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126B1 -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126B1
KR101686126B1 KR1020140190762A KR20140190762A KR101686126B1 KR 101686126 B1 KR101686126 B1 KR 101686126B1 KR 1020140190762 A KR1020140190762 A KR 1020140190762A KR 20140190762 A KR20140190762 A KR 20140190762A KR 101686126 B1 KR101686126 B1 KR 10168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chamber
pist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426A (ko
Inventor
장명수
Original Assignee
장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수 filed Critical 장명수
Priority to KR102014019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126B1/ko
Priority to PCT/KR2015/013903 priority patent/WO2016105028A1/ko
Publication of KR2016007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압축성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는 평판형 스풀을 갖는 밸브셋트(50)과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1)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모든 콘트롤 밸브는 원통형의 스풀을 사용하여 유압유가 원통형 벽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안에서 밖으로 또는 밖에서 안으로 통과하고,또한 여러 원통을 통과하면서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데, 스풀(20)과 밸브몸체(30)을 평판형으로 형성하여 부품수와 부피를 줄이고, 4각형의 직선유체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유체흐름 에너지 손실을 줄인 평판형 밸브셋트(50)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셋트(50)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타격에너지를 증가시킨 유압타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Flat-type spool of the operating device which is driven by a hydraulic pressure}
본 발명은 유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이하 밸브라 칭함)을 갖는 밸브셋트와 이것에 의해 작동되는 타격장치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개의 평판형 밸브 표면에 높이가 다른 몇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평판에서 이 단차에 유압을 가하면 표면 수압면에 작용하는 유압력 차이에 의해 밸브가 움직이는 밸브시스템을 갖는 타격장치에 관한것이다.
* 일반적으로 유압타격장치는 굴삭기, 로우더 등의 건설기계에 장착하여 콘크리트나 암석 등을 파쇄하거나, 타공하는데 사용하는 유압브레이커 또는 유압착암기 등이다.
* 상기 유압타격장치는 타격몸체가 형성되고, 하단에 치즐(chisel)이나, 회전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비트(bit)가 형성된 비트회전기구(이하, '샹크'라 함)가 고정된다.
* 도 1은 본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유압타격장치 중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것으로 몸체(10)(이하 실린더라 칭함)의 하단에 하부몸체(13)이 형성되고, 하부몸체(13) 내부에 치즐(14) 또는 샹크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피스톤(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씰리테이너(17)이 형성된다.
* 상기 몸체(10)의 외부에는 유압에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이하 밸브)를 갖는 밸브셋트(50)가 형성되고,
* 상기 밸브셋트(50)은 밸브(20)와 밸브몸체(30)와 밸브덮개(80)로 형성되며,
* 상기 피스톤(11)은 몸체(10)의 실린더밸브 하부연통홀(65)을 통해 실린더 하부유압쳄버(55)에 유입되는 유체와 상기 밸브셋트(50)에 의해 실린더밸브 상부연통홀(66)을 통해 실린더 상부유압쳄버(56)에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서 발생하는 피스톤(11)의 상하면의 압력차와 수압면적 차이에 의해서 상하운동을 하고, 이때 피스톤(11)의 하부끝단이 치츨(14)의 상부끝단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도록 형성된다.
* 도 9는 종래의 유압타격장치 중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것으로, 타격몸체(1)의 하단에 하부몸체(13)이 형성되고,상기 하부몸체(13) 내부에 치즐(14)가 고정된다.
* 상기 타격몸체(1)는 하부몸체(13)과 상부몸체(12)로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피스톤(11)이 형성되고,상기 몸체(10)의 내부의 상부에는 상부 씰리테이너(17)이 형성된다.
* 상기 몸체(10)는 내벽에 다수개의 유로홈이 형성되고, 벽체에는 유로홈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유로홀이 형성되며, 몸체(10)의 외벽에는 돌출되는 밸브셋트(16)이 형성된다.
* 상기 유압타격장치의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피스톤은 유압에 의해서 상하운동하면서 치즐(14)의 끝단을 타격한다.
