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285B1 -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285B1
KR102658285B1 KR1020240005505A KR20240005505A KR102658285B1 KR 102658285 B1 KR102658285 B1 KR 102658285B1 KR 1020240005505 A KR1020240005505 A KR 1020240005505A KR 20240005505 A KR20240005505 A KR 20240005505A KR 102658285 B1 KR102658285 B1 KR 10265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user
house
interio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4000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4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2Colour editing, changing, or manipulating; Use of colour c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주택 데이터를 획득하고,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가상 환경 출력 기기로 출력하고,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주택 데이터를 통해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주택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주택의 위치를 기초로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주택의 위치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현재 날씨를 확인하는 동작, 주택 데이터를 통해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획득하고,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기초로, 채광 보정 값을 생성하는 동작,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주택의 층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획득하고, 주택의 층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기초로,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생성하는 동작, 현재 날씨, 채광 보정 값 및 그림자 형성 보정 값을 기초로,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생성하는 동작, 주택의 예상 채광량에 비례하여 가상 공간에 밝기를 설정하는 동작, 및 설정된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Interior management methods, devices and systems using virtual space }
아래 실시예들은 가상 공간을 활용하여 인테리어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인테리어 관리 방법은 실제 공간의 변경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모형이나 물리적 샘플을 사용하는 경우, 전체 공간의 느낌이나 디자인을 완전히 시각화하기 어려우므로, 최종 결과물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결정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테리어 디자인을 자유롭게 실험하고 변경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취향과 필요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용자들은 단순히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공간을 넘어서 자신의 개성과 개인적인 생활 방식을 반영하는 맞춤형 공간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인화된 요구는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더욱 창의적이고, 유연한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
동시에, 디지털 기술과 가상 공간의 발전은 인테리어 관리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디지털 기술과 가상 공간의 발전으로 실제 공간을 변경하기 전에 다양한 디자인 옵션을 구현해보고 공간에 대한 느낌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테리어 관리 시,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에, 가상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시도하고, 가상 공간에서 다양한 재료, 가구, 색상 등을 비교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테리어 관리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상 공간을 활용하여 인테리어를 관리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KR 10-2272650 B1 KR 10-2557428 B1 KR 10-2295699 B1 KR 10-2171935 B1
실시예들은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인테리어 제품 구매 내역을 기반으로 제품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가상 공간의 밝기 변화에 따른 가상 공간 내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 변화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주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공간을 상기 사용자의 가상 환경 출력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택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택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택의 위치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현재 날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상기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기초로, 채광 보정 값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주택의 층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획득하고, 상기 주택의 층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기초로,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현재 날씨, 상기 채광 보정 값 및 상기 그림자 형성 보정 값을 기초로, 상기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주택의 예상 채광량에 비례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밝기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컨셉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컨셉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각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소재, 색상 및 특징을 반영한 제품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테리어와 관련된 제품을 구매한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내역과 상기 선택된 컨셉에 맞게 분류된 제품의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제품 중 상기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제품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제품의 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품의 최저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조명광의 켈빈 스케일을 수신하는 단계, 태양광이 있을 때, 상기 예상 채광량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조명광이 있을 때, 상기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있을 때, 상기 예상 채광량 및 상기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3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없을 때,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기존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가 구현된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신장 및 체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캐릭터를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여 인테리어 제품의 높이 및 넓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정보를 상기 가상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고, 상기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고, 상기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에 활용되는 소재, 색상 팔레트를 포함하는 디자인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디자인 도구를 활용한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는 단계, 입력 받은 상기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온라인 플랫폼에서 상기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견적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과 해당 온라인 플랫폼의 견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인테리어 제품 구매 내역을 기반으로 제품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가상 공간의 밝기 변화에 따른 가상 공간 내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 변화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활용하여 인테리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 내역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고,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및 견적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10) 및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주택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공한 주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공간을 활용하여 인테리어를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와 유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는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으며, 헤드 트렉킹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 이동에 따라 영상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출력 기기(20)는 사용자 머리의 회전 각도와 속도 등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영상이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사용자의 머리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왼쪽으로 움직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장치(30)는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0) 및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고,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에게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가상 공간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로 출력될 컨텐츠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30)는 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를 포함하는 SNS 및 기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웹사이트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주택 데이터를 획득하고,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단말(10)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활용하여 