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914B1 -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914B1
KR101683914B1 KR1020110026506A KR20110026506A KR101683914B1 KR 101683914 B1 KR101683914 B1 KR 101683914B1 KR 1020110026506 A KR1020110026506 A KR 1020110026506A KR 20110026506 A KR20110026506 A KR 20110026506A KR 101683914 B1 KR101683914 B1 KR 10168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gear
fixing bar
ratchet
bumper cov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525A (ko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9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28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pivotally movable
    • B25B13/34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 B25B13/36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by ratchet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앞뒤의 범퍼커버를 신속하게 해체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범퍼커버를 그립하기 위한 상단 클램프와 하단 클램프가 구성되고, 상기 상단 클램프가 일체로 부착된 래칫 핸들은 상기 하단 클램프의 회전을 선택된 일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내설된 래칫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단 클램프가 상단 클램프로부터 벌어지지 않고 고정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Clamp apparatus for dismantling of bumper cover}
본 발명은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앞뒤의 범퍼커버를 신속하게 해체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커버는 휠가드와 측면 및 하부가 연결되어 있어, 하부 해체를 위해서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상승시킨 다음 작업자가 차량 하부에서 수작업으로 하부 체결을 풀고 해체하게 된다. 이러한 범퍼커버는 플라스틱 소재의 대형 부품으로 상단과 하단을 합쳐 보통 10개 이상의 체결부를 가짐으로 인해 해체작업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범퍼커버의 해체 작업을 도시하고 있다.
최근 들어 EU를 비롯하여 한국, 일본, 중국에서 제정되고 있는 폐자동차 처리에 관한 법규는 폐자동차에서 발생되는 각종 물질에 대해 전체 중량 대비 85% 이상의 재활용, 95% 이상의 열회수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부품의 재활용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며, 그 중 단일 재질이며 비교적 해체가 쉽고 크기가 큰 범퍼의 경우 해체 후 소재 재활용을 위해 이미 많은 폐차장에서 재활용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범퍼커버의 경우 정상적인 해체를 위해서는 타이어의 선 해체 및 차량 하부의 연결 부위 해체 등의 작업이 필요함으로 인해 해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범퍼커버의 그립을 위한 상단 클램프와 하단 클램프 사이에 하단 클램프의 회전을 일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래칫 핸들을 구성하여, 범퍼커버를 풀리지 않게 그립하여 범퍼커버의 신속한 해체를 도모하는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범퍼커버를 그립하기 위한 상단 클램프와 하단 클램프가 구성되고, 상기 상단 클램프가 일체로 부착된 래칫 핸들은 상기 하단 클램프의 회전을 선택된 일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내설된 래칫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단 클램프가 상단 클램프로부터 벌어지지 않고 고정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래칫 핸들의 내측에는 제1 래칫기어 고정바와 제2 래칫기어 고정바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래칫기어 고정바 또는 제2 래칫기어 고정바는 그 사이에 배치된 고정바 조절기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래칫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래칫 기어의 회전 방향을 일 방향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래칫기어 고정바와 제2 래칫기어 고정바는 래칫 핸들에 내설된 제1 리턴 스프링 및 제2 리턴 스프링과 각기 연결 구성되어, 상기 래칫 기어에 의해 밀림시 복원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 조절기어는 래칫 핸들 외측에 설치된 래칫 기어 핸들에 의해 회전되어 제1 래칫기어 고정바 또는 제2 래칫기어 고정바를 상기 래칫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 클램프에는 범퍼커버에 타공된 고정홀에 삽입가능한 걸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 클램프에는 범퍼커버의 하부 끝단에 걸림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를 사용함에 의해 범퍼 해체시 범퍼커버의 양단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호이스트나 지게차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잡아당김으로써 범퍼커버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퍼커버 해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범퍼의 해체 작업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해체용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해체용 클램핑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해체용 클램핑 장치 요부의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해체용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범퍼커버를 해체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 일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해체용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범퍼커버를 해체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해체용 클램핑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단 클램프(10)와 하단 클램프(20) 및 래칫 핸들(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 클램프(10)와 하단 클램프(20)는 범퍼커버를 그립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단 클램프(10)의 경우 범퍼커버의 하부에 타공한 고정홀에 삽입가능한 걸고리(12)가 일측에 구비되고, 하단 클램프(20)의 경우 범퍼커버의 하부 끝단에 걸림가능한 걸림턱(22)이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범퍼커버의 하부를 그립(GRIP)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단 클램프(10)와 하단 클램프(20)의 타측에는 래칫 기어(34)를 갖는 래칫 핸들(30)의 일측이 결합된다.
