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203B1 -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203B1
KR101689203B1 KR1020150089587A KR20150089587A KR101689203B1 KR 101689203 B1 KR101689203 B1 KR 101689203B1 KR 1020150089587 A KR1020150089587 A KR 1020150089587A KR 20150089587 A KR20150089587 A KR 20150089587A KR 101689203 B1 KR101689203 B1 KR 10168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consultation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기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공관리시스템은 단말을 통해 고객에게 인테리어할 공간을 직접 선택하여 시공할 자재를 적용해볼 수 있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재를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선택한 자재에 대한 상담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CONSTRUCTION ME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CUSTOM DESIGN}
본 발명은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주택 설계에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주택시장에서 고객의 요구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자신의 취향에 맞게 주택의 내부 공간을 디자인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취향에 맞는 주택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주택 분양 후 인테리어 업자를 통해 상담을 진행하고, 공사를 별도로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은 인테리어 초기 단계에서부터 인테리어 업자를 직접 만나 상담을 해야하므로 시공간적 제한이 있으며, 주택 분양가에 포함된 기본 옵션을 철거 후 재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주요 건설사에서는 주택 분양 시 고객 맞춤설계 상품을 내놓고 있다. 맞춤설계 주택은 벽체를 변경할 수 있고, 분양시 제시된 기본 옵션 자재과 다른 자재를 선택할 수 있다.
맞춤설계는 평면 유형부터 인테리어까지 고객이 직접 선택해야 하므로, 상담 및 의사결정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많다는 단점이 있으며, 공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고객이 인테리어된 모습을 확인할 수 없어 고객의 예상과 다르게 시공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재시공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택을 설계 또는 인테리어하는 단계에 고객이 참여할 수 있으며, 사전 검토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 방식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162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객이 주택 내 인테리어에 참여할 공간을 직접 선택하여 시공할 자재를 적용해볼 수 있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따라 주택이 시공될 수 있도록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를 자재 업체 및 시공사에게 제공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은 고객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주택을 검색하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주택 내에서 설계에 참여하는 영역을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정보 및 가상현실에 적용 가능한 자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에 포함된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자재에 상기 QR 코드를 매핑하여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시공사에게 제공한다.
상기 QR 코드는 상기 주택의 식별 정보, 상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응하는 실제 자재에 자재를 분류 및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이미지가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자재를 납품하는 자재업체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고객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면 상기 시공사로 실시간 상담을 요청하거나 상담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사로 실시간 상담을 요청하거나 상담예약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공사의 미리 저장된 상담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현재 상담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현재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실시간 상담 요청을 수행하고, 현재 상담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담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고객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된 자재가 비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공사로 실시간 상담을 요청하거나 상담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객과 상기 시공사와의 상담을 통해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용할 새로운 자재가 선택되면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자재에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를 매핑하여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고,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자재를 납품하는 자재업체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것은, 상기 고객이 상기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영역의 3차원 가상현실에 상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용된 3차원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용할 자재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은 고객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주택 내에서 설계에 참여하는 영역을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정보와 가상현실에 적용 가능한 자재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에 포함된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자재에 상기 QR 코드를 매핑하여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QR 코드 매핑 정보를 자재를 납품하는 자재업체로 전송하고, 상기 주택을 시공하는 시공사로부터 상기 주택에 대한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공사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테리어 과정에 고객이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자재를 적용해볼 수 있어 의사결정 편의성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인테리어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고객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자재에 QR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QR 코드를 통해 자재를 인식할 수 있어 시공시 QR 코드 확인과정을 통해 자재가 오시공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고객으로부터 자재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전문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선택한 자재가 적합한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단말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는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 첫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고객을 위한 맞춤설계 서비스의 첫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가상현실을 통해 자재 적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가상현실을 통해 자재를 적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도 1 에 도시된 단말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 은 도 1 에 도시된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 은 시공사를 위한 맞춤설계 서비스의 첫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시공사가 시공정보요청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자재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관리시스템(1)은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 및 시공사와의 맞춤설계를 위한 의사소통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 시공관리시스템(1)은 단말(100), 서버(200), 자재업체(300) 및 시공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재업체(300)는 자재업체에서 사용하는 단말 또는 컴퓨터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시공사(400)는 시공사에서 사용하는 단말 또는 컴퓨터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100)은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이 분양받은 주택 또는 고객 소유의 주택의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이 설계에 참여하려는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한 영역에 취향에 따라 자재를 적용해본 후 해당 영역에 시공할 자재를 선택할 수 있는 맞춤설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를 통해 고객이 분양받은 주택 또는 고객 소유의 주택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택 정보는 주택에 관련한 스펙 정보, 해당 주택의 가상현실 정보 및 해당 주택 시공에 사용될 수 있는 자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자재업체(300)에서 QR 코드를 이용하여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를 효율적으로 인식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단말(100)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자재가 선택되면 해당 자재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해당 자재 정보에 생성한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 및 자재업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대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공사(400)로 상담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고객과 시공사(400)의 전문상담팀과의 상담을 통해 새로운 자재가 선택되면, 새롭게 선택된 자재에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시공정보를 검색하여 시공사(4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의 시공관리 방식은 도 2 와 같다.
