산 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로 인해 단위포켓이 벗어나거나 틀어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발을 지탱할 수 있고 단위포켓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신발용 쿠션포켓의 신축성을 유지시키고 균형있게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착지 상태에서 탄성부재가 발 반사구를 지압하는 발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여 이에 따라 신발 착용자의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탄성부재의 몸체 및 돌출부가 이중으로 지압하므로 지압효과 및 쿠션 효과를 향상시키고, 착용자가 균형을 잘 잡도록 눌려진 만큼 신발용 쿠션포켓이 반발력을 제공하여, 신체를 상부로 밀어줌으로써 자세 교정의 효과를 제공하며, 발목, 무릎 및 허리에 위치한 관절 통증 및 족저근막염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하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하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포켓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포켓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압축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이 분해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저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탄성부재가 압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이 분해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 아웃솔, 미들솔 및 신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하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쿠션포켓부(5), 몸체(40), 전방 지지부(50) 및 후방 지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포켓부(5)는 전방 쿠션포켓부(20) 및 후방 쿠션포켓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쿠션포켓부(20)는 제1 쿠션포켓(21). 제2 쿠션포켓(22). 제3 쿠션포켓(23), 제4 쿠션포켓(24) 및 제5 쿠션포켓(25)를 포함할 수 있고, 후방 쿠션포켓부(30)는 제6 쿠션포켓(31), 제7 쿠션포켓(3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40)는 발바닥 형상을 갖으며, 상면(510)에 형성된 전방 홈부(520) 및 후방 홈부(5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면(510)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외벽(5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홈부(520)는 상부에 발의 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형성된다.
후방 홈부(530)는 상부에 발의 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홈부(530)는 상부에 발의 중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를 더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쿠션포켓부(20)는 전방 홈부(52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쿠션포켓(21 내지 25) 각각은 하부가 몸체(40)에 결속될 수 있다.
후방 쿠션포켓부(30)는 후방 홈부(53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쿠션포켓(31, 32) 각각은 하부가 몸체(40)에 결속될 수 있다.
전방 홈부(520)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21 내지 25)이 전족부 및 중족부에 위치하는 발 반사구를 지압하고, 후방 홈부(530)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이 후족부에 위치하는 발 반사구를 지압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발 반사구마다 지압 효과가 있어 발 마사지 효과로 신체의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준다.
전방 홈부(520)는 상부에 발의 중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를 더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뒷꿈치, 발바닥, 앞꿈치(발가락쪽) 순으로 걷는 삼단 보행법에 따라 걷는 경우에, 뒷꿈치, 발바닥, 앞꿈치 순으로 지압효과가 발생하여 발 마사지 효과 및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준다.
전방 지지부(50)는 몸체(40)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전족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전방 지지부(50)는 상부에 전방 홈부(520)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60)는 몸체(40)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후족부를 지지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60)는 상부에 후방 홈부(530)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지지부(50) 및 후방 지지부(60)가 몸체(40)의 하면(540)에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아웃솔(1)의 밑단에 홈부(550)가 형성됨에 따라, 아웃솔(1)은 밑단이 아치 형태의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몸체(40), 전방 지지부(50), 후방 지지부(60)가 연동 작용으로 체중 및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홈부(520) 및 후방 홈부(530) 각각에 복수의 쿠션포켓이 위치하므로, 착지시 전방 지지부(50) 및 후방 지지부(6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각각 전방 홈부(520) 및 후방 홈부(530)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하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방 지지부(50)는 후단의 외측 부분(53)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지면에 닿는 부분이 보다 발바닥의 모양(족문)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신발 착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걷는 동작을 자연스럽고 부드러워지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방 쿠션포켓부(20)의 쿠션포켓 배열 및 후방 쿠션포켓부(30)의 쿠션포켓 배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쿠션포켓(21), 제2 쿠션포켓(22), 제3 쿠션포켓(23), 제4 쿠션포켓(24), 제5 쿠션포켓(25)는 전방(41)에서 후방(42)으로 세로로 배열되고, 제6 쿠션포켓(31) 및 제7 쿠션포켓(32)는 전방(41)에서 후방(42)으로 가로로 배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80)은 아웃솔(1) 및 미들솔(9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솔(90)은 몸체(40)의 상면(510) 및 쿠션포켓부(5)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전방 쿠션포켓부(20) 및 후방 쿠션포켓부(30)는 각각 아웃솔(1)의 전방 홈부(520) 및 후방 홈부(530)에 삽입되어, 하부(110)가 몸체(40)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40)은 우레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쿠션포켓부(5)에 무발포 기법으로 우레탄 소재를 접착시켜 몸체(4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아웃솔(1)이 제작될 수 있다. 