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630B1 -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 Google Patents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630B1
KR101683630B1 KR1020160055188A KR20160055188A KR101683630B1 KR 101683630 B1 KR101683630 B1 KR 101683630B1 KR 1020160055188 A KR1020160055188 A KR 1020160055188A KR 20160055188 A KR20160055188 A KR 20160055188A KR 101683630 B1 KR101683630 B1 KR 10168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rofile
core
contact
suppo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택
권송구
김동현
Original Assignee
박용택
(주)신명테크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택, (주)신명테크, 김동현 filed Critical 박용택
Priority to KR102016005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01F15/043Details of rails with multiple superimposed members; Rails provided with ski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집중시켜 소산시키면서 지주로 분산 시킬 수 있어 효과적인 에너지 소산이 가능한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 프로파일은 복합 프로파일의 일측 내측면(A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방사형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중공블록인 내부충격유도블록; 일측면(A2)이 상기 내부충격유도블록의 타측면(A21)에 접하도록 하고 타측면(A3)이 코아변형관지지부의 일측면(A31)에 접하도록 설치된 코아변형관; 및 상기 코아변형관의 타측면(A3)이 일측면(A31)에 접하면서 끼움홈부(S2)가 복합 프로파일의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코아변형관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COMPOSITE PROFILE AND COULM STRUCTURE THEREWITH}
본 발명은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집중시켜 소산시키면서 지주로 분산 시킬 수 있어 효과적인 에너지 소산이 가능한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난간용 보강파이프의 설치예시도이다.(등록실용신안 20-0195733:난간용 보강파이프)
즉, 상기 난간용 보강파이프는 도 1a와 같이 노면(3)의 측부를 따라 소정규격으로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22)에 매입되어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2)와, 상기 포스트(2)들 사이를 이 어서 1단 또는 다수 단으로 횡설되는 레일(1)로 이루어지는 난간에 사용 되는 레일파이프(1)로서; 상기 레일파이프(1)는 그 내부에 다수의 보강리브(1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리브(14)는 레일파이프(1)용 지지강도가 향상되어 파이프의 규격을 축소시킬 수 있어서 세련된 구조의 난간 제작을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강리브(14)는 레일파이프(1)의 내측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레일파이프(1) 자체의 지지강도는 증가될 수 있지만 이를 포스트(2)에 효과적으로 분산 전달하는 데는 취약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종래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의 구성사시도이다.
즉, 도 1b와 같이, 지지포스트와 가이드레일에 있어 지지포스트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완충부재(13)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등록실용신안 20-0180181: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즉, 차량이 충돌했을 때, 1차 충격은 가이드레일(11)과 완충부재(13)을 통해 흡수되도록 하고, 흡수되지 못한 2차 충격은 지지포스트(10)에 전달되도록 하되, 지지포스트(10)의 상부중공부(10a)가 찌그러지면서 흡수하도록 하고, 그 이상의 충격은 지지포스트(10)에 채워진 콘크리트 충전물(25)을 이용하여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지지포스트(10) 상단에 가이드빔(17)이 체결부재(15)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차량에 의한 충격을 속이 빈 가이드빔(17)이 지지포스트(10)에 분산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종래 충격흡수용 지주에는 레일파이프나 내부중공부를 구비한 가이드빔을 이용하여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고자 하는 기술적 구성은 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이는 가이드레일 또는 난간에 있어 사용되는 제한적인 구조로서 외부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지지강도를 효과적으로 구비하면서도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효율적인 단면구조를 가진 구조는 달리 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주 외주면에 간단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시키면서 내부 중앙으로 유도하고, 지주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유도된 충격에너지를 완충시켜 가면서 최종 지주에 전달되도록 하는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 프로파일의 일측 내측면(A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방사형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중공블록인 내부충격유도블록; 일측면(A2)이 상기 내부충격유도블록의 타측면(A21)에 접하도록 하고 타측면(A3)이 코아변형관지지부의 일측면(A31)에 접하도록 설치된 코아변형관; 및 상기 코아변형관의 타측면(A3)이 일측면(A31)에 접하면서 끼움홈부(S2)가 복합 프로파일의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코아변형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가 지주에 접하면서 설치되는 복합 프로파일을 제공하다.