도 2 를 참조하면, 고객에 의해 단말(100)에서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는 고객의 아이디 정보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해당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택 정보는 해당 주택의 내부 평면도, 가상현실 영상 및 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자재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주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100)은 고객으로부터 주택의 여러 영역 중 설계에 참여할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고객으로부터 설계에 참여할 영역을 선택받는 것은, 주택의 전체적인 평면도 또는 전체적인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한 후 그 중 한 영역을 선택받거나 또는 주택의 각 영역을 나타내는 텍스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설계에 참여하려는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단말(100)은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영상 및 해당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자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100)은 가상현실을 통해 선택된 영역에 고객이 자재를 적용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아 선택된 자재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자재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자재 정보에 생성한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 및 자재업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는 해당 자재가 적용될 주택 및 주택 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QR 코드가 매핑된 자재 정보를 자재업체(300)로 전송하는 것은, 자재의 효율적인 운반 및 관리를 위하여 시공할 사용될 자재마다 대응하는 QR 코드 이미지를 부착하고, 시공시 부착된 QR 코드 이미지로 자재 및 자재가 시공된 위치를 인식하여 정확하게 시공하기 위함이다.
서버(200)는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공정보요청신호는 주택의 도면 및 각 영역 별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의 시공관리 방식을 설명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고객에 의해 단말(100)에서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는 고객의 아이디 정보 또는 핸드폰 번호 등과 같은 해당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택 정보는 해당 주택의 내부 평면도, 가상현실 영상 및 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자재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주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100)은 고객으로부터 주택의 여러 영역 중 설계에 참여할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고객으로부터 설계에 참여할 영역을 선택받는 것은, 주택의 전체적인 평면도 또는 전체적인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한 후 그 중 한 영역을 선택받거나 또는 주택의 각 영역을 나타내는 텍스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설계에 참여하려는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단말(100)은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영상 및 해당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자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100)은 가상현실을 통해 선택된 영역에 고객이 자재를 적용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아 선택된 자재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자재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자재가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적용되어 시공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요청신호를 시공사(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공사(400)는 서버(200)로부터 상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시공사(400)의 전문상담팀의 상담 스케쥴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시공사(400)로부터 수신한 상담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상담이 가능하면 실시간 상담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며, 현재 상담이 불가능하면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상담을 예약할 수 있도록 상담 예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예약 요청신호를 시공사(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공사(400)는 고객과 상담을 통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대한 자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공사(400)와 고객과 상담이 이루어지는 것은, 서버(200)로부터 상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시공사(400) 자체적으로 고객과 접촉하여 상담을 진행하거나 또는 서버(200)를 통하여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시공사(400)로부터 수신한 자재 정보에 해당 자재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 및 매핑하여 저장하고, 자재업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공정보요청신호는 주택의 도면 및 각 영역 별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단말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5 는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 첫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은 고객을 위한 맞춤설계 서비스의 첫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은 가상현실을 통해 자재 적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은 가상현실을 통해 자재를 적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관리시스템(1)에 포함된 단말(100)은 단말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단말 메모리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단말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도 4 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단말(1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단말 통신부(110)는 단말(100)과 서버(200)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및 위치정보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식별 정보, QR코드 정보, 자재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0)로부터 주택 정보 및 자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이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4)은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이를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예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 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고객이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이 분양받은 주택 또는 고객 소유의 주택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자재를 선택하기 위해 가상현실에 자재를 적용해볼 때 적용하고자 하는 자재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고객으로부터 가상현실을 통한 자재 적용으로 복수의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및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20)는 단말(100)에 미리 마련된 