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164B1 -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164B1
KR101685164B1 KR1020150007601A KR20150007601A KR101685164B1 KR 101685164 B1 KR101685164 B1 KR 101685164B1 KR 1020150007601 A KR1020150007601 A KR 1020150007601A KR 20150007601 A KR20150007601 A KR 20150007601A KR 101685164 B1 KR101685164 B1 KR 101685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communication terminal
map information
propagation model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515A (ko
Inventor
김인철
최은미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1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7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involving statistical or probabilistic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8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모르는 곳에서도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와, 신호지도 정보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FOR USING SELECTED ACCESS POINTS}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신호지도를 이용하는 위치추적을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많은 건물과 공공시설물에서 무선랜 사용률 급증으로 무선랜 환경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개수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제한된 계산 자원을 이용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수많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경우 연산 복잡도 및 연산 량이 서비스 품질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96699호(2005.10.06 공개, 휴대용 위치 추적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적인 자원을 가진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추적을 위한 연산 복잡도를 낮추고, 위치 추적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 별로 발생된 신호의 수신강도를 측정하는 통신부,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신호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와, 신호지도 정보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모르는 곳에서도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기준으로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신호지도 정보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오차를 기준으로 M개(여기서, M은 자연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서 신호지도를 이용하는 위치 추적시 연산 복잡도 및 연산 량을 낮추고, 위치 추적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선택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모듈”, “부”,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객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면, 무선통신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 등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노트북 등 프로세서와 통신모듈을 포함한 기기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정확한 위치 추적을 위하여 저장된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한다. 여기서, 신호지도 정보는 신호수집 위치 정보 및 신호수집 위치에서의 수신강도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100)가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는 위치 추정을 하는 경우, 추정하고자 하는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수신한 신호의 강도와 미리 수집해둔 신호지도 정보에 포함된 수신강도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강도가 비슷한 위치를 선택한다. 즉, 통신 단말기(100)는 수집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200a, 200b 및 200c)의 수신강도들의 집합으로부터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연산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연산 량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 계산 복잡도를 낮추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200a, 200b 및 200c)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추적의 분별력이 높은 액세스 포인트(200a, 200b 및 200c)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위치 별 수신강도의 차이가 크고, 오류가 적게 포함된 신호를 발생하는 액세스 포인트(200a, 200b 및 200c)를 설정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추적의 분별력이 높은 액세스 포인트(200a, 200b 및 200c)를 선택하기 위하여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한다. 무선신호 전파 모델은 무선신호 송신기와 수신 기기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로 거리에 따른 수신신호의 감소현상을 이용하여 위치와 무선 신호와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무선신호 전파모델의 평균 경로 손실 지수가 높고, 신호지도 정보와 무선신호 전파 모델간의 오차가 적은 액세스 포인트(200a, 200b 및 200c)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면 위치 추적의 분별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연산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한다. 통신부(110)는 액세스 포인트 별로 발생된 신호의 수신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정확한 위치추적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신호지도 정보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통신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정보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지역의 신호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20)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연산부(120)는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와, 액세스 포인트 별로 실제 수신한 수신강도인 신호지도 정보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연산부(130)는 신호지도 정보에서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액세스 포인트의 추정 위치로 결정하거나, 만약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두 지점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두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된 두 위치의 중간 지점을 각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연산부(130)는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 단말기(100)와의 거리에 따라 변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강도 정보를 선형 근사 모델로 계산하고, 선형 근사 모델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130)는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적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 별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의 예상 수신강도를 계산하여 예상 수신강도와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오차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130)는 개별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예상 수신강도와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차이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하고, 정렬된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연산부(130)는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추적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선택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10에서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한다.
우선 통신 단말기(100)는 신호지도 정보에서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액세스 포인트의 추정 위치로 결정하고, 만약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두 지점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두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된 두 위치의 중간 지점을 각 액세스 포인트의 추정 위치로 결정한다. 이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발생한 신호가 장애물로 인하여 간섭 또는/및 회절 되어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두 지점 이상 측정되기 때문이다.
도 4을 참조하면, 개별 액세스 포인트를 위치를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강도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강도를 표현하는 도면(410)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위치인 도면의 중간 지점(412)을 가상의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추정한다.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강도를 표현하는 도면(420)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위치인 도면의 끝 지점(422)을 가상의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추정한다.
제3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강도를 표현하는 도면(430)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위치가 양 끝 지점들이 되므로 두 지점의 중간 지점(432)을 가상의 제3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추정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20에서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산출한다.
