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478B1 -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478B1
KR101686478B1 KR1020150056833A KR20150056833A KR101686478B1 KR 101686478 B1 KR101686478 B1 KR 101686478B1 KR 1020150056833 A KR1020150056833 A KR 1020150056833A KR 20150056833 A KR20150056833 A KR 20150056833A KR 101686478 B1 KR101686478 B1 KR 10168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olar cell
cigsse
heating
ti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828A (ko
Inventor
민병권
황윤정
박세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478B1/ko
Priority to US14/952,115 priority patent/US9484488B1/en
Publication of KR2016012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 H01L31/032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comprising only AIBIIICVI chalcopyrite compounds, e.g. Cu In Se2, Cu Ga Se2, Cu In Ga Se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H01L31/1864Ann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01L31/03923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including AIBIIICVI compound materials, e.g. CIS, CI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5Conductive materials, e.g. metallic silic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68Chalcogenide semiconducting materials not being oxides, e.g. ternary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4Transformation of metal, e.g. oxidation, nitrid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 H01L31/032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comprising only AIBIIICVI chalcopyrite compounds, e.g. Cu In Se2, Cu Ga Se2, Cu In Ga Se2
    • H01L31/0323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comprising only AIBIIICVI chalcopyrite compounds, e.g. Cu In Se2, Cu Ga Se2, Cu In Ga Se2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3Liquid deposition
    • H01L21/02628Liquid deposition using solu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1CuInSe2 material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제(Auger) 전자분광법의 분석 결과, 상기 박막의 표면에서 깊이 방향으로 황 함량의 극소값 지점까지는 황의 피크 세기(intensity)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을 제조하여, 상기 CIGSSe 박막 내의 밴드 갭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CIGSSe 박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는 광전 변환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CIGSSe Thin film for solar cell and the prepar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thin film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용 CIGSSe 광흡수층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CIGSSe 박막 내의 밴드 갭을 제어하여 광전 변환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광전변환 소자(photovoltaic cell) 즉, 태양전지(solar cell)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상기 광전변환 소자에 포함된 감광물질에 빛이 입사되면, 광기전 효과에 의해 전자와 정공을 발생하여 전류-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광전변환 소자는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대체에너지 개발 측면에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태양전지는 광흡수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실리콘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이다. 그러나 최근 실리콘의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면서 박막형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박막형 태양전지는 얇은 두께로 제작되므로 재료의 소모량이 적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활용범위가 넓다. 이러한 박막형 태양전지의 재료로는 비정질 실리콘과 CdTe, CIS, CIGS, 또는 CIGSSe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CIS, CIGS, 또는 CIGSSe 박막은 Cu, In, Ga, S, Se 등의 원소로 이루어진Ⅰ-Ⅲ-Ⅵ 화합물 반도체 중의 하나이며, 실험실적으로 만든 박막 태양전지 중에서 가장 높은 변환효율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10 마이크론 이하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안정적인 특성이 있어, 실리콘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고효율 태양전지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CIGSSe는 높은 흡수계수와 구조적 안정성으로 실리콘 태양전지를 이을 물질로 가장 주목 받는 흡수층이라고 할 수 있으며, In과 Ga, S와 Se의 상대적인 비율조절로 다양한 밴드갭을 갖는 흡수층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IGSSe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에 의해 작동하며, 각 물질의 밴드갭 및 도핑정도에 의해 태양전지의 작동이 크게 좌우 된다.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이종접합에 구조에 원소 농도 분포 또는 밴드갭 그래이딩(grading) 기술을 적용하여 전자의 이동 및 작동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연구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용액공정 CIGSSe 태양전지의 경우 이러한 그래이딩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진공공정 기반으로 만들어진 태양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진공공정 기반의 원소 증착 방식의 경우 증착 과정에서 증착 원소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쉽게 박막 내 원소 농도 그래이딩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용액공정 기반의 CIGSSe 박막 제조의 경우 상대적으로 박막 내 원소 농도 분포 및 밴드갭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레늄과 황을 동시에 공급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용액 공정에서 CIGSSe 박막 내의 밴드 갭이 제어된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IGSSe 박막을 포함하여 p-n접합에서의 전자이동이 향상된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으로서,
오제(Auger) 전자분광법의 분석 결과, 상기 박막의 표면에서 깊이 방향으로 황 함량의 극소값 지점까지는 황의 피크 세기(intensity)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기체상의 황 전구체 및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가 존재하는 분위기하에서 CIG(Cu-In-Ga) 산화물이 코팅된 기판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를 모두 소진시킨 후, 상기 기체상의 황 전구체 분위기 하에서 상기 기판을 추가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CIGSSe 박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전극 상에 CIGSSe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CIGSSe 박막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은 박막 내의 밴드갭이 제어되어 태양전지에 적용할 경우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은 셀레늄과 황을 동시에 공급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용액 공정에서 박막 내의 원소 농도 분포 및 밴드갭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CIGSSe 박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는 p-n접합에서의 전자이동이 향상되어 고효율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공정 온도 및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CIGSSe 박막의 오제 전자분광기를 통한 depth profiling 결과 원소별 분포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CIGSSe 박막의 오제 전자분광기를 통한 depth profiling 결과 원소별 분포도이다.