카메라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QR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센싱부(130)는 단말(100)의 개폐 상태,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100)의 방위, 단말(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생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에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6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지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 가입자 인증 모듈,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부(142)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 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가 2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콘텐츠 수신 모드 등에서 단말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단말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는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에는 스피커, 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메모리부(150)는 맞춤설계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자재 정보, 주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7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17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주택 정보를 출력하고, 출력된 주택 정보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영역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출력된 가상현실 영상을 통해 고객이 자재를 적용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제어부(170)는 시뮬레이션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부(170)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도 5 와 같이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실행시킬 수 있다. 단말 제어부(170)는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고객에 의해 고객용 서비스인 “우리집 맞춤설게 서비스” 으로 진입하면 도 6 과 같이 고객의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70)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으면 해당 식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70)는 서버(200)로부터 고객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주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70)는 주택 정보를 출력한 후, 고객으로부터 주택 내 인테리어에 참여하려는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고객으로부터 주택 내 인테리어에 참영하려는 영역을 선택받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이 주택의 전체적인 평면도 또는 전체적인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한 후 그 중 한 영역을 선택받거나 또는 주택의 각 영역을 나타내는 텍스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설계에 참여하려는 영역을 선택받는 것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71)는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영역에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용된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부(171)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주택 내에서 설계에 참여할 영역을 선택받은 후,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71)는 도 7 과 같이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복수의 자재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71)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출력한 복수의 자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시뮬레이션 할 자재가 선택되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선택된 자재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과 같이 고객에 의해 복수의 자재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영역이 선택된 자재가 적용된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71)는 고객의 선택으로 하나의 자재가 적용된 후 고객에 의해 복수의 자재 이미지 중 다른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한 다른 자재가 적용된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71)는 고객으로부터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복수의 자재 중 적어도 하나의 자재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부(171)는 생성한 시뮬레이션 영상 출력시 자재 선택 입력창을 함께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자재를 선택받거나 마지막으로 선택된 자재를 고객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자재로 인식하여 고객으로부터 자재를 선택받을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171)는 고객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면 선택된 자재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상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서버(200)로 상담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시공사(400)의 상담 스케쥴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 상담 또는 상담 예약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단말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관리시스템에 포함된 단말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고객에 의해 단말(100) 내에 미리 설치된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510)하고,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515).
이때, 식별정보는 고객의 아이디 정보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해당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식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520)하고, 서버(200)로부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525).
이때, 주택 정보는 고객이 분양받은 주택 또는 고객 소유의 주택의 정보로, 해당 주택의 내부 평면도, 해당 주택의 내부 모습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 및 해당 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자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된 주택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으로부터 주택 내의 설계에 참여할 영역을 선택받고(530),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영상 및 자재 목록을 출력한다(535).
출력된 자재 목록에서 고객으로부터 시뮬레이션 할 자재를 선택받아(540) 선택된 영역에 선택된 자재가 적용된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 및 출력한다(545).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545)한 후, 고객에 의해 시뮬레이션할 다른 자재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550).
이때, 고객에 의해 시뮬레이션할 다른 자재가 선택되면 다른 자재가 적용된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고객에 의해 시뮬레이션할 다른 자재가 선택되지 않으면, 즉 이전에 선택된 자재가 마지막 자재로 선택되면 서버(200)로 마지막으로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555).
