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580B1 - 차량용 범퍼 빔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580B1
KR101689580B1 KR1020150123850A KR20150123850A KR101689580B1 KR 101689580 B1 KR101689580 B1 KR 101689580B1 KR 1020150123850 A KR1020150123850 A KR 1020150123850A KR 20150123850 A KR20150123850 A KR 20150123850A KR 101689580 B1 KR101689580 B1 KR 10168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am
vehicle
reinforcing plate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제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12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B60R2019/182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of light metal,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 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은 조관성형을 통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는 차량용 범퍼 빔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되, 중앙부 일정구간이 폭방향 일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보강판을 형성하여 파이프로 조관성형 시, 상기 보강판이 파이프의 중앙부를 겹쳐서 감싸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빔{BUMPER BEA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관성형으로 제작되는 범퍼 빔의 중앙부 구조를 개선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완충 수단이다.
이러한 범퍼는 차량의 전,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이 스태이를 통하여 차체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고, 상기 범퍼 빔의 전방에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가 배치되며, 범퍼커버가 상기 범퍼 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면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범퍼 빔(100)은 후방 양측에 스태이(110)가 체결된 상태로 후방 플레이트(120)를 통해 차체측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조립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범퍼 빔(100)은 일정한 두께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앙부의 충돌 성능 및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재(130)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차량용 범퍼 빔(100)은 정면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용하는 별도의 보강부재(130)로 인해 가공공정 또는 용접공정 등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판재를 조관성형하여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의 추가 없이도 중앙부의 충돌성능을 확보하는 차량용 범퍼 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조관성형을 통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는 차량용 범퍼 빔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되, 중앙부 일정구간이 폭방향 일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보강판을 형성하여 파이프로 조관성형 시, 상기 보강판이 파이프의 중앙부를 겹쳐서 감싸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은 양 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는 상기 보강판이 적용되는 보강구간을 기준으로 양측의 비보강구간이 동일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비보강구간의 판재의 폭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보강판이 일체로 형성된 판재를 조관성형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하되, 상기 보강판이 파이프의 중앙부를 겹쳐서 감싸도록 제작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를 추가 구성하지 않고도 중앙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으로 조관성형하기 위한 판재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으로 조관성형하기 위한 판재의 전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1)은 판재(10)를 조관성형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판재(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판재(10)는 중앙부 일정구간에 보강판(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20)은 상기 판재(10)의 폭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며, 양 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판(20)은 양 측단이 판재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20)은 양측단이 판재(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재(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10)는 보강판(20)이 적용되는 보강구간(S1)을 기준으로 양측이 비보강구간(S2)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재(10)는 보강구간(S1)을 기준으로 양측 비보강구간(S2)의 각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판(20)은 비보강구간(S2)의 판재(10)의 폭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판재(10)의 조관성형 후에, 비교적 충동 강성에 취약한 범퍼 빔의 전면 중앙부를 감싸면서도 최대한 경량화를 이루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범퍼 빔(1)에 적용되는 판재(10)는 조관성형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는 보강판(20)이 중앙부를 겹쳐서 감싸도록 성형되어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한다.
이러한 파이프는 보강판(20)이 겹쳐져 두께가 2중으로 성형한 부분에 보강구간(S1)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구간(S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비보강구간(S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파이프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1)은 보강판(20)을 포함하는 판재(10)를 조관성형하여 중앙부의 두께를 2중으로 성형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를 추가하지 않아도 충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 빔(1)은 강성이 필요한 부위에 보강판(20)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어, 성형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범퍼 빔
10 ... 판재
20 ... 보강판
S1 ... 보강구간
S2 ... 비보강구간

Claims (5)

  1. 조관성형을 통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는 차량용 범퍼 빔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되, 중앙부 일정구간이 폭방향 일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보강판을 형성하여 파이프로 조관성형 시, 상기 보강판이 파이프의 중앙부를 겹쳐서 감싸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판재는 상기 보강판이 적용되는 보강구간을 기준으로 양측의 비보강구간이 동일 폭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양 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비보강구간의 판재의 폭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빔.
KR1020150123850A 2015-09-01 2015-09-01 차량용 범퍼 빔 KR10168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850A KR101689580B1 (ko) 2015-09-01 2015-09-01 차량용 범퍼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850A KR101689580B1 (ko) 2015-09-01 2015-09-01 차량용 범퍼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580B1 true KR101689580B1 (ko) 2016-12-26

Family

ID=5773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850A KR101689580B1 (ko) 2015-09-01 2015-09-01 차량용 범퍼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186A (ja) * 2000-09-21 2002-03-26 Marujun Co Ltd 自動車用バンパービーム
KR100338562B1 (ko) * 1999-12-30 2002-05-27 이명근 차량용 범퍼빔 제조 방법
JP2005511395A (ja) * 2001-12-06 2005-04-28 シエイプ コーポレイション 可変厚さの管状ドアビーム
JP2009196488A (ja) * 2008-02-21 2009-09-03 Aisin Takaoka Ltd 車両用衝突補強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562B1 (ko) * 1999-12-30 2002-05-27 이명근 차량용 범퍼빔 제조 방법
JP2002087186A (ja) * 2000-09-21 2002-03-26 Marujun Co Ltd 自動車用バンパービーム
JP2005511395A (ja) * 2001-12-06 2005-04-28 シエイプ コーポレイション 可変厚さの管状ドアビーム
JP2009196488A (ja) * 2008-02-21 2009-09-03 Aisin Takaoka Ltd 車両用衝突補強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82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9365240B2 (en) Frontal collisio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2020520847A (ja) 補強パッチ付きのバンパービーム
JP2008260364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KR20170073137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689580B1 (ko) 차량용 범퍼 빔
JP2016022793A (ja) 車両後部構造
US9248795B1 (en) Frontal impact energy absorption members
KR101826541B1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20150107277A (ko) 차량용 범퍼
KR10132839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453830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2383484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차량의 강성부재
KR101345168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0997375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808071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2456470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2054508B1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및 그를 이용한 범퍼빔 유닛
KR20160077790A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JP6558929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バンパ
KR101523851B1 (ko)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JP7255336B2 (ja) 車体前部構造
KR102400178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101238677B1 (ko) 차량용 범퍼빔
KR102164713B1 (ko) 차량용 범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