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943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943B1
KR101686943B1 KR1020100087666A KR20100087666A KR101686943B1 KR 101686943 B1 KR101686943 B1 KR 101686943B1 KR 1020100087666 A KR1020100087666 A KR 1020100087666A KR 20100087666 A KR20100087666 A KR 20100087666A KR 101686943 B1 KR101686943 B1 KR 101686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epth
depth value
distance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341A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943B1/ko
Priority to US13/170,259 priority patent/US8648960B2/en
Publication of KR2012002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30Focusing aids indicating depth of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피사체 촬영 시 복수의 인물일 경우, 피사체의 얼굴을 검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을 수 있는 조리개 값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자동으로 변경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도록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양호한 사진을 얻기 위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대해 핀트를 맞추는 오토포커스(AutoFocus, 이하 'AF'라 한다)라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특히, 얼굴 중심의 AF 기능은 촬영하고자 하는 인물에 핀트가 맞지 않고 풍경 등 다른 피사체에 핀트가 맞아 촬영하고자 하는 인물이 흐리게 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얼굴 중심의 AF 기능은 화상인식처리에 의해 피사체에서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한 얼굴의 위치에 핀트가 맞도록 AF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복수의 사람이 피사체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개 값에 의해 피사체의 위치가 어디 있느냐에 따라 초점 맞는 정도가 달라져서, 사용자가 자신도 모르게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피사체 촬영 시 복수의 인물일 경우, 피사체의 얼굴을 검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을 수 있는 조리개 값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자동으로 변경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도록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영상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응하는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조리개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한 AF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초점이 맞은 얼굴 영역에 상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얼굴 영역에 상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차이에 의한 심도 값과 기 설정된 조리개 값에 의한 심도 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계산한 거리에 따른 심도 차이 값인 제1 심도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제1 심도 값과 기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른 제2 심도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불가능하다는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조리개 값 또는 상기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가장 큰 제1 얼굴 영역과 가장 작은 제2 얼굴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제1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초점이 맞은 제1 얼굴 영역의 크기와 나머지 얼굴 영역들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나머지 얼굴 영역들의 크기와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의 크기에 따라 심도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온,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오프 및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가이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입력 영상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응하는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AF 계산부 및 상기 계산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F 계산부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한 AF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조리개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 표현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한 거리에 따른 심도 차이 값인 제1 심도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제1 심도 값과 기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른 제2 심도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불가능하다는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조리개 값 또는 상기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가장 큰 제1 얼굴 영역과 가장 작은 제2 얼굴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AF 계산부는 상기 제1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온,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오프 및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가이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피사체 촬영 시 복수의 인물일 경우, 피사체의 얼굴을 검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을 수 있는 조리개 값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자동으로 변경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도록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 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F 값을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이용한 심도 표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2),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렌즈부(110)(lens unit)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얼굴을 검출한 경우, 각각의 얼굴 영역까지의 거리를 통해 기 설정되어 있는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으로 피사체의 심도 표현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또는 자동으로 심도 표현이 가능한 조리개 값으로 자동 변경하여 촬영하도록 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조작부(170)를 통해, 심도 값 자동 변경 메뉴, 예를 들면 심도 값 자동 변경 온, 심도 값 자동 변경 오프, 및 심도값 자동 변경 가이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온 또는 오프는 자동 변경 여부에 대한 설정이고, 가이드는 촬영시 사용자에게 심도 값에 대한 가이드를 보여주는 것으로, 촬영 시 심도 값에 따라 조리개 값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가이드 메시지, 예를 들면 조리개 값(8.0)으로 변경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제어부(210), 얼굴 검출부(220), AF 계산부(230) 및 알람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와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부(210)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얼굴 검출부(220)는 촬상 소자(115)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특히, 얼굴 검출부(220)는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모든 얼굴들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얼굴 검출부(220)는 얼굴에 포함되는 얼굴의 특징을 갖는 영역, 예를 들면 살색을 가지는 영역, 눈동자를 가지는 영역, 얼굴의 형상을 가지는 영역 등을 얼굴 영역으로서 검출한다. 얼굴 영역 검출 기법 내지는 알고리즘은 많은 기술이 존재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움직임 벡터 기법, 특징점 검출 기법, 에이다부스트(Adaboost) 학습 기법 등을 사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AF 계산부(230)는 얼굴 검출부(220)가 검출한 얼굴 영역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다. 