도 10 은 도 1 에 도시된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서버 제어부(220) 및 서버 메모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100), 자재업체(300) 또는 시공사(400)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단말(100)로부터 고객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100)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수신된 자재 정보에 대해 서버 제어부(220)에 의해 QR 코드가 매핑된 자재 정보를 자재업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시공사(400)로 상담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시공사(400)로부터 상담 스케쥴 정보 및 고객과 전문가 간의 상담으로 최종 결정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시공정보를 시공사(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 및 매핑하여 저장하고, QR 코드가 매핑된 자재 정보를 자재업체(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20)는 주택정보 검색부(221) 및 QR코드 매핑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20)는 주택정보 검색부(221) 및 상담 수행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주택정보 검색부(221)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식별정보는 고객의 아이디 정보를 의미하며, 해당 아이디 정보에 매칭되는 주택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주택 정보는 주택에 관련한 스펙 정보, 해당 주택의 가상현실 정보 및 해당 주택 시공에 사용될 수 있는 자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주택 전체의 주택 정보를 전송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단말(100)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식별정보 및 설계에 참여할 영역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에서 수신한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QR코드 매핑부(222)는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 및 자재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재 정보에 QR 코드를 매핑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는 실제 시공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자재를 운반 및 관리하기 위해 자재 인식에 활용되는 수단으로, 자재에 이미지 형태로 부착되며, 자재가 적용될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에 의해 자재 A가 101동 101호의 거실 벽면에 시공되는 자재로 선택되면, 자재 A에 대응하는 QR 코드는 자재 A가 101동 101호 거실 벽면으로 운반되어 시공될 수 있도록 101동 101호 거실 벽면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R 코드 매핑부(222)는 수신된 자재 정보에 QR 코드를 매핑한 후 서버 메모리부(230)에 저장하고, 자재업체(300)에서 자재 납품시 해당 실제 자재에 QR 코드 이미지를 부착할 수 있도록 QR 코드가 매핑된 자재 정보를 자재업체(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220)는 적합성 판단부(223) 및 상담 수행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성 판단부(223)는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자재가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합성 판단부(223)는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가 수신되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 즉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용될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 및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적합성 판단부(223)는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합성 판단부(223)는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선택된 자재가 선택된 영역에 비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고객이 해당 영역에 적합한 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담 수행부(224)로 상담요청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적합성 판단부(223)는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가 선택된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선택된 자재가 선택된 영역에 적용되어 시공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QR코드 매핑부(222)를 통해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 및 자재업체(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담 수행부(224)는 적합성 판단부(223)에 의해 비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시공사(400)의 전문상담팀의 입장에서 보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상담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담 수행부(224)는 생성한 상담요청신호를 시공사(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담 수행부(224)는 시공사(400)로부터 상담 스케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담 수행부(224)는 수신한 상담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시공사(400)와의 상담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담 수행부(224)는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현재 상담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고객과의 실시간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상담 수행부(224)는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현재 상담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상담이 가능한 시간에 상담을 예약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상담 또는 상담 예약을 수행하는 것은, 실시간 상담을 수행하는 경우 실시간 상담 요청 신호를 시공사(400)로 전송하고, 단말(100)로 실시간 상담 진행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 서버(200)를 통해 시공사(400)와 단말(100) 간의 실시간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담 예약을 수행하는 경우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상담이 가능한 시간을 확인하고, 상담 가능한 시간에 대한 상담 예약 신호를 시공사(400)로 전송하고, 해당 시간에 시공사(400)와 상담이 진행될 것을 알리는 예약 상담 알림 신호를 단말(100)로 전송하여 해당 시간에 서버(200)를 통해서 또는 시공사(400)와 단말(1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시공정보 검색부(225)는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시공정보를 검색하여 시공사(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공정보요청신호는 도 11 과 같이 시공사(400)에서 맞춤설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 12 와 같이 공사구역 및 호수 등과 같은 시공할 주택의 식별 정보를 입력으로 생성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시공정보요청신호는 시공할 주택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101동 101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검색된 시공정보는 도 13 과 같이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주택에 대한 설계도 또는 평면도 및 주택 내 영역 별로 고객 또는 시공사(400)의 전문상담팀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메모리부(230)는 서버 제어부(220)의 처리 및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 메모리부(230)는 고객의 식별정보 별로 주택정보가 분류된 주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주택 시공에 사용될 수 있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주택 데이터는 주택에 포함된 영역 별로 해당 영역에 대한 비적합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자재 정보는 각 자재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단말(1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710)하고, 서버 메모리부(230)에서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720).
단말(100)로 주택 정보를 전송(720)한 후,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 및 자재 정보를 수신한다(730).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 및 자재 정보가 수신(730)되면, 수신된 자재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수신된 자재 정보에 QR 코드를 매핑하여 서버 메모리부(230)에 저장 및 자재업체(300)로 전송한다(740).
이때, QR 코드는 고객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식별 정보, 고객에 의해 주택 내 선택된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R 코드를 매핑한 자재 정보를 저장 및 전송(740)한 후,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750).