도 5는 제조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광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예 4 및 5를 통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광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조예 7을 통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광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으로서, 오제(Auger) 전자분광법의 분석 결과, 상기 박막의 표면에서 깊이 방향으로 황 함량의 극소값 지점까지는 황의 피크 세기(intensity)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극소값(local minimum value)은 그 지점 주변의 다른 값과 비교했을 때 가장 작은 위치의 값을 가리키며, 전체 두께에서 가장 낮은 최소값(minimum value)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에서는 깊이 방향으로 표면에서 황 함량의 극소값 지점까지는 황 함량이 감소하고, 상기 황 함량의 극소값에서 다시 황 함량이 증가 추세로 돌아서게 되는데, 이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박막 내의 밴드갭이 더블-그래이딩 모델(double-grading model)로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박막 내 원소의 함량이 일정하고 이에 따라 밴드갭이 일정한 non-grading model이 형성되고, 반면 황 함량이 표면에서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면 normal-grading model이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황 함량이 표면에서 극소값 지점까지는 황 함량이 감소하고, 극소값에서 다시 황 함량이 증가 추세로 돌아서면 double-grading model이 형성되며, 이렇게 밴드갭이 제어된 CIGSSe 박막은 태양전지로 적용할 경우, 박막 내 전자 이동을 향상시키며 p-n접합 계면에서의 전자-정공 재결합을 방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궁극적으로 광전 변환 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황 함량의 극소값은 표면에서 깊이 방향으로 박막 두께 기준 1/10 내지 4/10 구간 안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3/10 구간이다. 이는 강한 전계형성으로 전자-정공 재결합을 줄이고 전자-정공 수집을 증가시켜 향상된 광전 변환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상부로 개방된 포물선 형태의 황 함량 커브(예: 도3에서 깊이 0 내지 400nm까지의 황 함량 감소) 폭이 박막 두께 기준 1/10 내지 5/10 이 바람직하며, 그 보다 작거나 크면 전자의 이동 및 빛 흡수에 방해가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박막의 표면에서 황/(황+셀레늄)의 원소 함량 비율은 0.25 내지 0.5이고, 상기 황 함량의 극소값 지점에서 황/(황+셀레늄)의 원소 함량 비율은 0.05 내지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함량 비율의 상한 값을 초과하거나 극소값 함량비율의 하한값 미만의 경우에는 전자 이동 저하의 문제점을 가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표면 함량 비율의 하한값 미만이거나 상기 극소값 함량 비율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밴드 갭이 더블-그래이딩 모델(double-grading model)로 형성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기체상의 황 전구체 및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가 존재하는 분위기하에서 CIG산화물이 코팅된 기판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를 모두 소진시킨 후, 상기 기체상의 황 전구체 분위기하에서 상기 기판을 추가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의 가열은 상기 (A)단계의 가열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의 가열은 상기 (A)단계의 가열보다 10 내지 100℃의 온도를 더 승온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B)단계의 가열은 상기 (A)단계의 가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승온함으로써, 비진공 용액공정에서 박막 내의 황 및 셀레늄의 함량을 조절하여 밴드갭을 더블-그래이딩 모델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용액공정에서 원소의 함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하여 고효율의 태양전지를 구현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A)단계의 가열은 4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간 수행되며, 상기 (B)단계의 가열은 51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범위의 하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그래이딩이 형성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온도 범위의 상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그래이딩으로 장파장 범위의 흡수율 저하 및 기판의 물리적 저하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상기 (A), (B)단계의 열처리 공정에 따른 공정도이며, 이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A), (B)단계의 가열은 튜브형 가열로를 이용하여 영역 (1), (2)에 나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가열은 상기 영역(1)에 셀레늄 펠렛을 투입하고, 상기 영역 (2)에는 CIG산화물이 코팅된 기판을 투입한 후, H2S를 흘려주어 4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레늄 펠렛이 가열되어 증기가 모두 소진된 후에는 51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간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H2S는 지속적으로 흘려준다. 