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135B1 -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135B1
KR101688135B1 KR1020100000234A KR20100000234A KR101688135B1 KR 101688135 B1 KR101688135 B1 KR 101688135B1 KR 1020100000234 A KR1020100000234 A KR 1020100000234A KR 20100000234 A KR20100000234 A KR 20100000234A KR 101688135 B1 KR101688135 B1 KR 101688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alue
unit
sensed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070A (ko
Inventor
문현욱
노희석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1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해서 외부 노이즈(noise)의 결합(추가) 여부를 확인하여 용기(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평균값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OOKER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기기는 가스 또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 기기상에 위치한 용기를 가열하는 기기이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는, 가스레인지, 가스/전기 오븐레인지, 전자레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해서 외부 노이즈의 결합(추가) 여부를 확인하여 용기(조리 기기 또는 피가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을 이용하여 조리 기기 내의 내용물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조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너부에 구비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로 인한 버너부의 온/오프 발생에 따른 비등 곡선(또는, 진동 파형 곡선)의 왜곡을 보상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평균값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평균값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며,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진동값 중, 기설정된 개수의 진동값에 대한 평균값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평균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평균값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평균값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상기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끓는점 알람 정보를 표시부 및/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평균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평균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평균값은,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진동값 중, 기설정된 개수의 진동값에 대한 평균값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생성된 알람 정보를 표시부 및/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해서 외부 노이즈의 결합(추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외부 노이즈에 따른 잘못된 조리 기기의 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을 이용하여 조리 기기 내의 내용물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조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리 기기 내의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버너부에 구비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로 인한 버너부의 온/오프 발생에 대응하여 조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비등 곡선(또는, 진동 파형 곡선)의 왜곡을 보상하여 안정적으로 비등이 발생한 버너부를 감지하여 알람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형, 버너부의 동작 상태, 끓는점 알람 정보 발생 시점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조리 기기는, 열원으로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기기(10)는, 입력부(110), 버너부(120), 온도 감지부(130), 진동 감지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및, 표시부(170)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복수의 버너부(2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버너부(230)에 대한 온(on)/오프(off) 동작을 위한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 방식(일 예로, 시계/반시계 방향)에 의해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하거나 슬라이드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조리 기기(10)가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운전 모드, 요리 코스, 예약 시작/종료 시각 등을 입력받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부(120)는, 연료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또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한다.
또한, 상기 버너부(120)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상기 피가열체(20)를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 즉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조리 기기(10)와 상기 조리 기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를 구동하는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PS)를 사용한다. 물론,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이외에 다른 종류의 전력 변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는, 외부 전원의 교류 전압을 정류 및 평활화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고주파 변압기와 레귤레이터(Regulator) 등의 변압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 기기(10) 및 상기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구동 전압들을 생성한다.
상기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버너부(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열체(20)의 온도를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130)는, 복수의 버너부(120)가 작동 중인 경우, 각각의 버너부(12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버너부(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온도 센서(또는, 온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버너부(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복수의 버너부(120)가 작동 중인 경우, 상기 작동 중인 복수의 버너부(120) 중 진동이 발생한 버너부(120)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복수의 버너부(120)가 작동 중인 경우, 각각의 버너부(120)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버너부(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진동 센서(또는, 진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조리 기기(10)가 가스용 조리 기기인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부(120)에 포함된 버너 헤드(121)의 외측면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은, 상기 버너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감지부(130)가 형성된 상기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2b에 도시된 상기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은, 상기 진동 감지부(140)가 형성된 하부 일측의 반대 부분인 상부 일측의 길이가 더 연장되어 상기 피가열체(20)에 직접 닿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 이외에도,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기기(10)가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 기기인 경우, 상기 조리 기기(10)는, 탑 케이스(190), 함몰부(200) 및 지지 부재(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케이스(190)는, 상기 조리 기기(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탑 케이스(190)에는 복수의 함몰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함몰부(200) 각각에는 버너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탑 케이스(190) 상에 탑 플레이트(top plate)(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 케이스(190)와 상기 탑 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가, 상기 탑 케이스(190)에 놓이는 경우, 상기 탑 플레이트에는, 상기 함몰부(200)와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몰부(200)의 테두리에는 피가열체(20)가 안착되는 지지 부재(21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10)는, 상기 탑 케이스(190)(또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놓인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210)가 상기 탑 케이스(190)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210)의 요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부재(210)의 일부는 상기 함몰부(200)에 삽입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10)는, 상기 탑 케이스(190)에 놓이는 사각 링 형상의 안착부(211) 및, 상기 안착부(211)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바(2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피가열체(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 바(212)에 놓인다. 이때, 상기 지지 바(212)는, 상기 안착부(2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부(20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다.
