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127B1 -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127B1
KR101689127B1 KR1020150032500A KR20150032500A KR101689127B1 KR 101689127 B1 KR101689127 B1 KR 101689127B1 KR 1020150032500 A KR1020150032500 A KR 1020150032500A KR 20150032500 A KR20150032500 A KR 20150032500A KR 101689127 B1 KR101689127 B1 KR 10168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aw material
horseradish
keratin
o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975A (ko
Inventor
김태영
정영도
채희남
임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온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온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온셀
Priority to KR102015003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1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로 이루어진 원료로부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각각 10∼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중량비로 2:1:4:1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용 용매는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수용액 및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1,000∼2,000 ppm 농도의 주석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로써 화장수(스킨로션), 화장크림(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등을 제조한다.

Description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HERBAL EXTRACTS FOR KERATIN PEELING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중소기업청에서 지원하는 2014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중 ‘천연한방성분을 이용한 필링 화장품 개발(C0183808)'의 연구수행으로 인한 결과물임을 밝힙니다.
본 발명은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자극이 적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피부 상층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이중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세분되며, 기저층의 표피세포는 피부 상부로 올라오면서 분화되어, 최종적으로 각질층에 도달하게 된다. 세포가 여러 층을 통과하는 시간을 주행시간(transit time)이라고 하는데 기저층에서 과립층까지의 주행시간은 14일, 과립층에서 각질세포가 되어 각질층에 도달, 탈락할 때까지의 주행시간은 14일이 걸려 총 28일이 걸린다. 여성의 경우 대략 25세까지 주행시간이 가장 짧아 세포의 세포재생이 가장 왕성하고 그 이후부터 둔화되기 시작하여 60세에 이르면 2배의 시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다. 각질층에 도달한 표피세포는 핵이 소실되고, 케라틴(keratin)이라고 하는 불수용성 단백질로 채워지면서 죽은 세포로 전환된다.
이중 각질은 우리 몸의 피부, 모발, 손톱의 상피세포를 구성하는 주요한 구조 물질이다. 각질층은 분화된 표피세포(각질세포)와 이들 사이를 채워주는 피부지질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체내 물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 기능을 한다.
이런 각질도 제때 떨어져 나가지 않고 과다하게 쌓이면 피부결은 거칠어지고 피부톤도 탁해진다. 뿐만 아니라 영양, 보습성분을 받아들이는데도 방해가 된다. 특히, 중년에 접어들면 세포의 박리 또는 낙설(Desquamation)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세포재생 회전주기(Cell Turnover Cycle)가 길어지면서 피부가 활력을 잃게 된다. 이처럼 정상적으로 각질이 박리되지 않거나 들뜬 각질로 인해 피부색이 칙칙해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경우, 표피층을 벗겨내 기저층에서의 세포 분열과 증식을 자극, 젊고 싱싱한 세포가 생산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각질의 박리를 위해 보통 스크럽(scrub) 함유 화장품류, 필링(peeling) 크림류가 사용되며, 특히 최근에는 알파 하이드록시산(alhpa hydroxy acids, AHA)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류가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 스크럽 함유 화장품류, 필링 크림류의 경우 스크럽이나 필링제 등의 제거를 위하여 여러번 씻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스크럽 등에 의한 과도한 피부자극으로 인해 홍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AHA 화장품류는 주름제거, 콜라겐 합성, 피부재생 능력 등의 효과가 뛰어나지만,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미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AHA 성분을 고농도(1.0~10%)로 함유하거나 강산성(pH 3.5 이하)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고농도 혹은 강산성의 AHA를 함유한 