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623B1 -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 Google Patents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623B1
KR101690623B1 KR1020140102301A KR20140102301A KR101690623B1 KR 101690623 B1 KR101690623 B1 KR 101690623B1 KR 1020140102301 A KR1020140102301 A KR 1020140102301A KR 20140102301 A KR20140102301 A KR 20140102301A KR 101690623 B1 KR101690623 B1 KR 10169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module
pair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142A (ko
Inventor
황선오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to KR102014010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6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면과 전방이 개방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개방된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함께 함체 형상을 형성하며, 내부에 전자식락킹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 중 좌측 잠금장치모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 중 우측 잠금장치모듈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와;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식락킹부를 구동시켜 상기 도어를 상기 잠금장치모듈에 대해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함체 형상을 복수개의 독립된 사물함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선반판넬을 결합하기 위한 선반결합공이 상기 선반판넬의 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선반결합공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에 높이가 상이하게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반판넬의 결합높이를 조절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은, 상기 전자식락킹부가 수용되는 락킹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모듈본체와; 상기 모듈본체의 내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수용공간을 은폐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부식이 강한 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NCT 절삭 및 절곡 또는 금형제작을 통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사물함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개의 사물함 중 사용자가 이용할 사물함을 선택받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물함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인증받는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락킹부는, 상기 락킹부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구동축의 승강에 따라 회동되며, 도어의 삽입봉의 내부의 걸림공과 걸림결합되며 도어를 개폐하는 U자고리와;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동작확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이 하강되어 상기 U자고리가 일정각도 회동되면, 상기 도어의 삽입봉의 내부의 걸림공과 상기 U자고리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구동축이 상승되어 상기 U자고리가 세워지면 삽입봉의 걸림공에 상기 U자고리의 전단이 삽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며 상기 도어가 잠김상태가 되며,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는 근접스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도어에 의해 눌림이 해제되거나 눌리면서 도어의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OUTSERT TYPE PREFABRICATED LOCKER}
본 발명은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락킹장치가 외부에 배치되는 아웃서트타입이면서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제작, 보관, 운반 및 조립이 간편한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또는 라커)은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터미널, 지하철역, 아파트, 관공서, 사우나, 대중목욕탕, 찜질방, 기숙사, 체육관, 학교, 헬스클럽, 수영장, 대형마트, 쇼핑센터 등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시설에 설치되어 가방, 책, 옷이나 소지품, 개인용품, 구매상품 등의 개인물품을 넣어 보관하는 장치로, 함체가 다수로 배열되고, 각각의 함체를 개폐하도록 도어가 설치되며, 함체에 대해 도어조립체의 록킹/언록킹시키는 잠금유닛이 설치된다. 이러한 사물함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33527호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 지하철역, 터미널역 등에는 전자식 사물함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식 사물함은 사용자가 사물함 일측에 설치된 관리컴퓨터의 터치스크린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함체를 선택하고,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하면 선택된 함체의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해당 함체에 물품을 보관한 후 도어를 닫으면 전자식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잠기는 방식이다.
전자식 사물함에 대해서는 등록특허 10-0754950호, 등록실용신안 20-0403310호, 공개특허 10-2009-0126523호, 등록특허 10-1178207호, 등록특허 10-093862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사물함(10)은 각각 함체(40)의 측벽(43) 내부에 잠금장치(20)와 통신/전원 배선을 인서트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구체적으로, 함체(40)는 측벽(43) 내측을 절개된 형태로 제작하고, 이 절개된 부분을 통해 잠금장치(20)를 함체(40)의 측벽 내부에 넣어 설치하였다.
따라서, 종래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자식 사물함(10)은 함체 제작시 잠금유닛의 형태 및 용도, 통신/전원 배선통로에 따라 절삭/절곡/용접 가공하여 함체(40)의 측벽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야 했기 때문에, 단일판으로 측벽을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한번 제작된 사물함은 잠금장치의 변형 및 변경 또한 불가능하고, 사물함 내부의 높이 등의 규격도 변경이 불가능한 제약이 있었다.
또한, 원자재 자체의 가격 보다 원자재를 가공하는 작업, 일례로 용접으로 인한 원자재 색상 변화 및 용접자국으로 인한 보강 작업(용접자국 제거 작업 및 세척, 도장)이 필히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조비용과 제작단가가 증가한다.
또한, 용접을 비롯한 가공 작업은 해당 부위 및 인접 부위에 빠른 산화를 일으켜 부식과 같은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내구성과 유지보수를 위한 추가 비용이 많이 발행되었다.