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의 끼움홈부(S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내측으로 고정볼트를 구성하는 볼트머리부와 볼트부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볼트가 지주에 고정되도록 하는 모멘트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멘트연결부는 끼움홈부(S2) 내측면들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된 내측지지편; 및 끼움홈부(S2)의 개방절곡부로부터 상,하로 연장된 고정플랜지와 접하면서 코아변형관지지부의 타측면과 이격되어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양 지지편;을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하도록 하되, 모멘트연결부의 양 지지편이 일측에 끼워질 수 있는 지지편연결홈(S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편연결홈(S3)의 절곡단부에는 모멘트연결부의 양 지지편의 외측을 감싸 탄성폴리머가 모멘트연결부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폴리머지지편이 형성된 탄성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아변형관은 강관을 이용하며, 내부충격유도블록, 코아변형관지지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며, 상기 탄성플리머는 고정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관통홀이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하되, 에너지 소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중공변형홈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복합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블록 상면에 설치된 지주; 상기 지주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복합 프로파일; 및 상기 지주 사이사이의 콘크리트 블록 상면에 설치된 기둥부재인 지주구조물;을 포함하여, 상기 지주구조물에 복합 프로파일을 바로 설치하지 않아 충격에너지가 지주구조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복합 프로파일은 복합 프로파일의 일측 내측면(A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방사형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중공블록인 내부충격유도블록; 일측면(A2)이 상기 내부충격유도블록의 타측면(A21)에 접하도록 하고 타측면(A3)이 코아변형관지지부의 일측면(A31)에 접하도록 설치된 코아변형관; 및 상기 코아변형관의 타측면(A3)이 일측면(A31)에 접하면서 끼움홈부(S2)가 복합 프로파일의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코아변형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가 지주에 접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의 끼움홈부(S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내측으로 고정볼트를 구성하는 볼트머리부와 볼트부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볼트가 지주에 고정되도록 하는 모멘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을 구비한 지주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은 충격에너지 소산장치로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3차에 걸쳐 소산시킬 수 있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지주에 장착할 수 있어 시공성 및 작업성이 뛰어나면서도 효과적인 충격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난간용 보강파이프의 설치예시도,
도 1b는 종래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의 설치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의 구성사시도 및 구성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과 지주의 결합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이 설치된 지주의 설치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100)의 구성사시도 및 구성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합 프로파일(100)은 중공관 부재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서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산시키게 된다.
이에 상당한 정도의 지지강도를 확보하면서도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단면구조로 형성시켜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기 복합 프로파일(100)을 내부충격유도블록(110), 코아변형관(120), 코아변형관지지부(130), 고정볼트(150) 및 탄성폴리머(160)를 포함하여 구성시키게 된다.
이에 복합 프로파일(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충격에너지가 가해지는 부위로서 일측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은 후술되는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끼움홈부(S2)가 개방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반원형으로 형성된 일측 내측면(A1)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시킨 내부충격유도블록(110)들이 형성되어 내부충격유도블록의 변형에 의한 충격에너지 소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을 위해 상기 내부충격유도블록(110)은 중공블록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 2a에 의하면 내부충격유도블록(110)은 방사형으로 제형단면(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내부중공부(S1)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충격에너지는 도 2b와 같이 복합 프로파일(100) 내부로 유도되도록 내부충격유도블록(110)들을 복합 프로파일(100) 단면중심(G)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져 배치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충격에너지는 복합 프로파일(100) 일측에 외부로부터 어느 쪽으로 가해지더라도 방사형으로 펼쳐진 내부충격유도블록(110)들에 의하여 부분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 하면서 단면중심(G)으로 충격에너지(P)를 유도하게 된다.
이에 내부충격유도블록(110)에 의하여 유도된 충격에너지는 2차적으로 코아변형관(120)에 의하여 충격에너지가 소산되도록 하면서 지주(200) 쪽으로 유도하게 된다.
