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870B1 -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870B1
KR101686870B1 KR1020150053856A KR20150053856A KR101686870B1 KR 101686870 B1 KR101686870 B1 KR 101686870B1 KR 1020150053856 A KR1020150053856 A KR 1020150053856A KR 20150053856 A KR20150053856 A KR 20150053856A KR 101686870 B1 KR101686870 B1 KR 101686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necting portion
corresponding connecting
connec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874A (ko
Inventor
요시후미 신미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Abstract

접속 단자(1)는 상응 단자(3)의 탭 형상 상응 접속부(5)가 삽입될 수 있는 상자 형상 접속부(7) 및 상기 상자 형상 접속부(7) 내부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응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촉부(9)를 포함한다. 접촉부(9)가 접속부(7)의 제1 벽 상에 제공된다. 각각 상기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접속부(7)의 내부로 돌출되는, 경사부(19, 21)가 접속부(7)의 제3 벽(15) 및 제4 벽(17) 상에 각각 설치된다.

Description

접속 단자{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접속 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male) 단자의 탭 형상의 접속부가 삽입되는 상자 형상 접속부를 가진 암(female)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속 단자로서, 상응 단자의 탭 형상 상응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는 상자 형상 접속부, 및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상응 접속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접속부 내부에 제공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가 공지되어있다(특허문헌 1 참조).
종래 접속 단자에서, 접촉부는 제1 벽으로서의 바닥 벽 위에 설치되고, 상응 접속부와 접촉할 수 있는 4개의 돌출부가 제3 벽 및 제4 벽으로서의 양측벽에 배치되고, 이들 4개의 돌출부는 접속부 및 인접 접촉부의 개구에 근접하여 배열된다.
종래 접속 단자에서, 상응 단자의 상응 접속부가 상기 접속부에 삽입될 때, 4개의 돌출부가 상응 접속부의 이동을 구속하면서, 상응 접속부의 팁 단부 측이 4개의 돌출부의 삽입 방향 사이에 위치될 때, 상응 접속부의 스윙이 가능하고 그의 삽입 동작이 개선될 수 있다.
일본특개 2010-251214 A
그러나, 종래 접속 단자에서, 상응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분리된 4개의 돌출부가 접속부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상응 접속부의 최초 삽입시에, 또는 상응 접속부의 팁 단부측이 4개의 돌출부의 삽입 방향 사이에 배치될 때, 상응 접속부의 팁 단부가 돌출부와 충돌하여 상응 접속부의 부드러운 삽입을 방해하고, 이는 상응 접속부의 삽입 동작을 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응 접속부의 삽입 동작을 개선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단자는: 상응 단자의 탭 형상 상응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는 상자 형상 접속부로서, 제1 벽, 상기 제1 벽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2 벽,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2 벽이 서로 면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벽, 및 상기 제3 벽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4 벽을 포함하는 상기 상자 형상 접속부; 상기 상자 형상 접속부 내부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응 접속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1 벽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접촉부; 및 각각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접속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3 벽 및 상기 제4 벽 상에 각각 설치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응 접속부가 삽입되고 있을 때 상기 상응 접속부를 스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 동작이 개선되면서,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에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상기 제3 벽과 상기 제4 벽 상의 접속부의 내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이 완료된 때에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가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업스트림측으로부터 상기 다운스트림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상응 접속부가 삽입되고 있을 때 상기 상응 접속부의 팁 단부와 충돌하는 부분은 없고,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상기 접속 단자에서, 상기 제3 벽과 상기 제4 벽 상에 각각 설치된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동작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상응 접속부를 상기 경사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오목부가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의 업스트림 단부에서 상기 제3 벽과 상기 제4 벽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의 업스트림 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3 벽과 상기 제4 벽 상에 각각 상기 상응 접속부를 상기 경사부로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응 접속부는 상기 경사부로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고,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동작이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으로 각각의 업스트림 측 단부에서 상기 상응 접속부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방향으로 자신의 다운스트림 단부에서 상기 상응 접속부와 상기 제3 벽의 경사부 및 상기 제4 벽의 경사부를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상응 접속부는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이 완료될 때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상응 접속부 사이의 접촉이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벽은 상기 상응 접속부와 접촉하게 되는 보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응 접속부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보조 접촉부를 상기 제2 벽 상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보조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상응 접속부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상응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의 통전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동작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접속 단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가 전기 와이어의 단자부에 설치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의 부분 단면 상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상응 단자가 접속 단자에 접속될 때의 부분 단면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라 상응 단자가 접속 단자에 접속되었을 때의 부분 단면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함으로써,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가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는 상응 단자(3)의 탭 형상 상응 접속부(5)가 삽입될 수 있는 상자 형상 접속부(7) 및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하도록 접속부(7) 내부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9)를 포함한다.
