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70B1 -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70B1
KR101689870B1 KR1020140169765A KR20140169765A KR101689870B1 KR 101689870 B1 KR101689870 B1 KR 101689870B1 KR 1020140169765 A KR1020140169765 A KR 1020140169765A KR 20140169765 A KR20140169765 A KR 20140169765A KR 101689870 B1 KR101689870 B1 KR 101689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onic product
case
batte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586A (ko
Inventor
이찬봉
조은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렉스
이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렉스, 이찬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렉스
Priority to KR102014016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자제품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전자제품의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 또는 하부 및 상부의 양쪽에 설치되며, 전자제품 배터리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모듈이 구비된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을 제공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보관함과, 각 보관함이 일렬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도록 분획된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 거치대, 및 각 보관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관함 거치대에 설치되며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각 보관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인 식별장치를 포함하는 보관함을 이용한 보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상용 전원을 사용하여 전자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간편히 전자제품을 충전할 수 있으며, 이동시에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BOX HAVING CHARGING FUNCTION FOR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제품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모듈이 설치된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유사 시 충전 케이블 없이도 이동하면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는 내부에 축전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충전기 등을 통해 외부 전원을 배터리에 집적시켰다가 구동 전원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전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형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형 단말기 또는 배터리의 접속 단자와 충전 모체의 접속 단자를 상호 접속시켜야 한다.
그러나, 휴대형 단말기 또는 배터리와 충전기에 접속 단자를 구성하는 접점 방식의 충전기는, 접속 단자가 외부에 돌출됨으로써 미관상 보기 흉하다는 문제점 외에 접속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속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단락이 발생하여 축전지가 완전 방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접점 방식의 충전기는 고주파로 동작하는 1차 회로를 충전기에 구성하고 2차 회로를 배터리측 즉, 휴대형 단말기 내 또는 배터리 내에 구성함으로써, 충전기의 전류 즉, 에너지를 유도 결합에 의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배터리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접점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터리의 충전에 적합한 충전패드가 구비된 충전기를 보유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각각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에에 대응하는 무접점 충전기를 찾아서 충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외부에서는 장시간 통화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 수행 등에 따라 배터리가 평상시보다 빨리 방전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 판매점 또는 편의점 등에 설치된 충전기에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시킨다.
즉, 사용자는 편의점 등에 설치된 충전기에 동전을 넣어서 충전기 외부의 케이스를 열고 충전기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 단자를 휴대용 단말기로 연결한 후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상기 케이스를 닫은 후 일정시간 그 주위에서 기다리면서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되기를 기다린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전 방식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충전에 따른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업무 등에 따른 모임 등이 있더라도 무선통신 단말기가 충전되기만을 기다렸다가 모임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1480호(2008.09.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5077호(2013.07.0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4105호(2005.03.10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무접점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동 시에도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전자제품의 분실위험이 해소되고, 전자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보관함을 이용한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제품의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 또는 하부 및 상부의 양쪽에 설치되며, 전자제품 배터리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모듈이 구비된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제품의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자제품 배터리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무선 충전패드가 구비된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충전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보관함과, 각 보관함이 일렬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도록 분획된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 거치대, 및 각 보관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관함 거치대에 설치되며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각 보관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인 식별장치를 포함하는 보관함을 이용한 보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접점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고, 접속 단자가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속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외부에서 핸드폰 배터리를 원활히 충전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핸드폰의 분실위험이 해소되고, 핸드폰의 종류와 상관없이 간편한 충전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금이나 카드결제 대신 멤버십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폰 충전에 대한 비용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관함에 탈부착 되는 충전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관함에 탈부착 되는 충전수단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보관함을 이용한 보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시스템의 결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이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에 탈부착 되는 충전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에 탈부착 되는 충전수단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수단(24)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의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제품이 거치될 수 있도록 전자제품, 예컨대 핸드폰의 안착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전자제품을 거치시켜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외형으로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외부의 이물질이 충전중인 전자제품에 접촉되지 않도록 내부와 외부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구조의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힌지 등으로 결합되어 몸체의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덮개(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가 관찰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스(10)에는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광고 영상을 노출시키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모든 사용자에게 전자제품 충전을 무료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광고 영상을 지정된 시간 이상 시청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게만 전자제품 충전을 무료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에는 전자제품과의 페어링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가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무드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LED 발광모듈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상면에 거치된 전자제품을 충전할 수 있도록 상부에 충전수단 안착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제 1 충전수단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2 충전수단이 충전수단 안착대에 설치되면, 케이스의 내외부에서 2대의 전자제품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전자제품의 표면으로 살균광원을 방사하는 살균램프(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램프(70)의 살균광원은 전자제품 표면의 유해살균을 제거하는 살균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램프(70)로는 자외선램프 또는 오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램프(70)는 몸체(12)의 일측면으로 고정되거나 덮개(14)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덮개(14)의 내측면은 자외선 또는 오존이 외부로 방사되지 못하도록 불투명 컬러의 색소막이 도포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의 내부에는 살균램프, 음이온 발생기, 원적외선 방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전자제품 이외에 빗, 컵 등의 비 전자제품을 케이스의 내부에 투입하여 비 전자제품을 살균 처리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충전수단(24)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수단(24)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케이스 내부의 하부 및 상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전자제품 배터리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모듈이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충전모듈로는 그 상부에 안착된 전자제품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패드를 사용하거나, 전자제품 배터리를 유선으로 충전시키는 충전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충전패드는 케이스(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착탈식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와 분리된 상태에서도 독립적으로 전자제품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이차전지가 구비된다. 이때, 이차전지로는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충전패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된 2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전원을 유선으로 공급하도록 일반적인 입출력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출력단자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악세사리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되 있다.