이때, 시공정보요청신호는 시공하려는 주택에 대한 식별정보 및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시공정보를 검색하여 시공사(400)로 전송한다(760).
이하에서는, 도 15 를 통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설계 시공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단말(1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810)하고, 서버 메모리부(230)에서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815).
단말(100)로 주택 정보를 전송(815)한 후,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영역 및 자재 정보를 수신한다(820).
단말(1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를 수신(820)한 후, 선택된 영역에 선택된 자재가 적용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한다(835).
이때,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영역에 대해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영역에 선택된 자재가 적용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된 영역에 선택된 자재 적용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 정보에 해당 자재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매핑하여 서버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840).
또한, 선택된 영역에 선택된 자재 적용이 비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면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적합한 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수신된 자재 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요청신호를 시공사(400)로 전송(845)하고, 시공사(400)로부터 상담 스케쥴 정보를 수신한다(850).
수신한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현재 상담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855)하고,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현재 상담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바로 상담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단말(100) 및 시공사(400)로 실시간 상담 신호를 전송하여 실시간 상담을 수행한다(860).
또한,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현재 상담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상담이 가능한 시간을 확인(865)하고, 확인한 상담 가능 시간을 고객 및 시공사(400)에 알릴 수 있도록 단말(100) 및 시공사(400)로 상담예약신호를 전송하여 상담을 수행한다(870).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사(400)와 고객과의 상담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최종 자재 정보를 수신(875)하고, 수신한 최종 자재 정보에 해당 최종 자재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 및 자재업체(300)로 전송한다(880).
이후,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885).
이때, 시공정보요청신호는 시공하려는 주택에 대한 식별정보 및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공사(400)로부터 시공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공정보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시공정보를 검색하여 시공사(400)로 전송한다(890).
이와 같은, 시공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
100: 단말
200: 서버
300: 자재업체
400: 시공사

Claims (10)

  1. 서버가 단말로부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주택을 검색한 후,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고객이 주택 내에서 설계에 참여하는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정보와 가상현실에 적용 가능한 자재 정보에 포함된 자재 정보 중 고객으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자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선택된 자재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자재 정보에 상기 QR 코드를 매핑하여 상기 선택된 자재 정보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선택된 자재 정보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시공사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자재 정보를 수신하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용될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 및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비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시공사로 실시간 상담을 요청하거나 상담예약을 수행하며, 상기 QR 코드 매핑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시공시 자재가 시공될 위치에 고객이 선택한 자재가 정확하게 인식되어 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주택의 식별 정보와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주택 내에서 설계에 참여하기 위해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에 적용되는 자재 정보를 서로 간에 매칭시켜 한 개의 QR 코드로 생성 및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응하는 실제 자재에 자재를 분류 및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이미지가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자재를 납품하는 자재업체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사로 실시간 상담을 요청하거나 상담예약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공사의 미리 저장된 상담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담 스케쥴 정보에 따라 현재 상담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현재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실시간 상담 요청을 수행하고, 현재 상담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담 예약을 수행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상기 고객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된 자재가 비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공사로 실시간 상담을 요청하거나 상담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해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과 상기 시공사와의 상담을 통해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용할 새로운 자재가 선택되면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자재에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를 매핑하여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고, 상기 새로운 자재에 대한 QR 코드 매핑 정보를 자재를 납품하는 자재업체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것은,
    상기 고객이 상기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영역의 3차원 가상현실에 상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용된 3차원 시뮬레이션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적용할 자재를 선택받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10. 고객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주택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주택 내에서 설계에 참여하는 영역을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 정보와 가상현실에 적용 가능한 자재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가상현실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에 포함된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자재 정보를 수신하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자재가 적용될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 및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된 자재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영역의 미리 저장된 비적합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자재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비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시공사로 실시간 상담을 요청하거나 상담예약을 수행하며, 시공시 자재가 시공될 위치에 고객이 선택한 자재가 정확하게 인식되어 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주택의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주택 내에서 설계에 참여하기 위해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에 적용되는 자재 정보를 서로 간에 매칭시켜 한 개의 QR 코드로 생성 및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시스템.
