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699B1 -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699B1
KR102295699B1 KR1020210080463A KR20210080463A KR102295699B1 KR 102295699 B1 KR102295699 B1 KR 102295699B1 KR 1020210080463 A KR1020210080463 A KR 1020210080463A KR 20210080463 A KR20210080463 A KR 20210080463A KR 102295699 B1 KR102295699 B1 KR 102295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virtual reality
data
desig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나
Original Assignee
김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나 filed Critical 김소나
Priority to KR102021008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트렌디하고 웰니스한 인테리어 요소를 가미한 동시에 클라이언트가 완공된 인테리어 설계물을 사전에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은 의뢰 단말이 메인 서버로 설계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설계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의뢰 단말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USER-CUSTOMIZED INTERIOR DESIGN SERVICE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웰니스 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설계는 완제품 판매가 아니라 온디맨드(주문에 기반한 맞춤형)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수많은 미팅을 통해 설계자가 공간을 설명해도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설계 도면만으로는 머릿속으로 공간을 떠올리기 쉽지 않다.
또한, 설계자와 시공사의 소통의 문제로 설계자의 의도가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아, 완공시, 클라이언트의 클레임과 하자 담보 책임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건축물의 인테리어 설계는 심미적이고 합리적인 실내공간을 설계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일방, 실내공간 뿐만 아니라 건축과 도시,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조화롭고 기능적인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는 토탈디자인 업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인테리어 취향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며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추어 실내 공간이 다르게 디자인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최근 헬스케어, 웰빙 등의 트렌드가 유행하고 있으며, 만약,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맞게 시설물과 가구 등의 배치와 치수를 변경하고 인체공학적 설계 요소를 가미한다면, 클라이언트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되어 웰니스한 공간이 구현된 인테리어 설계가 탄생할 것이다.
한편, 가상현실 기술(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과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처럼 만드는 실감체험형 콘텐츠로서,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만약, 시공 전에, 클라이언트에게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취향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 등을 반영하여 트렌디하며 웰니스하게 시뮬레이션된 인테리어 설계 공간을 제공한다면 클라이언트가 자신에게 맞추어 완공된 인테리어 공간을 예측할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트렌디하고 웰니스한 인테리어 요소를 가미한 동시에 클라이언트가 완공된 인테리어 설계물을 사전에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은 의뢰 단말이 메인 서버로 설계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설계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의뢰 단말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성별과 나이와 거주자수와 선호 인테리어 타입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인테리어 요소는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인테리어 재료의 종류와 배치와 클라이언트 아바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의뢰 단말로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복수의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추천 순위를 큐레이팅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인테리어 요소는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취향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관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인테리어 요소를 변경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고 영상 형태로 편집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함으로써, 설계단계에서, 즉, 건축물의 완공전,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취항과 신체조건에 맞게 트렌디하고 웰니스하게 커스터마이징된 인테리어 공간을 실감나게 체험하여 확인하고 실건축물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이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가상현실 가이드가 클라이언트를 안내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선호도에 따라 상호 다른 가상현실 가이드가 제공되는 것을 비교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의 변형례에서 클라이언트의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따라 가구와 시설물의 치수 등이 인체공학적으로 재설계되는 가상현실 가이드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이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가상현실 가이드가 클라이언트를 안내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선호도에 따라 상호 다른 가상현실 가이드가 제공되는 것을 비교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은 의뢰 단말(10)와 네트워크(20)와 메인 서버(30)를 포함하는 시스템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의뢰 단말(10)은 클라이언트/시공사/시행사/설계사 등이 이용하는 단말로서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의뢰 내역)를 메인 서버(30)로 송신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의뢰 단말(1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원격지의 메인 서버(30)에 접속 및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의뢰 