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452B1 -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452B1
KR102289452B1 KR1020210055070A KR20210055070A KR102289452B1 KR 102289452 B1 KR102289452 B1 KR 102289452B1 KR 1020210055070 A KR1020210055070 A KR 1020210055070A KR 20210055070 A KR20210055070 A KR 20210055070A KR 102289452 B1 KR102289452 B1 KR 10228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user terminal
serv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비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비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비트리
Priority to KR102021005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행수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system for operating parallel import platform}
본 발명은 병행수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외직구 및 명품 시장 규모는 지난 몇 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018년 기준으로 세계 명품 온라인 시장규모는 대략 35조원 정도이다. 이와 같은 해외 직구 및 명품 시장 규모의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해외 오프라인 명품 상품을 판매하는 전문 플랫폼이 부재인 상태이다.
현재 해외 오프라인 명품 상품을 판매하는 전문 플랫폼은 없으며, 해외 명품 아울렛 오프라인 상품의 기존의 판매 형태는 대형 오픈마켓에 입점하여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과도한 수수료와 오픈마켓의 특성상 상품을 제한적으로 올릴 수 밖에 없는 문제 및 한계가 있다.
또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cross border E-commerce)의 경우, 원활한 배송을 위해 물류시스템이 필요하나 현 플랫폼들은 해외배송에 최적화된 물류시스템이 없다. 즉, 물류사를 결합한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이 부재인 상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09864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업로드 기술, 국제 물류 모듈 및 전자 결제 모듈을 통합하고, C2C 및 B2C를 통합한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목적은 카테고리만 선택함으로써 배송과 통관에 적합한 속성들을 자동으로 부여하고자 함이다.
또한, 소싱사 연동과 셀러 중심의 커머셜 플랫폼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백엔드(back-end) 시스템 및 프론트엔드(front-end) 플랫폼을 결합함으로써 온/오프라인 크로스 보더 상품 판매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명품 버티컬 커머스(vertical commerce)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상품 및 상기 상품을 제외한 객체에 대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제1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테고리 정보를 기 저장된 제2 카테고리 정보에 자동으로 매칭하고, 여기서 제2 카테고리 정보는 HS 코드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는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사용자 성향 정보 및 상품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따른 선호 가중치에 기반하여 선호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push)를 생성하고, 상기 선호 상품 추천 정보 및 상기 상품 추천 푸쉬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여기서 상기 상품 추천 정보 및 상기 상품 추천 푸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및 상기 제2 카테고리 정보에 기반하여 통관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통관 EDI 폼에 포함된 복수의 속성들 중에서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및 상기 제2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속성에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및 상기 제2 카테고리 정보를 자동으로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속성들 중 상기 제1 속성을 제외한 제2 속성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제2 속성에 매칭시켜 통관 서류 정보를 생성하고, 및 상기 통관 서류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서로 다른 국가 별 상품 사이즈 규격 정보들을 표준화하여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를 생성하고,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 요청은 상기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표준 사이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복수의 성별 속성들, 복수의 연령 속성들, 복수의 사용자 성향 속성들 및 복수의 상품 선호 속성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따른 상기 선호 가중치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상기 상품 추천 정보 및 상기 상품 추천 푸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복수의 브랜드 별로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 기준 브랜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브랜드 식별 텍스트 및 브랜드 식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및 상기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 상기 브랜드 식별 텍스트에 대하여 유사도 검사를 수행하여 기 설정된 제1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기준 브랜드 이미지 및 상기 브랜드 식별 이미지에 대하여 유사도 검사를 수행하여 기 설정된 제2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를 상기 상품 추천 정보 및 상기 상품 추천 푸쉬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업로드 기술, 국제 물류 모듈 및 전자 결제 모듈을 통합하고, C2C 및 B2C를 통합한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테고리만 선택함으로써 배송과 통관에 적합한 속성들이 자동으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소싱사 연동과 셀러 중심의 커머셜 플랫폼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백엔드(back-end) 시스템 및 프론트엔드(front-end) 플랫폼을 결합함으로써 온/오프라인 크로스 보더 상품 판매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개시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브랜드 유사 검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통관 서류 정보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프론트엔드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0), 제2 사용자 단말(20) 및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은 상품 셀러(즉, 상품을 판매하는 자)의 단말이고, 제2 사용자 단말(20)은 상품 바이어(즉, 상품을 구매하려는 자)의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 예를 들면,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은 서버(3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품 셀러나 상품 바이어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30)에 저장되어 있거나 가공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서버(30)는 외부 서버(30)와 연동되어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는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 및 제어부에 의해 가공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커머스 플랫폼 제공을 위한 그 밖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는 상품 이미지 정보, 상품에 대한 제1 카테고리 정보, 제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 정보 및 구매 요청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에 의해 가공된 정보는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 통관 EDI 폼, 통관 서류 정보,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 상품 추천 정보, 상품 추천 푸쉬, 브랜드 식별 텍스트 및 브랜드 식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정보는 제2 카테고리 정보, 서로 다른 국가 별 상품 사이즈 규격 정보, 복수의 성별 속성들, 복수의 연령 속성들, 복수의 사용자 성향 속성들, 복수의 상품 선호 속성들,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 기준 브랜드 이미지, 제1 유사 임계치 및 제2 유사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들은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으로써, 상술한 정보들 외에도 커머셜 플랫폼 제공을 위한 다양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는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과 상품 셀러(즉, 제1 사용자)나 상품 바이어(즉,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거나, 서버(30)에 저장되어 있거나 가공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LTE-A Pro, NR(new radio),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이나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본 발명의 서버(3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0, 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통신부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머셜 플랫폼 제공을 위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어부에 기반하여 서버(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예들은 백엔드(back-end) 시스템과 프론트엔드(front-end) 플랫폼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엔드 플랫폼은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고, 백엔드 시스템은 백엔드 단에서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단말(10, 20) 및/또는 서버(30)를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110에서,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품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품 이미지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즉, 상품 셀러, 제1 사용자)로부터 촬상된 이미지일 수 있다(이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0)은 카메라(및/또는 카메라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이미지 정보는 상품을 비롯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의하여 복수의 객체들에 의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보정과 관련된 예들은 후술하기로 한다.