특히, 함체(40)의 내부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잠금장치(20)와 통신/전원 배선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좁아 제작이 어려웠으며, 이로인해, 제품제작 시간이 많이 들고, 전자식 잠금장치 등의 제품 테스트 및 품질검수 진행시에 전체 제품의 조립 완료 후에야 가능함으로 제작비용이 추가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뿐 아니라, 잠금장치(20)의 고장시 유지보수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중에 사물함을 구성하는 함체의 일부분이 파손되는 경우, 부분적으로 교체가 불가능하여 1조 단위의 전체 함체를 교체해야 하였다. 이에 따라 유지 관리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전자식 사물함(10)은 유통을 위해 전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운반이 이루어지므로, 보관공간과 적재공간이 많이 필요해 물류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해위 수출시에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 구조를 가져 제작비용과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어 가격경쟁력을 갖는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 설치된 이후 분리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아웃서트타입 조립식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사양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웃서트타입 조립식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분파손 또는 부분부식시에 해당 부품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아웃서트타입 조립식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절곡/용접 등의 제작 단계를 최소화 또는 과정을 없애서, 제조비용 및 제작단가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아웃서트타입 조립식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단계에서 발생하는 원자재 가공 작업의 최소화를 통해 가공 작업시 발생하는 변형(절삭/절곡/용접 등으로 인한 해당 부위 및 인접 부위의 빠른 산화 부식, 가공 부위 후처리(제거작업, 세척, 도장)) 및 보강 작업, 변형으로 인한 내구성 약화 등으로 발생하는 유지관리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아웃서트타입 조립식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은, 양측면과 전방이 개방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개방된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함께 함체 형상을 형성하며, 내부에 전자식락킹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 중 좌측 잠금장치모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 중 우측 잠금장치모듈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와;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식락킹부를 구동시켜 상기 도어를 상기 잠금장치모듈에 대해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함체 형상을 복수개의 독립된 사물함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선반판넬을 결합하기 위한 선반결합공이 상기 선반판넬의 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선반결합공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에 높이가 상이하게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반판넬의 결합높이를 조절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은, 상기 전자식락킹부가 수용되는 락킹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모듈본체와; 상기 모듈본체의 내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수용공간을 은폐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부식이 강한 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NCT 절삭 및 절곡 또는 금형제작을 통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사물함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개의 사물함 중 사용자가 이용할 사물함을 선택받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물함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인증받는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락킹부는, 상기 락킹부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구동축의 승강에 따라 회동되며, 도어의 삽입봉의 내부의 걸림공과 걸림결합되며 도어를 개폐하는 U자고리와;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동작확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이 하강되어 상기 U자고리가 일정각도 회동되면, 상기 도어의 삽입봉의 내부의 걸림공과 상기 U자고리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구동축이 상승되어 상기 U자고리가 세워지면 삽입봉의 걸림공에 상기 U자고리의 전단이 삽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며 상기 도어가 잠김상태가 되며,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는 근접스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도어에 의해 눌림이 해제되거나 눌리면서 도어의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은 프레임부와 잠금장치모듈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사물함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부도 후면프레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선반패널로 각각 NCT 절삭 및 절곡 또는, 금형제작을 통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된 후 현장에서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식사물함의 조립구조는 각각 독립적인 구성 파트를 금형제작을 통해 생산이 가능해지는데, 이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며, 규격 오차를 없앨 수 있으며, 도장과 같은 가공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제품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구조에 의해 각각의 구성을 제조하는 제조단가가 줄어들고, 운반과 보관에 소요되는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과정도 간단하여 비숙련자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프레임의 폭과 선반패널이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사물함 한 칸의 공간을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구성 중 어느 일부분이 파손되거나 고장날 경우, 해당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은 잠금장치모듈 내부에 전자식락킹부가 수용되고, 보조커버에 의해 착탈가능하므로 고장이 발생시 전체 잠금장치모듈을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전자식락킹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조립하여 사용한 후, 이사를 가거나 용도의 변경을 위한 경우 해체하여 재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전자식 사물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한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의 전자식락킹부의 동작구성을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의 선반패널 조립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양측면과 전방이 개방형성된 프레임부(100)와, 프레임부(100)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함체형상을 형성하며 내부에 전자식락킹부(230)가 수용되는 잠금장치모듈(200)과, 프레임부(100)와 잠금장치모듈(200)로 형성되는 함체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300)와, 잠금장치모듈(200)을 제어하여 도어(300)를 개폐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좌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200) 사이에 한 개의 프레임부(100)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한 조를 형성한다.