또한,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버너부(120)의 일부가 상기 함몰부(200)로 돌출되도록 하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버너부(12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부구의 주위에는, 상기 함몰부(200)로 낙하된 물 또는 각종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 기기(10)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돌출되는 버너 헤드(1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너 헤드(121)는, 연료가 점화되어 화염이 발생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버너 헤드(121)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미도시), 상기 연료를 전달하는 연료 파이프(미도시), 상기 버너 헤드(121) 주위에서 상기 버너 헤드(121)로 공급된 연료가 점화되도록 하는 점화부(미도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조리 기기(10)가 전기용 조리 기기인 경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부(120)에 포함된 가열 코일(12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감지부(130)가 형성된 상기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및 진동 전달 축(180)의 상부/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기기(10)가 전기를 이용하는 조리 기기인 경우, 상기 조리 기기(10)는, 탑 케이스(190) 및 가열 코일(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케이스(190)는, 상기 조리 기기(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탑 케이스(190)에는 복수의 탑 플레이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 케이스(190)와 상기 탑 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피가열체(20)는, 실질적으로 상기 탑 케이스(190)에 놓인다.
또한,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탑 케이스(190) 하단부에 위치하는 가열 코일(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 코일(122)은, 전기를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발생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가열 코일(122)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조리 기기(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각각 감지된 온도 또는 진동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진동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복수의 온도(또는, 온도값)에 각각 대응하는 각각의 연료량(또는, 가스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복수의 온도 및 진동값에 각각 대응하는 각각의 연료량(또는, 가스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복수의 온도에 각각 대응하는 각각의 전기량(또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복수의 온도 및 진동값에 각각 대응하는 각각의 전기량(또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복수의 버너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 어 신호를 근거로 가스 밸브(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복수의 버너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전기량(또는,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전기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진동값에 대해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설정된 개수의 진동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50)의 1, 2, ... , 59, 60, 61 번째(61번째 데이터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영역에 각각 x1, x2, ... , x59, x60, x61 등의 진동값이 저장되는 경우, 상기 61번째에 가장 근접한 기설정된 개수인 60 여개의 진동값들에 대한 평균값(즉, 1번째 내지 60번째에 대응하는 각각의 진동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외부 노이즈로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변경(또는, 대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차이(또는, 차이값)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외부 노이즈로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변경한다. 이때, 상기 차이값은,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절대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경우(즉, 현 시점에서의 진동값이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에 대한 정보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산출된 평균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기량(또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산출된 평균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량에 따른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에 따른 연료량에 대한 정보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된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따른 연료량에 대한 정보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따른 전기량(또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량에 따른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피가열체(20)를 가열하는 상기 버너부(12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한 후, 상기 판단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가열체(20)의 내부 음식물(또는, 내용물)이 마른(dry-up)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기(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3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연료 또는 전기의 공급 중단(또는, 공급 제어)을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 또는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연료 또는 전기의 공급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너부(120)에 포함되며, 상기 버너부(120)를 높은 온도에서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 리미터(limiter) 및/또는 릴레이(relay)가 동작하여, 상기 버너부(120)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인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버너부(120)가 정상적으로 동작(온 상태)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따른 진동 파형에 변곡점(또는,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진동 파형에 변곡점이 존재하면,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알람 정보(또는,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진동 파형에 변곡점이 존재하면,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기(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4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제어한다.