화장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홍반, 가려움, 따가움, 또는 화상 등의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식물로부터 추출하여 피부자극이 적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홍반, 가려움, 따가움 또는 화상 등의 자극이 적은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질 박리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로부터 추출하여 피부자극이 적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홍반, 가려움, 따가움 또는 화상 등의 자극이 적은 새로운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을 이용하여 하여 각질 박리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로 이루어진 원료로부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각각 10∼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중량비로 2:1:4:1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용 용매는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수용액 및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1,000∼2,000 ppm 농도의 주석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1)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를 수세한 후 건조시킨 다음 씨를 제거하고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건조하여 분쇄한 열매를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멸균하는 단계, (3) Lactobacillus MRS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접종하여 35~38℃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배양액을 얻는 단계, (4) 상기 멸균된 추출물에 105~107 cfu/g의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배양액 5 중량%를 잘 혼합한 후, 온도 35~38℃로 48 시간 발효시키는 단계, (5) 각각의 발효액을 3 ㎛의 여과필터를 사용하여 0.4 기압의 진공으로 감압 여과하여 원물슬러지와 불용성물질을 제거하고, 여과된 발효액을 4℃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0.2 기압의 진공에서 0.25 ㎛ 필터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여 미생물과 부유하고 있는 탄수화물들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로써 화장수(스킨로션), 화장크림(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등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로부터 추출하여 피부자극이 적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홍반, 가려움, 따가움 또는 화상 등의 자극이 적은 새로운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을 제공하고, 이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을 이용하여 하여 각질 박리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자극이 적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로 이루어진 원료로부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매(Prunus mume Sieb. Et Zucc)는 잎지가 작은 큰키나무이다.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이른 봄 잎이 나기 전에 흰색 또는 붉은 색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여물면 노란색을 띤다. 매화나무의 선열매를 오매라 하며, 열매살에는 레몬산, 사과산, 포도산, 호박산, 시토스테롤, 올레아놀산, 세틸아코올이 함유되고, 씨에는 아미그달린이 함유되어 있다. 선열매는 레몬산의 원료로도 쓴다. 오매는 약알카리성식품으로서 그 성분 중에 특히 구연산, 무기질 등 유익한 영양소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인체의 혈액을 약알카리성으로 만들고 정혈작용, 강장작용, 보간작용, 피로회복, 노화방지, 살균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오매는 동의치료에서 청량성 수렴약, 설사멎이약, 열내림약, 기침약, 가래약으로 사용되고, 배아픔, 게우기, 설사 등에도 사용된다.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전국의 산지에 서식하며 열매는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며,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아가위나무라고도 한다. 키는 6m 정도 자라고 가지에 뾰족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져 깃털 같고 턱잎이 있다. 흰색의 꽃은 5월 무렵 가지 끝의 산방(房)꽃차례로 무리져 핀다. 꽃은 5장의 꽃받침잎과 꽃잎으로 되어 있으며, 수술과 암술의 수가 많다. 아가위라고도 부르는 열매는 공처럼 생긴 핵과(核果)로 10월에 붉게 익는다. 가을에 열매로 화채를 만들어 먹거나 날것으로 먹으며, 술을 빚어 마시기도 한다. 햇볕에 말린 열매를 산사자(山査子)라고 하여 한방에서 치습제평사제로 사용하며, 고기를 먹은 후에 소화제로 먹기도 한다. 가지가 많이 달리고 흰색 꽃과 붉은색 열매가 달려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심는다. 양지바른 기름진 토양에서 잘 자라며 내한성(耐寒性)은 있으나 옮겨심으면 잘 자라지 않으므로 옮겨심을 때 유의해야 한다. 흔히 정원에 심고 있는 미국산사나무(C. scabrida)는 분홍색 꽃이 핀다.