쿠션포켓이 아웃솔(1)의 몸체에 결속되어 전방 홈부(520) 및 후방 홈부(530) 내에 위치하므로, 쿠션포켓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공기 순환이 용이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신발(80)의 쿠션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쿠션포켓의 틀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신발(8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발바닥이 신발의 미들솔 또는 깔창에 닿는 부위를 쿠션포켓이 눌린 만큼 반발력으로 발을 밀어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80)은 신체의 균형을 잡도록 하며 나아가 신체의 중심을 세워 자세를 교정시키데에 도움을 주며, 전방 지지부(50) 및 전방 홈부(520) 내에 위치하는 제1 쿠션포켓부(20)이 제1 기둥이 되고, 후방 지지부(60) 및 후방 홈부(530) 내에 위치하는 제2 쿠션포켓(30)이 제2 기둥이 되어, 한 짝의 신발이 몸의 4개의 기둥으로 작용 및 기능하여 몸 전체의 중심 및 균형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포켓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포켓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10)은 복수의 단위포켓(100, 100-2, 100-3, 100-4), 마개(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신발용 쿠션포켓(10)이 4개의 단위포켓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발용 쿠션포켓(10)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단위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쿠션포켓(21)은 두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제2 쿠션포켓(22)은 세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며, 제3 쿠션포켓(23)은 네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제4 쿠션포켓(24)은 네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며, 제5 쿠션포켓(25)은 세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할 수 있고, 제6 쿠션포켓(31) 및 제7 쿠션포켓(32)는 각각 두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쿠션포켓(21)은 두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여 발가락 부위가 위치하는 지점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발가락까지 지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신발용 쿠션포켓(10)이 하나 이상의 단위포켓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신발용 쿠션포켓(10)은 연결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포켓 구성으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단위포켓(100)의 하부(110)는 개방되고, 하부(110)에서 상부(120)로 에어기둥(140)이 형성되며, 상면(121)에 통풍구(125)가 형성된다. 도 5에서 단위포켓(100)을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별 기둥 등 다각 기둥으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위포켓(100)은 실리콘, 우레탄, 고무 및 라텍스 등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에어기둥(140)은 접혔다 펴졌다를 반복할 수 있는 주름관 형상 또는 자바라 형상일 수 있다. 에어기둥(140)은 단위포켓의 내부(130)에 충진되는 에어량의 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접지부(150)를 포함한다. 도 5에서 에어기둥(140)이 4개의 접지부(151, 152, 153, 154)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접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기둥(140)이 4개의 접지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에어기둥(140)에 세 개의 주름(141, 143, 145)이 잡혀, 압축시에 3단 완충 작용을 발생시켜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할 수 있으며, 밑창 부분의 높이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통풍구(125)를 통해 단위포켓(10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단위포켓(100)은 신축성이 극대화되어 신발의 에어 쿠션 기능이 향상될 수 있고, 통기성이 향상되어 습기를 방지하고 제거할 수 있어 단위포켓(100)에 삽입된 탄성부재(3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신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면(121)에는 공기 순환을 위한 홈부(123)가 형성될 수 있고, 홈부(123)의 밑단에 통풍구(125)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보다 원할하게 단위포켓(100)로부터 배출 및 단위포켓(100)내로 흡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단위포켓(100)에는 단위포켓(100)을 지지하기 위해 하부(110)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층(160)은 상단 지지층(162) 및 하단 지지층(161)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단 지지층(161)의 직경 또는 단면은 상단 지지층(162)의 직경 또는 단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단 지지층(161)의 밑면이 아웃솔(1)의 몸체(40)에 고정 또는 부착되어, 단위포켓(100)이 지지층(16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지지층(160)의 직경 또는 단면은 상면(121)의 직경 또는 단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개(200)는 단위포켓(100)의 하부(110)를 개폐하며, 단위포켓(100)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마개(200)를 통해 단위포켓(100) 내부(130)로 탄성부재를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의 삽입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신발용 쿠션포켓(10)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탄성부재(300)는 단위포켓(100)의 하부(110)를 통해 단위포켓(100)의 내부(130)로 삽입된다. 