무선신호 전파 모델은 실내에서 송수신 기기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무선 신호 전파 모델 중 거리에 따른 수신신호 감쇠현상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신신호 감쇠현상을 이용한 와이파이 신호세기의 감쇠식은 아래 수식 (1)과 같은 LDPL(Log Distance Path Loss) 모델을 사용한다.
Figure 112015004473042-pat00001
(1)
여기서, PL(dB) 평균 경로손실, d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 d0는 기준거리를 나타냄.
평균 경로 손실 지수(n)은 경로 손실이 거리에 대하여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는가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평균 경로 손실 지수인 n 값이 커지면 거리에 따라 신호의 분포가 급격히 변화함을 의미하고, 평균 경로 손실 지수 n 값이 작으면, 거리에 따라 신호의 변화가 적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평균 경로 손실 지수 n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 경로 손실 지수 n을 이용하여 거리에 따라 수신 강도의 변이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이는 거리에 따라 수신 강도의 변이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통신 단말기(100)까지의 거리를 더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평균 경로 손실 지수(n)를 계산하기 위하여 선형 근사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10에서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 단말기(100)와의 거리에 따라 변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강도 정보를 선형 근사 모델로 계산할 수 있다.
가상 제1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510)을 참조하면, 가상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를 점으로 표현하였고, 적용되는 선형 근사 함수를 직선으로 표현하였다. 통신 단말기(100)는 적용된 선형 근사 함수인 직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거리에 따라 수신강도의 변이가 큰 액세스 포인트로 가상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평균 경로 손실 지수(n)를 산출하기 위하여 추정된 가상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변하는 수신강도를 y=ax+b 의 형태로 변환한다. 여기서,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y=ax+b 인 형태로 가정하면 기울기 a를 이용하여 다음 수식 (2)와 같이 평균 경로 손실 지수 n 값을 계산 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4473042-pat00002
수식 (2)
여기서, d0는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로 미리 계산 가능한 값이고, d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는 값으로 가상으로 정의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와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가상 제1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510)을 참조하면, 평균 경로 손실 지수(n)을 0.1949로 산출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가상 제2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520)을 참조하면, 평균 경로 손실 지수(n)을 0.2442로 산출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가상 제3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530)을 참조하면, 평균 경로 손실 지수(n)을 -0.1810로 산출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산출된 가상의 제1 액세스 포인트 내지 제3 액세스 포인트 중 거리에 따라 수신 강도의 변이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로 기울기의 크기가 큰 가상 제2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30에서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n)를 기준으로 상위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거리에 따라 수신강도의 변이가 높은 상위 N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n)를 기준으로 선택한다. 여기서, N는 설계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임의의 수로 최종 선택할 액세스 포인트의 수의 2배 수일 수 있다.
다음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40에서 무선신호 전파모델과의 오차를 산출한다. 이는 통신 단말기(100)는 신호에 오류가 적게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위치 추적의 분별력이 더욱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기 위함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액세스 포인트 별로 실제 수신한 수신강도인 신호지도 정보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차를 계산하여 차이가 가장 적은 액세스 포인트가 오류가 적게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라 판단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신호 전파모델과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단계 S230에서 산출한 무선신호 전파모델의 평균 경로 손실 지수(n)를 적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 별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생성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생성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의 예상 수신강도를 계산하고, 예상 수신강도와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도 6의 가상 제1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를 표현한 도면(610)을 참조하면, 점선은 실제 수신강도(612)이고, 직선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한 예상 수신강도(614)이다. 두 수신강도의 차이는 음영으로 표현되어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가상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음영의 넓이가 작아 무선신호 전파모델과의 유사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로 판단할 수 있다.
가상 제2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를 표현한 도면(620)을 참조하면, 점선은 실제 수신강도(622)이고, 직선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한 예상 수신강도(624)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가상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음영의 넓이가 작아 무선신호 전파모델과의 유사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상 제3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에 따른 수신강도를 표현한 도면(630)을 참조하면, 점선은 실제 수신강도(632)이고, 직선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한 예상 수신강도(634)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가상 제3 액세스 포인트가 음영의 넓이가 매우 커서 무선신호 전파모델과의 유사도가 낮은 액세스 포인트로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50에서 액세스 포인트 별로 실제 수신한 수신강도인 신호지도 정보와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기준으로 상위 M개(여기서, M은 자연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M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N의 1/2일 수 있다. 여기서, 산출한 오차를 기준으로 M개 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는 개별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예상 수신강도와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차이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상위 M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통신단말기
200a, 200b, 200c : 액세스 포인트

Claims (11)

  1.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별로 발생된 신호의 수신강도를 측정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신호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와, 상기 신호지도 정보와 상기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는
    상기 신호지도 정보에서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액세스 포인트의 추정 위치로 결정하거나,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두 지점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두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된 두 위치의 중간 지점을 각 액세스 포인트의 추정 위치로 결정하는 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변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강도 정보를 선형 근사 모델로 계산하고, 상기 선형 근사 모델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산출하는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적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 별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의 예상 수신강도를 계산하여 상기 예상 수신강도와 상기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오차를 산출하는 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개별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상기 예상 수신강도와 상기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차이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기.