단말(10)은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나 데스크탑 PC(Desk top PC) 등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20)는 의뢰 단말(10)과 메인 서버(3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인 서버(30)는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설계사의 지배하에 운영하는 서버로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과 관련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은 의뢰 단말(10)이 메인 서버(30)로 "설계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100); 메인 서버(30)에서 "설계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200); 메인 서버(30)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300); 메인 서버(30)에서 의뢰 단말(10)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뢰 단말(10)이 메인 서버(30)로 "설계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100) 에서는 클라이언트나 클라이언트의 의견을 청취한 설계사가 설계도와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선호 취향에 대한 정보를 메인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설계 데이터"는 기획(Pre-design), 계획(Schematic), 기본(Drawing development), 실시(Working drawing) 각각의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나 복수의 단계에서 구상된 2차원 평면도이거나 3차원 구조체 도면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선호 취향에 관한 데이터로서, 클라이언트의 성별과 나이와 거주자수와 선호 인테리어 타입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직업과 주된 거주 시간과 가족 관계 등에 대한 데이터까지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메인 서버(30)에서 "설계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200) 에서는 메인 서버(30)에서 기설정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2차원 평면도나 3차원 구조체 도면을 처리하여 가상현실 가이드의 베이스가 되는 기본 실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서버(30)에서는 "Sketch up"이나 "3D MAX"와 같은 툴을 이용하여 자동 알고리즘이나 인간의 행위에 의한 프로그래밍 작업을 통해 2차원 평면 도면을 3차원 가상공간 그래픽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서버(30)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300) 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기본 실내 공간에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선호 취향을 반영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인테리어 요소는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인테리어 재료의 종류와 배치와 클라이언트 아바타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인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데이터"에 따른 각각의 인테리어 요소가 맵핑되어 있고, 기설정된 프로그래밍을 통해 입력된 "클라이언트 데이터"에 매칭되는 인테리어 요소 그래픽을 3차원 가상공간 그래픽(기본 실내 공간)에 반영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선호 취향에 맞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클라이언트가 홑가족인 전문직 커리어우먼이며 모던하고 심플한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좋아하는 경우, 심플한 타입의 도어와 창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아이용 룸을 드레스룸으로 변경하고 다이닝룸이 리빙룸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그레이색의 벽지와 최소한의 인테리어 소품이 가미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서버(30)에서 의뢰 단말(10)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400) 에서는 메인 서버(30)에서 기설정된 프로그래밍으로 가상현실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하여, 즉, 시청자의 뷰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탐험하는 듯한 영상을 생성하여, 의뢰 단말(10)에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는 현관문에서 진입하는 뷰와 독립된 공간 각각에서의 뷰가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독립된 공간이 재생되는 구간에서는 독립된 공간으로 진입하는 뷰와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의 뷰가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독립된 공간은 "복도", "리빙룸", "다이닝룸", "드레스룸", "테라스" 등 용도와 목적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재생 순차에 따르면, 클라이언트는 실제 현실에서처럼 현관문을 통해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에 진입하여 각각의 독립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는 동시에 각각의 독립된 공간에서 진입 뷰와 반대 방향에서의 뷰까지 체험함으로써, 실제 현실과 같은 실감나는 경험을 하는 동시에 독립된 공간 구석구석을 ?m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에서는 메인 서버(30)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며, 메인 서버(30)에서 의뢰 단말(10)로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복수의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추천 순위를 큐레이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클라이언트에게 다양한 선택치를 제공하는 취지로, 한편, 메인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데이터"에 따른 각각의 인테리어 요소가 복수로 맵핑되어 있고, 기설정된 프로그래밍을 통해 입력된 "클라이언트 데이터"에 매칭되는 복수의 인테리어 요소 그래픽을 3차원 가상공간 그래픽(기본 실내 공간)에 반영함으로써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복수의 인테리어 설계 가이드의 순위를 매겨 큐레이팅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인테리어 설계 가이드의 큐레이팅은 이전 복수의 클라이언트의 평가를 기준으로 데이터셋을 마련하여 인공지능을 학습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의 변형례에서 클라이언트의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따라 가구와 시설물의 치수 등이 인체공학적으로 재설계되는 가상현실 가이드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변형례에서는 "클라이언트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인테리어 요소"가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따라 각종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각종 가구와 시설물 등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의 적용 여부가 변경된 인테리서 요소가 