도 5에서 탄성부재(300)가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별 기둥 등 다각 기둥으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라텍스, 스프링 및 스펀지 등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300)가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녹이 슬지 않고 압축 및 복귀에 따른 소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깨지지 않고, 가벼워 신발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몸체(310) 및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20)는 몸체(3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몸체(310)보다 작은 내경 또는 단면적을 갖는다. 탄성부재(300)는 돌출부(320)부터 삽입되는 방식으로 쿠션포켓(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포켓(100)에 삽입된 탄성부재(300)가 단위포켓(100)의 기둥역할을 수행하여 단위포켓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단위포켓의 중심을 잡아주어 발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착지할 있도록 유도한다.
일부 실시예로, 탄성부재(300)의 탄성계수가 단위포켓(100)의 탄성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부(400)는 이웃한 단위포켓을 서로 연결시킨다. 연결부(400)는 상부 연결부(410) 및 하부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410)는 이웃한 단위포켓의 상부와 연결되고, 단위포켓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의 이상의 상부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연결부(411)의 일단은 단위포켓(100)의 상부(120)와 연결되고 타단은 단위포켓(100-2)의 상부(12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상부 연결부(412)의 일단은 단위포켓(100-2)의 상부(120-2)와 연결되고 타단은 단위포켓(100-3)의 상부(120-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상부 연결부(413)의 일단은 단위포켓(100-3)의 상부(120-3)와 연결되고 타단은 단위포켓(100-4)의 상부(120-4)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420)는 이웃한 단위포켓의 하부와 연결되고, 단위포켓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 연결부(421)의 일단은 단위포켓(100)의 하부(110)와 연결되고 타단은 단위포켓(100-2)의 하부(11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하부 연결부(422)의 일단은 단위포켓(100-2)의 하부(110-2)와 연결되고 타단은 단위포켓(100-3)의 하부(110-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하부 연결부(423)의 일단은 단위포켓(100-3)의 하부(110-3)와 연결되고 타단은 단위포켓(100-4)의 하부(110-4)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연결부(400)는 이웃한 단위포켓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410)는 상면(121)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연결부(420)는 지지층(16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400)로 인해 단위포켓(100)이 벗어나거나 틀어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발을 지탱할 수 있고 단위포켓(100)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신발용 쿠션포켓의 신축성을 유지시키고 균형있게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300)의 내부 높이(h1)는 에어기둥(140)의 높이(h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착지시에 발이 소정의 시간 동안 단위포켓(100)에 의한 1차 충격 흡수가 진행되고, 단위포켓(100) 및 탄성부재(300)에 의한 2차 충격 흡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1차 에어 쿠션에 의한 충격 흡수를 통해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한 후에 2차 탄성부재에 의한 충격 흡수로 발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착지할 있도록 하여, 착지시 발생되는 충격량을 단위포켓(100)이 1차 지탱한 후에 몸무게로 인한 하중을 단위포켓(100) 및 그에 삽입된 탄성부재(300)가 동시에 지탱하므로 관절 근육 및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관절 근육 및 발바닥의 피로도가 감소되며, 안정된 보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압축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신발 착용자가 착지시에 발이 단위포켓(100)을 압착하여 공기가 통풍구(125)를 통해 배출되고, 접지부(150)는 접혀 단위포켓(100)의 높이는 감소되어, 발은 단위포켓(100)에 삽입된 탄성부재(300)를 압착하게 되고, 탄성부재(300)는 압착되며, 압착된 탄성부재(300)는 발 반사구를 지압하는 발 마사지 기능 및 반발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발 착용자의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탄성부재의 몸체(310) 및 돌출부(320)가 이중으로 지압하므로 지압효과 및 쿠션 효과를 향상시키고, 착용자가 균형을 잘 잡도록 눌려진 만큼 신발용 쿠션포켓이 반발력을 제공하여, 신체를 상부로 밀어줌으로써 자세 교정을 효과를 제공하며, 발목, 무릎 및 허리에 위치한 관절 통증 및 족저근막염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이 분해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의 저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10)의 일실시예의 시제품을 촬영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전방 쿠션포켓부(20)의 쿠션포켓 배열 및 후방 쿠션포켓부(30)의 쿠션포켓 배열이 서로 동일하다. 즉, 제1 쿠션포켓(21), 제2 쿠션포켓(22), 제3 쿠션포켓(23), 제4 쿠션포켓(24), 제5 쿠션포켓(25), 제6 쿠션포켓(31) 및 제7 쿠션포켓(32)는 전방(1201)에서 후방(1202)으로 세로로 배열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탄성부재가 압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이 분해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쿠션포켓(10)은 복수의 단위포켓(100, 100-2, 100-3, 100-4), 마개(200) 및 탄성부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1310) 및 상기 중공과 연결된 통풍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1310)는 구형일 수 있다. 탄성부재(1300)는 통풍구(1320)를 통해 중공 내의 에어가 용이하게 빠져 나와, 도 14와 같이 압착이 용이하여 신발의 쿠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1)은 복수의 탄성 홈부(1611, 1612, 1613, 1614, 1615, 1621, 1622, 1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홈부(1611, 1612, 1613, 1614, 1615, 1621, 1622, 1623)는 몸체(40)에 형성되고 전방 홈부(520) 전방에 위치한다. 복수의 탄성 홈부(1611, 1612, 1613, 1614, 1615, 1621,1622, 1623) 각각에 탄성부재(1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일부는 몸체(40)의 상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300)는 통풍구(1320)가 외부로 돌출되게 몸체(40)에 고정된다.