상기 무선 충전패드는 케이스와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전자제품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버튼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패드는 온/오프 상태나 리튬전지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는 LED 발광모듈이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복수개의 충전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20)는 전자제품의 내삽공간(22)을 제공하도록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몸체에 일열 내지 복수 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0)에 5개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각 충전부(20)는 나란히 일렬로 형성되며, 케이스(10)에 10개가 형성된 경우에는 각 충전부(20)는 일렬에 5개씩 이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부(20)는 핸드폰의 외형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몰 형성된 내삽공간(22)과, 상기 내삽공간(22)에 삽입된 핸드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수단(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삽공간(22)은 핸드폰이 내삽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범용적인 핸드폰의 외형을 대응되도록 사각기둥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수단(24)은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인접한 핸드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으로, 제어부에 연결되어 무선방식으로 전자제품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내삽공간(22)에 배치된 무선 충전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패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내삽공간(22)의 테두리에는 내삽된 전자제품의 테두리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펀지 등의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보안 바(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바(30)는 각 내삽공간(2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각 내삽공간(22)의 인근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동이나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수동형 보안 바(30)는 사용자가 내삽공간(22)에 핸드폰을 내삽시키고, 보안 바(30)를 도 4와 같이 약 90°로 회전시켜 임시로 고정시킨다. 이때, 임시로 고정된 보안 바(30)는 후술하는 결제모듈을 통해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비용이 결제되면, 제어부(50)가 케이스(1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제어하여 보안 바(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자동형 보안 바(30)는 사용자가 내삽공간(22)에 핸드폰을 내삽시킨 후 결제모듈을 통해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비용을 결제하면, 제어부(50)가 케이스(10)에 설치된 보안 바(30)를 도 4와 같이 약 90°로 회전시킨 뒤 고정시킨다. 이때, 보안 바(3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서보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내삽공간(22)의 내외부로 왕복하는 보안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개인 식별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식별장치(40)는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는 제어부(50)로 제공한다.
제 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별장치(40)로는 지문인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장치는 사용자의 지문을 사용자 인증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는 것으로,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 전에는 사용자 지문을 수집하기 위해 1차로 입력받고,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1차로 입력된 지문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자 지문을 2차로 입력받는다.
제 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별장치(40)로는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를 배출하는 배출기 및 상기 전자태그를 판독하는 전자태그 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카드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이나 원형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배출기는 키패드(60)를 통해 충전부(20)의 고유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충전부(20)에 매칭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를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전자태그 리더기는 전자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어 상기 전자태그에 매칭된 충전부(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제어부(50)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에는 전자태그 리더기에 접촉된 전자제품에 자동 페어링 되는 블루투스칩이 내장될 수 있다. 이는,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전화가 오거나 문자가 오면, 상기 카드에 이를 알리는 램프가 점등되거나 진동이 울려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에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받아 빛을 발광하는 발광램프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받아 진동을 울리는 진동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에는 전자제품에 수신된 전화의 발신이이나 전자제품에 수신된 문자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스플레이 장치로는 저전력이 사용되는 전자종이(e-paper)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별장치(40)로는 전자태그가 부착된 멤버십 카드를 판독하는 전자태그 리더기와, 멤버십 카드에 부여된 멤버십 포인트를 지불받는 결제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는 키패드(60)를 통해 충전부(20)의 고유 번호가 입력된 후 멤버십 카드가 근거리에 위치하면, 해당 충전부(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멤버십 카드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제어부(50)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결제모듈은 전자태그 리더기로부터 추출된 멤버십 정보를 바탕으로 멤버십 카드를 발행한 카드사의 DB서버(200)에 접속하여 멤버십 정보에 부여된 멤버십 포인트를 충전비용으로 지불받는다.