적용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의 생할습관에 대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가 주로 생활하는 공간과 주로 취하는 자세 등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일 예로, 일을 중시하는 경우 집무실이 주된 생활 공간이며,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은 경우 다이닝룸은 종된 생활 공간일 수 있음, 또한, 과거의 다이닝룸은 여성의 전용 공간이라는 고정관념 등에서 벗어나 성별에 상관없이 실제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을 토대로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된 생활 공간과 종된 생활 공간을 구분함), 메인 서버(30)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습관 중 주로 생활하는 공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와 적용되는 인체공학 기술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서버(30)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가 주로 생활하는 공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된 생활 공간의 면적을 기준 면적보다 늘릴 수 있으며 주된 생활 공간끼리 밀접하게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동선 고려),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 중 주로 취하는 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일 예로, 요리하는 자세와 자는 자세) 싱크대와 인덕션 등의 배치와 치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개개인의 수면 스타일에 따라 틸팅 각도 등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스마트 침대의 적용 여부와 적용 제품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 중 업무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집무실의 책상의 전선과 케이블 정리를 쉽게 해주는 다용도 책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신체조건에 대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신장과 몸무게 등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메인 서버(30)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신체조건과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서버(30)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신체조건에 대한 데이터 중 신장에 대한 데이터를 반영하여 클라이언트의 신장이 표준 신장보다 큰 경우에 리빙룸의 층고와 도어의 치수 등을 표준 모듈 치수보다 높고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신체조건에 대한 데이터 중 몸무게에 대한 데이터를 반영하여 클라이언트의 몸무게가 표준 몸무게보다 많이 나가는 경우에 내구성이 튼튼한 가구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클라이언트의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가 앓고 있는 지병의 종류와 이에 따른 거동 정도(걸음 속도, 거동 반경, 휄체어 탑승 이동 여부 등) 등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메인 서버(30)에서는 클라이언트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서버(30)에서는 클라이언트의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 중 거동 반경에 대한 데이터를 반영하여 클라이언트의 거동 반경이 크지 않을 경우 클라이언트의 개인룸에 개별 화장실이 설치되도록 공간을 구획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 중 지병의 종류에 따라 허리 디스크가 심한 경우 침실의 침대를 기능성 물침대 등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1000)의 변형례에서는 "클라이언트 데이터"가 충분치 않을 때 공공기관의 공공데이터에서 얻어지는 "인체표준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수정 및 표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공공데이터로서는 한국인의 인체자료 정보 데이터를 조사 및 보급하는 사이즈코리아(https://sizekorea.kr)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사이즈코리아란 산업통산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인 인체표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한국인이 쓰기에 편리한 제품개발과 생활공간 디자인에 인체표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편안한 대한민국 실현 및 미래형 산업구조인 Mass customization 패러다임 구현을 통한 국내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체치수조사보급사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메인 서버(30)에서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인테리어 요소의 트렌드를 추출하여 기존의 인테리어 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빅데이터(Big data)는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의미하며, 공공데이터(Public data)는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법률(대한민국의 경우,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개방하여 누구나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데이터세트(Dataset)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에서는 빅데이터로서 인테리어 요소 리스트에 대한 키워드 트렌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키워드 트렌드 데이터는 키워드의 검색 빈도를 나타내는 트렌드 지수로서, 각종 포털사이트(일 예로, 구글 트렌드, 네이버 트렌드 등)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특정 제품의 키워드 검색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인테리어 가구 중 하나인 엔틱 소파의 키워드 검색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공공데이터로서 각국 특허청 디자인 공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특허청 디자인 공보 데이터는 특정 법인격주체가 디자인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얻기 위해 출원한 디자인과 등록된 디자인이 공개되는 공보이며, 한국의 경우 특허정보원에서 운영하는 키프리스 웹사이트를 통해 디자인 공개 공보와 등록 공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디자인 출원은 대부분 무심사로 진행되어, 특허 출원과 달리 출원일부터 공개까지 약 1~2주가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 출원 및 등록된 디자인의 개수를 파악하기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특정 제품의 디자인 출원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인테리어 가구 중 하나인 엔틱 소파의 디자인 출원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 메인 서버(30)는 해당 시기의 키워드 검색 빈도에 대한 데이터와 디자인 출원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는 일정 기간(현재의 기간)의 하루 당 키워드 검색 수의 평균값을 전체 기간(일 