접속부(7)는 제1 벽(11), 제1 벽(11)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2 벽(13), 제1 벽(11)과 제2 벽(13)이 서로 면하고 있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벽(15), 및 제3 벽(15)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4 벽(17)을 포함한다. 접촉부(9)는 제1 벽(11) 상에 설치된다.
제3 벽(15) 상에서,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할 수 있고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부(19)가 접속부(7)의 내부로 돌출된다. 제4 벽(17) 상에서,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할 수 있고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부(21)가 접속부(7)의 내부로 돌출된다.
제3 벽(15) 상에서, 상응 접속부(5)를 제1 경사부(19)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오목부(23)가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제1 경사부(19)의 업스트림 단부에 설치된다. 제4 벽(17) 상에서, 상응 접속부(5)를 제2 경사부(21)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오목부(25)가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제2 경사부(21)의 업스트림 단부에 설치된다.
제3 벽(15)의 제1 경사부(19)와 제4 벽(17)의 제2 경사부(21)가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자신들의 각각의 다운스트림측 단부에서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한다.
제2 벽(13) 상에서,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하는 보조 접촉부(27)가 제공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단자(1)는 전기 와이어(29)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런 다음 하우징(31) 내부에 수용된다. 하우징(21)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하우징(31)의 하나의 측면 상에, 상응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후드 섹션(33)이 제공된다. 하우징의 다른 측면 상에, 복수의 접속 단자(1)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하우징(35)이 제공된다.
전원, 전력 장비 등에 접속되는 복수의 상응 단자(3)를 수용하는 상응 하우징을 후드 섹션(33)에서의 하우징(31)에 끼워맞춤함으로써, 복수의 단자 하우징(35)에 수용된 접속 단자(1)가 상응 단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단자(1)는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클림핑 피스의 쌍으로 구성된 클림프부(37)가 접속 단자(1)의 하나의 단부측에 제공된다. 클림프부(37)를 전원, 전력 장비 등에 접속된 전기 와이어(29)의 단자부에 클림핑함으로써, 접속 단자(1)와 전기 와이어(29)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의 내부를 방수처리(watertight)하도록 시일 부재(41)를 전기 와이어(29) 및 하우징(31)에 단단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고정시키는 클림핑 피스의 쌍이 클림프부(37) 상에 제공된다.
접속 단자(1)는 다른 단부측 상에서 상자 형상 접속부(7)가 제공되는 암(female) 단자이다. 접속 단자(1)의 접속부(7)는 하우징(31)의 후드 섹션(33) 측에 면하는 단자 하우징(35) 내부에 수용된다. 단자 하우징(35) 내부에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잠금 걸쇠(locking lance)(도시되지 않음)가 접속 단자(1)의 접속부(7)에 잠금되어 하우징(3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응 하우징을 하우징(31)의 후드 섹션(33)으로 끼워맞춤함으로써, 단자 하우징(35)에 수용된 접속 단자(1)를 가지고, 수(male) 단자로 구성된 상응 단자(3)의 탭 형상 상응 접속부(5)가 접속부(7)로 삽입된다. 추가로, 상응 접속부(5)에 접촉하는 접속부(7) 내부에 제공된 접촉 패드(9)에 의해, 접속 단자(1) 및 상응 단자(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 형상 접속부(7)는 정방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는 바닥벽으로서의 제1 벽(11)과 상부 벽으로서의 제2 벽(13), 및 제1 벽(11)과 제2 벽(13)이 서로 면하고 있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의 제3 벽(15)과 제4 벽(17)을 포함한다.
접촉부(9)는 제1 벽(11) 상에 제공된다. 보조 접촉부(27)는 제2 벽(13) 상에 제공된다. 제1 경사부(19)는 제3 벽(15) 상에 제공된다. 제2 경사부(21)는 제4 벽(17) 상에 제공된다.
접촉부(9)는 탄성 피스(45)와 접촉부(47)를 포함한다. 탄성 피스(45)는 베이스 단부로서 제1 벽(11)의 단부 섹션을 가지고 제2 벽(13)을 향해 접히고, 자유 단으로서 접혀진 단부 섹션을 가지고 탄성 피스가 탄성 변형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제2 벽(13)을 향해 만곡된 보조 탄성 피스(49)가 제1 벽(11) 상에 제공된다. 탄성 피스(45)의 자유단이 보조 탄성 피스(49)에 인접할 수 있고, 서로 접촉하는 상응 접속부(5)와 접촉부(47)에 의해 탄성 피스(45)가 양 단부에서 지지되면서 탄성 변형가능하고, 따라서 상응 접촉부(5)와 접촉부(47) 사이의 접촉 하중을 개선한다.
