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391B1 -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391B1
KR101685391B1 KR1020150043030A KR20150043030A KR101685391B1 KR 101685391 B1 KR101685391 B1 KR 101685391B1 KR 1020150043030 A KR1020150043030 A KR 1020150043030A KR 20150043030 A KR20150043030 A KR 20150043030A KR 101685391 B1 KR101685391 B1 KR 10168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abinet
frame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412A (ko
Inventor
김용남
김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웰
김용남
김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웰, 김용남, 김창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웰
Priority to KR102015004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9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넷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넷 본체(201)의 프레임(203)에 장착되는 고정힌지(110)와, 캐비넷 본체(201)를 개폐하는 도어(202)에 장착되는 회동힌지(120)와, 상기 고정힌지(110)에 대하여 회동힌지(1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비넷 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110)는, 바디부(111)와, 상기 바디부(111)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힌지(120)의 관통홀(120a)과 연통되는 축공(113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축결합부(113)와, 제2 체결공(114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111)의 타측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커버장착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축결합부(113)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120)가 놓여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장착부(114)는 상기 힌지핀(130)에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상기 바디부(11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힌지(110)가 상기 캐비넷 본체(201)의 프레임(203)에 장착된 상태에서 캐비넷의 측면커버(205)가 상기 커버장착부(114)의 제2 체결공(114c)에 제2 장착볼트(162)에 의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캐비넷의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서 전체적인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A HINGE AND FRAME ASSEMBLY FOR CABINET}
본 발명은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힌지를 이용하여 본체의 측면커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넷의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서 전체적인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전기용 컨트롤박스(제어박스), 스위치박스, 개폐기, 전자기기, 통신기기 등[본 명세서에서는 전기전자통신기기라고 통칭함.]을 설치하기 위한 캐비넷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은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하여서 구성되고 있고, 이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을 열고 닫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를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힌지를 채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에는 측면커버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측면커버의 장착을 위해서는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장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장착한 경우에는 힌지가 외부로 모두 노출되어서 제품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해서 상품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에 있어서는 측면커버를 캐비넷 본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측면커버용 브라켓을 캐비넷 본체에 장착하고 이 장착된 브라켓에 측면커버를 취부하는 과정으로 설치하였는바, 이 경우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 공수가 증가하여 제품의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로 지적되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0842995(공고일: 2008년 07월 01일)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10-1094175(공고일: 2011년 12월 1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의 목적은,
첫째, 캐비넷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회전가능하도록 캐비넷 본체에 장착할 때에 측면커버도 함께 힌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면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인 브라켓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서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측면커버가 브라켓에 의해서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성이 아니라, 힌지를 이용하여 측면커버를 장착함으로써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그리하여 캐비넷 전체의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서 제품의 미감을 고취시켜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셋째, 고정힌지를 프레임에 장착할 때 세 부분에서 동시에 면접촉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장착을 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쉽고 빠르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고정힌지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장착 후에도 유동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장착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캐비넷 힌지는, 캐비넷 본체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힌지와, 캐비넷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는 회동힌지와, 상기 고정힌지에 대하여 회동힌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비넷 힌지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힌지의 관통홀과 연통되는 축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축결합부와, 제2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커버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축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가 놓여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장착부는 상기 힌지축에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힌지가 상기 캐비넷 본체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캐비넷의 측면커버가 상기 커버장착부의 제2 체결공에 제2 장착볼트에 의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캐비넷 힌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의 중심에는 판상형의 