즉, 상기 래칫 핸들(30)의 일측은 상단 클램프(10)와 하단 클램프(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단 클램프(10)의 경우 래칫 핸들(30)의 일면에 용접 결합되고, 하단 클램프(20)의 경우 래칫 기어(34)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35)와 결합되어 래칫 핸들(30)의 타면에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35)는 래칫 핸들(30)의 일측에 내설된 래칫 기어(34)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래칫 핸들(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이 돌출부(35)가 상기 하단 클램프(2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어서, 상기 래칫 기어(34)와 하단 클램프(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래칫 기어(34) 등의 내설을 위해 상기 래칫 핸들(30)의 일측에는 중공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32)에는 중공부(32) 바닥면에 함몰 형성된 홈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회전축부(1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래칫 기어(34), 상기 래칫 기어(34)의 회전 방향을 선택된 일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1 래칫기어 고정바(36)(혹은, 제1 고정바라고 함)와 제2 래칫기어 고정바(37)(혹은, 제2 고정바라고 함), 그리고 제1 리턴 스프링(38)과 제2 리턴 스프링(39) 및 고정바 조절기어(40)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32) 상단에는 래칫 기어(34)의 회전축부(16)를 가이드하기 위한 홀부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46)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래칫 기어(34)의 돌출부(35)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46)를 관통하여 하단 클램프(20)와 결합된다.
상기 제1 고정바(36)와 제2 고정바(37)는 각 일측이 래칫 기어(34)의 맞은편에서 래칫 핸들(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각 타측에는 중공부(32) 벽면에 고정된 제1 리턴 스프링(38)과 제2 리턴 스프링(39)이 연결 고정된다.
상기 제1 리턴 스프링(38)과 제2 리턴 스프링(39)은 각기 제1 고정바(36)와 제2 고정바(37)가 래칫 기어(34)에 의해 밀려 회전될 시 각 고정바(36,37)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 조절기어(40)의 경우 제1 고정바(36)와 제2 고정바(37)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래칫 핸들(30)의 외측에 설치된 래칫 기어 핸들(42)에 의해 회전되어 제1 고정바(36)와 제2 고정바(37)를 교대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고정바 조절기어(40)는 래칫 핸들(30)을 관통하여서 래칫 기어 핸들(42)과 동축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래칫 기어 핸들(42)에 의해 회전되어서 제1 고정바(36)와 제2 고정바(37)를 선택적으로 밀어줌으로써 래칫 기어(34)와 제1 고정바(36) 혹은 제2 고정바(37)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상기 고정바 조절기어(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바(36)를 래칫 기어(34)와 연결함에 의해 래칫 기어(34)를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제어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바(37)와 래칫 기어(34)를 연결함에 의해 래칫 기어(34)를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래칫 기어(34)는 제1 고정바(36) 또는 제2 고정바(37)의 단부에 이가 걸림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제1 고정바(36)와 제2 고정바(37)는 래칫 기어(34)의 회전방향을 선택된 일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래칫 핸들(30)은 하단 클램프(20)의 회전을 일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내설된 래칫 기어(3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범퍼커버를 그립한 하단 클램프(20)가 상단 클램프(10)로부터 벌어지지 않고 범퍼커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단 클램프(10)는 타측(걸고리 맞은편)에 래칫 기어 핸들(42)의 회전각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홈부(14)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래칫 핸들(30)은 타측(래칫 기어 핸들 맞은편)에 호이스트나 지게차 등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 고리(44)가 일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래칫 기어(34)의 회전방향을 선택된 한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범퍼커버를 그립한 하단 클램프(20)가 풀리지 않도록 하여 범퍼커버의 그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범퍼커버를 그립한 클램핑 장치를 호이스트를 통해 들어올림으로써 손쉽고 빠르게 범퍼커버를 해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범퍼커버를 해체하는 작업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일 예로 설명한다.