S110단계 이전에 서버(30)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UI(user interface) 및/또는 UX(user experience)를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제공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10)이 상품 이미지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및/또는 상품 판매를 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들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S120에서,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품에 대한 제1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고, S130에서, 서버(30)는 제1 카테고리 정보를 기 저장된 제2 카테고리 정보에 자동으로 매칭할 수 있다.
제1 카테고리 정보는 상품의 상품류 정보로써, 제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카테고리 정보이거나, 혹은 서버(3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및/또는 판매)되는 복수의 상품류 정보들 중 제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가 선택한(및/또는 구매하려는)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일 수 있다.
제2 카테고리 정보는 HS 코드(Harmonized System code)일 수 있다. HS 코드는 대외 무역거래에서 거래 상품의 종류를 숫자 코드로 분류한 코드로써, 구체적인 HS 코드는 국제 협약에 의하여 정해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카테고리 정보를 제2 카테고리 정보에 자동으로 매칭할 경우,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상품에 대하여 HS 코드를 직접 찾아 선택하지 않고 개략적인 상품의 상품류 정보만 입력하더라도 자동으로 HS 코드가 매칭되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는 부띠끄, 국내외 오픈마켓이나 그 밖의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카테고리 정보들을 크롤링(crawling) 엔진이나 웹 스크래핑 엔진 등에 기반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카테고리 정보들을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이나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분류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류기에 제1 카테고리 정보를 적용하여 HS 코드에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테고리 정보 및/또는 제2 카테고리 정보는 의류(예; 상의, 셔츠, 블라우스, 티셔츠, 니트, 하의, 팬츠, 스커트, 레깅스, 데님, 원피스, 아우터, 카디건, 코트/자켓, 점퍼/베스트 등), 액세서리(예; 모자, 벨트, 귀금속 등), 신발, 가방, 이너웨어, 장갑, 양말, 스타킹, 굿즈(goods), 인형, 책, 앨범(예; CD, 테이프, 앨범 패키지 등) 등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테고리 정보 및/또는 제2 카테고리 정보는 인테리어, 뷰티, 꽃, 가드닝(정원 가꾸기), 출산, 유아, 키친, 생활, 패션잡화, 반려동물, 가전, 디지털, 컴퓨터, 모바일, 스포츠, 레저, 푸드(F&B), 문구, 완구, 취미 등에 상응할 수 있다.
S140에서, 서버(30)는 제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 정보는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사용자 성향 정보 및 상품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150에서, 서버(30)는 제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 정보에 따른 선호 가중치에 기반하여 선호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push)를 생성하고, S160에서, 서버(30)는 선호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를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50 단계는 텐서 플로우(tensor flow) 기반의 딥러닝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는 복수의 성별 속성들, 복수의 연령 속성들, 복수의 사용자 성향 속성들 및 복수의 상품 선호 속성들 각각에 대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 정보에 따른 선호 가중치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성별 속성들은 남(man)/녀(woman)이고, 복수의 연령 속성들은 10대, 20대, 30대, 40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성향 속성들은 상품의 디자인(예; 색상, 소재 등)에 대한 속성일 수 있고, 복수의 상품 선호 속성들은 브랜드나 상품류와 같이 상품 바이어의 선호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일 수 있다.
서버(30)는 상품 바이어(예; 제2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마다 상품 바이어의 사용자 정보 및 상품 구매 이력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딥러닝 API 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속성들에 대하여 사용자 별로 선호 가중치를 상이하게 적용함으로써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 중 적어도 하나는 S110에서 수신한 상품 이미지 정보나 서버(30)에 의해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생성된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를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S170에서, 서버(30)는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는 상품의 식별 정보, 상품의 구매 수량, 구매 색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180에서, 서버(30)는 구매 요청 정보 및 제2 카테고리 정보에 기반하여 통관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통관 EDI 폼(form)은 통관 서류를 전자 데이터 형태로 교환하기 위하여 전자 문서화된 통관 서류의 서식이다.