즉 상기와 같이 기체상의 황 전구체와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황 및 셀레늄이 공존하는 박막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셀레늄 전구체로 H2Se 기체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셀레늄 증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정성 확보 차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CIG 산화물은 Cu, In, Ga 전구체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스핀코팅(Spin coating) 또는 닥터블레이딩(Doctor blade) 방법으로 기판에 코팅한 후, 공기분위기하에서 250-350℃의 온도에서 1∼60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열처리함으로써, 박막 내의 탄소 불순물은 제거되고 Cu, In, Ga 원소는 산소와 반응하여 비결정형의 CIG산화물 박막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은 몰리브데늄(Molybdenum, Mo),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Fluorine tin oxide, FTO) 및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등의 전도층 막이 형성된 기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CIGSSe 박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전극 상에 CIGSSe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CIGSSe 박막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전극은 몰리브데늄,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 및 인듐 틴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전도성 및 투명성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은 상기 CIGSSe 박막 상에 형성되며, 몰리브데늄,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 인듐 틴 옥사이드, 니켈 및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전지는 황화카드뮴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1]
Cu, In, Ga 전구체를 포함하는 구성된 페이스트를 스핀코팅 또는 닥터블레이딩 방법으로 Mo기판에 코팅한 후, 공기 분위기하에서 300℃의 온도로 30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박막 내의 탄소 불순물은 제거되고 Cu, In, Ga 원소는 산소와 반응하여 비결정형의 CIG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CIG 산화물 박막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형 가열로를 이용하여 열처리하였으며, CIG 산화물 박막을 영역 (2)에 넣고, 셀레늄 소스로는 셀레늄 펠렛 0.5g을 영역 (1)에 넣어 준 후, 반응기 내의 분위기 안정화를 위하여 약 15분간 황화가스(H2S/N2)를 흘려주고, CIG 산화물 박막의 반응 동안 셀레늄과 황원소를 함께 공급하기 위하여 영역 (1)의 온도를 15℃/분 속도로 먼저 승온하고, 셀레늄의 녹는점 221℃를 넘긴 후 약 320℃에 도달하면, 영역 (2)를 승온하기 시작한다. 영역 (2)를 500℃로 승온하여 30분간 유지한 후 다시 550℃까지 상승시켜 10분간 유지함으로써 CIGSSe박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영역 (2)의 온도는 영역 (1)의 온도가 약 320℃에 도달하면 승온을 시작하여 500℃에서 10분간 유지함으로써 CIGSSe박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CIG 산화물 박막을 H2S/Ar기체 하에서 열처리하여 CIGS 박막을 제조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열처리 조건에서 셀레늄을 공급하였으며 이때 유입되는 가스는 Ar을 사용하였다.
[제조예1-3]
실시예 1-2 및 비교예1을 통해 각각 제조된 박막이 코팅된 몰리브데늄 기판 상에 CdS버퍼층을 화학습식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하였고, i-ZnO/Al-ZnO층(RF sputtering), Ni/Al 상부전극(e-beam evaporation)을 증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4-5]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몰리브데늄 기판 대신에 플루오린 틴옥사이드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 기판을 각각 사용하였다.
[제조예6-7]
제조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몰리브데늄 기판 대신 플루오린 틴옥사이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 기판을 각각 사용하였다.
[실험예1]
제조예 1-5를 통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곡선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6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단, 전류-전압 분석은 네덜란드 Ivium -Technologies사의 CompactStat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AM 1.5를 위해 미국 ABET Technologies 사의 Sun2000 솔라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도 5 및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 2 및 제조예 3에 비하여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태양전지는 601mV의 전압을 나타내며, 68.6%의 충전율 및 11.7%의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CIGSSe박막의 제조 시 2단계에 걸친 열처리를 진행함으로써, 박막 내의 에너지 밴드가 더블 그래이드 밴드 갭 구조(Double graded band-gap structure)를 형성하여 박막 내 전자이동을 향상시키며 p-n접합 계면에서의 전자-정공 재결합을 방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궁극적으로 전지의 효율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VOC(mV) JSC(mA/㎠) F.F.(%) Eff.(%)
제조예1 601 28.3 68.6 11.7
제조예2 478 33.5 66.1 10.6
제조예3 518 32.6 52.2 8.81
도 6은 제조예 4 및 5를 통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광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로, 제2전극으로 몰리브데늄 대신에 투명전도성 산화물인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를 사용하였으며, 그 효과가 몰리브데늄 보다는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은 박막 내의 밴드 갭이 제어되어 태양전지에 적용할 경우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은 셀레늄과 황을 동시에 공급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용액 공정에서 박막 내의 밴드 갭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CIGSSe 박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는 p-n접합에서의 전자이동이 향상되어 고효율을 나타낸다.