KR1020150089587A 2015-06-24 2015-06-24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168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87A KR101689203B1 (ko) 2015-06-24 2015-06-24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87A KR101689203B1 (ko) 2015-06-24 2015-06-24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203B1 true KR101689203B1 (ko) 2016-12-23

Family

ID=5773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587A KR101689203B1 (ko) 2015-06-24 2015-06-24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2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9100A (zh) * 2018-12-29 2020-05-26 美宅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硬装定制设计方法和设计装置
CN111428301A (zh) * 2020-03-27 2020-07-17 杭州群核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客餐厅样板间自动设计方法
KR20200145369A (ko) * 2019-06-21 2020-12-30 이청종 코드화된 인테리어 자재의 리사이클링을 위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95699B1 (ko) * 2021-06-21 2021-08-30 김소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39865A (ko) * 2020-09-21 2022-03-30 주식회사 브이알에이포인트 건물의 인테리어를 확인하기 위한 360도 이미지 제공 인터페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339A (ko) * 2002-11-20 2002-12-11 흥동개발 주식회사 주택 사전설계 및 예약분양 시스템
JP2007156717A (ja) * 2005-12-02 2007-06-2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工事管理システム
KR20110105532A (ko) * 2010-03-19 2011-09-27 (주)스파티필름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가능한 e-아파트먼트 하우징 시스템
KR20130101622A (ko) 2012-02-14 2013-09-16 구대근 증강 현실 기반의 3 차원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평가용 모바일 장치, 디자인 평가 시스템 및 디자인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339A (ko) * 2002-11-20 2002-12-11 흥동개발 주식회사 주택 사전설계 및 예약분양 시스템
JP2007156717A (ja) * 2005-12-02 2007-06-2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工事管理システム
KR20110105532A (ko) * 2010-03-19 2011-09-27 (주)스파티필름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가능한 e-아파트먼트 하우징 시스템
KR20130101622A (ko) 2012-02-14 2013-09-16 구대근 증강 현실 기반의 3 차원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평가용 모바일 장치, 디자인 평가 시스템 및 디자인 평가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9100A (zh) * 2018-12-29 2020-05-26 美宅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硬装定制设计方法和设计装置
KR20200145369A (ko) * 2019-06-21 2020-12-30 이청종 코드화된 인테리어 자재의 리사이클링을 위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99976B1 (ko) * 2019-06-21 2021-09-07 이청종 코드화된 인테리어 자재의 리사이클링을 위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428301A (zh) * 2020-03-27 2020-07-17 杭州群核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客餐厅样板间自动设计方法
KR20220039865A (ko) * 2020-09-21 2022-03-30 주식회사 브이알에이포인트 건물의 인테리어를 확인하기 위한 360도 이미지 제공 인터페이스
KR102546151B1 (ko) * 2020-09-21 2023-06-23 주식회사 브이알에이포인트 건물의 인테리어를 확인하기 위한 360도 이미지 제공 인터페이스
KR102295699B1 (ko) * 2021-06-21 2021-08-30 김소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935B1 (ko)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9203B1 (ko)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02467574B (zh) 移动终端及其元数据设置方法
US101407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service
CN104509137B (zh) 用于在预定位置进行通信的方法及系统
US20200322917A1 (en) Systems, device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enhancing structure walkthroughs
CN110837607B (zh) 兴趣点匹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60232148A1 (en) Dynamic Location-Based Autopopulation
CA2929789C (en) Gathering subject information in close proximity to a user
CN104969591A (zh) 通过近场通信(nfc)链路共享两个移动设备用户共同的信息
US11323657B2 (en) Initiation of two-way AR sessions using physical markers
KR102079395B1 (ko)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CN110009327A (zh) 一种电子交易的方法及终端
CN105408922A (zh) 过程流基础结构和配置界面
US9495773B2 (en) Location map submission framework
US106068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virtual message for a moving object
CN110678879A (zh) 数据生成装置、数据生成方法以及程序
US201501331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ased on a User's Location
KR102055266B1 (ko) O2o 기반 음식점 이용관리 시스템 및 이용관리방법
US111766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computerized multiple function real estate users assistant
CN111935819A (zh) 基于iBeacon定位的室内业务请求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07395691A (zh) 信息获取方法及装置
KR2018004681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관심 영역 진입 판단 방법
KR101087914B1 (ko) 고객 맞춤형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TWI579796B (zh) Smart Ticket Automatic Media Matching and Ma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