인테리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주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자 하는 주택의 주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주택 데이터는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주택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주택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획득한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는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주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주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공간을 사용자의 가상 환경 출력 기기(20)로 출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상 공간을 통해 인테리어를 시뮬레이션하고, 조도 조절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의 색감을 확인하는 등 가상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주택 데이터를 획득하여 주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 데이터를 통해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주택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주택 데이터는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획득한 주택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은 본문에 구체적으로 작성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택의 구조, 주택의 평수, 주택의 구성 재료에 의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획득한 주택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의 위치를 기초로,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가상 공간의 위치 및 주택 데이터를 기초로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장치(30)는 사용자에게 실제 주택과 유사한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가상 공간의 밝기를 통해 더 정확하고 현실성 있는 가상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의 위치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현재 날씨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획득한 주택의 위치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주택의 위치 및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현재 날씨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는 기상청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상청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치와 매칭하여 시간 별 날씨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기상청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주택의 위치 및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현재 날씨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날씨는 현재 기온, 현재 구름량, 현재 강수량, 현재 풍향, 현재 풍속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현재 시간을 획득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작성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장치(3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주택의 위치, 현재 시간 및 현재 날씨를 통해 일사량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주택의 위치를 통해 주택의 위도 및 경도를 확인할 수 있고, 위도, 경도 및 현재 시간을 통해 태양의 고도각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계산식을 사용하여 태양의 고도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현재 기온, 현재 구름량, 현재 강수량, 현재 풍향, 현재 풍속 등이 포함된 현재 날씨 및 태양의 고도각을 통해 예상 일사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계산식을 사용하여 예상 일사량을 계산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 데이터를 통해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획득하고,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기초로, 채광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주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주택 데이터에는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장치(30)가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주택 데이터로 주택의 정보를 획득한 경우, 장치(30)는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창문의 소재, 창문의 방향이 더 포함된 주택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장치(30)는 주택의 구조, 주택의 평수, 주택의 구성 재료를 통해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창문의 소재, 창문의 방향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30)는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획득하면,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에 따라 채광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창문의 소재를 기초로, 소재에 대한 투과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는 소재 - 투과율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거나, 별개의 소재 - 투과율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소재 - 투과율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창문의 소재에 대한 투과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소재 - 투과율 데이터베이스는 소재와 매칭하여 해당 소재의 투과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창문의 방향을 기초로, 창문의 방향성 계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는 창문의 방향 별로 방향성 계수가 미리 설정되어 매칭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장치(30)는 창문의 방향이 획득되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획득한 창문의 방향에 매칭된 방향성 계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창문의 크기에 비례하고, 창문의 소재에 대한 투과율에 비례하고, 창문의 방향에 매칭된 방향성 계수에 비례하게 채광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창문의 크기, 창문의 소재에 대한 투과율, 창문의 방향에 매칭된 방향성 계수가 확인되면, (창문의 크기) X (창문의 소재에 대한 투과율) X (창문의 방향에 매칭된 방향성 계수) X (채광 상수 값)을 계산하여 채광 보정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채광 상수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주택의 층수, 주택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획득하고, 주택의 층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기초로,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자 하는 주택의 층수, 주택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획득할 수 있고, 장치(30)는 주택의 층수에 비례하고, 주택의 외부 건물 평균 높이에 반비례하게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주택의 층수, 주택의 외부 건물 평균 높이가 확인되면, (주택의 층수) X {1 / (주택의 외부 건물 평균 높이)} X (그림자 상수 값)을 계산하여 그림자 형성 보정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림자 상수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는 현재 날씨, 채광 보정값,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기초로,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주택의 위치, 현재 시간 및 현재 날씨를 기초로 예상 일사량을 생성할 수 있고,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기초로 채광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고, 주택의 높이, 해당 평면도의 층수, 주택의 외부 주택 평균 높이를 기초로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생성된 예상 일사량, 채광 보정값,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기초로,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예상 일사량, 채광 보정값, 그림자 형성 보정값이 생성되면, (예상 일사량) X (채광 보정값) X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계산하여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생성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의 예상 채광량에 비례하여 가상 공간에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예상 일사량, 채광 보정값,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기초로, 주택의 예상 채광량이 생성되면, 생성된 주택의 예상 채광량에 비례하여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실제 주택의 밝기와 유사한 밝기의 가상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주택에 방문하지 않아도 가상 공간을 체험하여 실제 주택의 밝기를 확인할 수 있고, 가상 공간의 밝기에 따라 인테리어를 결정하고 조명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30)는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주택의 예상 채광량에 비례하여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고,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장치(30)는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 변화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택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가상 공간의 밝기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인테리어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 내역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인테리어 컨셉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인테리어 컨셉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인테리어 컨셉 리스트는 모던 스타일, 클래식 스타일, 북유럽 스타일, 내추럴 스타일, 빈티지 스타일, 프로방스로맨틱 스타일, 젠 스타일, 인더스트리얼 스타일, 미니멀 스타일, 러스틱 스타일, 아르누보 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는 수신한 인테리어 컨셉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각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소재, 색상 및 특징을 반영한 제품을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인테리어 컨셉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각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소재, 색상 및 특징을 반영한 제품을 분류할 수 있다.