이때, 통관 서류는, 예를 들면, 수출 통관에 필요한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이나 포장 명세서(packing list)일 수 있다. 즉, 통관 EDI 폼은 상업송장이나 포장 명세서 작성 시 필요한 다양한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110단계 이후에 추가적으로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보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는 S110에서 수신한 상품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상품 및 상품을 제외한 객체에 대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은 엣지 추출, 코너 추출, 특징점 추출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추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보정 단계는 촬영된 상품 이미지에서 배경 등을 제외한 상품에 해당하는 객체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 이미지 정보만을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는 상기 촬영된 상품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촬영된 상품 이미지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획득한 영상(또는 이미지 정보)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객체 정보를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혹은,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보정 단계는 상품 셀러(즉, 제1 사용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해당 브랜드의 진품(original)인지 가품(fake)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유사 검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210에서, 서버(30)는 복수의 브랜드 별로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 기준 브랜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 기준 브랜드 이미지는 상품이 해당 브랜드의 진품(original)인지 가품(fake)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S220에서, 서버(30)는 보정된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브랜드 식별 텍스트 및 브랜드 식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상술한 이미지 추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는 상기 촬영된 상품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촬영된 상품 이미지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획득한 영상(또는 이미지 정보)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객체 정보를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상기 객체 정보로부터 브랜드 식별 텍스트 및/또는 브랜드 식별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S230에서, 서버(30)는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또는 상기 브랜드 식별 텍스트에 대하여 유사도 검사를 수행하여 기 설정된 제1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준 브랜드 이미지 및 상기 브랜드 식별 이미지에 대하여 유사도 검사를 수행하여 기 설정된 제2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보정된 상품 이미지를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사 임계치 및/또는 제2 유사 임계치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3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제1 유사 임계치 및/또는 상기 제2 유사 임계치를 결정(및/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방법은 상술한 S130단계 이후에 통관 서류 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관 서류 정보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310에서, 서버(30)는 통관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폼에 포함된 복수의 속성들 중에서 구매 요청 정보 및 제2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속성에 구매 요청 정보 및 제2 카테고리 정보를 자동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속성은 제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별도의 입력없이 구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이나 제2 카테고리 정보만으로 매칭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S320에서, 서버(30)는 복수의 속성들 중 제1 속성을 제외한 제2 속성에 대한 입력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속성에 대한 입력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직접 입력된 정보이거나, 혹은 제2 속성 각각에 대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S330에서, 서버(30)는 입력 정보를 제2 속성에 매칭시켜 통관 서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340에서, 서버(30)는 생성된 통관 서류 정보를 외부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30)는 통관 시스템에 포함되어 통관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3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동작예들 외 본 개시의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백엔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예들에 대하여 개시한다. 하기의 동작예들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거나, 혹은 상술한 동작예들과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상품 주문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품 주문 확인 정보는 상품 구매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의 식별 정보, 상품의 구매 수량, 구매 색상 정보나 제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상품 셀러 및 상품 바이어에게 서로 다른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는 상품 셀러, 즉 본 개시의 제1 사용자 단말(10)에는 상품 이미지 정보와 같은 상품 업로드 기능이나,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상품 구매 요청 수신에 따른 주문 처리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접근 권한 설정을 위하여,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에 대하여는 별도로 인증 절차 및 등록 절차를 추가로 수행하고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하여 접근 권한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이 서버(30)에 복수의 상품들을 업로드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API 모듈을 제1 사용자 단말(10)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상품 이미지 정보에 복수의 상품들이 포함된 경우, 서버(30)는 상술한 이미지 추출 알고리즘 등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즉 소싱처가 보유한 상품들의 재고나 가격이 변동되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이나 혹은 제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의 상품 판매처에 별도로 포함된 단말 혹은 서버(30)에 상품 재고나 가격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이나 별도로 포함된 단말 혹은 서버(30)로부터 실시간으로 상품 재고나 가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30)에 저장된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상품 업로드를 위한 에디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에디터 기능은 상술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후나 상품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디터 기능은 상품의 속성이나 설명 등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는 UI 및/또는 UX 형태로써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상품 정보 업로드나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상품 구매 요청에 대한 수신 혹은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임시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임시 처리 기능은 워드나 엑셀과 같은 문서 작성 모듈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의 경우 상품 이미지 정보 업로드가 비활성화된 경우 임시 처리 기능에 기반하여 상품 정보를 서버(3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20)의 경우 상품 구매 요청이 비활성화된 경우 임시 처리 기능에 기반하여 상품의 식별 정보, 상품의 구매 수량, 구매 색상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10)들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브랜드, 소싱처 및 상품 번호 등을 인덱싱(indexing)하고, 인덱싱한 상품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은 인덱스에 기반하여 브랜드, 소싱처 및 상품 번호 별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고객 문의 기능을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고객 문의 응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문의 응답 기능은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활성화될 수 있다.
고객 문의 기능 및 고객 문의 응답 기능은 브랜드나 상품류 별로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각 브랜드나 상품류의 속성을 반영하여 고객 문의 사항이나 고객 문의 사항에 대한 대응 기능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기능이나 정보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언어에 기반하여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단어들 중 직역으로 번역될 수 없는 단어(예, 소재, 트렌드 등과 관련된 단어)의 경우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들 중에서 가장 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결정하고, 결정된 단어를 번역되는 단어로써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외부 서버와 연동되어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주문 실시간 트랙킹 기능 및 송장번호부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는 물류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30)일 수 있다.