종래의 유압타격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994-0005811, 제1996-0006735호, 제04567868호, 제0998261호, 제0772301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6289호, 출원번호 제10-2014-0004511호,제10-1992-000491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압타격장치의 타격몸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타격장치의 밸브는 모두 원형체로서 이 밸브 원주면 표면에 몇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유체가 이 관통홀을 지나는 동안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2)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타격장치는 밸브몸체와 밸브 외에 밸브플럭과 밸브덮개 및 밸브 막음플럭 등 많은 필수 부속품이 필요하며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유체가 여러개의 부품과 각 부품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동안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3) 상기의 많은 원통형 부품이 동일 중심선상에서 삽입, 조립되므로 각 부품은 동일 중심을 맞추기 위해 정밀가공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제작시간이 오래 걸린다.
(4)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밸브셋트는 원통형이고 여러개의 부품을 사용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5) 상기 많은 원통형 부품은 원통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원통형을 채용하여 많은 부피가 소요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몸체(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피스톤(1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하부몸체(13)가, 상부에는 씰리테이너(17)과 상부몸체(12)가 형성되고 별도의 콘트롤 밸브셋트(50)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유압 타격장치용 타격몸체(1)에 있어서,
(1) 상기 콘트롤 밸브셋트(50)은 평판형 밸브(20)과 평판형 밸브몸체(30) 및 평판형 밸브덮개(80)으로 형성되며,
(2) 상기 평판형 밸브(20)은 표면에 높이가 다른 몇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평면 중앙에는 유체가 이동할수 있는 몇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3) 상기 평판형 밸브몸체(30)은 상기 밸브가 삽입될수 있게 바닥으로 평판형 밸브 두께 만큼의 깊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바디의 바닥 홈의 내측면에서 하부 좌측면과 일치하는 상면과 하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부 우측면과 일치하는 상면과 하면에 홈이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연접한 바닥은 상면의 홈과 하면의 홈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밸브 두께보다 더 깊은 홈(31,35)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30) 바닥 홈의 내측면에서 중간부에는 상부측면에 홈(32)과 홈(33) 및 홈(34)가 형성되며 하부측면에 상부측면과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형상의 홈(32b)와 홈(33b) 및 (34b)가 형성되며 각 홈은 상부측면 홈과 하부측면 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평면의 상기 밸브 두께보다 더 깊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몸체의 바닥면에 유체통로(62, 64, 65, 66, 67)이 형성되어 있으며
(4) 상기 밸브덮개(80)은 평판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원통형 밸브 작동시스템만을 고려하던 것에서 세계적으로 실시되지 않았던 평판형 밸브 작동 시스템이 생성되어 신개념 평판 스풀 이론과 이 구조가 다른 장치에 응용 가능하다.
(2) 피스톤으로 유입되는 유체 경로가 원통형처럼 여러개의 관통홀이 없어 유체는 평판밸브의 중앙부 단순한 1개의 4각형 통로를 통과하여 직접 목적지에 도달하므로 관로 손실이 극히 적어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아진다.