즉 상기 코아변형관(120)은 도 2a와 같이 강관으로 충격에너지에 저항하도록 하되 변형되면서 역시 에너지를 소산시키면서 충격에너지를 지주(200) 쪽으로 유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코아변형관(120)은 원형 강관으로서 일측면(A2)이 내부충격유도블록(110)의 타측면(A21)에 접하도록 하고 타측면(A3)이 복합 프로파일(100)의 타측에 형성된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일측면(A31)에 접하도록 하여 지주(200)쪽으로 충격에너지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130)는 복합 프로파일(100) 타측으로부터 파여진 끼움홈부(S2)를 형성시키면서 코아변형관(120)의 타측면(A3)이 끼움홈부(S2)의 일측면(A31)에 접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130)는 복합 프로파일(100) 타측과 일체로 끼움홈부(S2)가 개방되도록 하면서 모멘트연결부(14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홈부(S2)의 개방절곡부로부터 고정플랜지(131)가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끼움홈부(S2)에는 끼움홈부(S2) 단면 형상에 따라 형성된 모멘트연결부(140)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이에 도 2a에는 상기 모멘트연결부(140)가 끼움홈부(S2) 내측면들을 따라 접하여 코아변형관지지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지주(200)쪽에 역시 전달하는 내측지지편(141); 및 역시 고정플랜지(131)와 접하면서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타측면과 이격되어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양 지지편(142);을 포함하여 타측이 외부로 개방된 끼움편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2b와 같이 상기 모멘트연결부(140)의 내측으로 고정볼트(150)를 구성하는 볼트머리부(151)와 볼트부(152) 일부를 수용하게 되고, 고정볼트(150)에 의하여 복합 프로파일(100)이 지주(200)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즉, 고정볼트(150)를 지주(200)에 고정 세팅하고, 고정볼트(150)에 모멘트연결부(140)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세팅하고,
상기 모멘트연결부(140)가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끼움홈부(S2)에 역시 끼워지도록 하여 결국 고정볼트(150)를 이용하여 복합 프로파일(100)이 지주(200)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모멘트연결부(140)라 지칭하는 이유는 고정볼트(150)는 지주(200)에 고정되어 있지만 복합 프로파일(100)과는 강결된 상태가 아니므로 휨 모멘트를 지주쪽에 전달하지 않는 기능에 의하여 지칭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프로파일(100)의 타측이 지주(200)의 외측면과 접하면서 지주(200)에 충격에너지를 최종 전달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지주(200)도 국부적인 충격에너지를 받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탄성부재로서 충격에너지를 탄성력으로 상쇄시켜 소산시키는 탄성폴리머(160)를 지주(200)와 복합 프로파일(100)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폴리머(160)는 고정볼트(150)가 관통하도록 하되, 모멘트연결부(140)의 양 지지편(142)이 일측에 끼워질 수 있는 지지편연결홈(S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편연결홈(S3)의 절곡단부에는 모멘트연결부(140)의 양 지지편(142)의 외측을 감싸 탄성폴리머(160)가 모멘트연결부(140)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폴리머지지편(16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코아변형관지지부(130)와 모멘트연결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는 탄성폴리머(160)에 의하여 완충되면서 소산되어 지주(200)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탄성플리머(160)는 고정볼트(1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관통홀(162)이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하되, 에너지 소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중공변형홈(16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100)과 지주(200) ]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100)과 지주(200)의 결합구성도와 충격에너지 전달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서 복합 프로파일(100)을 지주(200)에 고정 세팅하는 방법도 함께 설명한다.
먼저 지주(200)는 원형단면의 기둥부재로서 난간, 가이드레일, 방음터널에 있어 서로 이격되어 콘크리트블록(310)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200)에 먼저 탄성플리머(160)의 타측이 접하도록 하고, 도 2a와 같이 탄성폴리머의 수평관통홀(162)을 관통하여 고정볼트(150)를 지주(200)에 관통시켜 지주 내측에서 고정너트(153)에 의하여 탄성폴리머(160)를 먼저 지주(200)에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고정볼트(150)의 볼트머리부와 볼트부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모멘트연결부(140)를 설치하게 되며,
도 2a와 같이 이러한 모멘트연결부(140)의 양 지지편(142)에 탄성플리머(160)의 폴리머지지편(161)이 감싸지도록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즉 폴리머지지편(161)이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이를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모멘트연결부(140)의 내측지지편(141)이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끼움홈부(S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게 되며, 복합 프로파일(100)을 구성하는 코아변형관지지부(130)와 내부충격유도블록(110) 사이에 코아변형관(12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3과 같이 차량등에 의한 충격에너지(P)는
1차적으로 복합 프로파일(100)의 일측에 가해지게 되면 내부충격유도블록(110)에 의하여 에너지가 소산되면서 복합 프로파일(100)의 단면 중심(G)으로 유도되고,
2차적으로 코아변형관(120)에 의하여 유도된 충격에너지가 대부분 소산되며서 코아변형관(120)의 타측면(A3)에 접하도록 형성된 코아변형관지지부(130)로 전달된다.