예로, 제품에 대한 키워드 검색이 존재하는 전체 기간)의 하루 당 키워드 검색 수의 평균값으로 산술적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는 해당 인테리어 요소 리스트에 대한 특정 계절 동안의 특정 연령과 성별의 수요자의 수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는 일정 기간(현재의 기간)의 일주일 간 디자인 출원수의 평균값을 전체기간(일 예로, 제품에 대한 디자인 출원이 존재하는 전체 기간)의 일주일 간 디자인 출원수의 평균값으로 산술적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는 해당 패션 상품에 대한 공급자의 수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서버(30)에서는 새로운 제품(기존 인테리어 요소의 제품으로 이용되지 않는 제품)의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와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가 기설정된 값(기준값)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 현재 시장에서 수요자와 공급자가 균형을 이룬 것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인테리어 요소에 특정 제품을 포함시키거나 기존의 인테리어 요소에서 이에 대응되는 기존 제품을 특정 제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즉, 엔틱 소파의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와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 엔틱 소파를 인테리어 요소의 제품으로 포함시키거나 인테리어 요소에서 기존에 존재하는 일반 소파를 엔틱 소파로 대체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제품이 공급자와 수요자가 균형을 이룬다는 것은 현재 새롭게 등장하여 지금 막 유행을 타는 제품이거나 유행을 지난 제품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클라이언트의 선호도를 이끌어 낼 수 있어 인테리어 요소 리스트에 포함시킨 것이다.
이와 달리, 메인 서버(30)에서는 기존 인테리어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 제품(기존 제품)의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와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가 기설정된 값(기준값)을 초과하여 차이가 나는 경우, 수요자가 공급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즉, 유행이 막 시작되어 대중에게 일반화되지 않았거나, 공급자가 수요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즉, 유행이 지나 대중에게 식상한 제품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인테리어 요소에서 해당 제품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1000)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의뢰 단말이 메인 서버로 설계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설계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의뢰 단말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테리어 요소는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서버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에 대한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와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메인 서버에서는 특정 제품의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와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가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 기존의 인테리어 요소의 가구에서 특정 제품을 포함시키고, 특정 제품의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와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차이가 나는 경우 기존의 인테리어 요소의 가구에서 특정 제품을 제외시키며,
    키워드 검색 빈도 지수는 특정 제품의 전체 기간의 일정 기간 중에서 하루 당 키워드 검색 수의 평균값을 전체 기간의 하루 당 키워드 검색 수의 평균값으로 산술적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하고,
    디자인 출원 빈도 지수는 특정 제품의 전체 기간의 일정 기간 중에서 일주일 간 디자인 출원 수의 평균값을 전체 기간의 일주일간 디자인 출원 수의 평균값으로 산술적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성별과 나이와 거주자수와 선호 인테리어 타입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인테리어 요소는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인테리어 재료의 종류와 배치와 클라이언트 아바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본 실내 공간에 인테리어 요소를 반영한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의뢰 단말로 복수의 가상현실 인테리어 공간을 영상으로 편집한 복수의 인테리어 설계 가상현실 가이드를 추천 순위를 큐레이팅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생활습관과 신체조건과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인테리어 요소는 공간의 배치와 면적과 도어와 창문과 가구와 시설물과 소품의 종류와 배치와 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10080463A 2021-06-21 2021-06-21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95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463A KR102295699B1 (ko) 2021-06-21 2021-06-21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463A KR102295699B1 (ko) 2021-06-21 2021-06-21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699B1 true KR102295699B1 (ko) 2021-08-30

Family

ID=7750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463A KR102295699B1 (ko) 2021-06-21 2021-06-21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6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636B1 (ko) * 2022-02-17 2022-10-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35750A (ko) 2021-09-06 2023-03-14 홍다혜 공간 맞춤형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60769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증강 현실 컨텐츠를 기반으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14446A (ko) 2022-01-25 2023-08-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절차적 생성과 3d 메시 변환을 활용한 실내 이미지 데이터셋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16862454A (zh) * 2023-08-31 2023-10-10 北京华邑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室内建筑设计管理方法及系统
