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559B1 - 철근용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철근용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559B1
KR101690559B1 KR1020140043721A KR20140043721A KR101690559B1 KR 101690559 B1 KR101690559 B1 KR 101690559B1 KR 1020140043721 A KR1020140043721 A KR 1020140043721A KR 20140043721 A KR20140043721 A KR 20140043721A KR 101690559 B1 KR101690559 B1 KR 10169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bracket
width direction
cover body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261A (ko
Inventor
김윤관
이한백
금병엽
Original Assignee
디에이치산업안전(주)
김윤관
이한백
금병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치산업안전(주), 김윤관, 이한백, 금병엽 filed Critical 디에이치산업안전(주)
Priority to KR102014004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5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의 상단이 삽입되는 커버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본체는 철근을 덮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 측방부로 이루어져, 복수의 철근이 상판부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측방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철근의 단부는 상판부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안전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철근용 안전커버는 철근의 상부 전면을 커버하는 일종의 평면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낙상시 입는 피해를 대폭 줄이며, 안전커버의 물리적인 크기로 인하여 거푸집 내부로 떨어질 확률이 적음으로 기존 캡방식의 안전장치보다 회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근용 안전커버{Safety cover for rebar}
본 발명은 철근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겁푸집 내부에 설치된 철근이 돌출되어 작업자가 낙상시 입게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의 상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열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콘크리트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철근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건축현장 내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위험한 요소이다.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1017호(2011.11.28)에는 철근 지주의 안전캡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근 지주의 안전캡이 끼워진 철근이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철근 지주의 안전캡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근 지주의 안전캡(10)은 거푸집(30) 내부에 설치된 철근(20) 끝단에 끼워진다. 상기 거푸집(30)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원하는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양생 및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로서 형틀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근 지주의 안전캡(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확장 플랜지(11)와 상기 확장 플랜지(11)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보스부(12)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장 플랜지(11)는 상측으로 약간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확장 플랜지(11) 저면부에는 상기 보스부(12)의 바깥 둘레 주변에 원형의 제1 보강리브(13)가 형성됨과 동시에 보스부(12)의 바깥 둘레 면으로부터 확장 플랜지(11)의 끝단부분까지 방사상으로 연이어지는 제2 보강리브(14)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스부(12) 내에 형성된 삽입공(15)에는 탄력성을 갖는 4개의 편심리브(16)가 중앙 내측으로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리브(16)는 삽입공 (15)의 수직 및 수평으로부터 대략 5∼30°범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들 편심리브(16)의 각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철근(20)에 꽂을때 너무 헐거워지거나 혹은 탄력성 결여로 인해 철근(20)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스부(12)의 삽입공(15) 내에는 탄력성을 갖는 편심리브(16)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삽입공(15)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라면 철근(20)의 직경에 관계없이 철근(20)에 안전캡(1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철근 지주의 안전캡은 삽입되어 있던 철근으로부터 쉽게 빠지거나 장착된 상태에서도 철근의 단부만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낙상시 여전히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구조이며, 종래의 철근으로부터 안전캡을 회수시 거푸집 내부로 떨어지는 상황이 빈번하여 별도의 회수작업으로 인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2011-00110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철근용 안전커버는 개객의 철근의 단부를 커버하는 캡방식이 아닌 복수의 철근의 상부를 커버하여 일종의 평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시 입게되는 피해를 대폭 줄이며 안전커버가 거푸집 내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회수가 용이한 철근용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근용 안전커버는 철근의 상단을 덮는 커버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본체는 철근을 덮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 측방부로 이루어져, 복수의 철근이 폭 방향으로 측방부 사이에서 상판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철근의 단부는 상판부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안전커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커버본체가 하향 개구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판부의 상면과 양쪽 측방부의 폭 방향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의 단면은“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브라켓이 커버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본체의 형상이 하향 개구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판부의 상면과 측방부의 폭 방향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단면은“ㄱ”자를 이루며, 복수의 브라켓이 커버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폭방향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본체의 형상이 하향 개구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봉부재가 양측의 측방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고, 양측 단부는 폭 방향으로 측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일측의 단부에는 나사체결 되어 상기 측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측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철근이 삽입 가능하도록 철근홈이 상하 방향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철근홈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판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판부의 하부재는 경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낙상시 접촉되는 상판부의 상부재는 상기 하부재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철근용 안전커버는 복수의 철근의 상부를 커버하고 평면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낙상시 입는 피해를 대폭 줄이며, 내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회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근 지주의 안전캡이 끼워진 철근이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철근 지주의 안전캡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판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철근 지주에 본 발명의 안전커버가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측면도이고,