까마귀밥나무(Ribes fasciculatum Siebold & Zucc. var. chinense Maxim.)는 까마귀밥 여름나무라고도 하며 범위귀과(Saxufragaceae)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서, 전세계적으로 약 150여종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약 15종이 발견되며 전국의 산기슭 또는 골짜기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로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가시가 없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는 1.0-1.5m 정도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3-5 갈래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뒷면에 부드러운 흰색 털이 많다. 잎자루는 부드러운 털이 많다. 꽃은 4-5월에 암수딴그루 또는 암수한그루로 피며, 짧은 가지 끝에 2-5개씩 달리고,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둥근 장과이며, 9-10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 성분으로는 시트르산(citric acid), 말릭산(malic acid) 등의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명자나무는 명자꽃, 당명자나무, 백해당, 아가씨나무 등으로 불리며 장미과의 낙엽관목으로 학명은 Chaenomeles lagenaria(= C. speciosa (sweet) Nakia)로, 높이 2m까지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이며 오랫동안 관상용으로 심어 왔다.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 것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턱잎은 일찍 떨어진다. 꽃은 단성(單性)으로 4월 중순경에 피고 지름 2.5~3.5cm이며 짧은 가지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적색이지만 원예품종에는 여러 가지 꽃색이 있다. 열매는 7~8월에 누렇게 익고 타원형이며 길이 10cm 정도이다. 참산당화(var. cathayensis)는 잎이 바소꼴에 가까우며 톱니가 뾰족하다. 그 열매는 능금산이 풍부하여 술을 담그기도 하고, 약의 효능은 모과와 거의 비슷한데 토사광란으로 쥐가 나는 것을 치료하며 술독을 풀어 주고 메스꺼우며 생목이 오르는 것 등을 낫게 한다. 냄새가 맵고 향기롭기 때문에 옷장에 넣어 두면 벌레와 좀이 죽는다고 하여 한약재에서 좀약 대용으로까지 널리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원료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각각 10∼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중량비로 2:1:4:1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1) 오매와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명자나무 열매를 수세한 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준비한다. 분쇄과정 중에 열매의 씨는 제거한다.
(2) 상기 건조하여 분쇄한 열매를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멸균작업을 실시한다.
(3) Lactobacillus MRS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접종하여 35~38℃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배양액을 얻는다.
(4) 상기 단계 (2)에서 멸균된 추출물에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105~107 cfu/g의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배양액 5 중량%를 잘 혼합한 후, 온도 35~38℃로 48시간 발효시킨다.
(5) 상기 단계 (4)의 발효액을 3 ㎛의 여과 필터를 사용하여 0.4 기압의 진공으로 감압 여과하여 원물슬러지와 불용성물질을 제거하고, 여과된 발효액을 4℃에서 24 시간 정치한 후, 0.2 기압의 진공에서 0.25 ㎛ 필터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여 미생물과 부유하고 있는 탄수화물들을 제거하여 목적하는 발효 추출물을 수득한다. 여과하여 얻은 혼합추출물을 만들어 <표 1>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용 용매는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수용액 및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로부터 추출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은 1,000∼2,000 ppm 농도의 주석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로써 화장수(스킨로션), 화장크림(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등을 제조한다.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의 함량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17: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를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고형분과 주석산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주석산의 함량 분석은 추출액을 원심분리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한 다음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DAD)로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DAD) 분석 조건은 하기와 같다:
기기: HPLC DAD System, 컬럼: Carbomix H-NP10 300mm 이온교환 컬럼, 컬럼온도: 60℃, 이동상: 5mM H2SO4 Solution, 검출기: Diode-Array Detector, 유속: 0.6㎖/min.