배면판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판상부로부터 일측으로 제1 배면절곡부가 판상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면절곡부와 대칭적으로 상기 배면판상부의 타측으로 제2 배면절곡부가 판상 절곡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전면은 프레임의 배면판상부에 밀착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프레임의 제1 배면절곡부에 면접촉되도록 제1 장착가이드면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장착부에는 프레임의 제2 배면절곡부에 면접촉되도록 제2 장착가이드면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캐비넷 힌지는, 상기 고정힌지에는 타측이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축결합부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축결합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절곡 연장부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배면과 절곡 연장부와 축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가 회동할 때 도어의 내측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요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캐비넷 힌지는, 상기 회동힌지는 축공이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서 연장된 박판형의 장착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넷 힌지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되는 장방형 판상형의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으로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1 내부 장착공이 형성된 제1 내측 장착부와, 상기 제1 내측 장착부에서 외향으로 직각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형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1 외부 장착공이 형성된 제1 외측 장착부와, 상기 제1 외측 장착부에서 수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날개부와, 상기 제1 날개부와 면접촉되도록 제1 날개부에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1 날개 중첩부와 상기 제1 외측 장착부의 외면 일부에 부분적으로 면상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날개 중첩부에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외측 중첩부와, 상기 제1 외측 중첩부에서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배면절곡부와, 상기 제1 배면절곡부로부터 내향으로 절곡된 판상체로서 일부분이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면접촉하는 배면판상부와, 상기 배면판상부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제2 배면절곡부와, 제2 외측 장착부의 외면 일부에 부분적으로 면상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배면절곡부에서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2 외측 중첩부와, 제2 날개부와 면접촉되도록 제2 외측 중첩부로부터 직각 절곡된 제2 날개 중첩부와, 상기 제2 날개 중첩부에서 180도 꺽어져서 절곡 형성되고 제2 날개 중첩부와 겹치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제2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서 내측으로 직각 절곡 형성된 면상체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2 외부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외측 중첩부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외측 장착부와, 상기 제2 외측 장착부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2 내부 장착공이 형성된 제2 내측 장착부와, 상기 제2 내측 장착부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와 면상 접촉하는 제2 수직부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형이고 상기 배면판상부의 내면의 타측에 면상 접촉하는 제2 베이스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부의 전면과 제1 장착가이드면과 제2 장착가이드면은 상기 프레임의 배면판상부와 제1 배면절곡부와 제2 배면절곡부에 각각 일대일로 면접촉되어서 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캐비넷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캐비넷 본체에 장착할 때에 측면커버도 함께 힌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면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인 브라켓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서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측면커버가 브라켓에 의해서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성이 아니라, 힌지를 이용하여 장착하고 있으므로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캐비넷 전체의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어서 제품의 미감을 고취시키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정힌지를 프레임에 장착할 때 세 부분에서 동시에 면접촉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장착을 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쉽고 빠르게 잡을 수 있고, 고정힌지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장착 후에도 유동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장착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고정힌지(1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고정힌지(1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가 캐비넷에 설치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가 캐비넷의 본체(201)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가 장착되는 프레임(203)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의 동작도로서, 도 10은 도어(202)가 닫힌 상태의 동작도이고 도 11은 도어(202)가 열린 상태의 동작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본체(201)의 프레임(203)에 장착되는 고정힌지(110)와, 캐비넷 본체(201)를 개폐하는 도어(202)에 장착되는 회동힌지(120)와, 상기 고정힌지(110)에 대하여 회동힌지(1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110)는, 바디부(111)와, 상기 바디부(111)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힌지(120)의 관통홀(120a)과 연통되는 축공(113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축결합부(113)와, 제2 체결공(114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111)의 타측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커버장착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축결합부(113)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120)가 놓여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장착부(114)는 상기 힌지핀(130)에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상기 바디부(11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힌지(110)가 상기 캐비넷 본체(201)의 프레임(203)에 장착된 상태에서 캐비넷의 측면커버(205)가 상기 커버장착부(114)의 제2 체결공(114c)에 제2 장착볼트(162)에 의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측면커버(205)에는 커버볼트공(205a)이 형성되어서 이 커버볼트공(205a)과 제2 체결공(114c)이 제2 장착볼트(162)에 의해서 볼트체결되어서 측면커버(205)가 고정힌지(110)에 장착된다.