여기서, AF 처리는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에 의한 AF 처리를 수행하지만, 다른 방식들, 예를 들면 팬포커스에 의한 AF 처리, 위상차 AF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에 의한 AF는 AF를 실행하기로 결정된 AF 영역, 즉, 검출된 얼굴 영역들의 콘트라스트 값이 가장 높아지는 포커스 렌즈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즉, 포커스 렌즈를 움직여 가고, 그때의 촬상 소자(115), 예를 들면 CCD의 콘트라스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그 파형을 해석해서 고주파성분이 가장 커지는 렌즈 위치에 포커스 렌즈를 맞추어 핀트를 맞추는 방식이다. 또한, AF 계산부(230)는 각각의 얼굴 영역들에 대한 AF 값, 즉 포커스 렌즈 위치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얼굴 영역들에 대응하는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피사체까지는 거리를 AF 계산부(230)에서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210)에서 계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모든 얼굴 영역들에 대해 AF 계산을 수행하고, 각각의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가장 큰 얼굴 영역과 가장 작은 얼굴 영역에 대해 AF 계산을 수행한 후 거리 계산을 할 수도 있다. AF 값을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콘트라스트 AF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피사체까지의 거리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거리(Distance)=B/(현재 초점 위치-무한 초점 위치) + A
여기서, A는 도 3에 표시된 보존치 a이고, B는 도 3에 표시된 보존치 b이며, 각각의 보존치들은 렌즈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상기 수학식 1에 도 3 및 4에 도시된 수치들을 대입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18-55mm 렌즈의 광각단, 즉 18mm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에서 B는 52533mm이고, A는 60mm이다. 그리고, 도 4에서 무한 초점 위치는 389이다. 현재 초점 위치는 AF 결과에 따라 렌즈에서 읽혀지는 스텝 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현재 초점 위치가 500이라면, 피사체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거리=52533/(500-389)+60≒533.27mm
상기 수학식 1과 도 3 및 4를 이용하여 각각의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AF 값을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통해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검출한 얼굴의 픽셀 수와 CCD 사이즈, 렌즈 초점 거리, 미리 저장된 얼굴 사이즈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 영상의 촬영을 제어한다. 여기서, 심도표현이 가능하다 또는 불가능하다는 것은 현재의 조리개 값, 즉 받아들이는 광량으로 입력 영상 전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심도란 초점 이외의 피사체는 흐려지는 것을 심도가 얕다고 하고, 반대로 초점 이외에도 뚜렷하게 찍히는 것을 심도가 깊다고 한다. 조리개 값은 빛을 받아들이는 양을 조정하는 값으로서, 조리개를 열수록 빛을 많이 통과시키고 닫을수록 적게 통과시킨다. 즉, 조리개를 개방할수록 심도는 얕아져 아웃 포커싱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대로 조리개를 닫을수록 전체적으로 초점이 맞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피사체를 가깝게 찍을수록 또는 배경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심도가 얕아진다.
제어부(210)는 현재 설정된 f 넘버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통해 심도 표현이 가능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입력 영상의 촬영을 제어한다. f 넘버, 즉 조리개 값과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관계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초점 거리 18mm의 경우의 피사계 심도 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조리개 값이 f/2이고, 좌측의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2.5m라면 가장 근거리인 1.91m부터 가장 원거리인 3.6m까지 심도 표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제어부(210)는 계산한 거리에 따른 심도 차이 값인 제1 심도 값을 계산한다. 즉 각각의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심도의 차이 값을 계산하고, 제1 심도 값과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른 제2 심도 값을 비교한다. 제1 심도 값이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심도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알람부(240)를 통해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는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불가능하다는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심도 값이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 변경하여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입력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까지의 거리 차이 값이 533.27mm인 경우, 거리 차이에 대해 심도 표현이 가능한 조리개 값인 f/4로 조리개 값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입력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어부(210)는 제1 심도 값이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의 변경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촬영하거나 또는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입력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입력 영상 전체에 대해 AF 값을 계산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조리개 값 변경 여부를 판단하였지만, 검출한 얼굴의 크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조리개 값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가장 큰 제1 얼굴 영역과 가장 작은 제2 얼굴 영역을 선택한다. 여기서, 얼굴 크기의 판단은 얼굴 영역들의 픽셀 수를 통해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AF 계산부(230)는 제1 얼굴 영역 및 제2 얼굴 영역에 대해 각각 전술한 AF 값을 계산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거리별 심도 표현의 차이 값과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표현 가능한 심도 값을 비교하여 심도 표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복수의 검출한 얼굴 영역들이 모두 근거리에 있는 경우, 피사체의 얼굴 크기를 비교해서 자동으로 조리개 값을 변경하여 촬영할 수도 있고, 복수의 검출한 얼굴 영역들이 모두 원거리에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주 피사체에만 초점을 맞춰 아웃 포커싱 효과를 얻기 위한 경우에는 얼굴 크기 또는 눈 사이의 간격을 비교하여 주 피사체의 얼굴 크기와 다른 피사체들의 얼굴 크기의 차이가 클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도가 아웃 포커싱 효과를 얻기 위함이라고 판단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조리개 값으로 입력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촬영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촬영 모드는 조리개 값 자동 변경 모드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조리개 값 자동 변경 온, 오프, 또는 가이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602에서,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의 얼굴을 검출한다. 단계 604에서, 복수의 얼굴을 검출했는지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입력 영상에서 하나의 얼굴을 검출한 경우라면, 해당 얼굴을 중심으로 AF 및 AE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04에서, 복수의 얼굴을 검출한 경우, 단계 606에서, 각각의 얼굴 검출 영역에 대한 콘트라스트 피크 값을 획득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콘트라스트 피크 값은 AF를 수행하여 얻을 AF 값 또는 초점 렌즈의 위치이다. 단계 608에서, 복수의 얼굴 중 초점 영역을 선택한다. 여기서, 초점 영역의 선택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설정에 따라 특정 얼굴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카메라에 설정된 조리개 설정치를 획득한다. 조리개 설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측광 후, AE를 통해 조리개 값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612에서, 조리개 설정 값에 의한 피사계 심도를 계산한다.