장치(30)는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제품을 분류하기 위해 인테리어 제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제품 데이터베이스는 제품명, 이미지, 카테고리, 색상, 소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모던 스타일의 인테리어 컨셉 선택을 수신하였을 경우, 장치(30)는 인테리어 제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미리 설정된 모던 스타일의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소재, 색상 및 특징을 반영하고 제품을 분류할 수 있다. 모던 스타일의 인테리어 컨셉의 경우, 소재는 원목, 페브릭, 가죽을 포함할 수 있고, 흰색, 검정색, 회색을 포함할 수 있고, 간결한 형태와 현대적인 가구와 장식을 포함하는 특징을 반영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미리 설정된 소재, 색상, 특징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일치하는 제품을 해당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가 인테리어와 관련된 제품을 구매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자가 인테리어와 관련된 제품을 구매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온라인 플랫폼의 구매내역, 구매 확인 이메일, 제품명이 포함되어 있는 구매 영수증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장치(30)는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인테리어와 관련된 제품을 구매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가 구매한 내역과 선택된 컨셉에 맞게 분류된 제품의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온라인 플랫폼의 구매내역, 구매 확인 이메일, 제품명이 포함되어 있는 구매 영수증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기반으로 제품과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텍스트 데이터는 제품 설명, 리뷰,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치(30)는 수집한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사용하여 제1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은 본문에 구체적으로 작성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사용하여 자연어를 분석하고 처리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가 구매한 내역을 기반으로 제1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인테리어 제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제품으로 분류된 제품의 제2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1 핵심 키워드와 제2 핵심 키워드를 비교하여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을 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 k가 할당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30)는 분류된 제품 중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컨셉에 맞게 분류된 제품 중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제품을 사용자의 단말(10)에 추천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추천 제품의 견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장치(30)로부터 인테리어 컨셉에 적합한 것으로 분류된 제품 중, 이전에 구매한 인테리어 제품과의 컨셉 매칭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제품을 추천 받을 수 있으며, 장치(30)로부터 추천 받은 제품의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견적을 요청할 수 있고,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견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30)는 추천 제품의 최저가를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추천 제품의 견적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장치(30)는 인테리어 제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해당 제품의 제작 기간, 제작 비용을 포함하는 견적을 확인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이 가장 적은 견적을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구매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추천 제품의 구매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30)로부터 추천 제품의 최저가 견적을 수신하고,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구매 요청을 받아 구매의사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구매 의사가 확인되면 최저가 견적을 제공한 업체에 해당 제품의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전에 구매한 인테리어 관련 제품과 인테리어 컨셉이 매칭되는 제품을 별도로 찾아보지 않아도 장치(30)로부터 추천 제품을 제공받아 인테리어 제품 선택에 도움을 받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여러 플랫폼을 비교하여 제품의 가격을 비교하지 않아도 장치(30)로부터 최저가의 견적을 제공받아 구매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적인 제품 구매를 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는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S404 단계에서 현재 날씨, 채광 보정값,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기초로 생성한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예상 채광량을 기초로 주택에 비치는 태양광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가상 공간에 반영하여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고, 가상 공간 내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는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조명광의 켈빈 스케일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조명광의 켈빈 스케일을 수신할 수 있다. 켈빈 스케일은 켈빈(K) 단위로 표시되며, 색온도가 높을수록 빛의 색상이 차갑고, 색온도가 낮을수록 빛의 색상이 따뜻하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 중이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조명광의 켈빈 스케일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켈빈 스케일을 수신하여 가상 공간 내 조명 설정에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조명의 효과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30)는 태양광이 있을 때, 예상 채광량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태양광이 있을 때, 예상 채광량을 기초로 가상 공간 내 배치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장치(30)는 예상 채광량()을 기초로 제1 채도(), 제1 광도(), 제1 색조()를 조절하여 인테리어 제품의 제1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1 로 제1 채도(), 제1 광도(), 제1 색조()의 조합을 통해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채도()는 , 제1 광도()는 , 제1 색조()는 로 계산할 수 있으며, 는 각각 제1 채도, 제1 광도, 제1 색조 조절을 위한 상수이다. 장치(30)는 예상 채광량()이 높을수록 제1 채도()를 낮게, 예상 채광량()이 높을수록 제1 광도()를 높게, 예상 채광량()이 높을수록 제1 색조()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태양광이 있을 때, 예상 채광량()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태양광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 색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30)는 조명광이 있을 때,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조명광이 있을 때, 조명광의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가상 공간 내 배치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채도()는 켈빈 스케일()에 반비례하고, 제2 광도()는 켈빈 스케일()에 비례하거나 일정하고, 제2 색조()는 낮은 켈빈 스케일()에서 따뜻한 색, 높은 켈빈 스케일()에서 차가운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색조()의 범위를 1부터 5로 설정하여, 따뜻한 색을 1, 차가운 색을 5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실시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제2 로 제2 채도(), 제2 광도(), 제2 색조()의 조합을 통해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채도()는 , 제2 광도()는 , 제2 색조()는 로 계산할 수 있으며, 는 각각 제2 채도, 제2 광도, 제2 색조 조절을 위한 상수이다.