제 4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별장치(40)는 등록된 NFC칩이 내장된 교통카드, 스마트폰, 멤버십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독하는 전자태그 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자태그 리더기는 NFC칩으로부터 추출된 개인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관리자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이용권한이 부여된 회원을 확인받는다.
전술한 전자태그 리더기로는 NFC카드 리더기, RF카드 리더기,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키패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60)는 전자제품 충전에 사용된 충전부(20)의 번호를 입력받아 제어부(50)에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숫자패드가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키패드(60)에는 사용자의 성별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남과 여로 구분된 성별패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60)는 충전비용의 결제가 완료된 충전부(20)의 번호를 판단할 수 있도록 미리 배정된 충전부(20)의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부(20)에는 각각 고유의 번호가 표기될 수 있다.
또한, 키패드(60)는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시킨 전자제품을 찾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전자제품이 복수개의 충전부(20) 중 어느 충전부(20)에 거치된 것인지 사용자로부터 충전부(20)에 배정된 번호를 입력받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키패드(60)에는 배터리 충전의 시작과 종료를 선택하는 시작버튼과 종료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시작버튼과 종료버튼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한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전술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 영상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USB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은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충전수단(24)과 보안 바(30) 및 개인 식별장치(4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충전수단(24)과 보안 바(30) 및 개인 식별장치(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50)는 개인 식별장치(40)로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보안 바(30)의 개폐와 충전수단(24)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키패드(60)를 통해 충전부(20)에 배정된 번호가 입력되고 개인 식별장치(40)를 통해 1차로 사용자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자체 구비된 저장모듈이나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상기 번호에 해당된 보안 바(30)의 위치가 내삽공간(22)에 내삽된 전자제품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보안 바(30)를 제어하여 전자제품 소유자 이외의 사람이 상기 전자제품을 가져갈 수 없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상기 번호에 해당된 충전수단(24)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수단(24)에 인접한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또한, 제어부(50)는 키패드(60)를 통해 충전부(20)에 배정된 번호가 입력되고 개인 식별장치(40)를 통해 2차로 사용자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번호에 대한 1차 사용자 인증정보와 2차 사용자 인증정보의 동일 여부를 분석한다. 이러한 1차 사용자 인증정보와 2차 사용자 인증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어부(50)는 상기 번호에 해당된 충전수단(24)에 전원을 공급을 중단한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상기 번호에 해당된 보안 바(30)의 위치가 내삽공간(22)을 벗어나도록 보안 바(30)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50)는 배출기 및 전자태그 리더기로 구성된 개인 식별장치가 구비된 경우, 키패드(60)를 통해 충전부(20)에 배정된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번호의 충전부(20)에 매칭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가 배출되도록 배출기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전자태그 리더기로부터 전자태그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 즉 충전부(20)의 번호가 전송되면, 상기 번호에 해당된 무선 충전패드(24)에 전원을 공급을 중단하고, 보안 바(30)의 위치가 내삽공간(22)을 벗어나도록 보안 바(30)를 제어한다.
게다가, 제어부(50)는 결제모듈을 통해 멤버십 정보가 전송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멤버십 카드를 발행한 카드사의 DB서버(200)에 접속하고, 멤버십 정보에 부여된 멤버십 포인트 중 충전비용에 해당하는 멤버십 포인트의 차감을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라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키패드(60)를 통해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이 입력되면, 나이와 성별에 따라 미리 지정된 광고 영상을 저장부로부터 추출한 후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사용자의 광고영상 시청시간을 분석하여 배터리 충전비용을 감면하거나 할인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광고시청 식별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고시청 식별모듈은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개인 식별장치(40)에 구비된 전자태그 리더기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증정보에 사용된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나 멤버십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광고시청 식별모듈은 20초 간격으로 6번 정도로 전자태그 리더기를 통해 전자태그가 내장된 카드나 멤버십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가 전자태그 리더기의 전자태그 인식거리에 위치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때, 6번 모두 전자태그 리더기를 통해 전자태그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영상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충전비용을 감면한다.
마찬가지로 6번 중 전자태그 리더기를 통해 전자태그가 3번 인식되면 사용자가 영상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광고를 일부만 시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충전비용을 50% 할인한다.
도 8은 도 1의 보관함을 이용한 보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관 시스템은 복수개의 보관함과, 각 보관함이 일렬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도록 분획된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 거치대(80), 및 각 보관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관함 거치대(80)에 설치되며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각 보관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인 식별장치(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관 시스템은 각 보관함에 독자적인 개인 식별장치가 설치되는 대신 각 보관함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개인 식별장치가 보관함 거치대(80)에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보관함 거치대(80)에는 전술한 키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식별장치에는 각 보관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보관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관함과 개인 식별장치는 앞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의 결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제시스템은 보관함, 보관 시스템 중 어느 하나와 DB서버(200)로 구성된다.