접촉부(47)는 탄성 피스(45)의 자유단 측에서 압연 등에 의해 제2 벽(13)을 향해 반구형으로 돌출된다. 접촉부(47)는 탄성 피스(45)의 바이어싱 포스에 의해 접속부(7)로 삽입되는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한다. 보조 접촉부(27)는 접촉부(47)의 상방에 배열된다.
보조 접촉부(27)는 제1 벽(11)을 향해 압연 등에 의해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과 다운스트림측에서 제2 벽(13) 상에서 돌출된다. 보조 접촉부(27)는 접속부(7)로 삽입되는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한다.
접촉부(9) 및 보조 접촉부(27)는 위아래 방향으로부터의 중간에 접속부(7)로 삽입되는 상응 접속부(5)를 유지하도록 접촉함으로써 상응 단자(3)와의 통전을 보장하고, 수직방향으로의 상응 접속부(5)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압연 등에 의해 각각 제3 벽(15) 및 제4 벽(17) 상에서 돌출되고,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제1 경사부(19)와 제2 경사부(21) 사이의 거리는 자신의 업스트림측보다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에서의 다운스트림측에서 거리가 더 협소하게되도록 설정된다.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에서의 제1 경사부(19)와 제2 경사부(21)의 다운스트림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응 접속부(5)의 폭과 거의 등가가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응 접속부(5)가 접속부(7)로 삽입될 때, 상응 접속부(5)가 완전히 접속부(7)에 삽입될 때까지 삽입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여기서는 좌우측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고, 삽입력은 증가하지 않고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동작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제1 경사부(19)와 제2 경사부(21)는 융기부 등을 가지지 않는 단순한 경사이기 때문에, 상응 접속부(5)의 팁 단부와 충돌하는 부분이 없고, 이는 상응 접속부(5)의 삽입을 차단하지 않는다.
한편,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에서 다운스트림측 상의 제1 경사부(19)와 제2 경사부(21) 사이의 거리는, 상응 접속부(5)가 접속부(7)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에서, 상응 접속부(5)의 폭과 거의 등가가 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상응 접속부(5)는 그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제1 경사부(19)의 단부와 제2 경사부(21)의 단부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응 접속부(5)가 접속부(7)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에서, 상응 접속부(5)는 삽입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응 단자(3)와 접속단자(1) 사이의 통전이 안정화될 수 있다. 상응 접속부(5)는 제1 가이드 오목부(23)와 제2 가이드 오목부(25)에 의해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로 가이드된다.
제1 가이드 오목부(23)는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제1 경사부(19)의 업스트림측 단부에서 절단 등에 의해 제3 벽(15) 상에 제공된다. 제2 가이드 오목부(25)는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제2 경사부(21)의 업스트림측 단부에서 절단 등에 의해 제4 벽(17) 상에 제공된다. 제1 가이드 오목부(23)와 제2 가이드 오목부(25) 사이의 거리는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에서의 업스트림측 단부에서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를 향해 감소된다. 제1 가이드 오목부(23) 및 제2 가이드 오목부(25)는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에서의 업스트림측 단부에 개구를 만든다.
상응 접속부(5)가 접속부(7)로 삽입될 때 제1 가이드 오목부(23) 및 제2 가이드 오목부(25)는 상응 접속부(5)의 팁 단부측과 맞물리고 상응 접속부(5)를 제1 경사부(19)와 제2 경사부(21)로 가이드한다. 제1 가이드 오목부(23) 및 제2 가이드 오목부(25)를 제공함으로써,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동작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할 수 있고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가 각각 제3 벽(15)과 제4 벽(17) 상에서 접속부(7)의 내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삽입 동작은 상응 접속부(5)가 삽입되고 있을 때 상응 접속부(5)를 스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선되는 반면, 삽입 방향으로 횡단하는 방향에서의 이동은 상응 접속부(5)의 삽입이 완료될 때 한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는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상응 접속부(5)가 삽입될 때 상응 접속부(5)의 팁 단부와 충돌하는 부분이 없고, 상응 접속부(5)의 삽입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각각 제3 벽(15)과 제4 벽(17) 상에 제공된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에 의해, 상응 접속부의 삽입 동작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상응 접속부(5)를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에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오목부(23) 및 제2 가이드 오목부(25)가 각각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에서 제3 벽(15)의 제1 경사부(19)와 제4 벽(17)의 제2 경사부(21)의 업스트림측 단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상응 접속부(5)는 제1 경사부(19) 및 제2 경사부(21)로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고,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동작이 안정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제3 벽(15)의 제1 경사부(19)와 제4 벽(17)의 제2 경사부(21)는 각각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으로 자신의 다운스트림 단부에서 상응 접속부(5)에 접촉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상응 접속부(5)는 상응 접속부(5)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응 접속부(5)의 삽입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접촉부(9)와 상응 접속부(5) 사이의 접촉이 안정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상응 접속부(5)와 접촉하는 보조 접촉부(27)가 제2 벽(13)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접촉부(9)와 보조 접촉부(27) 중간에서 상응 접속부(5)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응 접속부(5)와 접속부(7) 사이의 통전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상자 형상 접속부(7)는 제1 벽(11), 제2 벽(13), 제3 벽(15), 및 제4 벽(17)으로 구성되는 정방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접속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부(7)는 8각형 형상과 같은 제1 벽(11), 제2 벽(13), 제3 벽(15), 및 제4 벽(17)을 가지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추가로, 5각형, 6각형 등의 코너가 또한 제2 벽 및 제3 벽, 제4 벽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고, 접속부는 그것이 상자 형상인 한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서, 보조 접촉부(27)는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있는 2개의 위치에 제공되는 돌출부이다. 그러나, 보조 접촉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접촉부는 2개 이상의 위치에 제공된 돌출부 또는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속한 하나 이상의 융기 쓰레드와 같은 상응 접속부와 접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한은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추가로, 보조 접촉부는 또한 접촉부와 동일하게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Claims (4)