[실험예2]
제조예 7을 통해 제조된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곡선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 7은 제조예 5에 비하여 현저한 특성 저하를 보였다. 제조예 6 또한 제조예 7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셀렌화 공정 중 제1전극으로 사용된 투명전도성 산화물인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의 손상에 의한 소자의 특성 저하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열처리 방법은 몰리브데늄 박막 및 투명전도성 기판에 제한됨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기체상의 황 전구체 및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가 존재하는 분위기하에서 CIG산화물이 코팅된 기판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를 모두 소진시킨 후, 상기 기체상의 황 전구체 분위기하에서 상기 기판을 추가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기체상의 황 전구체는 H2S이고,
    상기 기체상의 셀레늄 전구체는 셀레늄 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가열은 상기 (A)단계의 가열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가열은 상기 (A)단계의 가열보다 10 내지 100℃의 온도를 더 승온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가열은 4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가열은 51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IG산화물은 Cu, In, Ga 전구체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열처리하여 기판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IG산화물은 스핀코팅 또는 닥터블레이딩 방법으로 기판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몰리브데늄,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 및 인듐 틴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의 제조방법.
  15. 제6항 내지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CIGSSe 박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16. 제1전극 상에 CIGSSe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CIGSSe 박막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IGSSe 박막은 상기 제6항 내지 제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몰리브데늄,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 및 인듐 틴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몰리브데늄,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 인듐 틴 옥사이드, 니켈 및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황화카드뮴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50056833A 2015-04-22 2015-04-22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KR10168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33A KR101686478B1 (ko) 2015-04-22 2015-04-22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US14/952,115 US9484488B1 (en) 2015-04-22 2015-11-25 CIGSSe thin film for solar cel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its application to thin film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33A KR101686478B1 (ko) 2015-04-22 2015-04-22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828A KR20160125828A (ko) 2016-11-01
KR101686478B1 true KR101686478B1 (ko) 2016-12-28

Family

ID=5714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33A KR101686478B1 (ko) 2015-04-22 2015-04-22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84488B1 (ko)
KR (1) KR101686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601B1 (ko) * 2019-11-22 2020-07-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찰코파이라이트 화합물계 박막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7558A (ja) * 2012-11-23 2014-06-09 Samsung Sdi Co Ltd 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408B2 (ja) * 1995-09-13 2002-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FR2886460B1 (fr) * 2005-05-25 2007-08-24 Electricite De France Sulfurisation et selenisation de couches de cigs electrodepose par recuit thermique
DE102005062977B3 (de) * 2005-12-28 2007-09-13 Sulfurcell Solar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msetzung metallischer Vorläuferschichten zu Chalkopyritschichten von CIGSS-solarzellen
BRPI1011652A2 (pt) * 2009-05-26 2016-03-22 Purdue Research Foundation películas finas para células fotovoltaicas
US8586457B1 (en) * 2012-05-17 2013-11-19 Intermolecular, Inc. Method of fabricating high efficiency CIGS solar cells
US20140113403A1 (en) * 2012-08-27 2014-04-24 Intermolecular Inc. High efficiency CZTSe by a two-step approa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7558A (ja) * 2012-11-23 2014-06-09 Samsung Sdi Co Ltd 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828A (ko) 2016-11-01
US9484488B1 (en) 2016-11-01
US20160315216A1 (en)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tana et al. Impact of Urbach energy on open-circuit voltage deficit of thin-film solar cells
US7632701B2 (en) Thin film solar cells by selenization sulfurization using diethyl selenium as a selenium precursor
Kaelin et al. Low-cost CIGS solar cells by paste coating and selenization
JP4620105B2 (ja) Cis系薄膜太陽電池の光吸収層の製造方法
JP5709662B2 (ja) Czts系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893411B1 (ko) 황화아연 버퍼층을 적용한 czts계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CN106129143A (zh) 一种高取向性硒化锑薄膜及其制备方法
KR101583026B1 (ko) Czts계 태양전지용 박막의 제조방법
KR20140104351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i et al. Influence of the selenization condition on the properties of ambient-air processed CZTSSe thin films and device performance
Jiang et al. Fabrication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Cu2ZnSnS4/ia-Si/na-Si thin film solar cells
TWI502762B (zh) 化合物太陽能電池與硫化物單晶奈米粒子薄膜的製造方法
KR101734362B1 (ko) Acigs 박막의 저온 형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653184B1 (ko) 태양전지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태양전지 광흡수층
KR101686478B1 (ko) 태양전지용 CIGSSe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KR101906712B1 (ko) 광흡수층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투명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8282B1 (ko) CZTSe계 박막을 이용한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5985B1 (ko) 태양전지용 cigs 박막의 제조방법
Mosavi et al. Brief review on thin films, perovskite solar cells and nanostructure’s applications
Chalapathy et al. Fabrication of Cu₂ZnSnS₄ Films by Rapid Thermal Annealing of Cu/ZnSn/Cu Precursor Layer and Their Application to Solar Cells
KR101706175B1 (ko)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용 광흡수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용 광흡수층
TWI520353B (zh) 吸收層的形成方法與薄膜太陽能電池
KR102076544B1 (ko) 광흡수층의 제조방법
Belghachi et al. Analysis of Cd 1− x Zn x S window effect on CdTe solar cells
KR102212042B1 (ko)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