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한 조단위로 유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한 조의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패널(140)의 개수에 따라 사물함의 개수가 결정된다. 한 개의 잠금장치모듈(200)에는 사물함 개수에 대응되는 전자식락킹부(230)가 수용된다. 각 전자식락킹부(230)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도어(300)를 개폐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한 조에 두 개의 선반패널(140,140a)이 삽입되어 총 세 개의 사물함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총 세 조가 연결되게 조립되고, 한 개의 제어부(400)가 결합된 형태이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이웃하게 조립하는 프레임부(100)와 잠금장치모듈(200)의 개수 및 내부에 결합되는 선반패널(140,140a)의 개수에 따라 사물함의 개수와 크기를 다양하게 확장 및 축소 변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프레임부(100)는 양측과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조립된다. 프레임부(100)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110)과, 후면프레임(110)의 상단에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20)와, 후면프레임(110)의 하단에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30)과, 후면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독립된 사물함 공간으로 구획하는 선반패널(140,140a)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00)를 구성하는 후면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 및 선반패널(140)은 유통시에 각각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된다. 그리고,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이 설치되어야 하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조립된다. 이에 따라 보관 및 운반시에 공간을 적게 차지하므로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양만큼만 구매자가 구매하면 되므로,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 후에 부분손상 또는 부식된 부품이 있으면, 해당 부품만 별도로 구매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유지보수 비용도 기존의 일체형 전자식사물함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후면프레임(11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후면프레임(110)은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되거나,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해 부식에 강한 강한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프레임(110)의 높이는 전체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의 높이에 해당하나, 일례일 뿐이며 아웃서트타입 조립식 사물함(1) 높이에 맞게 하나의 후면프레임(110)으로 조립될 수도 있으며, 여러 개의 단위프레임(미도시)을 서로 조립하여 후면프레임(11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아웃서트타입 조립식 사물함(1)의 높이를 맞출 수도 있도록 규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후면프레임(110)의 판면에는 체결부재(A)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1,113,115,117)이 관통형성된다. 후면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20)과 결합되는 상부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좌우 측면을 따라 잠금장치모듈(200)과 결합되는 측면결합공(11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프레임(130)과 결합되는 하부결합공(117)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폭을 따라 선반결합공(115)이 형성된다.
후면프레임(110)의 외부 형상과 복수개의 결합공(111,113,115,117)은 NCT 절삭 및 절곡 또는 금형제작을 통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은 후면프레임(110)의 상부에 상부결합공(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상부프레임(120)의 배면에는 체결부재(A)가 삽입되는 상부삽입공(121)이 관통형성된다.
하부프레임(130)은 후면프레임(110)의 하부에 하부결합공(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하부프레임의 배면에는 체결부재(A)가 삽입되는 하부삽입공(131)이 관통형성된다.
선반패널(140,140a)은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30)이 결합된 후면프레임(1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200)과 후면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30)으로 둘러쌓인 공간을 독립된 복수개의 사물함 공간으로 구획한다. 선반패널(140,140a)은 후면프레임(110)의 선반결합공(115)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 및 선반패널(140,140a)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비용의 절감을 위해 부식이 강한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 및 선반패널(140)의 절삭과 판면의 결합공(121,131,141)의 가공은 NCT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잠금장치모듈(200)은 내부에 전자식락킹부(230)를 포함하여 도어(300)를 개폐함과 동시에 프레임부(100)와 결합되어 사물함 공간을 형성한다. 잠금장치모듈(200)은 내부에 전자식락킹부(2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모듈본체(210)와, 모듈본체(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식락킹부(230)와, 모듈본체(210)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보조커버(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전자식락킹부(230)가 프레임부(10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전자식락킹부(230)가 별도의 잠금장치모듈(200) 내부에 구비된다(아웃서트타입). 이에 따라 종래 일체형 전자식 사물함(도 1의 10)에서 함체 내부에 전자식락킹부(2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NCT 절삭 및 절곡, 용접 과정과 같은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으며, 전자식락킹부(230)를 함체 내부에 조립하기 위한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자식락킹부(230)가 파손되거나 고장난 경우 이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듈본체(2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듈본체(21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거나, 부식이 강한 강판으로 형성된다. 이 때, 모듈본체(210)는 NCT 절삭 및 절곡 또는 금형제작을 통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200)이 프레임부(100)의 양측에 각각 조립되어 사물함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모듈본체(210)의 배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두 줄의 후면프레임결합공(217,217a)이 관통형성된다. 모듈본체(210)의 배면에는 좌우 양측의 후면프레임(110)이 동시에 결합된다. 즉, 한 쌍의 후면프레임(110)이 한 개의 모듈본체(210)를 공유하며 조립된다. 좌측 후면프레임결합공(217)에 좌측에 위치한 후면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우측 후면프레임결합공(217a)에 우측에 위치한 후면프레임(110)이 결합된다.