원료 (×100g) 사용 용매량
(kg)
고형분
(g/L)
주석산
(ppm)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
나무열매
명자나무
열매
실시예 1. 4 0 0 0 3 7.5 1388
실시예 2. 3 1 0 0 3 7.1 1248
실시예 3. 2 1 1 0 3 7.0 1400
실시예 4. 1 1 1 1 3 7.5 1360
실시예 5. 0 4 0 0 3 7.8 1358
실시예 6. 1 3 0 0 3 6.8 1275
실시예 7. 2 2 0 0 3 6.9 1288
실시예 8. 0 1 1 2 3 6.9 1240
실시예 9. 0 0 4 0 3 8.1 1525
실시예 10. 0 0 3 1 3 7.8 1425
실시예 11. 0 1 2 1 3 7.9 1327
실시예 12. 0 0 0 4 3 7.4 1340
실시예 13. 0 0 1 3 3 7.4 1325
실시예 14. 0 1 1 2 3 7.1 1355
실시예 15. 1 0.5 2 0.5 3 8.8 1757
실시예 16. 0.5 1 2 0.5 3 8.3 1615
실시예 17. 0.5 0.5 2 1 3 8.2 1600
실시예 18~20: 건조된 오매 100g, 산사나무 열매 50g, 까마귀밥나무 열매200g, 명자나무 열매 50g 을 하기 표 2의 용매를 3 kg 사용하고 실시예 1~17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매 고형분
(g/L)
주석산
(ppm)
실시예 18. 30% 함수글리세린 8.1 1475
실시예 19. 30% 함수에탄올 7.8 1584
실시예 20. 30% 함수 부틸렌 글리콜 8.3 1543
피부자극성시험 ( 폐쇄첩포실험 ) : 실시예 15 내지 20의 추출물 1.0% 및/또는 3.0% 수용액 및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수용액을 혼합한 용액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 남, 여 20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2 1 2 15 0.50
정제수 20 0 0 3 17 0.15
실시예 15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1 17 0.25
실시예 15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0 18 0.2
실시예 16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1 17 0.25
실시예 16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1 3 16 0.25
실시예 17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0 18 0.2
실시예 18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1 0 2 17 0.25
실시예 19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0 4 16 0.2
실시예 20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1 0 1 18 0.20
상기 표 3에서의 피부 자극성 시험결과는 하기 식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수×1} + {(+)수×2} + {(++)수×3}
자극도= -----------------------------------------
피시험자수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효과 측정 실험 : 0.1mM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메탄올 용액 1 ml에 시료 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서 시료는 실시예 15~20의 혼합 추출물을 일정 농도로 제조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반응 후 자외선 분광기로 516 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효과는 다음 식으로 구하였으며,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효과(%)=[1-(S-SB)/(C-CB)]×100
상기식에서 S는 시료의 흡광도이며, SB는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질 메탄올 용액이 없는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한 후의 흡광도이고, C와 CB는 각각 대조군과 1,1-디페닐-2-피크릴 드라질 메탄올 용액이 없는 대조군의 흡광도이다. 그 결과는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효과가 50%를 나타내는 농도를 SC 50 (ug/ml)으로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SC 50 (ug/ml)
대조구 (알파-토코페롤) 183
실시예 15 139
실시예 16 123
실시예 17 127
실시예 18 123
실시예 19 128
실시예 20 122
처방예 1: 실시예 15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를 표 5와 같이 제조하였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혼합 추출물(실시예 15) 10.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1: 상기 11번에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며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방법 2: 상기 11번에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실시예 15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을 표 6과 같이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혼합 추출물(실시예 15) 10.0 -
2 시토 스테롤 1.70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0.0 10.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3 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1: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제조방법 2: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예 3: 실시예 15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을 표 7과 같이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혼합 추출물(실시예 15) 10.0 -
2 시토 스테롤 4.0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3.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2.0 2.0
6 콜레스테롤 3.0 3.0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22.0 22.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11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1: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제조방법 2: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예 4: 실시예 15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을 표 8과 같이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제형예 4 비교제형예 4
1 혼합 추출물(실시예 15) 10.0 -
2 밀납 10.0 1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0.8
5 유동파라핀 40.0 40.0
6 스쿠알란 5.0 5.0
7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8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9 글리세린 5.0 5.0
10 부틸렌글리콜 3.0 3.0