이에 의하면, 본원발명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는 도어(202)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측면커버(205)도 함께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측면커버(205)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예컨대 브라켓(미도시)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서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측면커버(205)가 브라켓(미도시)에 의해서 프레임(203)에 장착되는 구성이 아니라, 힌지[힌지의 커버장착부(114)]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측면커버(205)의 장착에 의해서 힌지(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고, 그 결과 캐비넷 전체의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어서 제품의 미감을 고취시켜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3)의 배면의 중심에는 판상형의 배면판상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판상부(220)의 일측으로 제1 배면절곡부(218)가 판상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면절곡부(218)와 대칭적으로 상기 배면판상부(220)의 타측으로 제2 배면절곡부(238)가 판상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111)의 전면(111a)은 프레임(203)의 배면판상부(220)에 밀착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11)의 일측에는 프레임(203)의 제1 배면절곡부(218)에 면접촉되도록 제1 장착가이드면(111b)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장착부(114)에는 프레임(203)의 제2 배면절곡부(238))에 면접촉되도록 제2 장착가이드면(114b)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힌지(100)의 장착을 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잡기 쉬워서 고정힌지(110)의 장착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착후에도 위의 세 부분에서 동시에 면접촉되어서 밀착되므로 장착 후에 유동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장착 견고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고정힌지(110)가 측면커버(205)까지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장착후의 유동이나 유격 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필요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110)에는, 타측이 상기 바디부(111)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축결합부(113)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축결합부(113)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절곡 연장부(11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111)의 배면(111a')과 절곡 연장부(112)와 축결합부(113)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120)가 회동할 때 도어(202)의 내측변(202a)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20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요입공간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어(202)가 회전할 때 요입공간부(115)로 들어갈 수 있어서 도어(202)의 회전각도를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 힌지(100)에 있어서, 상기 회동힌지(120)는 축공(121a)이 형성된 힌지부(121)와, 상기 힌지부(121a)에서 연장된 박판형의 장착편(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박판형의 장착편(122)의 구성에 의해서 회동힌지(120)를 도어(202)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힌지핀(130)의 하측에는 끼움홈(13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130a)에는 끼움편(140)이 끼움결합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넷 힌지(100)와 프레임(2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3)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형의 제1 베이스부(211)와, 상기 제1 베이스부(211)로부터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수직부(212)와, 상기 제1 수직부(212)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으로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1 내부 장착공(251,255)이 형성된 제1 내측 장착부(213)와, 상기 제1 내측 장착부(213)에서 외향으로 직각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형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1 외부 장착공(252,256)이 형성된 제1 외측 장착부(214)와, 상기 제1 외측 장착부(214)에서 수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날개부(215)와, 상기 제1 날개부(215)와 면접촉되도록 제1 날개부(215)에서 반대방향으로(180 도) 절곡된 제1 날개 중첩부(216)와, 상기 제1 외측 장착부(214)의 외면 일부에 부분적으로 면상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날개 중첩부(216)에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외측 중첩부(217)와, 상기 제1 외측 중첩부(217)에서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배면절곡부(218)와, 상기 제1 배면절곡부(218)로부터 내향으로 절곡된 판상체로서 일부분이 상기 제1 베이스부(211)와 면접촉하는 배면판상부(220)와, 상기 배면판상부(220)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제2 배면절곡부(238)와, 제2 외측 장착부(234)의 외면 일부에 부분적으로 면상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배면절곡부(238)에서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2 외측 중첩부(237)와, 제2 날개부(235)와 면접촉되어서 중첩되도록 제2 외측 중첩부(237)로부터 직각 절곡된 제2 날개 중첩부(236)와, 상기 제2 날개 중첩부(236)에서 반대방향으로 꺽어져서 절곡 형성되고 제2 날개 중첩부(236)와 겹치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제2 날개부(235)와. 