(3) 부품수가 적고 가공이 단순하여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이 현저하게 적게 소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실린더와 피스톤, 씰리테이너, 콘트롤 밸브셋트 부분만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셋트만을 나타낸 부분 확대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만을 나타낸 확대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만을 나타낸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몸체만을 나타낸 확대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몸체만을 나타낸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커버의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나타낸 타격몸체에서 콘트롤 밸브셋트를 구성하고 있는 필수 부품들을 분리 배치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피스톤만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피스톤의 상사점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셋트에서 밸브가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를 나타낸 밸브를 변형 가능한 밸브 입체도
몸체(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피스톤(1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하부몸체(13)가 형성되고 하부몸체(13)의 내부에는 치즐(14)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씰리테이너(17)과 상부몸체(12)가 형성되고 별도의 콘트롤 밸브셋트(50)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 내부 벽체에는 여러개의 홈(41,42,43,45)이 형성되고, 실린더 하부홈(41)은 실린더밸브 하부연통홀(65)을 통해 밸브몸체(30)의 고압쳄버(53)과 연통되어 있고, 실린더 전환홈(42)는 실린더밸브 전환통로(62)를 통해 밸브몸체 전환쳄버(52)와 연통되어 있고, 실린더 저압홈(43)은 실린더 저압연결통로(63)과 연통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 밸브셋트(50)은 평판형 밸브(20)이 평판형 밸브몸체(30) 내측에 삽입되며 평판형 밸브덮개(80)가 밸브몸체(30)을 덮는 것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형 밸브(20)은 상측면에 높이가 다른 몇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면에도 상측면과 대칭으로 단차가 형성되며, 평면 중앙에는 유체가 이동할수 있는 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좌측면과 우측면에 유체가 자유롭게 유동할수 있는 홈(22,25)가 형성되며,
밸브(20)에서 길이 B는 A보다 크고, 길이 C는 B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평판형 밸브몸체(30)은 상기 밸브(20)이 삽입될수 있게 바닥으로 평판형 밸브 두께 만큼의 깊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몸체(30) 바닥 홈의 내측면에서 좌측면과 연접하는 상면과 하면에 홈(31)이 형성되고, 우측면과 연접하는 상면과 하면에 홈(35)가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연접한 바닥은 상면의 홈과 하면의 홈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밸브 두께보다 더 깊은 홈이 형성되어 밸브하측유압쳄버(51)과 밸브상측유압쳄버(57)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몸체(30) 바닥 홈의 내측면에서 중간부에는 상부측면에 홈(32)과 홈(33) 및 홈(34)가 형성되며, 하부측면은 상부측면과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형상의 홈(32b)와 홈(33b) 및 홈(34b)가 형성되며 각 홈은 상부측면 홈과 하부측면 홈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밸브 두께보다 더 깊은 홈이 형성되어 밸브 전환쳄버(52)와 밸브 고압쳄버(53) 및 밸브 피스톤쳄버(54)을 형성하며,
상기 밸브몸체(30) 바닥면 쳄버는 유체통로(62, 65, 66, 67, 68)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상측연통홀(67) 및 밸브하측연통홀(68)은 실린더밸브 저압연결통로(64)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밸브덮개(80)은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11)의 하부단면(91)의 수압면적은 상부단면(93)의 수압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귀환유로(69)는 항상 저압인 작동유 탱크로 연결되어 있고,
고압의 작동유가 고압공급유로(61)을 통해 실린더밸브 하부연통홀(65)에 공급되면 피스톤(11)은 실린더 하부유압쳄버(55)와 상부유압쳄버(56)의 압력차와 수압면적차이에 의해 상승하고,
한편 밸브셋트(50)의 하측유압쳄버(51)과 상측유압쳄버(57)는 실린더밸브 저압연결통로(64)과 연결되어 있어 항상 동일한 저압이 작용하고, 밸브 고압쳄버(53)은 실린더밸브 하부연통홀(65)과 연결되어 있어 고압이 작용하고, 밸브 전환통로(52)는 실린더밸브 연결전환통로(62)와 실린더 저압연결통로(63)을 통해 실린더밸브 저압연결통로(64)과 연결되어 있어 저압이 작용하며, 밸브 하부단차면(23)과 상부단차면(24)의 수압면적 차이와 압력차에 의해 밸브는 좌측을 향한다.
이때 실린더 상부유압쳄버(56)의 유체는 실린더밸브 상부연통홀(66)을 통하여 밸브피스톤쳄버(54)와 밸브상측유압쳄버(57) 및 밸브상측연통홀(67) 실린더밸브 저압연결통로(64)을 경유하여 저압귀환유로(69)로 빠져나간다.
피스톤이 상승하여 피스톤 하부단면(91)이 실린더 전환홈(42)과 연통되면 실린더 하부유압쳄버의 유체는 실린더밸브 연결전환통로(62)를 통하여 밸브 전환쳄버(52)로 유입되어 고압이 형성되고 (그림12는 이때의 피스톤 위치를 나타낸다),
밸브 하부단차면(23)과 상부단차면(24)의 수압면적 차이와 압력차에 의해 밸브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림13은 우측으로 이동후의 밸브 위치를 나타낸다).