장치(30)는 조명광이 있을 때,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조명광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 색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30)는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있을 때, 예상 채광량 및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3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있을 때, 예상 채광량 및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가상 공간 내 배치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3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장치(30)는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있을 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 색상 및 제2 색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3 색상을 계산할 수 있으며,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환경에서 낮 동안 태양광이 주된 광원 역할을 하게 되므로 태양광의 가중치가 조명광의 가중치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태양광의 가중치를 80%, 조명광의 가중치를 20%로 설정하고, 태양광이 있을 때의 제1 색상과 조명광이 있을 때의 제2 색상을 기초로 하여,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있을 때의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인 제3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3 채도(), 제3 광도(), 제3 색조()의 조합을 통해, 가상 공간 내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3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30)는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없을 때,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기존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없을 때,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기존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태양광이 있을 때, 조명광이 있을 때,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있을 때,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없을 때의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용도, 기능에 따라 적합한 빛의 색온도가 다르므로,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조명광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 변화를 확인하여 공간의 용도, 기능에 맞는 조명광을 선정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신장, 체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신장, 체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성별, 연령을 기초로 캐릭터의 헤어스타일, 의상, 피부 색상을 포함하는 캐릭터 설정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신장을 기초로 캐릭터의 키를 비례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캐릭터의 키에 따라 가상 공간 내의 눈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이 반영된 개인화된 사용자 캐릭터를 통해 가상 공간 내에서 현실감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체형을 기초로 체형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체형 템플릿은 마른 체형, 근육질 체형, 통통한 체형, 평균 체형, 어린이 체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캐릭터 생성 모델을 활용하여 캐릭터의 기본 형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을 반영하는 캐릭터를 쉽게 생성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가상 공간에 대한 몰입감과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는 생성된 사용자 캐릭터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여 인테리어 제품의 높이 및 넓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정보를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캐릭터 생성 모델을 활용하여 캐릭터의 기본 형태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단말(10)에 캐릭터 생성 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30)는 생성된 사용자 캐릭터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여, 인테리어 제품의 높이 및 넓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정보를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사용자 캐릭터의 키를 비례적으로 조정하고 눈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실감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테리어 제품의 높이 및 넓이를 가상 공간 내에서 실제와 유사한 비율로 확인함으로써, 구매를 결정하고 실제 공간에 제품을 배치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성별, 연령에 따라 색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령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푸른색 계열의 색상을 강화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수정체가 점차 노랗게 변하며, 파란색 빛의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푸른색 계열의 색상 인식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연령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푸른색 계열의 색상을 강화하여 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푸른색 계열의 색상 강화를 위해, 푸른색 계열의 채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증가시키고, 푸른색의 광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증가시키고, 푸른색 계열의 색조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조정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채도 10%~20% 증가, 광도 5%~15% 증가, 색조 5도~10도 증가에 따라 조정하여 보정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 실시예에 따라 기준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에 따라 색상을 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실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과 가장 유사한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색상 