또한, 모듈본체(2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우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330)이 결합되는 경첩결합공(211)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선반패널(140)의 결합위치에 모듈선반결합공(213)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모듈본체(2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락킹부(230)가 수용된다. 좌측면에는 전자식락킹부(23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되고, 삽입공(미도시)는 보조커버(240)가 결합된다.
전자식락킹부(230)는 한 조의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의 사물함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사물함이 구비되는 경우 잠금장치모듈(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 개의 전자식락킹부(230)가 수용된다.
보조커버(24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결부재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모듈본체(2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전자식락킹부(230)가 고장이 날 경우, 해당 보조커버(240)를 분해하여 새로운 전자식락킹부(230)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잠금장치모듈(200)를 교체할 필요 없이 고장이 발생된 전자식락킹부(230)만 보조커버(240)를 개방하여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모듈본체(210)의 좌측 선단에는 도어(300)의 삽입봉(310)이 삽입되는 삽입봉삽입공(215)과, 동작확인스위치(238)가 삽입되는 스위치삽입공(216)이 구비된다. 도어(300)가 닫혀졌을 때, 삽입봉(310)이 삽입봉삽입공(215)을 통해 삽입된 후 전자식락킹부(230)와 결합되어 도어(300)의 닫힘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삽입봉삽입공(215)은 사각형, 스위치삽입공(216)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모듈본체(210)은 아웃서트타입 사물함조립체(1)의 배치위치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우측에 배치되는 모듈본체(210a)는 좌측면이 외부로 드러나므로, 내부에 전자식락킹부(230)가 수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좌측면 판면에 전자식락킹부(230)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최좌측에 배치되는 모듈본체(210)는 우측면이 외부로 드러나므로, 경첩삽입공(211)과 모듈선반결합공(213)이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자식락킹부(230)는 모듈본체(210) 내부에 수용되어 해당 사물함의 도어(300)를 개폐한다. 도 6은 전자식락킹부(2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식락킹부(230)은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도어(300)를 잠금(록킹) 또는 해제(언록킹)시킨다.
전자식락킹부(230)은 케이스(231), U자고리(235), 솔레노이드 밸브(233), 동작확인스위치(238)를 포함한다. 케이스(231)는 모듈본체(210) 내부에 삽입된다.
솔레노이드밸브(233)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축(233a)이 승강된다. 구동축(233a)의 승강에 의해 U자고리(235)가 회동된다.
솔레노이드(233)의 구동축(233a)이 하강되어 U자고리(235)가 일정각도 회동되면 도어(200)의 삽입봉(310)의 내부의 걸림공(미도시)과 U자고리(235)의 걸림이 해제되어 도어(200)가 개방(해제)되고, 구동축(233a)이 상승되어 U자고리(235)가 세워진 상태(수직상태)가 되면, 삽입봉(310)의 걸림공(미도시)에 U자고리(235)의 전단이 삽입되어 걸린상태가 됨으로써, 도어(300)가 전자식락킹부(230)에 잠김상태가 된다.
한편, 전자식락킹부(230)는 통상의 누름식 근접스위치인 동작확인스위치(238)가 설치되어, 도어(3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동작확인스위치(238)의 작동부(238a)가 스위치삽입공(216)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도어(300)의 열리고 닫히는 동작에 따라, 동작확인스위치(238)의 작동부(238a)가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됨으로써, 도어(300)의 열린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식락킹부(230)의 구성은 도시된 바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전자식락킹부(2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례일 뿐이며, 여타의 다른 전자식락킹부(330)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전자식락킹부(230) 이외에도 기계식 잠금유닛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도어(300)는 잠금장치모듈(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물함 공간을 개폐한다. 도어(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330)에 의해 잠금장치모듈(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의 타측에는 삽입봉(310)이 돌출형성된다. 삽입봉(310)은 잠금장치모듈(200)의 삽입봉삽입공(215)에 U자고리(235)에 의해 걸림결합되거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도어(300)가 개폐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도어(300)의 구성만 드러난다. 따라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도어(300)는 표면을 도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복수개의 전자식락킹부(230)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사물함을 개폐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사물함 번호 또는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410)와, 사물함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20)와,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인증하는 인증부(430)와, 이들을 수용하는 제어케이싱(440)을 포함한다.