이에 3차적으로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타측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끼움홈부(S2)에 끼워진 모멘트연결부(140)의 양 지지편(142)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탄성플리머(160)에 의하여 충격에너지가 완충되어 소산되면서 지주(200)에 전달된다.
이에 지주(200)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최소화시켜 지주 단면을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되고, 고정볼트(150)는 지주(200)에 고정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복합 프로파일(100)은 충격에너지 전달 방향에 따른 휨 모멘트가 지주(2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지주(200) 설치 간격 및 단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를 지주 내부에 형성시키지 않고서도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소산 및 저항 할 수 있게 된다.
[ 복합 프로파일(100)을 구비한 지주구조물(A) ]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100)이 설치된 지주구조물(A)의 설치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의 경우에는 복합 프로파일(100)이 지주(200)의 양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의 경우에는 복합 프로파일(100)이 지주(200)의 양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주(2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데, 방음터널을 예로 들면 방음터널은 통상 교량의 양 측방에 기초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콘크리트 구조물(310)이 먼저 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310) 상면에 지주(200)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지주(200)에 고정볼트(150)를 이용하여 복합 프로파일(100)을 다단으로 설치하게 된다. 물론 상,하로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경우라 볼 수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서는 3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있어 지주(200)는 콘크리트 블록구조물(310)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사이사이에 방음터널용 지주와 같은 지주구조물(300)이 더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차량등에 의하여 상기 지주구조물(300)에 직접 충돌하여 충격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면 이로서 지주구조물(300)을 일부구성으로 하는 예컨대 방음터널의 손상 및 구조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지주구조물(300)에 복합 프로파일(100)을 바로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 구조물(310) 상면에 별도로 지주(200)를 설치하고, 지주(200)에 복합 프로파일(100)을 설치하여 충격에너지가 지주구조물(30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지주(200)는 기둥구조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310) 상면의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앵커(220)고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플레이트(210) 상면에 양 플랜지가 구비된 H형 강재등과 같은 기둥부(230)를 설치하게 된다. 물론 베이스플레이트(210)와 기둥부(230)에는 보강편으로 인한 보강을 하게 된다.
이로서 지주(200) 설치는 간단하게 완료되며 베이스플레이트(210)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230)의 플랜지에는 고정볼트(1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볼트홀(240)을 형성시켜 놓게 된다.
이에 고정너트(153)를 고정볼트(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이에 고정볼트(150)를 지주(200)에 고정너트(153)가 관통하는 탄성폴리머(160)를 설치하면서, 탄성폴리머(160)의 끼움홈부(S2)에 모멘트연결부(140)를 설치하게 되고 이때 상기 모멘트연결부(140)에는 고정볼트의 볼트부(152)와 볼트머리부(151)를 수용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모멘트연결부(140)와 탄성폴리머(160)의 설치가 완료되면 모멘트연결부(140)를 코아변형관지지부(130)에 길이방향으로 끼워 넣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복합 프로파일(1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코아변형관(120)과 내부충격유도블록(110)은 미리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을 통해 서로 접하도록 세팅시켜 놓은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프로파일(100)을 구비한 지주구조물(300)은 방음터널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방호벽, 난간, 가이드레일에 있어 다양하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복합 프로파일 110: 내부충격유도블록
120: 코아변형관 130: 코아변형관지지부
140: 모멘트연결부 141: 내측지지편
142: 양 지지편 150: 고정볼트
151: 볼트머리부 152: 볼트부
154: 고정너트 160: 탄성폴리머
161: 폴리머지지편 162: 수평관통홀
163: 중공변현홈 200: 지주
210: 베이스플레이트 220: 앵커
230: 기둥부 240: 볼트홀
300: 지주구조물 S1: 내부중공부
S2: 끼움홈부 S3: 지지편연결홈

Claims (6)

  1. 복합 프로파일의 일측 내측면(A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방사형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중공블록인 내부충격유도블록(110);
    일측면(A2)이 상기 내부충격유도블록(110)의 타측면(A21)에 접하도록 하고 타측면(A3)이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일측면(A31)에 접하도록 설치된 코아변형관(120); 및
    상기 코아변형관(120)의 타측면(A3)이 일측면(A31)에 접하면서 끼움홈부(S2)가 복합 프로파일의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코아변형관지지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130)가 지주(200)에 접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끼움홈부(S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내측으로 고정볼트(150)를 구성하는 볼트머리부(151)와 볼트부(152)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볼트(150)가 지주(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모멘트연결부(140)를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멘트연결부(140)는 끼움홈부(S2) 내측면들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된 내측지지편(141); 및 끼움홈부(S2)의 개방절곡부로부터 상,하로 연장된 고정플랜지(131)와 접하면서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타측면과 이격되어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양 지지편(142);을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150)가 관통하도록 하되, 모멘트연결부(140)의 양 지지편(142)이 일측에 끼워질 수 있는 지지편연결홈(S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편연결홈(S3)의 절곡단부에는 모멘트연결부(140)의 양 지지편(142)의 외측을 감싸 탄성폴리머(160)가 모멘트연결부(140)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폴리머지지편(161)이 형성된 탄성폴리머(160);를 더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변형관(120)은 강관을 이용하며, 내부충격유도블록(110), 코아변형관지지부(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며, 상기 탄성폴리머(160)는 고정볼트(1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관통홀(162)이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하되, 에너지 소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중공변형홈(163)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복합 프로파일.