서버(30)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상품 구매 요청에 따라 상품이 배송처리된 경우 배송처리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외부 서버로부터 배송처리된 상품에 대하여 송장번호가 부여된 경우 송장번호부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외부 서버는 통관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3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는 외부 서버에 연동되어 통관 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고객 리워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는 제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생일 정보, 방문 횟수 정보, 구매 횟수 정보 등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에 쿠폰과 같은 리워드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통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는 미리 설정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별 상품 통계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통계 정보는 매출 정보나 판매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동작예들 외 본 개시의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프론트엔드 플랫폼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는 동작예들에 대하여 개시한다. 하기의 동작예들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거나, 혹은 상술한 동작예들과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반의 디스플레이 플랫폼을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SNS 기반의 디스플레이 플랫폼은 다양한 SNS에 사용되는 UI 및/또는 UX에 기반하여 상품 정보가 단말(10, 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국가 별 온/오프라인 스토어 지도 마킹 기능 및 상품 추천 기능을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는 도 5와 같이 각 국가 별로 서버와 연동된 제1 사용자 단말(10)이나 오프라인 스토어의 위치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예들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 정보 등을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해쉬 태그(hash tag), 지역 및 상품 별 색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20)은 해쉬 태그, 지역이나 상품 별 색인을 통해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10)과 연동되고,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동일한 상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정보들을 제공하는 경우, 각 제1 사용자 단말(10) 별로 제공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20)은 동일한 상품에 대하여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최저가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는 글로벌 통합 사이즈표를 제1 사용자 단말(10) 및 제2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는 서로 다른 국가 별 상품 사이즈 규격 정보들을 표준화하여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사용자 단말(20)에 생성된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은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에 기반하여 구매 요청을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고, 이때 구매 요청은 상기 표준 사이즈 규격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표준 사이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30)의 제어부(330)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30)에 대한 설명을 한 후에 상기 인공지능 모듈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다.
제어부(330)는 서버(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어부(330)는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부(310) 및 통신부(3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어부(330)는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5에서 전술된 서버(30)의 동작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단말(10, 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의류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AI 학습 모델(learning model)에 적용하여, 복수의 제1 추천 상품들을 포함하는 제1 추천 상품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상기 제1 추천 상품 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상기 텍스트 정보, 상기 선택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관심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상기 AI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복수의 제2 추천 상품들을 포함하는 제2 추천 상품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상기 제2 추천 상품 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소정의 임계치(예; 제1 임계치, 제2 임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상품을 구매하려는 고객, 즉 사용자의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에 기반하여 추천 상품에 대한 리스트의 개수를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말(10, 20)은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을 나타내는 잔류 전력 정보를 상기 서버(3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30)의 통신부(320)는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을 나타내는 잔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잔류 전력에 대한 제1 임계값,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제2 임계값,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낮은 제3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는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을 나타내는 잔류 전력 정보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은 전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10, 20)이 제1 동작 모드로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추천 상품에 대한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품들에 대한 정보(예; 요약 정보, 광고 등)에 대한 동적 이미지(또는 동영상)를 더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는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을 나타내는 잔류 전력 정보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전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10, 20)이 제2 동작 모드로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기준(예; 판매 지수 n, 또는 판매량 n개 등)을 만족하는 상품만을 포함하는 추천 상품에 대한 리스트로써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는 더 적은 개수의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써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30)는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을 나타내는 잔류 전력 정보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낮은 전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10, 20)이 제3 동작 모드로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10, 20)의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 개인정보를 갖는 기존 고객들에 의해 생성된 구매 이력이 존재하는 상품들 중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상품만을 추천 상품에 대한 리스트로써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개인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3 동작 모드는 기존의 고객들 중에서 단말(10, 20)의 사용자와 관련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고객에 의해 어느 정도 구매 이력이 존재하는 상품만을 추천 상품으로써 출력하기에, 전술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가장 적은 개수의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써 출력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3 동작 모드는 저전력 모드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10, 20)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은 상기 단말(10, 20)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은 상기 단말(10, 20)과 단말 간 통신(D2D; device-to-device)을 통하여 소정의 정보 및/또는 신호를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간 통신은 국제통신표준 기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LTE 표준 내용(예; TS 36.300, 36.311 내지 36.214 등) 또는 5G 표준 내용(예; TS 38.300, 38.311 내지 38.214 등)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은 상기 단말(10, 20)에게 제1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서버(30)인 관리 서버에게 제2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 20)은 제1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게 제1 응답 신호(예; ACK/NACK)를 회신할 수 있다. 여기서 ACK(acknowledge)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과의 동기화를 허용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고, NACK(non-acknowledge)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과의 동기화를 허용하지 않는(또는 거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10, 20)은 i)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이 소정의 기준을 넘는지 여부, 또는 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중에 잔류 전력이 소정의 기준을 넘는 인접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이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또는 구매 이력)이 있는지 여부, 또는 iv) 상기 단말(10, 20)이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또는 구매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신호에 ACK을 포함시킬 지 또는 NACK을 포함시킬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게 제2 응답 신호(예; ACK/NACK)를 회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30)는 i) 상기 서버(30)의 잔류 전력이 소정의 기준을 넘는지 여부, 또는 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중에 잔류 전력이 소정의 기준을 넘는 인접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이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또는 구매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신호에 ACK을 포함시킬 지 또는 NACK을 포함시킬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 20) 및/또는 서버(30)로부터 ACK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은 상기 단말(10, 20) 및/또는 서버(30)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이 있는 경우, 서버(30)는 상기 단말(10, 20)에게 직접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을 중계 장치(relay device)로써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3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게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은 상기 수신된 추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10, 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추천 상품이 동기화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과 관련되는 검색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은 자신의 검색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을 다른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및/또는 상기 단말(10, 20)에게 단말 간 통신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단말 간 통신을 통하여 공유된 검색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추천 상품이 (서버(30)가 아닌) 단말(10, 2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스스로 선택(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근 고사양화되는 단말의 성능을 적극 활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버(30)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간 통신(D2D; device-to-device)에 의해 소정의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과 동기화를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과 관련되는 검색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에 기반하여 추천 상품을 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단말(10, 20)의 사용자와 생활 반경(또는 생활 영역 또는 생활 패턴)이 유사한 고객의 정보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보다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다만 전술한 단말 간 통신 기반의 추천 상품이 실제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단말(10, 20)은 상기 추천 상품을 결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 대한 검색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를 초기화시키는 버튼(또는 배너 또는 객체)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30)는 관련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10, 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 20)의 사용자는 상기 버튼(또는 배너 또는 객체)을 상기 단말(10, 20)의 디스플레이(또는 터치 패드)를 통하여 선택함으로써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 대한 검색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 수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 대한 검색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을 결정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는 제1 색상 정보 획득부와 객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촬영되는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 및/또는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인구(예; 복수의 보행자)가 통행하는 거리, 버스 정류장, 지하철 출입구, 백화점 내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통행하는 복수의 보행자를 촬영하는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정보는, 소정의 기간 동안 촬영된 복수의 사진(또는 정지 이미지)이거나 소정의 기간 동안 촬영된 동영상(또는 동적 이미지(예; gif))일 수 있다.