선택 및 제품 구매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고,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및 견적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 받은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자의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30)는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에 활용되는 소재, 색상 팔레트를 포함하는 디자인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에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에 활용되는 소재, 색상 팔레트를 포함하는 디자인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가 제공하는 디자인 도구에 포함된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에 활용되는 소재는 나무, 금속, 유리, 플라스틱, 섬유, 돌, 세라믹, 타일, 가죽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소재들은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목적과 공간의 분위기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컨셉에 맞게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색상 팔레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색상 팔레트는 화이트, 베이지, 그레이, 블랙을 포함하는 모던하고 깔끔한 느낌을 주는 중성적 색상을 포함하는 제1 팔레트, 레드, 오렌지, 옐로우를 포함하는 따뜻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는 색상을 포함하는 제2 팔레트, 블루, 그린, 퍼플을 포함하는 평온하고 진정되는 느낌을 주는 차가운 색상을 포함하는 제3 팔레트, 갈색, 녹색을 포함하는 안정감을 주는 자연적인 색상을 포함하는 제4 팔레트, 연한 핑크, 스카이블루, 라벤더 색상을 포함하는 부드럽고 옅은 색상의 파스텔 색상을 포함하는 제5 팔레트, 진한 레드, 네온 컬러, 금색을 포함하는 독특하고 대담한 색상을 포함하는 제6 팔레트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팔레트의 색상 및 팔레트의 종류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자인 도구를 활용하여 소재를 선택하고, 색상 팔레트를 이용하여 색상을 조정하여 선정함으로써 공간의 분위기 스타일, 용도, 취향에 맞는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디자인 도구를 활용한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디자인 도구를 활용하여 디자인된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30)로부터 제공받은 디자인 도구를 활용하여 소재를 선택하고 색상 팔레트를 이용하여 색상을 선정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화된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생성된 인테리어 제품의 디자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30)는 입력 받은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는 온라인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고, 온라인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는 각 온라인 플랫폼이 제공하는 소재 옵션, 제작 기간, 제작 비용, 사용자 리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을 기반으로 온라인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작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제품의 종류, 소재, 크기를 확인하고, 온라인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각 온라인 플랫폼을 확인하여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30)는 선정된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견적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제품의 종류, 소재, 크기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하여 제작 가능한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장치(30)는 선정한 온라인 플랫폼에 제품의 종류, 소재, 크기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을 전송하고, 제작 기간, 제작 비용을 포함하는 견적을 확인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에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과 견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하고, 선정된 온라인 플랫폼과 견적을 사용자의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장치(30)는 선정된 온라인 플랫폼의 회사명, 연락처, 웹사이트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랫폼의 기본 정보와, 제품의 종류, 소재, 크기, 제작 기간, 제작 비용을 포함하는 견적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자인한 인테리어 제품의 제작이 가능한 업체를 별도로 찾아볼 필요없이 제작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과 견적을 함께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고 통합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사용자의 단말
20: 가상 환경 출력 기기
30: 장치
31:프로세서
32: 메모리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주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공간을 상기 사용자의 가상 환경 출력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주택의 위치, 구조, 평수,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택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택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택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의 밝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택의 위치 및 현재 시간을 기초로, 현재 날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주택 데이터를 통해 상기 주택에 포함된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창문의 크기, 소재, 방향을 기초로, 채광 보정 값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주택의 층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획득하고, 상기 주택의 층수, 외부 건물 평균 높이를 기초로, 그림자 형성 보정값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현재 날씨, 상기 채광 보정 값 및 상기 그림자 형성 보정 값을 기초로, 상기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주택의 예상 채광량에 비례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밝기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컨셉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인테리어 컨셉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각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소재, 색상 및 특징을 반영한 제품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테리어와 관련된 제품을 구매한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내역과 상기 선택된 컨셉에 맞게 분류된 제품의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제품 중 상기 인테리어 컨셉 매칭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제품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제품의 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품의 최저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테리어가 구현된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신장 및 체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캐릭터를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여 인테리어 제품의 높이 및 넓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정보를 상기 가상공간 내 사용자 캐릭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가상 공간의 밝기를 기초로 상기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주택의 예상 채광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 내 위치한 조명광의 켈빈 스케일을 수신하는 단계,