  6. 콘크리트블록(310) 상면에 설치된 지주(200);
    상기 지주(20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복합 프로파일(100); 및
    상기 지주 사이사이의 콘크리트 블록(310) 상면에 설치된 기둥부재인 지주구조물(300);을 포함하여, 상기 지주구조물(300)에 복합 프로파일(100)을 바로 설치하지 않아 충격에너지가 지주구조물(30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복합 프로파일(100)은 복합 프로파일의 일측 내측면(A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방사형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중공블록인 내부충격유도블록(110); 일측면(A2)이 상기 내부충격유도블록(110)의 타측면(A21)에 접하도록 하고 타측면(A3)이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일측면(A31)에 접하도록 설치된 코아변형관(120); 및 상기 코아변형관(120)의 타측면(A3)이 일측면(A31)에 접하면서 끼움홈부(S2)가 복합 프로파일의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코아변형관지지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130)가 지주(200)에 접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코아변형관지지부(130)의 끼움홈부(S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내측으로 고정볼트(150)를 구성하는 볼트머리부(151)와 볼트부(152)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볼트(150)가 지주(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모멘트연결부(140)를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을 구비한 지주구조물.
KR1020160055188A 2016-05-04 2016-05-04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KR101683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88A KR101683630B1 (ko) 2016-05-04 2016-05-04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88A KR101683630B1 (ko) 2016-05-04 2016-05-04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630B1 true KR101683630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188A KR101683630B1 (ko) 2016-05-04 2016-05-04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367A (zh) * 2017-04-19 2017-06-27 武汉理工大学 一种针对斜向撞击的高速公路防撞护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49B1 (ko) * 2014-05-23 2014-12-05 제국산업(주)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49B1 (ko) * 2014-05-23 2014-12-05 제국산업(주)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367A (zh) * 2017-04-19 2017-06-27 武汉理工大学 一种针对斜向撞击的高速公路防撞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68B1 (ko) 가드레일
KR101306114B1 (ko) 안전성 향상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1896278B1 (ko) 경량형 트러스 방음터널
KR101705318B1 (ko) 창호 개방 간주형 건축물 제진시스템
KR101028217B1 (ko)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이중강관형 복합제진장치
KR101112577B1 (ko) 이중 철골프레임 내진보강장치
KR200436072Y1 (ko) 조립 시설물용 기둥
KR100995937B1 (ko) 철근콘크리트건축물의 내진 보강구조
TW201400677A (zh) 可自動歸位的建築阻尼器
KR101372087B1 (ko)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KR20150021793A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KR102012883B1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683630B1 (ko) 복합 프로파일 및 이를 구비한 지주구조물
KR101612106B1 (ko) 소음 감쇄용 안전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20035538A (ko) 가드빔이 결합된 보강가드레일 및 보강가드레일 시공방법
KR101388416B1 (ko) 브레이스형 댐퍼
KR101806492B1 (ko) 내진 보강 안전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920459B1 (ko) 고장력네트의 강화지지수단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259247B1 (ko) 댐핑형 구조물
KR101854818B1 (ko) 고장력방형망과 완충범퍼를 이용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04854B1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200025362A (ko)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814902B1 (ko) 분절형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