  1. 상응 단자의 탭 형상 상응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는 상자 형상 접속부로서,
    제1 벽,
    상기 제1 벽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2 벽,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2 벽이 서로 면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벽, 및
    상기 제3 벽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4 벽,
    을 포함하는 상기 상자 형상 접속부;
    상기 상자 형상 접속부 내부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응 접속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벽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접촉부; 및
    각각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으로 업스트림측으로부터 다운스트림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접속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3 벽 및 상기 제4 벽 상에 각각 설치된 경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응 접속부를 상기 경사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오목부가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의 업스트림 단부에서 상기 제3 벽과 상기 제4 벽 상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상응 접속부의 삽입 방향으로 각각의 다운스트림측 단부에서 상기 상응 접속부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은 상기 상응 접속부와 접촉하는 보조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KR1020150053856A 2014-04-18 2015-04-16 접속 단자 KR10168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6383 2014-04-18
JP2014086383A JP6279967B2 (ja) 2014-04-18 2014-04-18 接続端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874A KR20150120874A (ko) 2015-10-28
KR101686870B1 true KR101686870B1 (ko) 2016-12-15

Family

ID=5441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56A KR101686870B1 (ko) 2014-04-18 2015-04-16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79967B2 (ko)
KR (1) KR101686870B1 (ko)
CN (1) CN1050242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0571B2 (ja) * 2017-04-10 2020-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WO2019213832A1 (zh) * 2018-05-08 2019-11-14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导电端子及具有该导电端子的电连接器
JP7168626B2 (ja) * 2020-10-23 2022-11-09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194A (ja) 2003-07-15 2007-08-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犠牲アーク放電接点を備えた雌型端子
CN102064412A (zh) 2009-11-14 2011-05-18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电连接器的弹性接触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928Y2 (ja) * 1990-11-28 1997-02-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端子
JP2814925B2 (ja) * 1994-07-29 1998-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形端子金具
US7371133B1 (en) * 2007-01-18 2008-05-1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ocket terminal having a contact stabilizer
JP5206568B2 (ja) * 2009-04-17 2013-06-1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5347820B2 (ja) * 2009-08-07 2013-1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194A (ja) 2003-07-15 2007-08-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犠牲アーク放電接点を備えた雌型端子
CN102064412A (zh) 2009-11-14 2011-05-18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电连接器的弹性接触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79967B2 (ja) 2018-02-14
CN105024202B (zh) 2017-08-25
KR20150120874A (ko) 2015-10-28
CN105024202A (zh) 2015-11-04
JP2015207406A (ja)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299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490563B2 (en) Female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ea
US95372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emale terminal and motor with such an electrical connector
KR20120094833A (ko) 전기 커넥터
JP2015220005A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6727074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4212049A (ja)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KR101686870B1 (ko) 접속 단자
JP2021519491A (ja) コネクタ位置保証部材
MX2017003291A (es) Terminales para conectadores electricos.
JP2016054064A (ja) コネクタ
US9698526B2 (en) Connector with aligning plate
JP614412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665473B1 (ko) 단자
US9972947B2 (en) Connector
US20160134053A1 (en) Structure of socket contact
TW201608767A (zh) 插座電連接器及其組合
TWI519006B (zh) 基板連接用連接器
KR20160001700A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US9780477B1 (en) Box terminal with insertion limiter
JP6219123B2 (ja) アウター付きメス端子
US916632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guard
JP6499869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
JP2016031801A (ja) コネクタ
JP201604618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