도 9는 철근 지주에 도 7의 안전커버가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철근용 안전커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판부의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철근 지주에 본 발명의 안전커버가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측면도이고, 도 9는 철근 지주에 도 7의 안전커버가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가로 방향을“폭 방향”으로 하고,“폭 방향”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외측”중심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을“내측”으로하고, 세로 방향을“상하 방향”으로 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길이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용 안전커버는 철근(20)의 상단이 삽입되는 커버본체(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110)는 철근(20)을 덮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상판부(111)와, 상기 상판부(111)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 측방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111)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111)는 재질이 다른 상부재(111a)와 하부재(111b)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철근(20) 상단과 접촉되는 하부재(111b)는 강한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한 경도를 갖는 재질로는 나일론66이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가 낙상시 접촉되는 상기 상부재(111a)는 상기 하부재(111b)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 진다. 상기 경도가 작은 재질로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11)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푸집(30)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알맞은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11)의 상하 방향 상부에는 브라켓(120)이 설치 가능하도록 폭 방향 양쪽으로 이격되어 나사홀(110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나사홀(11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씩 짝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2개씩 짝을 이룬 나사홀(11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측방부(113)는 상기 상판부(111)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측방부(113)는 재질이 다른 상부재(111a)와 하부재(111b)가 폭 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철근(20)의 측면과 접촉되는 하부재(111b)는 경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경도가 강한 재질로는 나일론66이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가 낙상시 접촉될 수도 있는 상부재(111a)는 상기 하부재(111b)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 진다. 상기 경도가 작은 재질로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측방부(113)의 폭 방향 외측에는 브라켓(120)이 설치 가능하도록 나사홀(110a)이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나사홀(110a)은 길이 방향으로 2개씩 짝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2개씩 짝을 이룬 나사홀(11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110)에는 커버본체(110)의 형상이 하향 개구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브라켓(120)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120)은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 양측에는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 수직부를 갖는다.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상판부(111)의 상판부(111)의 상면과 상기 측방부(113)의 폭 방향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20)의 단면은 대략“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ㄷ”자 형상의 브라켓(120)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 수직부에는 브라켓홀(120a)이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홀(12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부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브라켓홀(120a)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홀(12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보다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ㄷ”자 형상의 브라켓(120)과 다른 형상의 브라켓(12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20)은 상기 상판부(111) 상면과 측방부(113)의 폭 방향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20)의 단면은“ㄱ”자를 이루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브라켓(120)이 커버본체(110)에 설치되었을시 브라켓(120) 상하 방향 상부에 위치한 수평부는 상기 상판부(111)에 접하고 상기 브라켓(120)의 폭 방향 외측에서 하향 연장된 수직부는 상기 측방부(113)의 폭 방향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커버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된 수직부에는 브라켓홀(120a)이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홀(12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홀(12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보다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수평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브라켓홀(120a)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홀(12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홀(12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보다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이 커버본체(110)에 설치될시 브라켓(120)과 접하는 상판부(111)의 상면과 측방부(133)의 폭 방향 외측에는 상기 브라켓홀(120a)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나사홀(110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나사홀(110a)은 상기 브라켓홀(120a)의 위치와 개수와 일치하여 커버본체(110)에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20)을 브라켓홀(120a)과 나사홀(110a)이 일치되도록 상기 상판부(111)와 측방부(113)에 접하여 위치시키고 나사(121)를 브라켓홀(120a)과 나사홀(110a)에 관통 삽입하여 너트(122)로 나사결합 함으로써 커버본체(110)와 브라켓(1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상판부(111)와 측방부(113)가 하향 개구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강한 경도를 가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사출 제작되었을 시 브라켓(120)은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110)에는 상기 브라켓(120)을 대체하는 봉부재(123)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본체(110)의 형상이 하향 개구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봉부재(123)는 폭 방향 일단에 프랜지부를 갖는 관체이다. 상기 봉부재(123)의 타단의 일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봉부재(123)는 측방부(113)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구비된다.