제1 색상 정보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제1 이미지 정보로부터 제1 색상 정보를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 정보에는 보행자가 입고 있는 옷의 색상뿐만 아니라 배경 또는 보행자의 신체에 해당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외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색상 정보 획득부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이미지 정보를 복수의 작은 이미지, 즉 복수의 제1 서브 이미지로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이미지들 중 소정의 기간(예; n분, n시간 등) 동안 색상에 변함이 없는 제1 서브 이미지를 제외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을 결정 및/또는 선택할 때는 상기 제외된 제1 서브 이미지 부분에 대한 정보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색상 정보 획득부는 복수의 제1 이미지 정보로부터 복수의 색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많은 결과로써 추출된 색상을 최종적으로 제1 색상 정보로써 생성,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제1 이미지 정보 내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제1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객체 정보 획득부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 및/또는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또는 제1 이미지 정보)에서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및/또는 객체 정보 획득부는, 획득한 영상(또는 제1 이미지 정보)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1 객체 정보를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전술한 카메라 모듈, 제1 색상 정보 획득부, 객체 정보 획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제2 색상 정보 획득부와 추천 상품 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영상 처리 서버(210), 소셜 네트워크 서버(23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20)는, 영상 처리 서버(210)로부터 제1 이미지 정보, 제1 색상 정보, 및/또는 제1 객체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버(230)로부터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제2 이미지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230)에 의해 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사진(또는 정지 이미지)이거나 동영상(또는 동적 이미지(예; gif))일 수 있다.
제2 색상 정보 획득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이미지 정보에서 제2 색상 정보를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및/또는 제2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이미지 정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만 추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330) 및/또는 제2 객체 정보 획득부는 이를 위해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제2 이미지 정보에서 이미지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및/또는 제2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2 이미지 정보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색상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330) 및/또는 제2 객체 정보 획득부에 의해 추출된 (제2 이미지 정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여 제2 색상 정보를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2 색상 정보 획득부는 복수의 제2 이미지 정보로부터 복수의 색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많은 결과로써 추출된 색상을 최종적으로 제2 색상 정보로써 생성,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추천 상품 선정부는 제1 이미지 정보, 제2 이미지 정보, 제1 색상 정보, 및/또는 제2 색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을 결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다.
추천 상품 선정부는, 예를 들면, 제1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색상 및/또는 제2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색상에 해당되는 의류 상품을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으로써 결정 및/또는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색상 정보, 제2 색상 정보는 코드로써 특정 색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예; XJ3Q7_27M2A, AB2Q101T5P, GZXSC_00194 등), 일 예로, 5글자의 알파벳과 5글자의 숫자로 이루어진 코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1 색상 코드와 상기 제2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색상 코드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즉, 5글자의 알파벳과 5글자의 숫자가 모두 동일한 경우), 상기 추천 상품 선정부는 제1 추천 모드로써 동작하며, 상기 제1 색상 코드(또는 제2 색상 코드)가 나타내는 색상에 대응되는 의류를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1 색상 코드와 상기 제2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색상 코드가 절반 이상 동일한 경우(즉, 5글자의 알파벳과 5글자의 숫자 중 절반 이상이 동일한 경우(예; XJ3Q7_27M2A와 XJ0A9_27M2A)), 상기 추천 상품 선정부는 제2 추천 모드로써 동작하며, 상기 제1 색상 코드가 나타내는 색상과 제2 색상 코드가 나타내는 색상 중간에 해당되는 색상(또는 평균에 해당되는 색상 또는 코드의 중간 값에 대응되는 색상)에 대응되는 의류를 추천 상품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1 색상 코드와 상기 제2 색상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색상 코드가 완전히 다른 경우(즉, 5글자의 알파벳과 5글자의 숫자가 모두 상이한 경우), 상기 추천 상품 선정부는 제3 추천 모드로써 동작하며, 색상을 고려하지 않고 판매 순위(또는 판매량 또는 선호도 또는 후기의 개수)에 기반하여 특정 의류를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전술한 제2 색상 정보 획득부, 추천 상품 선정부, 통신부(3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상기 제1 이미지 정보를 촬영한 카메라 장치의 위치 정보(예; 제1 위치 정보)에 대해서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 서버(210)은 상기 제1 이미지 정보를 촬영한 복수의 카메라 장치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예; 복수의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의 위치 정보(예;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본 발명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정보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카메라 장치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 정보만을 이용하여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을 결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동일/유사한 생활권(생활 반경)에 있는 보행자의 의상을 참조한 추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유행에 따른 추천 상품을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도 유행에 따른 의류(의상)를 입도록 서비스해줄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본 발명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과 카메라 장치 사이의 거리(예; 거리 정보)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이미지 정보 및/또는 제1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상품(예; 상기 제1 추천 상품, 상기 제2 추천 상품 등)을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거리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의 GPS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 사이의 차이(예; 직선 거리 차이, 이동 경로 차이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로부터 발송된 참조 신호(또는 방송 신호(broadcasting signal))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기록된 송신 시간(참조 신호(또는 방송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로부터 발송된 시간) 및 수신 시간(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10, 20)로부터 발송된 참조 신호(또는 방송 신호)가 카메라 장치에 수신된(또는 도착한) 시간)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및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서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 상기 플랫폼을 운용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10, 20)을 포함하는 시스템(1)을 제안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버스 정류장, 지하철 출입구, 및 백화점 내부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설치되고 보행자를 촬영하는 각도로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복수의 정지 이미지 및 복수의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LBP(local binary pattern), 및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정보 내 복수의 정지 이미지 및 복수의 동적 이미지로부터 제1 색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10, 2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색상 정보를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고, HOG, Haar-like feature, LBP, 및 FAST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정보로부터 