또한, 상기 조리 기기(10)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대역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미도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포락선(envelope)을 검파하는 포락선 검파기(envelope detector)(미도시), 상기 포락선 검파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설정된 값만큼 증폭시킨 후 상기 제어부(160)에 출력하는 증폭부(미도시), 상기 포락선 검파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크기가 기설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포락선 검파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출력 크기를 재설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출력하는 범위 분배기(range divider) 및,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 등에 대한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고유한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및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락선 검파기는, 상기 포락선 검파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값(예를 들어, 5V)을 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포락선 검파기의 출력이 상기 기설정된 값을 넘는 경우, 상기 범위 분배기를 이용하여 상기 포락선 검파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버너부(120)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각각 감지된 온도 또는 진동값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해서 외부 노이즈의 결합(추가) 여부를 확인하여 조리 기기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을 이용하여 조리 기기 내의 내용물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상기 조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버너부에 구비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로 인한 버너부의 온/오프 발생에 대응하여 조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비등 곡선(또는, 진동 파형 곡선)의 왜곡을 보상하여 안정적으로 비등이 발생한 버너부를 감지하여 알람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버너부에 구비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동작 중일 때(또는, 히터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버너부의 비등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히터가 온 상태일 때에만 버너부의 비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복수의 버너부(120) 중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을 위한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 방식에 의해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유입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가스 밸브(미도시)를 조절(또는,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유입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공기조절팬(미도시)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버너부(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부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10).
이후,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온도를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상기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2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진동값에 대해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설정된 개수의 진동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50)의 1, 2, ... , 59, 60, 61 번째(61번째 데이터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영역에 각각 x1, x2, ... , x59, x60, x61 등의 진동값이 저장되는 경우, 상기 61번째에 가장 근접한 기설정된 개수인 60 여개의 진동값들에 대한 평균값(즉, 1번째 내지 60번째에 대응하는 각각의 진동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S13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외부 노이즈로 판단(또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노이즈가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대체(또는, 변경)한다.
일예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3.8V 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이 3.5V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 3.8V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예를 들어, 2.8V)을 현시점에서의 진동값으로 변경(또는, 결정)한다(S150).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한다(S16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외부 노이즈로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대체(또는, 변경)한다.
일예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3.4V 이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이 2.8V 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이 500mV 인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 간의 차이 값이 600mV 로, 상기 차이값(600mV)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500mV)보다 크므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 3.4V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인 2.8V를 현시점에서의 진동값으로 변경(또는, 결정)한다(S17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진동값은,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S15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S17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S16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다른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단계들(S150 단계 또는 S17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및 공기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 및 공기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 및 공기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진동값은,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S15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S17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S18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 및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S190).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복수의 버너부(120) 중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을 위한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 방식에 의해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전력량(전기량 또는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버너부(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부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210).
이후,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온도를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상기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22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진동값에 대해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설정된 개수의 진동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50)의 1, 2, ... , 59, 60, 61 번째(61번째 데이터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영역에 각각 x1, x2, ... , x59, x60, x61 등의 진동값이 저장되는 경우, 상기 61번째에 가장 근접한 기설정된 개수인 60 여개의 진동값들에 대한 평균값(즉, 1번째 내지 60번째에 대응하는 각각의 진동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S23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외부 노이즈로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대체(또는, 변경)한다.
일예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3.8V 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이 3.5V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 3.8V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예를 들어, 2.8V)을 현 시점에서의 진동값으로 변경(또는, 결정)한다(S250).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지 확인한다(S26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외부 노이즈로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대체(또는, 변경)한다.
일예로,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3.4V 이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이 2.8V 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이 500mV 인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600mV 로, 상기 차이값(600mV)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500mV)보다 크므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 3.4V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인 2.8V를 현시점에서의 진동값으로 변경(또는, 결정)한다(S27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 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또는, 전기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량에 따른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진동값은,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S25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S27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S26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산출된 평균값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량에 따른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다른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 중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또는 상기 단계들(S250 단계 또는 S27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으로 변경된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량에 따른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28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한다(S290).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복수의 버너부(120) 중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을 위한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 방식에 의해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유입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가스 밸브(미도시)를 조절(또는,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유입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공기조절팬(미도시)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버너부(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부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310).