복수의 탄성 홈부는 첫 행에 다섯 개의 탄성 홈부(1611, 1612, 1613, 1614, 1615) 및 두 번째 행에 3개의 탄성 홈부(1621, 1622, 16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는 복수의 탄성 홈부(1611, 1612, 1613, 1614, 1615, 1621,1622, 1623)로 인해, 도 3의 실시예 보다 발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영역에 아웃솔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신발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1300)로 발가락을 보다 섬세한 자극으로 맛사지할 수 있어, 신발의 맛사지 효과 및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아웃솔 1 쿠션포켓부 5
몸체 40 전방 지지부 50
후방 지지부 60 신발 80
미들솔 90 단위포켓 100
마개 200 탄성부재 300, 1300
연결부 400

Claims (12)

  1. 발바닥 형상을 갖으며, 상면에 형성된 전방 홈부, 상기 전방 홈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홈부 및 상기 전방 홈부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를 포함하게 형성되며, 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후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 홈부는 발가락의 하부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전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지지부;
    상기 몸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발의 후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지지부;
    상기 전방 홈부 내에 위치하며, 하부가 상기 몸체에 결속되는 복수의 쿠션포켓;
    상기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며, 하부가 상기 몸체에 결속되는 복수의 쿠션포켓; 및
    몸체가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연결된 통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홈부에 상기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홈부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발가락에 자극을 주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홈부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쿠션포켓의 직경 또는 길이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전방 홈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후방 홈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홈부는,
    상부에 발의 중족부가 위치하게 되는 지점의 일부를 더 포함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 및 상기 후방 홈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쿠션포켓의 배열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홈부 내에는 제1 쿠션포켓, 제2 쿠션포켓, 제3 쿠션포켓, 제4 쿠션포켓 및 제5 쿠션포켓 순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세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쿠션포켓은 두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쿠션포켓은 세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쿠션포켓은 네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쿠션포켓은 네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쿠션포켓은 세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홈부 내에는 제6 쿠션포켓 및 제7 쿠션포켓이 가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6 쿠션포켓 및 상기 제7 쿠션포켓은 두 개의 단위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포켓은,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하부에서 상부로 내부에 충진되는 에어량의 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를 포함하는 에어기둥이 형성되며, 상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단위포켓;
    상기 단위포켓의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 및
    상기 단위포켓의 하부를 통해 상기 단위포켓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포켓의 탄성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중공과 연결된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포켓의 탄성부재의 몸체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홈부의 직경 또는 폭은 상기 단위포켓의 상면의 직경 또는 폭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아웃솔.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기능성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
  11.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하부에서 상부로 내부에 충진되는 에어량의 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를 포함하는 에어기둥이 형성되며, 상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단위포켓;
    상기 단위포켓의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 및
    상기 단위포켓의 하부를 통해 상기 단위포켓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중공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가 압착되는 경우에 상기 중공 내의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통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구형이고 상기 탄성부재의 소재는 실리콘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는 상기 에어기둥의 내부 공간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포켓.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가 상기 단위포켓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포켓.