이때 밸브피스톤쳄버(54)는 밸브상측유압쳄버(57)와 단절되고 동시에 밸브고압쳄버(53)과 연결되고, 실린더밸브 하부연통홀(65)에 있는 고압유체는 실린더 상부유압쳄버(56)에 유입되어 고압이 형성되어, 피스톤(11)은 실린더 하부유압쳄버(55)와 상부유압쳄버(56)의 수압면적 차이에 의해 하강하고, 하사점에서 피스톤(11)의 하부끝단은 치즐(14)의 상부끝단 최상면을 타격한다.
피스톤(11)이 하사점에 도달시 실린더밸브 연결전환통로(62)는 피스톤 중간홈(92)에 의해 실린더 저압연결통로(63)과 연결되고 밸브 전환쳄버(52)는 실린더밸브 저압연결통로(64)와 연결되어 저압으로 되면
밸브 하부단차면(23)과 상부단차면(24)의 수압면적 차이와 압력차에 의해 밸브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후 본 실시예의 최초와 동일한 상태가 되어 피스톤(11)과 밸브(20)은 상기 상태를 계속 반복하여 왕복 운동을 하면서 또한 피스톤(11)은 매번 치즐(14)를 타격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 업자라면 이런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것은 명백하다.
그중 하나의 예로 도14에 유사한 형태를 갖는 또다른 평판형 밸브를 도시하였다.
콘트롤밸브의 부피축소와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원통형의 밸브자리에 평판형 밸브로 대체 가능하다
1 : 타격몸체 10 : 실린더
11 : 피스톤 12 : 상부 몸체
13 : 하부몸체 14 : 치즐
15 : 어큐물레이터 16 : 콘트롤 밸브셋트
17 : 씰리테이너
20 : 평판형 밸브(스풀) 21 : 밸브고압통로
22 : 밸브좌측면홈 23 : 밸브하부단차면
24 : 밸브상부단차면 25 : 밸브우측면홈
30 : 평판형 밸브몸체 31 : 좌측면표면홈
32 : 중간하표면홈 33 : 중간중표면홈
34 : 중간상표면홈 35 : 우측면표면홈
41 : 실린더하부홈 42 : 실린더전환홈
43 : 실린더저압홈 45 : 실린더상부홈
50 : 밸브셋트
51 : 밸브하측유압쳄버 52 : 밸브전환쳄버
53 : 밸브고압쳄버 54 : 밸브피스톤쳄버
55 : 실린더하부유압쳄버 56 : 실린더상부유압쳄버
57 : 밸브상측유압쳄버
61 : 고압공급유로 62 : 실린더밸브연결전환통로
63 : 실린더저압연결통로 64 : 실린더밸브저압연결통로
65 : 실린더밸브하부연통홀 66 : 실린더밸브상부연통홀
67 : 밸브상측연통홀 68 : 밸브하측연통홀
69 : 저압귀환유로 80 : 밸브덮개
81 : 밸브플럭 82 : 막음플럭
91 : 피스톤하부단면 92 : 피스톤중간홈

Claims (2)

  1.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피스톤(1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하부몸체(13)가, 상부에는 씰리테이너(17)와 상부몸체(12)가 형성되고, 별도의 콘트롤 밸브셋트(50)가 형성되는 유압타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셋트(50)는 평판형 밸브(20)와 평판형 밸브몸체(30) 및 밸브덮개(80)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형 밸브(20)는 표면에 높이가 서로 다른 밸브하부단차면(23)과, 밸브상부단차면(24)이 형성되어 있고, 평면 중앙에는 유체가 이동할수 있는 밸브고압통로(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유체가 유동할수 있는 밸브좌측면홈(22)과, 밸브우측면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판형 밸브몸체(30)에는 상기 평판형 밸브(20)가 삽입될수 있도록 상기 평판형 밸브(20)의 두께 만큼의 깊이를 갖는 바닥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몸체(30)의 상기 바닥 홈 내측의 좌측면과 연접하는 상부측면 및 하부측면에는 각각 좌측면표면홈(31, 31b)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과 연접하는 상기 바닥 홈은 상기 좌측면표면홈(31, 31b)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좌측면표면홈(31, 31b)의 깊이가 상기 평판형 밸브(20)의 두께보다 더 깊은 밸브하측유압챔버(51)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30)의 상기 바닥 홈 내측의 우측면과 연접하는 상부측면 및 하부측면에는 각각 우측면표면홈(35. 