단계 614에서, 초점이 맞은 얼굴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인물까지의 심도 차이에 의한 콘트라스트 피크 값 차이를 계산한다. 단계 616에서, 계산된 심도 차이와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개 값에 따른 심도를 비교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개 값을 설명하지만, 자동으로 설정된 조리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18에서, 계산된 심도 차이가 조리개 값에 따른 심도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620으로 진행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지 않는다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즉, 계산한 심도 차이가 설정되어 있는 조리개 값에 따른 심도보다 큰 경우에는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라 조리개를 통해 입력되는 빛으로는 모든 얼굴들에 초점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단계 622에서, 사용자에게 적정 조리개 값으로 변경하는지를 문의한다. 여기서, 설정된 조리개 값을 계산한 심도 차이에 따른 조리개 값으로 변경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변경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624에서, 조리개 값을 자동 변경한다. 여기서 변경한 조리개 값은 계산한 심도 차이에 따라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모든 얼굴들의 심도 표현이 가능한 조리개 값이다. 예를 들면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얼굴까지도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조리개 값이다. 단계 626에서, 변경된 조리개 값으로 입력 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한다.
여기서, 단계 620 및 622를 포함하여 설명하였지만, 단계 620 및 622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산된 심도 차이가 조리개 값보다 큰 경우, 단계 624로 진행하여 해당 조리개 값으로 자동 변경할 수도 있다.
단계 618에서, 계산된 심도 차이가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른 심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626으로 진행하여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촬영 및 기록한다.
또한, 단계 622에서, 적정 조리개 값으로 변경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한 경우, 사용자가 현재의 조리개 설정 값이 사용자 본인의 의도라면 변경 요청을 무시하고 단계 626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조리개 설정 값으로 촬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피사체 촬영 시 복수의 인물일 경우, 피사체의 얼굴을 검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을 수 있는 조리개 값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자동으로 변경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도록 촬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0에서,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 얼굴을 검출한다. 단계 720에서, 복수의 얼굴을 검출한 경우, 단계 704로 진행한다. 단계 704에서, 검출된 얼굴 중 가장 큰 얼굴 영역의 제1 AF 거리를 계산하고, 단계 706에서, 검출된 얼굴 중 가장 작은 얼굴 영역의 제2 AF 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제1 AF 거리 및 제2 AF 거리는 디지털 카메라와 검출한 얼굴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로서, AF 값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단계 708에서,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제1 AF 거리 및 제2 AF 거리 차이에 의한 심도 표현이 가능한지 계산한다. 단계 710에서, 심도 표현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714로 진행하여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촬영 및 기록한다.
단계 710에서, 심도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 예를 들면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는 가장 작은 얼굴까지 초점을 맞추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712에서, 심도 표현이 가능한 조리개 값을 설정하고, 단계 714에서, 단계 712에서 설정한 조리개 값으로 촬영 및 기록한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영상에 다수의 얼굴 영역들이 검출되면, 가장 큰 얼굴 영역(800)과 가장 작은 얼굴 영역(810)에 대해서 AF 거리를 계산한다. 도 9에는 가장 큰 얼굴 영역(800) 및 가장 작은 얼굴 영역(810)에 대해 AF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영역들(800 및 810)에 대한 계산한 AF 값을 가지고,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AF 값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것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른 심도와 각각의 거리 차이에 따른 심도를 비교하여,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모든 얼굴들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촬영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심도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에 적정 조리개 값으로 변경하여 촬영한다.
도 8b에 도시된 것은,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 예를 들면 f/2.8로 촬영한 경우에는 멀리 있는 얼굴들에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하게 촬영된 결과 영상이다.