입력부(410), 표시부(420) 및 제어부(400)는 통상 컴퓨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부(430)는 비밀번호 방식, 스마트카드(RFID) 방식, 모바일, 바코드인증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사용을 위한 결제방식으로 현금, 교통카드,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인증방식을 분실하거나, 장애가 발생할 경우, 원격으로 관리자와 연결하여 문제나 불편사항이 해결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표시부(420)와 입력부(410)를 통해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또는 사용하고 있는 사물함 번호를 선택하고, 도어(300) 개방을 선택한 후 비용을 결제하면, 제어부(400)는 해당 사물함의 전자식락킹부(230)가 잠금해제 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신호의 인가에 의해 해당 전자식락킹부(230)의 솔레노이드밸브(233)가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1)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매자가 희망하는 크기와 형상의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1)을 주문하면, 해당 형상을 조립할 수 있는 개수의 프레임부(100)와 잠금장치모듈(200) 및 도어(300)를 운반된다. 이 때, 프레임부(100)를 형성하는 후면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 및 선반패널(140)은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된다. 잠금장치모듈(200)은 해당 형상에 대응되는 전자식락킹부(230)를 삽입하고, 보조커버(240)가 결합된 상태로 운반된다. 이 때, 배선과 전원공급라인은 모두 모듈본체(210) 내부에 수용시킨다.여기서, 제어부(400)는 조립된 상태로 운반된다.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1)이 설치될 현장에서 작업자가 프레임부(100)와, 잠금장치모듈(200) 및 도어(300)를 체결부재(A)를 이용해 조립한다. 한 조를 먼저 조립한 후, 연결하는 형태로 복수개의 조를 조립한다.
후면프레임(110)에 좌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200)을 체결부재(A)를 이용해 조립하고, 그 아래에 하부프레임(130)을 조립한 후, 상부프레임(120), 선반패널(140)을 조립한다. 이들의 조립순서는 상황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한 조의 프레임부(100)와 잠금장치모듈(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웃하는 조의 프레임부(100)와 잠금장치모듈(200)을 연속하여 조립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1)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조의 프레임부(100)와 잠금장치모듈(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어(300)를 조립한다.
그리고,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은 프레임부와 잠금장치모듈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사물함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부도 후면프레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선반패널로 각각 제조된 후 현장에서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구조에 의해 각각의 구성을 제조하는 제조단가가 줄어들고, 운반과 보관에 소요되는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과정도 간단하여 비숙련자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규격오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후면프레임의 폭과 선반패널이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사물함 한 칸의 공간을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구성 중 어느 일부분이 파손되거나 고장날 경우, 해당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은 잠금장치모듈 내부에 전자식락킹부가 수용되고, 보조커버에 의해 착탈가능하므로 고장이 발생시 전체 잠금장치모듈을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전자식락킹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조립하여 사용한 후, 이사를 가거나 용도의 변경을 위한 경우 해체하여 재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은 선반패널(140)이 결합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었다. 이 경우 현장에서 조립시에 사물함 1칸의 크기를 가변할 수 없다.