상기 날개부(235)에서 내측으로 직각 절곡 형성된 면상체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2 외부 장착공(254,2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외측 중첩부(237)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외측 장착부(234)와, 상기 제2 외측 장착부(234)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2 내부 장착공(253,257)이 형성된 제2 내측 장착부(233)와, 상기 제2 내측 장착부(233)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212)와 면상 접촉하는 제2 수직부(232)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형이고 상기 배면판상부(220)의 내면의 타측에 면상 접촉하는 제2 베이스부(2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3)은 상기 배면판상부(220)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베이스부(211)에는 제1 볼트공(2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볼트공(211a)과 연통하는 제1 배면 볼트공(220a)이 상기 배면판상부(2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베이스부(231)에는 제2 볼트공(2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볼트공(231a)과 연통하는 제2 배면 볼트공(220a')이 상기 배면판상부(2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힌지(110)의 바디부(111)에는 상기 제1 볼트공(211a), 제1 배면 볼트공(220a), 제2 볼트공(231a), 제2 배면 볼트공(220a')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공(11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볼트공(211a)과 제1 배면 볼트공(220a)과 제1 체결공(111c)이 제1 장착볼트(161)에 의해서 볼트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볼트공(231a)과 제2 배면 볼트공(220a')과 제1 체결공(111c)이 제1 장착볼트(161')에 의해서 볼트 체결됨으로써 고정힌지(110)가 프레임(203)에 볼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1)의 전면(111a)과 제1 장착가이드면(111b)과 제2 장착가이드면(114b)은 각각 프레임(203)의 배면판상부(220)와 제1 배면절곡부(218)와 제2 배면절곡부(238)에 각각 일대일로 면접촉되어서 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장착을 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잡기 쉬워서 고정힌지(110)의 장착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후에도 위의 3 부분에서 동시에 면접촉되어서 밀착되므로 장착 후에 유동이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장착 견고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고정힌지(110)가 측면커버(205)까지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장착 후의 유동이나 유격 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필요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캐비넷은 전기전자통신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넷 본체(201)와 도어(202)가 힌지(100)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의 완제품이 캐비넷이고, 상기 회동힌지(120)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서 도어(202)에 고정되고 도면부호 (w1)은 용접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캐비넷 힌지 110 : 고정힌지
111 : 바디부 111a : 바디부의 전면
111a' : 바디부의 배면 111b : 제1 장착가이드면
111c : 제1 체결공 112 : 절곡 연장부
113 : 축결합부 113a : 축결합부의 축공
114 : 커버장착부 114c : 제2 체결공
114b : 제2 장착가이드면 115 : 요입공간부
120 : 회동힌지 120a : 회동힌지의 관통홀
121 : 힌지부 121a : 축공
122 : 장착편 130 : 힌지핀
130a : 끼움홈 140 : 끼움편
161,161': 제1 장착볼트 162 : 제2 장착볼트
201 : 캐비넷 본체 202 : 도어
202a : 도어의 내측변 205 : 측면커버
205a : 측면커버의 커버볼트공 203 : 프레임
211 : 제1 베이스부 211a : 제1 볼트공
212 : 제1 수직부 213 : 제1 내측 장착부
214 : 제1 외측 장착부 215 : 제1 날개부
216 : 제1 날개 중첩부 217 : 제1 외측 중첩부
218 : 제1 배면절곡부 220 : 배면판상부
220a : 제1 배면 볼트공 220a' : 제2 배면 볼트공
231 : 제2 베이스부 231a : 제2 볼트공
232 : 제2 수직부 233 : 제2 내측 장착부
234 : 제2 외측 장착부 235 : 제2 날개부
236 : 제2 날개 중첩부 237 : 제2 외측 중첩부
238 : 제2 배면절곡부 251,255 : 제1 내부 장착공
252,256 : 제1 외부 장착공 253,257 : 제2 내부 장착공
254,258 : 제2 외부 장착공

Claims (3)

  1. 캐비넷 본체(201)의 프레임(203);
    상기 프레임(203)에 장착되는 고정힌지(110)와, 캐비넷 본체(201)를 개폐하는 도어(202)에 장착되는 회동힌지(120)와, 상기 고정힌지(110)에 대하여 회동힌지(1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비넷 힌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힌지(110)는,
    바디부(111)와, 상기 바디부(111)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힌지(120)의 관통홀(120a)과 연통되는 축공(113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축결합부(113)와, 제2 체결공(114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111)의 타측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커버장착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축결합부(113)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120)가 놓여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장착부(114)는 상기 힌지핀(130)에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상기 바디부(11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힌지(110)가 상기 캐비넷 본체(201)의 프레임(203)에 장착된 상태에서 캐비넷의 측면커버(205)가 상기 커버장착부(114)의 제2 체결공(114c)에 제2 장착볼트(162)에 의해서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203)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형의 제1 베이스부(211)와,
    상기 제1 베이스부(211)로부터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수직부(212)와,
    상기 제1 수직부(212)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으로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1 내부 장착공(251,255)이 형성된 제1 내측 장착부(213)와,
    상기 제1 내측 장착부(213)에서 외향으로 직각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형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1 외부 장착공(252,256)이 형성된 제1 외측 장착부(214)와,
    상기 제1 외측 장착부(214)에서 수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날개부(215)와,
    상기 제1 날개부(215)와 면접촉되도록 제1 날개부(215)에서 반대방향으로(180 도) 절곡된 제1 날개 중첩부(216)와,
    상기 제1 외측 장착부(214)의 외면 일부에 부분적으로 면상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날개 중첩부(216)에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외측 중첩부(217)와,
    상기 제1 외측 중첩부(217)에서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1 배면절곡부(218)와,
    상기 제1 배면절곡부(218)로부터 내향으로 절곡된 판상체로서 일부분이 상기 제1 베이스부(211)와 면접촉하는 배면판상부(220)와,
    상기 배면판상부(220)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제2 배면절곡부(238)와,
    제2 외측 장착부(234)의 외면 일부에 부분적으로 면상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배면절곡부(238)에서 직각으로 판상 절곡 형성된 제2 외측 중첩부(237)와,
    제2 날개부(235)와 면접촉되어서 중첩되도록 제2 외측 중첩부(237)로부터 직각 절곡된 제2 날개 중첩부(236)와, 상기 제2 날개 중첩부(236)에서 반대방향으로 꺽어져서 절곡 형성되고 제2 날개 중첩부(236)와 겹치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제2 날개부(235)와.