상기 DB서버(200)는 멤버십 포인트를 제공하는 카드사가 운영하는 서버로, 보관함이나 보관 시스템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DB서버(200)는 보관함 또는 보관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된 멤버십 포인트를 분석하여 멤버십 포인트를 차감한다. 이때, DB서버(200)는 멤버십 포인트의 차감이 완료되면 결제신호를 해당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으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케이스 20 : 충전부
22 : 내삽공간 24 : 충전수단
30 : 보안 바 40 : 개인 식별장치
50 : 제어부 60 : 키패드
70 : 살균등 80 : 보관함 거치대
200 : DB서버

Claims (9)

  1. 전자제품의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 상부 또는 하부 및 상부에 설치되며, 전자제품 배터리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모듈이 구비된 충전수단;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성별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남과 여로 구분된 성별패드가 포함된 키패드;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 영상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으며, 전자태그가 부착된 멤버십 카드를 판독하는 전자태그 리더기, 및 상기 멤버십 카드에 부여된 멤버십 포인트를 지불받는 결제모듈로 구성된 개인 식별장치;
    상기 개인 식별장치로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충전수단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이 입력되면, 나이와 성별에 따라 미리 지정된 광고 영상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수단은 이동시에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착탈식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분리된 상태에서도 독립적으로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이차전지와 입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와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전자제품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버튼이 외부에 구비된 무선 충전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보관공간에 투입된 전자제품의 표면으로 살균광원을 방사하는 살균램프, 음이온 발생기, 원적외선 방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의 내삽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자제품의 외형에 대응되는 구조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충전수단이 설치된 복수개의 충전부; 및
    각 내삽공간을 잠글 수 있도록 각 내삽공간의 인근에 구비된 보안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 식별장치로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보안 바의 구동과 충전수단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69765A 2014-12-01 2014-12-01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KR101689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65A KR101689870B1 (ko) 2014-12-01 2014-12-01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65A KR101689870B1 (ko) 2014-12-01 2014-12-01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86A KR20160065586A (ko) 2016-06-09
KR101689870B1 true KR101689870B1 (ko) 2016-12-26

Family

ID=5613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765A KR101689870B1 (ko) 2014-12-01 2014-12-01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842B1 (ko) * 2020-09-14 2021-03-29 (주)케이알바트로스 다색 발광형 엠비언트용 다기능 무선 충전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886B1 (ko) * 2013-10-14 2014-12-01 차경환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86A (ko) * 2002-05-08 2003-11-14 이혜영 휴대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20050024105A (ko) 2003-09-04 2005-03-10 강태홍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7646B1 (ko) 2007-03-05 2009-0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복수의 코일 패드를 구비한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KR20130075077A (ko) 2011-12-27 2013-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101395735B1 (ko) * 2012-09-24 2014-05-16 (주)델피노 벽걸이형 멀티 충전 스테이션
KR20140062837A (ko) * 2012-11-15 2014-05-2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886B1 (ko) * 2013-10-14 2014-12-01 차경환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842B1 (ko) * 2020-09-14 2021-03-29 (주)케이알바트로스 다색 발광형 엠비언트용 다기능 무선 충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86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6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9319501B2 (en) External process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ES2599963T3 (es) Unidad para la carga de una batería de dispositivo eléctrico portátil
US20180020720A1 (en) Electronic cigarette,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cigarette
CN1856809A (zh) 表示游戏的个人游戏设备以及方法
US2016013308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Parking Meter for Wireless Payment Via Portable Smart Devices, and Wireless Payment Systems and Methods
US10825284B2 (en) Automatic dispenser of portable terminals
US20140278994A1 (en) Interactive Mobile Engagement Recharging Terminal System and Device
US20190266824A1 (en) Secure digital storage device and application
CN110414897A (zh) 货物配送管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689870B1 (ko)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JP2013191172A (ja) 改札システム、自動改札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160042596A (ko) 충전 유닛 무인 대여 시스템
KR20230054339A (ko)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내에서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KR101762701B1 (ko) 모바일 파워 제공 시스템
CN210402499U (zh) 智能门禁奶箱一体机
US10645237B2 (en) Charger
KR20170115031A (ko) 스마트 지갑
KR20190014434A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대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CN109496329A (zh) 游戏机
CN207148966U (zh) 多功能的宾馆客房自助服务设备
AU2015261691A1 (en) Modular mobile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10263437B1 (en) Tabletop mobile device recharger
KR20220037013A (ko) 카드형 보조 배터리 장치 및 배터리 판매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판매 시스템
CN112819457A (zh) 物流对象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