이러한 구매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프레임(110)에 선반결합공(115)이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개(115,115a,115b)가 미리 구비된 채 유통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가 현장에서 아웃서트방식 조립식사물함을 조립할 때, 상황에 맞게 선반패널(140)의 결합높이(h1,h2)를 조절하여 사물함 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아웃서트타입 사물함조립체
100 : 프레임부 110 : 후면프레임
111 : 상부결합공 113 : 측면결합공
115 : 선반결합공 117 : 하부결합공
120 : 상부프레임 121 : 상부삽입공
130 : 하부프레임 131 : 하부삽입공
140 : 선반패널 141 : 선반삽입공
200 : 잠금장치모듈 210 : 모듈본체
211 : 경첩결합공 213 : 모듈선반결합공
215 : 삽입봉삽입공 216 : 확인스위치삽입공
217,217a : 후면프레임결합공 230 : 전자식락킹부
231 : 케이스 233 : 솔레노이드밸브
233a : 구동축 235 : U자고리
238 : 동작확인스위치 238a : 작동부
240 : 측면커버 300 : 도어
310 : 삽입봉 400 : 제어부
410 : 입력부 420 : 표시부
430 : 인증부 440 : 제어케이싱

Claims (8)

  1. 양측면과 전방이 개방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개방된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함께 함체 형상을 형성하며, 내부에 전자식락킹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 중 좌측 잠금장치모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 중 우측 잠금장치모듈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와;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식락킹부를 구동시켜 상기 도어를 상기 잠금장치모듈에 대해 개폐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함체 형상을 복수개의 독립된 사물함 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선반판넬을 결합하기 위한 선반결합공이 상기 선반판넬의 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선반결합공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에 높이가 상이하게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반판넬의 결합높이를 조절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잠금장치모듈은,
    상기 전자식락킹부가 수용되는 락킹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모듈본체와;
    상기 모듈본체의 내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수용공간을 은폐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부식이 강한 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NCT 절삭 및 절곡 또는 금형제작을 통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사물함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개의 사물함 중 사용자가 이용할 사물함을 선택받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물함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인증받는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락킹부는,
    상기 락킹부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구동축의 승강에 따라 회동되며, 도어의 삽입봉의 내부의 걸림공과 걸림결합되며 도어를 개폐하는 U자고리와;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동작확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이 하강되어 상기 U자고리가 일정각도 회동되면, 상기 도어의 삽입봉의 내부의 걸림공과 상기 U자고리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구동축이 상승되어 상기 U자고리가 세워지면 삽입봉의 걸림공에 상기 U자고리의 전단이 삽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며 상기 도어가 잠김상태가 되며,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는 근접스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도어에 의해 눌림이 해제되거나 눌리면서 도어의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02301A 2014-08-08 2014-08-08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KR10169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01A KR101690623B1 (ko) 2014-08-08 2014-08-08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01A KR101690623B1 (ko) 2014-08-08 2014-08-08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42A KR20160018142A (ko) 2016-02-17
KR101690623B1 true KR101690623B1 (ko) 2016-12-28

Family

ID=5545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301A KR101690623B1 (ko) 2014-08-08 2014-08-08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6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799A (ja) 1999-01-11 2000-07-25 Daido Kakoki Kogyo Kk 宅配ボックス構造体及びその製法
KR200276134Y1 (ko) 2002-02-15 2002-05-21 임병구 물품 보관함용 자물쇠
US20120086314A1 (en) 2010-10-12 2012-04-12 Spacesaver Corporation Electronically controlled security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61Y1 (ko) * 2008-09-19 2010-09-08 주식회사 명성기업 무인 보관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799A (ja) 1999-01-11 2000-07-25 Daido Kakoki Kogyo Kk 宅配ボックス構造体及びその製法
KR200276134Y1 (ko) 2002-02-15 2002-05-21 임병구 물품 보관함용 자물쇠
US20120086314A1 (en) 2010-10-12 2012-04-12 Spacesaver Corporation Electronically controlled security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42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7978C (en) Dispensing cabinet and method for the controlled dispensing of objects
US10699510B2 (en) Modular vending system for propane cylinders
US8362878B2 (en) Towel tracking system
US20210106160A1 (en) Securable delivery storage system
US87428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access control
US20140330407A1 (en) Intelligent Reconfigurable Locker System
US9717352B2 (en) System for tracking reusable items
US20130093298A1 (en) Retail merchandising platform
US20210065491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odule-based vending
US20220403694A1 (en) Storage device for theft-proof storage of valuable articles
KR101690623B1 (ko) 아웃서트타입 조립식사물함
CN114007469A (zh) 物品保管装置
DE60224519T2 (de) Einrichtung zum lagern und disponieren von artikeln zum zurückzug
DE202016101841U1 (de) Vorrichtung zur Lieferung von Waren
CN205428032U (zh) 一种窄格子宽度的售卖机
CN107270636A (zh) 家用制冷器具的有基体和附加件的门搁架及家用制冷器具
CN109598864A (zh) 一种内含rfid读写器的具有防偷盗功能智能化锁具
CN109243064B (zh) 用于便利基于模块的售货的系统、方法和设备
CN205050248U (zh) 可实现无序摆货及网络售卖的自动售货机
WO2015034772A1 (en) Weighing scale system with interface component
GB2430705A (en) Multi-configuration lockerbank construction
KR20230140799A (ko) 공간확장과 무인관리가 가능한 물품 보관함
US20230157462A1 (en) Self-Serve Kiosk
CN110821214A (zh) 一种组装式及模块化的零售智能终端
KR101464876B1 (ko) 사물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