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76B1 - 사물함 - Google Patents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76B1
KR101464876B1 KR1020130059520A KR20130059520A KR101464876B1 KR 101464876 B1 KR101464876 B1 KR 101464876B1 KR 1020130059520 A KR1020130059520 A KR 1020130059520A KR 20130059520 A KR20130059520 A KR 20130059520A KR 101464876 B1 KR101464876 B1 KR 10146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locker
d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오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to KR102013005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사물함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물함은 다수의 배열로 배치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함체에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전자식 잠금유닛을 구비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잠금유닛를 모듈화한 잠금모듈이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되는 아웃 서트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 {LOCKER}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하는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또는 라커)는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터미널, 지하철역, 아파트, 관공서, 사우사, 대중목욕탕, 찜질방, 기숙사, 체육관, 학교, 헬스클럽, 수영장, 대형마트 등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시설에 설치되어 가방, 책, 옷이나 소지품, 개인용품, 구매상품 등의 개인물품을 넣어 보관하는 장치로, 함체가 다수의 배열되고, 각각의 함체를 개폐하도록 도어가 설치되며, 함체에 대해 도어조립체의 록킹/언록킹시키는 잠금유닛이 설치된다. 이러한 사물함에 대해서느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33527호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 지하철역, 터미널역 등에는 전자식 사물함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식 사물함은 사용자가 사물함 일측에 설치된 관리부의 터치스크린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함체를 선택하고,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하면 선택된 함체의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해당 함체에 물품을 보관한 후 도어를 닫으면 전자식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잠기는 전자식 사물함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자식 사물함에 대해서는 등록특허 10-0754950호, 등록실용신안 20-0403310호, 공개특허 10-2009-0126523호, 등록특허 10-1178207호, 등록특허 10-093862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의 사물함(10)은 각각 함체(40)의 측벽(43) 내부에 잠금장치(20)와 통신/전원 배선을 인서트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구체적으로, 함체(40)는 측벽(43) 내측을 절개된 형태로 제작하고, 이 절개된 부분을 통해 잠금장치(20)를 함체(40)의 측벽 내부에 넣어 설치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사물함은 함체 제작시 잠금유닛의 형태 및 용도, 통신/전원 배선통로에 따라 절삭/절곡/용접 가공하여 함체(40)의 측벽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야 했기 때문에, 단일판으로 측벽을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한번 제작된 사물함은 잠금장치의 변형 및 변경 또한 불가능하였다. 특히, 함체(40)의 내부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잠금장치(20)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좁아 제작이 어려웠으며, 이로인해, 제품제작 시간이 많이 들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뿐 아니라, 잠금장치(20)의 고장시 유지보수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품 제작후 완성된 함체 즉, 잠금장치(20)가 인서트된 함체(40)가 무겁기 때문에 설치 환경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품검수를 진행하는 것이 어려웠을 뿐 아니라, 함체(40)에 잠금장치(20)를 인서트하는 것이 완료될때 까지는 제품검수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제품검수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제작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제품검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사물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물함은 다수의 배열로 배치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함체에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전자식 잠금유닛을 구비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잠금유닛을 모듈화한 잠금장치모듈이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되는 아웃 서트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식 잠금유닛이 내장된 모듈본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듈본체는 세로로 배열된 상기 함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모듈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세로로 배열된 함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상기 전자식 잠금유닛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듈본체는 상기 함체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의 하부 측면이 단차부분을 구성하여, 상기 단차부분을 이루는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상기 모듈본체가 결합되며, 상기 모듈본체와 상기 함체가 결합되어 사각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듈본체는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및 너트 또는 피스 등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식 잠금유닛을 모듈본체에 내장하여 모듈화한 잠금장치모듈을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하는 아웃서트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사물함 제작이 용이해져 제작시간을 줄일 있어 전체적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함체에 잠금장치모듈을 아웃서트 하는 방식이므로, 함체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필요가 없어, 함체의 구조가 단순해져 함체 제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아웃서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설치된 환경은 하드웨어의 변경(잠금장치 버전 병견 및 기능 추가 등) 필요한 경우 잠금장치 모듈 교체만으로 적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과는 달리, 함체와 잠금장치모듈을 별도로 만들어, 각각 제품검수한 후, 장금장치모듈을 함체에 아웃서트하므로, 기존에 비해 제품검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물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물함에서 도어를 삭제하고, 잠금장치모듈이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되어 사물함을 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사물함에서 잠금장치모듈이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사물함에서 일부만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나의 함체에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자식 잠금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1)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물함(1)은 함체(100), 도어(200), 잠금장치모듈(300)로 구성된다.
함체(100)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로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다.