상기 봉부재(123)의 결합을 설명하면, 상판부(111)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된 측방부(113)의 나사홀(110a)을 상기 봉부재(123)가 관통하여 폭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봉부재(123)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된 플랜지부가 상기 측방부(113)의 폭 방향 외측에 걸리어 상기 봉부재(123)가 고정된다. 한편 봉부재(123)의 타단은 폭 방향 타측의 측방부(113)에 형성된 나사홀(110a)로 돌출되어 너트(122)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봉부재(123)는 커버본체(110)가 철근(20)의 상하 방향 상부에 설치될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측방부(113)의 상하 방향 상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부(111)와 측방부(113)가 하향 개구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강한 경도를 가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사출 제작되었을 시 상기 봉부재(123)는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철근(20)이 삽입되어 커버본체(110)가 설치되도록 철근홈(113a)이 측방부(113)에 형성된다. 상기 철근홈(113a)은 상기 측방부(113)의 상하 방향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향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철근홈(113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본체(110)가 거푸집(30) 내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시에는 가로로 설치된 철근(20)의 간섭이 없음으로 상기 철근홈(113a)이 불 필요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0)이 내부에 설치된 철근(20) 지주의 상하 방향 상부로 돌출된 철근(20)에 본체커버(110)가 설치되어 상기 상판부(111)의 상면이 평면을 이루어 작업자가 낙상시 입는 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10)는 거푸집(3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맞추어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거푸집(3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관계없이 손 쉽게 안전커버 설치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0)내부에 설치된 철근(20) 지주가 상하 방향으로 상향하여 커버본체(110)가 설치될 만큼 충분히 돌출되지 않았을 시에도 측방부(113)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된 철근홈(113a)에 가로로 설치된 철근(20)이 삽입되어 철근용 안전커버(100)가 설치 가능하여 철근(20) 지주의 구조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히 철근용 안전커버(100)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안전커버의 물리적인 크기로 인하여 커버가 거푸집(30) 내부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일이 방지되어 커버회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용 안전커버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철근용 안전커버
110 : 커버본체 110a : 나사홀
111 : 상판부 111a : 상부재
111b : 하부재 113 : 측방부
113a : 철근홈 120 : 브라켓
120a : 브라켓홀 121 : 나사
122 : 너트 123 : 봉부재

Claims (6)

  1. 판상의 상판부(111)와, 상기 상판부(111)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되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철근(20)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부가 개구된 형태이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철근홈(113a)이 형성된 측방부(113)로 이루어져, 복수의 철근(20)이 폭 방향으로 측방부(113) 사이에서 상판부(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철근의 단부는 상판부(111)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철근(20)의 상단을 덮는 커버본체(110)와; 상기 커버본체(110)가 하향 개구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단면이“ㄷ”자 형상으로 이루어 상기 상판부(111)의 상면과 양쪽 측방부(113)의 폭 방향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브라켓(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120)은 커버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안전커버(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11)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판부(111)의 하부재(111b)는 경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낙상시 접촉되는 상판부(111)의 상부재(111a)는 상기 하부재(111b)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안전커버(100).
KR1020140043721A 2014-04-11 2014-04-11 철근용 안전커버 KR10169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21A KR101690559B1 (ko) 2014-04-11 2014-04-11 철근용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21A KR101690559B1 (ko) 2014-04-11 2014-04-11 철근용 안전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61A KR20150118261A (ko) 2015-10-22
KR101690559B1 true KR101690559B1 (ko) 2016-12-29

Family

ID=5442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21A KR101690559B1 (ko) 2014-04-11 2014-04-11 철근용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5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997A (ja) 2001-05-31 2002-12-13 Fudo Kozai Kk 露出鉄筋用カバー
KR101198711B1 (ko) 2012-05-11 2012-11-12 고주재 콘크리트 블록 타설용 거푸집 보강을 위한 간격유지장치 및 이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545Y1 (ko) * 1994-08-23 1997-06-05 박노철 건축벽체의 판넬용 스페이서
KR20110011017U (ko) 2010-05-20 2011-11-28 (주) 성실종합건재상사 철근 지주의 안전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997A (ja) 2001-05-31 2002-12-13 Fudo Kozai Kk 露出鉄筋用カバー
KR101198711B1 (ko) 2012-05-11 2012-11-12 고주재 콘크리트 블록 타설용 거푸집 보강을 위한 간격유지장치 및 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61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235B2 (en) Protective cover for reinforcing bar
US20090313927A1 (en) Protective cap for reinforcing bars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US20180080237A1 (en) Tile Leveling System
US6073415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reinforcement bar injury
KR101690559B1 (ko) 철근용 안전커버
KR101081793B1 (ko) 파손 방지 및 신속한 복원력을 갖는 차선규제봉
US5826398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reinforcement bar injury
KR100833841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N106457601A (zh) 劈砍辅助装置
KR102116866B1 (ko) 배수구 설치용 그레이팅
KR101272679B1 (ko) 배수구 덮개용 받침대
AU2009202701B2 (en) A protective cap
KR20170025768A (ko) 수직변이를 억제한 모노레일 지주
KR200410794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EP2584096A1 (en) Road barrier
KR101103391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938285B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0709272B1 (ko)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102278927B1 (ko) 차선규제봉
KR102227549B1 (ko) 탄성 기둥
KR101199543B1 (ko) 지면보호 네트 설치용 고정구
KR20190049064A (ko) 이탈방지형 탄성 볼라드
KR20110011017U (ko) 철근 지주의 안전캡
KR200213292Y1 (ko) 거푸집의 수평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