35b)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면과 연접하는 상기 바닥 홈은 상기 우측면표면홈(35, 35b)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우측면표면홈(35, 35b)의 깊이가 상기 평판형 밸브(20)의 두께보다 더 깊은 밸브상측유압챔버(57)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30)의 상기 바닥 홈 내측의 중간부의 상부측면 및 하부측면에는 각각 중간하표면홈(32, 32b), 중간중표면홈(33, 33b), 중간상표면홈(34, 34b)이 상기 바닥 홈 내측의 좌측면에서 우측면 방향으로 차례대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의 상기 바닥 홈은 상기 중간하표면홈(32, 32b), 상기 중간중표면홈(33, 33b), 상기 중간상표면홈(34, 34b)이 각각 서로 연통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중간하표면홈(32, 32b), 중간중표면홈(33, 33b), 중간상표면홈(34, 34b) 각각의 깊이가 상기 평판형 밸브(20)의 두께보다 더 깊은 밸브전환쳄버(52), 밸브고압쳄버(53), 밸브피스톤쳄버(54)가 상기 바닥 홈 내측의 좌측면에서 우측면 방향으로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하측유압챔버(51), 상기 밸브전환쳄버(52), 상기 밸브고압쳄버(53), 상기 밸브피스톤쳄버(54), 상기 밸브상측유압챔버(57)의 바닥면에는 각각 밸브하측연통홀(68), 실린더밸브연결전환통로(62), 실린더밸브하부연통홀(65), 실린더밸브상부연통홀(66), 밸브상측연통홀(67)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덮개(80)는 평판으로 되어있으며,
    고압의 작동유가 고압공급유로(61)를 통해 상기 실린더밸브하부연통홀(65)에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11)은 실린더하부유압쳄버(55)와 실린더상부유압쳄버(56)의 압력차와 수압면적차이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밸브셋트(50)의 상기 밸브하측유압쳄버(51)와 상기 밸브상측유압쳄버(57)는 실린더밸브저압연결통로(64)와 연결되어 있어 동일한 저압이 작용하고, 상기 밸브고압쳄버(53)는 상기 실린더밸브 하부연통홀(65)과 연결되어 있어 고압이 작용하고, 상기 밸브전환쳄버(52)는 상기 실린더밸브연결전환통로(62)와 실린더저압연결통로(63)를 통해 상기 실린더밸브저압연결통로(64)과 연결되어 있어 저압이 작용하며, 상기 밸브 하부단차면(23) 및 상기 밸브상부단차면(24)의 수압면적 차이와 압력차에 의해 상기 평판형 밸브(20)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린더상부유압쳄버(56)의 유체는 상기 실린더밸브 상부연통홀(66)을 통하여 상기 밸브피스톤쳄버(54), 상기 밸브상측유압쳄버(57), 상기 밸브상측연통홀(67), 상기 실린더밸브저압연결통로(64)를 차례대로 경유하여 저압귀환유로(69)로 빠져나가며,
    상기 피스톤(11)이 상승하여 상기 피스톤(11)의 피스톤하부단면(91)이 실린더전환홈(42)과 연통되면 상기 실린더하부유압쳄버(55)의 유체는 상기 실린더밸브연결전환통로(62)를 통하여 상기 밸브전환쳄버(52)로 유입되어 고압이 작용하며, 상기 밸브하부단차면(23) 및 상기 밸브상부단차면(24)의 수압면적 차이와 압력차에 의해 상기 평판형 밸브(2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밸브피스톤쳄버(54)는 상기 밸브상측유압쳄버(57)와 단절되는 동시에 상기 밸브고압쳄버(53)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밸브하부연통홀(65)에 있는 고압유체는 상기 실린더상부유압쳄버(56)에 유입되어 고압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11)은 상기 실린더하부유압쳄버(55)와 상기 실린더상부유압쳄버(56)의 수압면적 차이에 의해 하강하고, 하사점에서 상기 피스톤(11)의 하부끝단이 치즐(14)의 상부끝단 최상면을 타격하고,
    상기 피스톤(11)이 하사점에 도달시 상기 실린더밸브연결전환통로(62)는 상기 피스톤(11)의 피스톤중간홈(92)에 의해 상기 실린더저압연결통로(63)와 연결되고,
    상기 밸브전환쳄버(52)가 상기 실린더밸브저압연결통로(64)와 연결되어 저압으로 되면, 상기 밸브하부단차면(23) 및 밸브상부단차면(24)의 수압면적 차이와 압력차에 의해 상기 평판형 밸브(20)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타격장치.