    상기 제2 날개부(235)에서 내측으로 직각 절곡 형성된 면상체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2 외부 장착공(254,25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외측 중첩부(237)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외측 장착부(234)와,
    상기 제2 외측 장착부(234)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된 면상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제2 내부 장착공(253,257)이 형성된 제2 내측 장착부(233)와,
    상기 제2 내측 장착부(233)로부터 판상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212)와 면상 접촉하는 제2 수직부(232)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장변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형이고 상기 배면판상부(220)의 내면의 타측에 면상 접촉하는 제2 베이스부(2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3)은 상기 배면판상부(220)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111)의 전면(111a)은 상기 프레임(203)의 배면판상부(220)에 밀착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11)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203)의 제1 배면절곡부(218)에 면접촉되도록 제1 장착가이드면(111b)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장착부(114)에는 상기 프레임(203)의 제2 배면절곡부(238))에 면접촉되도록 제2 장착가이드면(114b)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110)에는,
    타측이 상기 바디부(111)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축결합부(113)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축결합부(113)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절곡 연장부(11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111)의 배면(111a')과 절곡 연장부(112)와 축결합부(113)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120)가 회동할 때 도어(202)의 내측변(202a)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20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요입공간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KR1020150043030A 2015-03-27 2015-03-27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KR10168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30A KR101685391B1 (ko) 2015-03-27 2015-03-27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30A KR101685391B1 (ko) 2015-03-27 2015-03-27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12A KR20160115412A (ko) 2016-10-06
KR101685391B1 true KR101685391B1 (ko) 2016-12-28

Family

ID=5716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030A KR101685391B1 (ko) 2015-03-27 2015-03-27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3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355A (ja) * 1997-06-05 2000-09-19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配電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調節可能なヒン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4920B2 (en) 2001-03-07 2004-12-28 Bel-Art Products, Inc. Modular laboratory cabinet
KR101094175B1 (ko) 2010-05-07 2011-12-14 (주)디포그 간편 탈부착 도어가 취부되는 통신기기용 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355A (ja) * 1997-06-05 2000-09-19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配電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調節可能なヒ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12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117B2 (ja) ドア枠とドア扉の間の覆い隠される機構用のドアヒンジ
BR112021016327A2 (pt) Módulo de articulação e dispositivo eletrônico dobrável incluindo o mesmo
EP3627802B1 (en) Foldable mobile terminal
CN108252600B (zh) 冰箱
CN109070614B (zh) 打印机门铰链组件
JP2007522785A (ja) エンクロージャに用いられるフレーム構造体を製作するための組立てキット
KR101685391B1 (ko) 캐비넷용 프레임 및 힌지 어셈블리
CN1331433C (zh) 带有折板的构架部件
JP6010512B2 (ja) 窓ユニット
WO2017203770A1 (ja)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収納庫
JP5805491B2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2020007890A (ja) ガラスドア用挟持組立キット
TWI428502B (zh) 鉸鏈裝置
JP2014166122A (ja) 配電盤の扉構造
WO2020230521A1 (ja) ヒンジ装置
JP5421085B2 (ja) 遊技機の外枠
JP2016219645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フレーム構造
CN218934116U (zh) 铰链
JP3049483U (ja) ヒンジ
JP6239961B2 (ja) 遊技機用上部ヒンジ
CN221023530U (zh) 立柱内饰结构总成及车辆
KR101141821B1 (ko)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JP7412217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における扉体の蝶番構造
JP5445850B2 (ja) ケースの開閉構造
JP4088848B2 (ja) ドア等の窓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