이후,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온도를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상기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320).
이후, 상기 제어부(160),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내부 음식물이 마른(dry-up)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기(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에 대한 연료 공급을 중단(또는,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에 대한 연료 및 공기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34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 및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 및 공기를 차단할 수도 있다(S350).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및 공기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 및 공기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 및 공기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S36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3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3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 및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 및 공기를 차단할 수도 있다(S370).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바로 확인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피가열체가 가열되어 상기 피가열체 내부의 음식물이 마르기까지 일정 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진동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기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들(S360 단계 내지 S370 단계)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복수의 버너부(120) 중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을 위한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 방식에 의해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전력량(전기량 또는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버너부(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부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410).
이후,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온도를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상기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420).
이후, 상기 제어부(160),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내부 음식물이 마른(dry-up)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기(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또는,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44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S450).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또는, 전기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량에 따른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46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S470).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복수의 버너부(120) 중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을 위한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 방식에 의해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유입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가스 밸브(미도시)를 조절(또는,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유입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공기조절팬(미도시)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버너부(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부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510).
이후,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온도를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상기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52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너부(120)를 높은 온도에서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동작하여, 상기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또는, 오프)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상기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 또는,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에 변곡점(또는,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4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진동 파형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끓는점 알람(boiling alarm) 정보를 생성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예를 들어, 버너부(120)가 온 상태(①, ②, ③)인 구간 중, ③ 구간)이고 상기 진동 파형(1010)에 변곡점(1011)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변곡점(1011)이 발생한 이후의 임의의 시점(상기 변곡점(1011)이 발생한 이후 진동 파형(1010)이 감소하는 임의의 시점(1012))에 끓는점 알람 정보(1020)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이고 상기 진동 파형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이고 상기 진동 파형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또는, 가스량) 및 공기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연료량 및 공기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연료량 및 공기량에 따른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S55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상기 표시부(170) 및/또는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스 밸브 및 상기 공기조절팬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유입되는 가스량 및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S560).
또한, 상기 판단 결과(상기 S5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리미터 및/또는 상기 릴레이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상기 감지되는 진동값(또는, 진동 파형에 대응하는 값)을 "0V"로 초기화시킨다(S570).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리 기기(10)에 포함된 복수의 버너부(120) 중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대한 온(on) 동작을 위한 입력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 방식에 의해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버너부(120)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버너부(120)에 공급되는 전력량(전기량 또는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버너부(120)는, 상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 기기(10) 상에 위치한 피가열체(또는, 조리 용기)(20)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된 버너부(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부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610).
이후, 온도 감지부(13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온도를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40)는, 상기 피가열체(20)의 진동을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140)에 의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진동 감지부(140)를 통해 각각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을 상기 표시부(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62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너부(120)를 높은 온도에서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동작하여, 상기 버너부(120)의 동작을 중지(또는, 오프)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상기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 또는,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에 변곡점(또는, 최대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4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진동 파형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예를 들어, 버너부(120)가 온 상태(①, ②, ③)인 구간 중, ③ 구간)이고 상기 진동 파형(1010)에 변곡점(1011)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변곡점(1011)이 발생한 이후의 임의의 시점(상기 변곡점(1011)이 발생한 이후 진동 파형(1010)이 감소하는 임의의 시점(1012))에 끓는점 알람 정보(1020)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이고 상기 진동 파형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동작 중인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복수의 온도 및/또 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또는, 전기량) 중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량에 따른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65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상기 표시부(170) 및/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너부(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한다(S660).
또한, 상기 판단 결과(상기 S6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리미터 및/또는 상기 릴레이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버너부(120)가 비등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상기 감지되는 진동값(또는, 진동 파형에 대응하는 값)을 "0V"로 초기화시킨다(S670).