보통 범퍼커버는 전면이 매끄러운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클램프(10,20)를 고정할 만한 위치가 없으므로, 먼저 범퍼커버의 하부에 고정홀을 타공하고 상기 고정홀에 상단 클램프(10)의 걸고리(12)를 걸어서 고정한 다음, 하단 클램프(20)를 상단 클램프(10) 측으로 오므려서 범퍼커버 하부 끝단에 하단 클램프(20)의 걸림턱(22)을 걸림 고정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래칫 기어 핸들(42)을 돌려서 제1 고정바(36)(혹은 제2 고정바)를 밀어서 제1 리턴 스프링(38)을 압축하고 제2 고정바(37)(혹은 제1 고정바)를 래칫 기어(34)와 연결하여 하단 클램프(20)가 상단 클램프(10)로부터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렇게 하단 클램프(20)를 범퍼커버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한 다음, 지게차나 호이스트의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장착한 훅(hook)을 래칫 핸들(30)의 연결 고리(44)에 걸어서 연결하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도 6과 같이 범퍼커버를 차량으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는 범퍼커버의 좌우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로프의 인장력에 의해 클램핑 장치가 당겨질 때 하단 클램프(20)가 한쪽 방향(예컨대, 도 4의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므로 클램프(상단 클램프와 하단 클램프)가 닫히기만 하고 벌어지지 않게 되어 범퍼커버를 그립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범퍼커버의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범퍼커버의 해체 후 클램핑 장치의 그립 해제 시에는 상기 래칫 기어 핸들(42)을 반대 방향으로 돌려 하단 클램프(20)가 다른 한쪽 방향(예컨대,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하단 클램프(20)를 벌려서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지게차나 호이스트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도 7과 같이, 범퍼커버의 측면에 클램핑 장치를 연결 고정하고 다른 일반 차량의 견인 고리 등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당겨서 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범퍼커버를 해체함에 따라 차체와 결합된 다수의 체결부를 각기 해체하지 않고 범퍼커버를 차체로부터 잡아당겨서 해체함으로써 범퍼커버를 신속, 편리하게 탈거하여 해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 기술에 따라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범퍼커버를 해체하는 경우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를 이용함에 의해 범퍼 해체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10 : 상단 클램프 12 : 걸고리
14 : 가이드 홈부 16 : 회전축부
20 : 하단 클램프 22 : 걸림턱
30 : 래칫 핸들 32 : 중공부
34 : 래칫 기어 35 : 돌출부
36 : 제1 래칫기어 고정바
37 : 제2 래칫기어 고정바
38 : 제1 리턴 스프링
39 : 제2 리턴 스프링
40 : 고정바 조절기어
42 : 래칫 기어 핸들
44 : 연결 고리
46 : 커버 플레이트

Claims (5)

  1. 범퍼커버를 그립하기 위한 상단 클램프와 하단 클램프가 구성되고,
    상기 상단 클램프에는 범퍼커버에 타공된 고정홀에 삽입가능한 걸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 클램프에는 범퍼커버의 하부 끝단에 걸림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상단 클램프가 일체로 부착된 래칫 핸들은 상기 하단 클램프의 회전을 선택된 일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내설된 래칫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단 클램프가 상단 클램프로부터 벌어지지 않고 고정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 핸들의 내측에는 제1 래칫기어 고정바와 제2 래칫기어 고정바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래칫기어 고정바 또는 제2 래칫기어 고정바는 그 사이에 배치된 고정바 조절기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래칫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래칫 기어의 회전 방향을 일 방향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기어 고정바와 제2 래칫기어 고정바는 래칫 핸들에 내설된 제1 리턴 스프링 및 제2 리턴 스프링과 각기 연결 구성되어, 상기 래칫 기어에 의해 밀림시 복원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 조절기어는 래칫 핸들 외측에 설치된 래칫 기어 핸들에 의해 회전되어 제1 래칫기어 고정바 또는 제2 래칫기어 고정바를 상기 래칫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5. 삭제
KR1020110026506A 2011-03-24 2011-03-24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KR10168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06A KR101683914B1 (ko) 2011-03-24 2011-03-24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06A KR101683914B1 (ko) 2011-03-24 2011-03-24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525A KR20120108525A (ko) 2012-10-05
KR101683914B1 true KR101683914B1 (ko) 2016-12-07

Family

ID=4728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506A KR101683914B1 (ko) 2011-03-24 2011-03-24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28B1 (ko) * 2013-05-31 2014-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의 폼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34B1 (ko) * 2007-04-24 2008-08-25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 소화호스 커플링용 다목적 스패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68Y1 (ko) * 1990-09-14 1992-10-08 동해산업 주식회사 소방호스 클램프용 스패너
JPH0624867U (ja) * 1992-08-04 1994-04-05 イワブチ株式会社 ねじ締付け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34B1 (ko) * 2007-04-24 2008-08-25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 소화호스 커플링용 다목적 스패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525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132B1 (en) Fence post extractor
TWI642495B (zh) 拉桿張緊系統及彎管機
KR101683914B1 (ko)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TW201726297A (zh) 夾爪機構
KR20130058896A (ko) 파일 두부 절단장치
EP3440389B1 (en) Universal gripper
KR101683915B1 (ko)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EP2128512A2 (en) Clamp installation tool
JP2012524005A (ja) キャリアに取り付けられる保持機器および本機器の使用法
KR20170124923A (ko) 벌통 리프트 운반장치
CN207267741U (zh) 一种倒料车
CN210260851U (zh) 辙叉起吊夹具
CN114775400A (zh) 一种斜拉桥塔柱混凝土均衡输送排布装置
KR101511867B1 (ko) 거푸집 리프팅 아댑터
CN210452586U (zh) 一种大扭矩螺母锁紧装置
CN210939016U (zh) 一种带有钳爪的链条扳手
KR200451399Y1 (ko) 바이브레이터 구동용 전동기의 커넥터
CN220922280U (zh) 一种二通插装阀拉拔器
CN201950636U (zh) 卡扣拆卸装置
CN206680115U (zh) 电杆横担传吊装置
JP2017166196A (ja) 杭打機のオーガ着脱方法及びオーガ着脱用のサポート治具
CN117386070B (zh) 一种装配式预制桩的钢筋骨架
CN217807318U (zh) 一种倾倒小车
CN215669505U (zh) 一种便携式示警桩搬离器
JP3201751U (ja) 吊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