KR20240022708A (ko) 2022-08-12 2024-02-20 서진성 금형 형상 설계 및 견적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8285B1 (ko) 2024-01-12 2024-04-17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028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앤디하우스 최적의 가상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14016A (ko) * 2014-03-28 2015-10-12 주식회사 다림비젼 3d 객체 모듈을 이용한 가상 스튜디오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89203B1 (ko) * 2015-06-24 2016-12-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00145201A (ko)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가상현실과 삼차원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융합타입 온라인 인테리어 중계 시스템
KR102222319B1 (ko) * 2020-08-03 2021-03-03 진재화 인테리어 마감소재 맞춤 디자인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028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앤디하우스 최적의 가상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14016A (ko) * 2014-03-28 2015-10-12 주식회사 다림비젼 3d 객체 모듈을 이용한 가상 스튜디오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89203B1 (ko) * 2015-06-24 2016-12-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맞춤설계를 위한 시공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00145201A (ko)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가상현실과 삼차원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융합타입 온라인 인테리어 중계 시스템
KR102222319B1 (ko) * 2020-08-03 2021-03-03 진재화 인테리어 마감소재 맞춤 디자인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750A (ko) 2021-09-06 2023-03-14 홍다혜 공간 맞춤형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60769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증강 현실 컨텐츠를 기반으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79892B1 (ko) * 2021-10-28 2023-09-18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 증강 현실 컨텐츠를 기반으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14446A (ko) 2022-01-25 2023-08-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절차적 생성과 3d 메시 변환을 활용한 실내 이미지 데이터셋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455636B1 (ko) * 2022-02-17 2022-10-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22708A (ko) 2022-08-12 2024-02-20 서진성 금형 형상 설계 및 견적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862454A (zh) * 2023-08-31 2023-10-10 北京华邑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室内建筑设计管理方法及系统
CN116862454B (zh) * 2023-08-31 2023-12-19 北京华邑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室内建筑设计管理方法及系统
KR102658285B1 (ko) 2024-01-12 2024-04-17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699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US115266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electronic document layouts
Wang From 2SFCA to i2SFCA: Integration, derivation and validation
Boavida-Portugal et al. Where to vacation? An agent-based approach to modelling tourist decision-making process
US20170235466A1 (en)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Visualizing and Navigating Data or Information
Tsiropoulou et al. Quality of Experience-based museum touring: A human in the loop approach
US20130259308A1 (en) System and method of room decoration for use with a mobile device
Shin et al. Design for experience innovation: understanding user experience in new product development
US20120005114A1 (en) Customized review system and method
Chowdhury et al. Virtual environments as medium for laypeople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urban design
US112888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reating a custom virtual world
US119283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collaborative virtual experience based on follower state data
Partarakis et al. Adaptable, personalizable and multi user museum exhibits
Fisher-Gewirtzman et al. A learning automated 3D architecture synthesis model: demonstrating a computer governed design of minimal apartment units based on human perceptual and physical needs
Kim et al. Enhancing design activity and review experience through hybridizing desktop and virtual environments
US11276245B2 (en) Body shape display method for modeling of clothing
KR20230116175A (ko) 메타버스 기반 인테리어 건축 디자인 서비스 시스템
KR102455636B1 (ko)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Wilson Simplifying local area population and household projections with POPART
Griz et al. A Customization Grammar: Describing the customization process of apartment design
Seyman-Guray et al. Drivers and barriers on implementing XR technolog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urkey
Raxworthy The discourse of the digital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JP2023018884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Lo et al. Redefining Supports: Extending Mass Customization with Digital Tools for Collaborative Residential Design
Ribino et al. A multi-objective reinforcement learning approach for furniture arrangement with optimal IEQ in multi-occupant off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