이와 같이, 상기 조리 기기(10)는, 상기 버너부(120)가 동작 중인 상태일 때만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버너부(120)가 상기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동작 중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인지를 확인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리미터 및/또는 릴레이로 인한 버너부(120)의 온/오프에 따른 진동 파형(또는, 비등 곡선)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조리 기기 20 : 피가열체
110 : 입력부 120 : 버너부
130 : 온도 감지부 140 : 진동 감지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표시부

Claims (18)

  1.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할 때 마다, 감지된 진동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진동값이 저장될 때 마다,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진동 값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진동 값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기 설정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이 진동값으로 저장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진동값 중 기 설정된 개수의 진동값에 대한 평균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평균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평균값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8.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버너부에 설치되어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할 때 마다, 감지된 진동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진동값이 저장될 때 마다,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진동 값의 평균 값을 산출하며,
    상기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진동 값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기 설정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 대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이 진동값으로 저장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끓는점 알람 정보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11.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할 때 마다, 감지된 진동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동값이 저장될 때 마다,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진동 값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진동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2.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할 때 마다, 감지된 진동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값이 저장될 때 마다,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진동 값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평균값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평균값으로 변경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된 진동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과 상기 평균값 간의 차이값이 상기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진동값 중, 기설정된 개수의 진동값에 대한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6.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가열체의 진동을 감지할 때 마다, 감지된 진동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동값이 저장될 때 마다,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진동 값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끓는점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알람 정보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에 포함된 리미터 및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된 진동값에 대한 진동 파형 중에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진동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버너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버너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00000234A 2010-01-04 2010-01-04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88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234A KR101688135B1 (ko) 2010-01-04 2010-01-04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234A KR101688135B1 (ko) 2010-01-04 2010-01-04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070A KR20110080070A (ko) 2011-07-12
KR101688135B1 true KR101688135B1 (ko) 2016-12-20

Family

ID=4491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234A KR101688135B1 (ko) 2010-01-04 2010-01-04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820A (zh) * 2018-03-28 2019-10-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液体沸腾识别装置、方法、加热液体的设备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643A (ja) * 2001-08-31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9079891A (ja) * 2003-03-20 2009-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6040514B1 (ja) * 2014-06-27 2016-12-07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接続装置及び雲台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712B2 (ja) * 1992-12-26 2001-06-04 大阪瓦斯株式会社 煮こぼれ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643A (ja) * 2001-08-31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9079891A (ja) * 2003-03-20 2009-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6040514B1 (ja) * 2014-06-27 2016-12-07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接続装置及び雲台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070A (ko) 201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720B2 (en) Flammable vapor sensing control for a water heater
US7747358B2 (en) Building equipment component control with automatic feature detection
US8109758B2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burning situation using air pressure sensing and flame detection
CN109028593B (zh) 燃气采暖热水炉空燃比控制方法、装置及燃气采暖热水炉
WO2006095960A1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oil burner's suitable burning ratio using air pressure sensor
KR101529116B1 (ko)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가스 쿡탑의 하이컷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322619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1659016B1 (ko)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88135B1 (ko)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20055424A (ko) 보일러의 난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605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lternative energy source for hot water heater storage tank
CN108027141B (zh) 用于具有热电偶的燃气烹饪器具的燃气燃烧器装置
US10215438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a limit fault in an HVAC unit
KR101649640B1 (ko)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59017B1 (ko)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6861B1 (ko) 스팀오븐의 대류팬 제어방법
JP2001065869A (ja) 消し忘れ防止機能を有するコンロ
JP4907622B2 (ja) 開放型燃焼装置
JP5863698B2 (ja) 燃焼制御装置
JP5378947B2 (ja) ガス燃焼装置
KR101617191B1 (ko) 보일러의 송풍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59015B1 (ko)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161105B2 (ja) ガス瞬間湯沸器の燃焼停止要因の判定装置
JP2021046978A (ja) 加熱調理器
KR101659013B1 (ko) 조리 기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