도 8c에 도시된 것은, 현재 설정된 조리개 값을 전술한 조리개 값 자동 변경을 통해 적정 조리개 값, 예를 들면 f/8.0으로 변경하여 촬영한 경우, 멀리 있는 얼굴들까지 모두 초점이 맞아 또렷하게 촬영된 결과 영상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모든 얼굴 영역들에 대해 거리를 계산하지 않기 때문에 더 빠른 속도로 조리개 값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가장 큰 얼굴과 가장 작은 얼굴에 대한 거리를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초점을 맞춘 얼굴과 나머지 얼굴들 중 작은 크기 순서로 차례로 거리를 계산하여 심도 차이를 계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 디지털 카메라
110 : 렌즈부
20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0: 제어부
220: 얼굴 검출부
230: AF 계산부

Claims (20)

  1. 입력 영상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응하는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한 거리에 따른 심도 차이 값인 제1 심도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제1 심도 값과 기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른 제2 심도 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리개 값을 상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조리개 값 또는 상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조리개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한 AF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초점이 맞은 얼굴 영역에 상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얼굴 영역에 상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차이에 의한 심도 값과 기 설정된 조리개 값에 의한 심도 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불가능하다는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가장 큰 제1 얼굴 영역과 가장 작은 제2 얼굴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제1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초점이 맞은 제1 얼굴 영역의 크기와 나머지 얼굴 영역들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나머지 얼굴 영역들의 크기와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조리개 값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의 크기에 따라 심도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온,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오프 및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가이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입력 영상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응하는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AF 계산부; 및
    상기 계산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한 거리에 따른 심도 차이 값인 제1 심도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제1 심도 값과 기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른 제2 심도 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리개 값을 상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조리개 값 또는 상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F 계산부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에 대한 AF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조리개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 표현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입력 영상의 심도표현이 불가능하다는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심도 값이 상기 제2 심도 값보다 큰 경우, 제1 심도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한 조리개 값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8. 삭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들 중 가장 큰 제1 얼굴 영역과 가장 작은 제2 얼굴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AF 계산부는,
    상기 제1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온,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오프 및 심도 값 자동 변경 기능 가이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00087666A 2010-09-07 2010-09-0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8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666A KR101686943B1 (ko) 2010-09-07 2010-09-0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170,259 US8648960B2 (en) 2010-09-07 2011-06-28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666A KR101686943B1 (ko) 2010-09-07 2010-09-0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41A KR20120025341A (ko) 2012-03-15
KR101686943B1 true KR101686943B1 (ko) 2016-12-15

Family

ID=4577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666A KR101686943B1 (ko) 2010-09-07 2010-09-0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48960B2 (ko)
KR (1) KR101686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6897B2 (en) * 2006-08-11 2011-03-29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Face tracking for controlling imaging parameters
JP6019556B2 (ja) * 2011-09-08 2016-11-02 株式会社ニコン 焦点検出装置、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5821457B2 (ja) * 2011-09-20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3218049A (ja) * 2012-04-06 2013-10-24 Sony Corp 撮像装置とフォーカ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517615A (zh) * 2013-10-16 2015-05-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對焦方法
CN105847700A (zh) * 2016-05-27 2016-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的方法及装置
GB2570792B (en) 2017-12-26 2020-09-30 Canon Kk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699679B2 (ja) * 2018-02-28 2020-05-27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WO2024030784A1 (en) * 2022-08-04 2024-02-08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aperture (va) camera control for controlling a depth of foc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4010A (ja) 2003-01-31 2004-08-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焦点距離の関数として合焦の測度を示すカメラ
JP2005070474A (ja) 2003-08-26 2005-03-17 Fujinon Corp ピント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6349744A (ja) 2005-06-13 2006-12-28 Canon Inc 撮像装置
JP2007274587A (ja) 2006-03-31 2007-10-1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4663B2 (ja) * 2006-11-21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20090015681A1 (en) * 2007-07-12 2009-0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point autofocus for adjusting depth of field
JP4483930B2 (ja) * 2007-11-05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82212B2 (ja) * 2008-06-24 2010-1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4010A (ja) 2003-01-31 2004-08-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焦点距離の関数として合焦の測度を示すカメラ
JP2005070474A (ja) 2003-08-26 2005-03-17 Fujinon Corp ピント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6349744A (ja) 2005-06-13 2006-12-28 Canon Inc 撮像装置
JP2007274587A (ja) 2006-03-31 2007-10-1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7067A1 (en) 2012-03-08
KR20120025341A (ko) 2012-03-15
US8648960B2 (en)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94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11717B1 (ko)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71062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749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jump image
KR10175559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02505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623256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8740B1 (ko) 피사체 검출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JP2015005799A (ja) 被写体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被写体検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100134329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
KR20110060295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1765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60296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9704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19703A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77735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711271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valuating validity of an auto-focus operation
KR20100099008A (ko) 오토 포커싱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EP2690859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6351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51781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3261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98122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0707881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