  2. 삭제
KR1020140190762A 2014-12-26 2014-12-26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KR10168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62A KR101686126B1 (ko) 2014-12-26 2014-12-26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PCT/KR2015/013903 WO2016105028A1 (ko) 2014-12-26 2015-12-18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62A KR101686126B1 (ko) 2014-12-26 2014-12-26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26A KR20160079426A (ko) 2016-07-06
KR101686126B1 true KR101686126B1 (ko) 2016-12-13

Family

ID=5615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762A KR101686126B1 (ko) 2014-12-26 2014-12-26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6126B1 (ko)
WO (1) WO2016105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7403B2 (en) 2018-06-18 2021-06-08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855A (ja) 2000-01-11 2001-07-17 Ranco Japan Ltd 四方切換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11B1 (ko) * 1992-01-15 1994-06-23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가스와 유압을 이용한 타격기구
JPH0730416B2 (ja) 1992-06-29 1995-04-05 中外炉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ップ浮上用プレッシャパッド
CN100501212C (zh) * 2004-02-27 2009-06-17 铝微有限公司 微阀装置
KR100616637B1 (ko) * 2004-05-10 2006-08-28 (주)씨엔에스 5포트 유로절환밸브
KR20140033910A (ko) * 2012-09-11 2014-03-19 박재용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
KR101451256B1 (ko) * 2012-09-12 2014-10-16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855A (ja) 2000-01-11 2001-07-17 Ranco Japan Ltd 四方切換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5028A1 (ko) 2016-06-30
KR20160079426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468B2 (en) Sleeve/liner assembly and hydraulic hammer using same
KR101751409B1 (ko)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JP6421180B2 (ja) 液圧ダウンザホールハンマー
AU2004213191A1 (en) Control valve and a method of a percussion device comprising two parallel inlet channels
US20150197988A1 (en) Impact body for hydraulic impact device
KR20150074164A (ko) 완충 밸브
JP6713778B2 (ja) 液圧式打撃装置
KR101686126B1 (ko)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평판형 스풀 작동장치
AU2005296322A1 (en) Percussion device
US9909666B2 (en) Hammer having piston sleeve with spiral grooves
KR100876450B1 (ko) 워터 햄머 장치
US11199204B2 (en) Switching device and lubricating pump
KR20170075722A (ko) 충격 장치
CN204220192U (zh) 用于液压锤的冲击蓄能器
KR101492238B1 (ko) 유압브레이커의 컨트롤밸브
KR101332260B1 (ko) 브레이커용 유압 컨트롤 밸브
EP3660224A1 (en) Hydraulic striking device
KR102615221B1 (ko) 유압식 충격 장치를 위한 밸브 조종 장치
CN107735577B (zh) 流体压缸及其制造方法
JP6056773B2 (ja) 油圧作動装置及びパンチャー
RU2354828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US20150144369A1 (en) Hammer Raising Device
RU2443863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JPH09131671A (ja) 油圧ブレーカ
JP2004504168A (ja) 衝突式液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