제2 색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색상 정보 및 상기 제2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상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상품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10, 20)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10, 20)과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는 인접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 정보는, HOG, Haar-like feature, LBP, 및 FAST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통하여, 복수의 정지 이미지 및 복수의 동적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색상 중에 가장 많이 추출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5개의 알파벳(alphabet)과 5개의 아라비아 숫자(Arabic numeral)를 포함하는 6개의 코드로 이루어진 제1 색상 코드에 매칭되고, 상기 제2 색상 정보는, 5개의 알파벳과 5개의 아라비아 숫자를 포함하는 6개의 코드로 이루어진 제2 색상 코드에 매칭되고, 상기 제1 색상 코드 및 상기 제2 색상 코드 각각에 상응하는 5개의 알파벳과 5개의 아라비아 숫자는 상기 플랫폼 서버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추천 상품 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상품 선정부는, 상기 제1 색상 코드 내의 10개 코드와 상기 제2 색상 코드 내의 10개 코드가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색상 코드가 나타내는 제1 색상에 상응하는 의류를 상기 추천 상품으로 결정하는 제1 추천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색상 코드 내의 10개 코드와 상기 제2 색상 코드 내의 10개 코드가, 모두 동일하지는 않되, 절반 이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색상 코드가 나타내는 제1 색상과 상기 제2 색상 코드가 나타내는 제2 색상을 제외한 다른 제3 색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3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추천 상품을 결정하는 제2 추천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색상 코드 내의 10개 코드와 상기 제2 색상 코드 내의 10개 코드가 모두 상이한 경우에는, 색상을 고려하지 않고 판매 순위, 판매량, 선호도, 및 후기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추천 상품으로 결정하는 제3 추천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또는 제3 출력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모드는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이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추천 상품에 대한 요약 및 광고를 나타내는 동적 이미지를 더 출력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출력 모드는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이고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추천 상품 중 특정 판매 지수 및 특정 판매량을 만족하는 상품만을 출력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출력 모드는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추천 상품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개인정보를 갖는 기존 고객에 의해 구매된 이력이 존재하는 상품만을 출력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 20)은, 동기 신호(sync signal)를 상기 인접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10, 20)과 상기 인접 단말 사이의 D2D 동기화를 허용함을 나타내는 ACK(acknowledge) 메시지 또는 상기 인접 단말과의 D2D 동기화를 허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NACK(non-acknowledge)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response signal)를 상기 인접 단말에게 송신하되, 상기 단말(10, 20)의 잔류 전력이 제1 전력 임계치를 넘고, 상기 인접 단말의 잔류 전력이 제2 전력 임계치를 넘고, 상기 인접 단말이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운용하는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이 존재하고, 상기 단말(10, 20)의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응답 신호에 상기 ACK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접 단말은, 상기 단말(10, 20)로부터 수신한 상기 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추천 상품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10, 20)에게 전달하고, 상기 단말(10, 20)은, 상기 인접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추천 상품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시스템(1)은, 예를 들면, 중앙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서버(110)는 관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은 단말(10, 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은 카메라 장치(예; CCTV, 감시 카메라, 관찰 카메라 등), 카메라 모듈, 중량 인식 센서,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예; 전광판, 광고판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장치, 센서, 및 모듈은 상기 서버(30) 및/또는 제어부(330)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가 출력하는 상품광고는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 근처에 카메라 장치, 중량(weight) 인식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품광고가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이 위치하는 장소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영상 내 사람들(예; 행인, 관찰 대상 등) 또는 상기 사람들의 얼굴, 눈(또는 눈동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상기 영상 내 사람들 또는 상기 사람들의 눈(또는 눈동자)을 인식하는 것은,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 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을 획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i) 상기 영상 내 사람들이 정지하거나 ii) 상기 사람들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인식하거나 iii) 상기 사람들의 얼굴, 눈(또는 눈동자 또는 시선)이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향하고 있음을 인식(또는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i) 상기 영상 내 사람들이 정지(예; 이동 속도가 0인 경우)하는 제1 시간, ii) 상기 사람들의 이동 속도가 감속을 시작하여 최저 속도에 이르는데 걸리는 제2 시간, iii) 상기 사람들의 얼굴, 눈(또는 눈동자 또는 시선)이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향하고 있음이 인식되는 제3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된 객체 인식 결과에 따라 판단될 수도 있으나,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벽면의 주변의 바닥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weight) 인식 센서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행인이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 주변을 걸으면서 복수의 중량 인식 센서를 순차적으로 밟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는 상기 복수의 중량 인식 센서 각각이 밟히는 시간과 상기 복수의 중량 인식 센서들 사이의 간격, 거리 등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인의 걷는 속도를 인식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인이 정지하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제1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 및/또는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시간, 제2 시간, 제3 시간을 획득할 때 촬영의 대상이 되는 행인에 대한 객체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행인의 연령(나이) 및/또는 성별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는 상기 연령 및/또는 성별과 상기 제1 시간, 제2 시간, 제3 시간을 매칭시켜 행인에 대한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행인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 및/또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20대', '여성'으로 인식된 행인이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 주변에서 정지한 시간(즉, 제1 시간)이 기준 시간(예;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된 상품광고를 '20대', '여성'에 대한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행인이 특정 직업을 나타내는 유니폼을 입고 있는 경우, 제어부(330) 및/또는 카메라 모듈은 행인의 직업을 더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 및/또는 카메라 모듈은 제1 시간(또는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 동안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된 상품광고를 '나이', '성별', '직업'에 매칭시켜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상기 카메라 장치, 카메라 모듈, 중량 인식 센서에 의해 획득된 신호/정보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1 시간, 제2 시간, 제3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소정의 기준 시간(reference time)보다 긴 경우에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광고를 사용자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로써 설정하거나 사용자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제1 요건).