도어(200)는 각각의 함체(100)의 개구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도어(20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바(205)가 구비되며, 이 돌출바(205)에는 장공형태로 걸림공(205a)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이때, 본 발명의 도어(200)의 가로폭은 잠금장치모듈(300)과 함체(100)의 가로폭의 합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잠금장치모듈(300)은 모듈본체(310)에 전자식 잠금유닛(330)을 설치하여 모듈화하고, 이 전자식 잠금유닛(330)이 설치된 모듈본체(310)를 세로열로 배열된 함체(100) 외측면에 결합부재(350)를 이용해 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결합부재(350)는 볼트너트 또는 피스(나사)로 구성되어, 모듈본체(310)와 함체(100) 외측면을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본체(310)와 함체(100)를 결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결합부재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듈본체(310)는 세로열로 배열된 다수의 함체(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과 같이, 사물함(1)이 함체(100)가 세로로 2개가 적층된 경우, 모듈본체(310)는 2개의 함체(100)가 적층된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모듈본체(310)의 내부에는 2개의 함체(100)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도어(200)를 각각 잠궈줄 수 있도록 2개의 전자식 잠금유닛(330)이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함체(100)가 세로로 3개 적층된 형태일 경우, 모듈본체(310)는 3개의 함체(100)가 적층된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모듈본체(310)의 내부에는 3개의 전자식 잠금유닛(3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사물함(1)은 모듈화된 잠금장치모듈(300)를 함체(100)의 외측벽에 결합함으로써(아웃서트방식), 제조되기 때문에, 기존 사물함의 인서트 방식에 비해서,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시간이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전자식 잠금유닛(330)의 고장이나 교체를 위한 유지보수시, 잠금장치모듈(300)을 함체(110)로부터 분리해 내, 간단하게 잠금장치모듈(300)을 수리하거나 부품교체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잠금유닛이 고장났을 경우, 함체(100) 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잠금유닛을 설치하고, 유지보수시에도 협소한 공간에서 잠금장치를 수리 및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잠금장치모듈(300)을 함체(100)의 외측벽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기존에는 함체(100) 제작시, 측벽에 잠금장치가 설치될 공간을 만들어주어야 되기 때문에 함체(100)의 제작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잠금장치모듈(300)을 함체(100)의 외측벽에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함체(100)의 외측벽에 내부공간을 만들 필요없이 단일판재로 구성하여도 되므로, 함체(100)의 제작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장치모듈(300)이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함체(100)와 잠금장치모듈(300)을 따로 제작하고, 함체(100)와 잠금장치모듈(300)을 따로 제품검수한 후, 잠금장치모듈(300)을 함체(100) 외측벽에 결합할 수 있어, 제품검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모듈본체(310)가 함체(10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웃서트 방식 즉, 함체(100) 외측벽에 모듈본체(310)가 결합되는 방식이라면, 도 4와 같이, 모듈본체(310)의 높이가 함체(100)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함체(110)의 하부 측면에 단차부분을 형성하여, 이 단차부분을 이루는 함체(100) 외측벽에 결합부재(350)로 모듈본체(310)를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모듈본체(310)가 함체(100)가 결합되면 사각형이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식 잠금유닛(3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식 잠금유닛(330)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도어(200)를 잠금(록킹) 또는 해제(언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듈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전방면에 고정설치된다.
이 경우, 모듈본체(310)의 전면 중앙부근에는 도어(200)의 닫힘과 열림을 위한 회동에 따라, 돌출바(205)가 삽입되는 제1통공(311)이 형성되고, 제1통공(311)의 하부에는 후술할 동작확인스위치(338)의 작동부(338a)가 돌출되는 제2통공(311)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통공(311)은 사각형, 제2통공(311)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식 잠금유닛(330)은 케이스(331), U자고리(334), 회동바(336), 솔레노이드 밸브(337), 동작확인스위치(338)를 포함한다.
도 6은 전자식 잠금유닛(33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전자식 잠그유닛(330)은 모듈본체(310)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331)과, 케이스(3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물함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축(333a)이 승강되는 솔레노이드(333)와, 솔레노이드(333)의 구동축(333a)에 결합되어, 구동축(333a)의 승강동작에 따라 회동되는 U자고리(335)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333)는 통상의 전자식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333)의 구동축(333a)이 하강되어 U자고리(335)가 일정각도 회동되면 도어(200)의 돌출바(205)의 걸림공(205a)과 U자고리(335)의 걸림이 해제되어 도어(200)가 개방(해제)되고, 구동축(333a)이 상승되어 U자고리(335)가 세워진 상태(수직상태)가 되면, 돌출바(205)의 걸림공(205a)에 U자고리(335)의 전단이 삽입되어 걸린상태가 됨으로써, 도어(200)가 전자식 잠금유닛(330)에 잠김상태가 된다.