  6.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기준으로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신호지도 정보와 상기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오차를 기준으로 M개(여기서, M은 자연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지도 정보에서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액세스 포인트의 추정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 별로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두 지점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두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된 두 위치의 중간 지점을 각 액세스 포인트의 추정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무선신호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변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강도 정보를 선형 근사 모델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형 근사 모델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경로 손실 지수는 다음 수식
    Figure 112016022908765-pat00003
    ,
    여기서, 상기 d0는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상기 d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 상기 a는 상기 선형 근사 모델의 기울기임,
    에 의해 산출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신호지도 정보와 상기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값과의 오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경로 손실 지수를 적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 별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무선신호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개별 액세스 포인트의 예상 수신강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수신강도와 상기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한 오차를 기준으로 M개(여기서, M은 자연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는
    개별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상기 예상 수신강도와 상기 신호지도 정보의 수신강도와의 차이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상위 M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07601A 2015-01-15 2015-01-15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85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01A KR101685164B1 (ko) 2015-01-15 2015-01-15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01A KR101685164B1 (ko) 2015-01-15 2015-01-15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515A KR20160088515A (ko) 2016-07-26
KR101685164B1 true KR101685164B1 (ko) 2016-12-12

Family

ID=5668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601A KR101685164B1 (ko) 2015-01-15 2015-01-15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72A1 (ko) * 2019-04-09 2020-10-15 애니파이 주식회사 품질 예측 기반의 동적 무선 네트워크 품질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무선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095A (ko) * 2017-01-12 2018-07-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의 rssi를 이용한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2211847B1 (ko) * 2018-12-28 2021-02-03 국방과학연구소 경로 손실 지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1943A (ja) * 2012-04-13 2013-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測位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2014534427A (ja) * 2011-10-17 2014-12-18 コミサリア ア レネルジィ アトミーク エ オ ゼネ ルジイ アルテアナティーフCommissariat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感度が制限された受信機を用いるrss測定に基づく距離推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1746B2 (en) * 2010-07-01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positions of wireless transceivers to be add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483998B1 (ko) * 2013-06-18 2015-01-1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랜 기반 실내 위치 추정 방법, 서버 및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4427A (ja) * 2011-10-17 2014-12-18 コミサリア ア レネルジィ アトミーク エ オ ゼネ ルジイ アルテアナティーフCommissariat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感度が制限された受信機を用いるrss測定に基づく距離推定方法
JP2013221943A (ja) * 2012-04-13 2013-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測位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72A1 (ko) * 2019-04-09 2020-10-15 애니파이 주식회사 품질 예측 기반의 동적 무선 네트워크 품질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무선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515A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382B1 (ko) 핑거프린팅 측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핑거프린팅 측위 방법
EP2832162B1 (en) Locating a mobile device
US8755304B2 (en) Time of arrival based position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319418B1 (ko) 실내 위치의 지리적 좌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7380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ireless AP map
CN111912409B (zh) 可编程智能反射面辅助的多移动设备定位方法及装置
KR101213363B1 (ko) 수신신호강도의 거리추정방식에 의거하여 4개 이상의 앵커노드를 이용한 실내 무선 측위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7350945B2 (ja) 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装置
JP6681617B2 (ja) 波源位置推定装置、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7705359B (zh) 利用三维视觉重建技术的信道建模方法和装置
US9813871B2 (en) Positioning of mobile device
US102920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85164B1 (ko) 액세스 포인트 선택적 이용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69291B1 (ko) 측위모델구성장치 및 단말측위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US201901872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trajectory data
KR20190021957A (ko) 실내에서 이동하는 단말의 측위 장치 및 그 방법
KR101290910B1 (ko) 라디오 맵 구축을 위한 보로노이 테셀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인터폴레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13197704A (ja) トラフィック量予測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23711B1 (ko) 전파의 전파 경로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140119333A (ko)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KR102202950B1 (ko) 핑거프린트 측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603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642186B1 (ko) 위치 추적 방법,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914391B1 (ko) Mptcp에서 통신 경로 선택을 위한 rtt 측정 주기 변경 장치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JP6582976B2 (ja)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