또한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 주변에는 알람 장치(예; LED 램프, 조명, 스피커)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요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하여 소정의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상기 스피커의 음량이 소정의 음량보다 더 크게 설정되거나, 상기 LED 램프가 빛을 발광하거나,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의 화면 밝기가 더 높게 설정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상품광고가 출력되는 경우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의 카테고리 별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카테고리의 상품광고인지 여부(제2 요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출력되어 유지된 시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 접속된 시간 간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인지 여부(제3 요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의 출력 횟수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인지 여부(제4 요건) 중 적어도 하나의 요건을 더 고려하여 복수의 사용자 그룹들에 대한 사용자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상기 상품광고를 상기 사용자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상기 제1 요건 내지 상기 제4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상품광고 만을 상기 사용자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맞춤형 상품광고로써 추천될 수 있는 후보 상품광고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 카메라 모듈, 및/또는 중량 인식 센서를 통하여 인식되는(또는 식별되는) 행인의 수가 더 많아질수록 상기 기준 시간(reference time)을 더 높은 값으로(및/또는 낮은 값으로) 재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행인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행인들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것이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는 상품광고를 바라보기 위해 이동 속도를 줄인 것이 아닌 단순히 공간이 복잡하여(또는 북적거려) 이동 속도를 줄인 것일 수도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330)는 상기 기준 시간을 설정함에 있어서 제1 시간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시간, 제2 시간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시간, 제3 시간에 대응하는 제3 기준 시간을 따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단말(10, 20)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사용자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품을 중에서 제1 추천 상품 및/또는 제2 추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i) 단말(10, 20) 및 ii)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를 운용하고 신호를 상기 단말(10, 20)과 송수신하는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를 출력한 복수의 관찰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 중에서 상기 단말(10, 2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광고를 맞춤형 상품광고로써 설정하여 상기 단말(10, 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관찰 대상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의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관찰 대상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가 유지된 시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관찰 대상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의 출력 횟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관찰 대상에 의해 출력된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의 구매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서 운영되는 사이트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나이에 대한 정보, 성별에 대한 정보, 직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직업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서 운영되는 사이트에서 회원의 직업을 구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입들의 직업 카테고리 중 상기 복수의 관찰 대상이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서 운영되는 사이트를 가입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직업 카테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상기 복수의 관찰 대상에 대한 연령, 성별 및 직업 별 그룹을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그룹들을 생성하고,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그룹들에서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광고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그룹들에 대한 상기 그룹 별 상품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온라인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품광고를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상품광고를 출력하는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 상기 특정 장소 내 행인을 촬영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에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LBP(local binary pattern), 및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행인에 상응하는 객체를 추출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행인의 연령대, 성별, 및 직업을 추정하는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직업을 추정하는 정보는 상기 행인의 유니폼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량 인식 센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운용하는 단말(10, 20); 및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를 운용하고, 신호를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 상기 카메라 모듈, 상기 중량 인식 센서 및 상기 단말(10, 20)과 송수신하는 서버(3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서버(30)는, (a)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로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제1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하되, 상기 제1 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1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들의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제1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유지된 시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제1 페이지의 출력 횟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제1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광고의 구매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b) 상기 복수의 제1 페이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복수의 사용자 그룹으로 나누어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의 각각에 대한 상품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에서 운영되는 사이트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연령대에 대한 정보, 성별에 대한 정보, 및 직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c) 상기 복수의 사용자 그룹의 각각에 대한 상품광고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온라인 웹 페이지로 접속된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상품광고를 결정하고, (d) 상기 결정된 상품광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사용자의 장치에서 출력되는 페이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상품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상기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 및 상기 복수의 중량 인식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인식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행인이 정지하는 제1 시간과 상기 행인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최저 속도에 이르는데 걸리는 제2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행인의 눈이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향하고 있음이 인식되는 제3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시간이 제1 기준시간(reference time)보다 길어지면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는 LED 램프 및 스피커와 관련되는 이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준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2 시간이 제2 기준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3 시간이 제3 기준시간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상품광고 출력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된 상품광고를, 상기 행인의 연령대, 성별, 및 직업을 추정하는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상품광고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제2 기준시간은 상기 영상 