한편, 전자식 잠금유닛(330)은 통상의 누름식 근접스위치인 동작확인스위치(338)가 설치되어, 도어(2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확인스위치(338)의 작동부(338a)가 제 2 통공(313)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도어(200)의 열리고 닫히는 동작에 따라, 동작확인스위치(338)의 작동부(338a)가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됨으로써, 도어(200)의 열린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식 잠금유닛(330)의 구성은 도시된 바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에서 전자식 잠금유닛(3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의 다른 전자식 잠금유닛(330)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전자식 잠금유닛(330) 이외에도 기계식 잠금유닛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은 전자식 잠금유닛(330)을 모듈본체(310)에 내장하여 모듈화한 잠금장치모듈(300)을 함체(100)의 외측벽에 결합하는 아웃서트 방식에 특징이 있으므로, 모듈본체(310)에 내장되는 잠금유닛(330)은 도어(200)를 함체(100)에 록킹 또는 언록킹 시켜 도어(200)를 개폐를 단속할 수 있으며, 어떠한 잠금유닛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함체
200...도어
300...잠금장치모듈
310...모듈본체
330...전자식 잠금유닛
331...케이스
333...솔레노이드밸브
335...U자고리
338...동작확인스위치

Claims (6)

  1. 다수의 배열로 배치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함체에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전자식 잠금유닛을 구비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잠금유닛을 모듈화한 잠금장치모듈이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전자식 잠금유닛이 내장된 모듈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및 너트 또는 피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는 세로로 배열된 상기 함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모듈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세로로 배열된 함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상기 전자식 잠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는 상기 함체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의 하부 측면이 단차부분을 구성하여, 상기 단차부분을 이루는 상기 함체의 외측벽에 상기 모듈본체가 결합되며, 상기 모듈본체와 상기 함체가 결합되어 사각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5. 삭제
  6. 삭제
KR1020130059520A 2013-05-27 2013-05-27 사물함 KR10146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20A KR101464876B1 (ko) 2013-05-27 2013-05-27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20A KR101464876B1 (ko) 2013-05-27 2013-05-27 사물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876B1 true KR101464876B1 (ko) 2014-11-24

Family

ID=5229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520A KR101464876B1 (ko) 2013-05-27 2013-05-27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108U (ko) * 1998-05-30 1999-12-27 구자천 사물함
JP2000002030A (ja) * 1998-06-16 2000-01-07 Mamiya Op Co Ltd ロッカの施解錠装置
KR20100120742A (ko) * 2009-05-07 2010-11-17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US20120086314A1 (en) * 2010-10-12 2012-04-12 Spacesaver Corporation Electronically controlled security cabi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108U (ko) * 1998-05-30 1999-12-27 구자천 사물함
JP2000002030A (ja) * 1998-06-16 2000-01-07 Mamiya Op Co Ltd ロッカの施解錠装置
KR20100120742A (ko) * 2009-05-07 2010-11-17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US20120086314A1 (en) * 2010-10-12 2012-04-12 Spacesaver Corporation Electronically controlled security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706B1 (ko) 캠 방식의 자동 잠금장치를 갖춘 전자식 금고
CN108851419A (zh) 具内置型电子锁的行李箱
CN102454336B (zh) 圆筒形电子密码保险箱
CN205248635U (zh) 用于抽屉式开关柜的锁扣结构
JP2007062929A (ja) 移動棚装置
CN104405229A (zh) 一种人脸识别保险箱
KR101464876B1 (ko) 사물함
CN107625303A (zh) 一种带指示键的定位到本的档案柜
CN103544747B (zh) 安全箱和自助服务终端
CN103527007A (zh) 卷帘门电子锁
CN101586420A (zh) 双向磁力暗插销及其开关装置及其锁止方法
CN205558708U (zh) 联动互锁门
JP4638778B2 (ja) 保管庫
CN102966286B (zh) 一种防盗提款箱
CN207368473U (zh) 一种箱型固定式交流金属封闭开关柜
CN207228941U (zh) 一种公共场所用安全防盗门
KR100854283B1 (ko)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
CN205827516U (zh) 格子式自动售货机
CN103790446B (zh) 能够在面板下端开锁的锁具
CN204311906U (zh) 一种人脸识别保险箱
CN108412328A (zh) 一种自动开关门锁及其自动开关方法
EP2463828A2 (de) Personenschleuse mit Zugangsausweis
CN203701776U (zh) 能够在面板下端开锁的锁具
CN2641224Y (zh) 智能电控柜锁
DE4426902A1 (de) Elektronisches Schloß bzw. Türöffner für Magnetkar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