11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1: 8, 9,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12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방법 2: 8, 9,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12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피부 최외각층의 각질 개선 평가: 본 실험은 혼합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제품의 각질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남/여 20 명의 피험자에게 테스트를 하였다. 테스트 방법은 세안 후, 피시험자의 얼굴 상악부위의 각질을 각질테이프를 이용하여 채취하고 동일 부위에 처방예 3의 화장료 1g 을 1 분간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흡수시킨 다음 미온수로 세안 후 각질을 다시 채취하여 Charm view(MORITEX)를 통해 사용 전후의 각질량을 비교함으로써 조성물의 각질개선 효과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름 성(m/f) 각질감소량(%)
1 J00 m 120
2 K00 m 80
3 K00 m 130
4 C00 m 155
5 B00 m 122
6 E00 f 160
7 L00 f 35
8 K00 f 60
9 L00 f 46
10 S00 f 87
11 A00 f 76
12 P00 f 151
13 J00 f 144
14 K00 f 119
15 L00 f 128
16 L00 f 130
17 G00 f 110
18 L00 f 77
19 K00 f 75
20 C00 f 183
상기 수치는 필링하기 전 각질량과 필링 후 각질량을 절대치로 비교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필링하기 전 각질량이 200개였는데, 필링 후에 30개가 남았다고 하면 170%가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 관능검사: 추가적으로 10명의 소비자를 통한 각질제거효과 및 자극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5단계(1~5)의 척도로 평가시 만족도가 높은 경우(각질제거효과 우수, 자극없음) 5점, 만족도가 낮은 경우(각질제거효과 없음, 자극 강함)를 1점으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름 성(m/f) 각질제거효과
만족도
자극 정도에 대한
만족도
1 K00 m 4 4
2 L00 m 3 3
3 C00 f 3 3
4 C00 f 5 4
5 P00 f 3 4
6 K00 f 2 4
7 J00 f 4 5
8 Y00 f 4 3
9 K00 f 3 4
10 C00 f 4 3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명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여 각질 제거효과가 우수하며 자극은 적고,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항상성을 유지시키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피부 각질 박리 및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로 이루어진 원료로부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각각 10∼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가 중량비로 2:1:4:1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수용액 및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혼합물은 1,000∼2,000 ppm 농도의 주석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
  6. (1) 오매, 산사나무 열매, 까마귀밥나무 열매, 및 명자나무 열매를 수세한 후 건조시킨 다음 씨를 제거하고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건조하여 분쇄한 열매를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멸균하는 단계;
    (3) Lactobacillus MRS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접종하여 35~38℃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배양액을 얻는 단계;
    (4) 상기 멸균된 추출물에 105~107 cfu/g의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배양액 5 중량%를 잘 혼합한 후, 온도 35~38℃로 48 시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5) 각각의 발효액을 3 ㎛의 여과필터를 사용하여 0.4 기압의 진공으로 감압 여과하여 원물슬러지와 불용성물질을 제거하고, 여과된 발효액을 4℃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0.2 기압의 진공에서 0.25 ㎛ 필터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여 미생물과 부유하고 있는 탄수화물들을 제거하는 단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용 추출혼합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따른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32500A 2015-03-09 2015-03-09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89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00A KR101689127B1 (ko) 2015-03-09 2015-03-09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00A KR101689127B1 (ko) 2015-03-09 2015-03-09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75A KR20160108975A (ko) 2016-09-21
KR101689127B1 true KR101689127B1 (ko) 2016-12-23

Family

ID=5708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500A KR101689127B1 (ko) 2015-03-09 2015-03-09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1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953B2 (ja) 1992-08-17 2003-12-22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953B2 (ja) 1992-08-17 2003-12-22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75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CN104758198B (zh) 一种含黑莓提取物的强抗氧化护肤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896908B1 (ko) 다단발효를 통한 동백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1B1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8646B1 (ko) 유자, 매실, 석류, 현미를 발효하여 만든 초효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132B1 (ko) 실론시나몬나무껍질 및 구릿대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20140096740A (ko)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9127B1 (ko) 각질 박리용 식물 추출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20160043698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