내에서 추출되는 행인들에 상응하는 객체량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해외 온/오프라인 연계 기반의 C2C(Consumer-to-consumer) 및/또는 B2C(Business to Consumer) 커머스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셀러 베이스의 해외 상품 업로드, 배송 및 통관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랜드 샵에서 명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비하여 저렴한 가격에 해외 상품을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1), 단말(10, 20), 서버(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 단말(10, 20), 서버(30)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111, 221))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병행수입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야외에 설치되는 광고판 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고판 디스플레이 근처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제1 객체 및 상기 상품을 제외한 제2 객체에 대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가 상기 광고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가 상기 광고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광고판 디스플레이 주변의 불특정 다수를 촬영하여 획득되는 영상 정보에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및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불특정 다수에 대한 제3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3 객체로부터 상기 불특정 다수의 움직임과 상기 불특정 다수의 시선을 식별하고,
    상기 불특정 다수의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불특정 다수가 정지한 제1 시간과 상기 불특정 다수의 이동속도가 감속되는 제2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불특정 다수의 시선에 기반하여 상기 불특정 다수가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가 상기 광고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광고판 디스플레이를 쳐다보는 제3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제1 기준 시간(reference time)보다 길고, 상기 제2 시간이 제2 기준 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3 시간이 제3 시간보다 긴 경우에,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소정의 리스트에 포함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제1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테고리 정보를 기 저장된 제2 카테고리 정보에 자동으로 매칭하고, 상기 제2 카테고리 정보는 HS 코드(Harmonized System code)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는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사용자 성향 정보 및 상품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따른 선호 가중치에 기반하여 선호 상품 추천 정보 및 상품 추천 푸쉬(push)를 생성하고, 상기 선호 상품 추천 정보 및 상기 상품 추천 푸쉬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상품 추천 정보 및 상기 상품 추천 푸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정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 상기 선호 가중치는 성별, 연령, 및 복수의 사용자 성향 각각에 대하여 상이하게 적용됨 -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및 상기 제2 카테고리 정보에 기반하여 통관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통관 EDI 폼에 포함된 복수의 속성들 중에서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및 상기 제2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속성에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및 상기 제2 카테고리 정보를 자동으로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속성들 중 상기 제1 속성을 제외한 제2 속성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제2 속성에 매칭시켜 통관 서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관 서류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복수의 브랜드 별로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 기준 브랜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에 HOG,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 및 FAS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제1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제1 객체에 포함된 브랜드 식별 텍스트 및 브랜드 식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에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상품을 제외한 제2 객체를 추출하고,
    i) 상기 기준 브랜드 텍스트 및 상기 브랜드 식별 텍스트에 대하여 유사도 검사를 수행하여 기 설정된 제1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고, ii) 상기 기준 브랜드 이미지 및 상기 브랜드 식별 이미지에 대하여 유사도 검사를 수행하여 기 설정된 제2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보정된 상품 이미지를 상기 상품 추천 정보 및 상기 상품 추천 푸쉬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10055070A 2021-04-28 2021-04-28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10228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70A KR102289452B1 (ko) 2021-04-28 2021-04-28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70A KR102289452B1 (ko) 2021-04-28 2021-04-28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452B1 true KR102289452B1 (ko) 2021-08-12

Family

ID=7731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070A KR102289452B1 (ko) 2021-04-28 2021-04-28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4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636B1 (ko) * 2022-02-17 2022-10-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0253B1 (ko) 2022-12-26 2023-06-29 김예지 병행수입제품 데이터에 대한 크롤링 기법 기반 매입 의사 결정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8285B1 (ko) * 2024-01-12 2024-04-17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864B1 (ko) 2004-04-06 2006-08-08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상품정보컨텐츠를 이용한 상품등록 및 상품정보컨텐츠거래장치와 그 방법
KR102133039B1 (ko) * 2020-03-30 2020-07-10 서명교 의류 쇼핑몰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864B1 (ko) 2004-04-06 2006-08-08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상품정보컨텐츠를 이용한 상품등록 및 상품정보컨텐츠거래장치와 그 방법
KR102133039B1 (ko) * 2020-03-30 2020-07-10 서명교 의류 쇼핑몰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636B1 (ko) * 2022-02-17 2022-10-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0253B1 (ko) 2022-12-26 2023-06-29 김예지 병행수입제품 데이터에 대한 크롤링 기법 기반 매입 의사 결정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8285B1 (ko) * 2024-01-12 2024-04-17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인테리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764B1 (ko) 상품을 판매 및 추천하는 온라인 플랫폼에 관한 서버
KR102289452B1 (ko)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102244561B1 (ko)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 및 사용
CN106294489B (zh) 内容推荐方法、装置及系统
KR102102571B1 (ko)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371B1 (ko) IoT 기반의 인공지능 마케팅 장치 및 방법
US20150170252A1 (en) Smart dressing rooms
US10346901B1 (en) Computer generation of composite images
KR102555439B1 (ko) 고객 문의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병행 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102102572B1 (ko)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55445B1 (ko) 통관 edi 폼을 관리하는 해외직구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102555450B1 (ko) 통관 서류 정보를 생성하는 병행 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102247405B1 (ko) 명품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200084647A (ko) 사용자에게 날짜를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354645B1 (ko) 온라인 콘테스트 기반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
KR102208531B1 (ko) 소비자 빅데이터를 이용하는 맞춤형 쇼핑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
KR20200084642A (ko) 사용자에게 캘린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00079581A (ko) 사용자에게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10150117A (ko) 애완동물 의류를 추천하는 방법
Yadav et al. Fashion Recommendation System
KR20230108934A (ko) 통신판매업 플랫폼
KR20200085106A (ko) 사용자에게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