KR1020160050570A 2016-04-26 2016-04-26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 KR10169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570A KR101690908B1 (ko) 2016-04-26 2016-04-26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570A KR101690908B1 (ko) 2016-04-26 2016-04-26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908B1 true KR101690908B1 (ko) 2016-12-28

Family

ID=5772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570A KR101690908B1 (ko) 2016-04-26 2016-04-26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9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3314A1 (en) * 2017-07-25 2019-01-31 Daniel Kim BALL SHOES AND HOUSING
KR102345807B1 (ko) 2020-12-18 2021-12-31 이윤진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캐쥬얼화용 아웃솔
KR102346677B1 (ko) 2020-12-18 2022-01-04 이윤진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20230149453A (ko) 2022-04-20 2023-10-27 (주) 서현피엠에스 압력 분산 구조를 갖는 아웃솔
KR20230002143U (ko) 2022-05-02 2023-11-09 김진용 전자기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134Y1 (ko) * 2003-12-29 2004-05-27 배기만 공기펌핑수단을 갖는 신발 깔창
KR100464618B1 (ko) *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481701B1 (ko) * 2004-06-07 2005-04-14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134Y1 (ko) * 2003-12-29 2004-05-27 배기만 공기펌핑수단을 갖는 신발 깔창
KR100481701B1 (ko) * 2004-06-07 2005-04-14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464618B1 (ko) *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3314A1 (en) * 2017-07-25 2019-01-31 Daniel Kim BALL SHOES AND HOUSING
KR102345807B1 (ko) 2020-12-18 2021-12-31 이윤진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캐쥬얼화용 아웃솔
KR102346677B1 (ko) 2020-12-18 2022-01-04 이윤진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20230149453A (ko) 2022-04-20 2023-10-27 (주) 서현피엠에스 압력 분산 구조를 갖는 아웃솔
KR20230002143U (ko) 2022-05-02 2023-11-09 김진용 전자기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868B2 (en) Sole with projections and article of footwear
KR101690908B1 (ko) 기능성 아웃솔, 쿠션포켓 및 신발
US8635785B2 (en) Midsole for a shoe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EP2106714A2 (en)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BRPI0710787A2 (pt) artigo de calçado com conjunto de suporte tendo placa e indentações nela formadas
US20100263228A1 (en) Sole for shoes enabling exchange of shock-absorbing member
KR20180003568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20180004126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19980025330A (ko) 신발용 충격흡수시스템
US20210227925A1 (en) Shoes including arch pad
KR100731793B1 (ko) 신발 하부 구조체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101682329B1 (ko) 신발용 쿠션포켓, 아웃솔, 미들솔 및 신발
KR100586694B1 (ko) 신발 깔창
US20020144426A1 (en) Sole with elastic and vented buffer tubes
KR101463544B1 (ko)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200427686Y1 (ko) 신발 깔창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KR200461630Y1 (ko) 중창 내부에 보행압력완충부가 형성된 신발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100979261B1 (ko) 스포츠 런닝 슈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