    태양광이 있을 때, 상기 예상 채광량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조명광이 있을 때, 상기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있을 때, 상기 예상 채광량 및 상기 켈빈 스케일을 기초로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제3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태양광과 조명광이 모두 없을 때, 인테리어 제품의 색상을 기존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40005505A 2024-01-12 2024-01-12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5505A KR102658285B1 (ko) 2024-01-12 2024-01-12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5505A KR102658285B1 (ko) 2024-01-12 2024-01-12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285B1 true KR102658285B1 (ko) 2024-04-17

Family

ID=9087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5505A KR102658285B1 (ko) 2024-01-12 2024-01-12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28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8813A (ja) * 2010-09-06 2012-03-22 Shizuoka Prefecture 室内照度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102171935B1 (ko) 2018-09-14 2020-10-30 (주) 토즈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72650B1 (ko)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9452B1 (ko) * 2021-04-28 2021-08-12 주식회사 아비트리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102295699B1 (ko) 2021-06-21 2021-08-30 김소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03209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특성값을 이용한 건축자재 선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21585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퍼스트씨앤에스 가상현실을 이용한 가상인테리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557428B1 (ko) 2022-01-19 2023-07-20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인공지능 기반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8813A (ja) * 2010-09-06 2012-03-22 Shizuoka Prefecture 室内照度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102171935B1 (ko) 2018-09-14 2020-10-30 (주) 토즈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03209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특성값을 이용한 건축자재 선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21585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퍼스트씨앤에스 가상현실을 이용한 가상인테리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272650B1 (ko)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9452B1 (ko) * 2021-04-28 2021-08-12 주식회사 아비트리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102295699B1 (ko) 2021-06-21 2021-08-30 김소나 가상현실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557428B1 (ko) 2022-01-19 2023-07-20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인공지능 기반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tephra et al.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development engines for building indoor lighting design
US11460996B2 (en) Modifying style layer properties of a digital map
KR102222319B1 (ko) 인테리어 마감소재 맞춤 디자인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11793296B2 (en) Beauty product creation platform
US2016030029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a space
US200802526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real estate viewing
US20170103442A1 (en) Epic trip experience application
US96009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paint selection and acquisition
Monteoliva et al. Variability in dynamic daylight simulation in clear sky conditions according to selected weather file: Satellite data and land-based station data
CN109062963A (zh) 自媒体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869979B (zh) 一种家居用品装饰、设计方案定制服务平台
KR102658285B1 (ko)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51399A (ko)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Mohammadrezaei et al. Systematic review of extended reality for smart built environments lighting design simulations
KR102597432B1 (ko)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맞춤형 콘텐츠의 기획안 및 견적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80268321A1 (en) Management of tenant locations in multi-tenant environments
US11120515B1 (en) Property enhancement analysis
KR1023921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타일 추천과 스타일 피팅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41120A (ko) 꽃다발 추천 방법
Tasser et al. Assessing landscape aesthetic values: Do clouds in photographs influence people’s preferences?
Qahtan et al. Optimizing daylighting in lecture halls within hot-arid climates through modification of glazing systems with light-shelves: A parametric design approach
JP580912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64237B1 (ko) 가상 공간을 활용한 가구 배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ndersen et al. Daylight dynamics to guide early stage design: A user-driven goal-based approach to “good” lighting
KR102649178B1 (ko)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 디자인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