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80B1 -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480B1
KR101683480B1 KR1020150054302A KR20150054302A KR101683480B1 KR 101683480 B1 KR101683480 B1 KR 101683480B1 KR 1020150054302 A KR1020150054302 A KR 1020150054302A KR 20150054302 A KR20150054302 A KR 20150054302A KR 101683480 B1 KR101683480 B1 KR 10168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phone
interpretation
user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747A (ko
Inventor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에스앤아이스퀘어
Priority to KR102015005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480B1/ko
Priority to PCT/KR2016/003989 priority patent/WO2016167619A1/ko
Publication of KR2016012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의 통역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로부터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통역이 수행되기 위한 음성 신호가 전달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신호는 통역된 음성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통역 음성은 음성인식 통역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음성인식 통역기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별도의 소형 장치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통역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통역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 때, 주변 소음으로 인한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인식 통역기의 마이크는 사용자 음성의 진행 방향에 기초하여 배치되어, 마이크에 의해 인식되는 음성의 크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통역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인식 통역기는 입력 또는 출력의 상황에 따라 마이크 및 스피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여, 에코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SPEECH INTERPRETER AND THE OPERATION METHOD BASED ON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통역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을 통역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고,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된 음성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전력의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지원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근거리 데이터 통신 환경 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와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 및 스피커는 위치와 사양이 제한적이므로, 잡음으로 인한 통역 대상 음성의 입력에 한계가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의해 제공되는 통역 서비스는 에코 현상으로 인해 통역 음성의 품질이 낮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일례로서, 서로 상이한 언어간의 통역을 지원하는 통역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오늘날 국가간의 비지니스, 관광 및 상호 협력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통역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 및 스피커는 위치와 사양이 제한적이므로, 통역 서비스 품질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종래의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음성이 입력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마이크가 이용되는데, 마이크의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의 특성 때문에 잡음 입력 가능성에 취약할 수 있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되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과 중첩되는 경우, 에코 현상으로 인한 잡음 입력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경우 통역 기능의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원되는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복합적인 기능이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통역 서비스만이 별도로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기에는 양질의 통역 서비스에 한계가 있고, 휴대성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동작하되, 스마트 디바이스와 분리되어 휴대성 및 양질의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음성인식 통역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908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분리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통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진행 방향에 기초하여 마이크를 배치하여, 주변 소음으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여, 명확한 통역 음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음성의 인식이 시작되는 시점과 끝나는 시점의 부정확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통역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과 통역되어 출력되는 음성이 중첩되어 발생하는 에코로 인한 통역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언어 통역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 통역기는 마이크;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 입력버튼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언어를 선택받는 제2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를 비활성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접속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언어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은 상기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역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통역 음성이 상기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는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방향은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잡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는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방향은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과 서로 직교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잡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언어 통역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명령이 수신되고, 제1 언어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마이크가 활성화되고 스피커가 비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이크에 의해 상기 제1 언어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이 상기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되고, 상기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통역 음성이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소형 및 경량화를 통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음성인식 통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소음으로 인한 잡음을 제거하여 음성 인식도가 향상된 통역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과 통역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이 중첩되어 발생하는 에코를 제거하여 통역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이 통역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 스마트 디바이스, 및 통역 서버가 연동하여 통역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이 통역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사용자(102)로부터 통역이 요구되는 음성(103)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사용자 음성(103)은 통역된 음성으로 변환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1)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된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의해 처리된 음성인 통역 음성(105)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을 구비하여 소형 및 경량화를 구현하고, 휴대하기 편하게 액세서리 형태로 제작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1)와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1)는 음성인식 통역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면 정상 동작하므로, 사용자(102)의 호주머니(pocket)에 들어 있거나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다른 물품들, 예를 들어 가방 속에 휴대될 수도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접속 가능 지역 내에서 어디든지 위치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통역이 요구되는 언어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어는 한국어, 중국어, 영어, 스페인어 등의 나라별 언어가 될 수 있고, 사용자(102)는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구비된 입력버튼을 통해 통역을 원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02)는 통역의 대상이 되는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하고,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한국어로 입력되는 음성(103)은 중국어로 통역된 음성(105)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통역된 음성의 언어를 선택받을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1)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의해 수신된 음성을 통역된 음성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역 어플리케이션이라 한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1)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일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의 통신 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1)는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포터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01)는 응용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에 기록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01)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04)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104)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은 Wifi, 2G, 3G, 4G, 5G 및 LTE등의 모바일 통신기기의 통신 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 서버는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음성을 인식, 변환, 및 합성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통역된 음성을 제공하는데,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통역서버(104)라 한다. 통역서버(104)는 통역이 요구되는 음성을, 통역된 언어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02)는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명령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102)는 통역이 요구되는 언어를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스피커를 비활성화하여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102)로부터 입력되어 통역이 요구되는 음성을 사용자 음성이라 하고,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02)에 의해 한국어로 "안녕하세요"(103)라는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입력된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입력받은 사용자 음성(103)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통역의 처리가 필요한 음성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통역 대상 음성이라 한다. 통역 대상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된 언어로 변환되는 처리가 요구되는 신호이다. 통역 대상 음성은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전송되고,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101)로부터 통역 대상 음성이 통역 서버(104)에 전송된다. 통역 대상 음성이 통역 서버(104)에 의해 변환되어 통역된 신호는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전송되고, 이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된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 처리가 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1)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통역 음성이라 하고,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수신된 통역 음성(105)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사용자(102)로부터 한국어로 된 사용자 음성(103)을 입력받아 이를 중국어로 변환하여 통역된 음성인 통역 음성(105)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통역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1)와 별도의 기기이고,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스마트 디바이스(101)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고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휴대성의 제약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01)와 별도로 분리된 소형의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휴대가 간편하여 큰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제1 입력버튼(201), 제2 입력버튼(202), 마이크(203), 스피커(204), 및 리플레이 버튼(2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고, 음성입력 및 출력기능이 수행되기 위한 외관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규격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액세서리 및 주변기기 형태일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스마트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외에도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분리된 소형의 액세서리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신체에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장치, 목걸이, 해드셋, 휴대가 간편한 가방, 팔찌, 암 밴드 및 넥 밴드 등의 경량의 소형 기기 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 블루투스로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와 별도로 분리될 수 있는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휴대가 간편한 액세서리 형태로 제공되어 관광, 여행, 조깅, 등산, 및 캠핑 등의 야외 활동에 있어서 이동성 및 휴대성 제약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음성은 통역된 음성으로 변환된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음성인식 통역기(100)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통역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구동 명령을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명령은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제1 입력버튼(201)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제1 입력버튼(201)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적인 입력없이,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이 제1 입력버튼(201)을 통해 입력되면,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블루투스의 통신 규격이 적용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의해 통역된 음성으로 변환되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 및 통역된 음성의 언어가 선택되어야 한다.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의 언어가 선택되고,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의 언어를 선택받을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추가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통역된 음성의 언어는 추가적인 버튼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입력버튼(201)을 통해 사용자 음성의 언어인 한국어를 선택하고, 통역된 음성의 언어는 추가적인 입력버튼을 통해 중국어로 선택될 수 있다. 제2 입력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사용자 음성의 언어를 제1 언어라하고, 추가적인 입력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통역된 음성의 언어를 제2 언어라 한다.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해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마이크(203)는 활성화되고, 스피커(204)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전달되고,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마이크(203)를 활성화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소형화되어 구현되고, 마이크와 스피커가 근접하여 위치되므로, 상호 음성이 중첩되지 않도록 구현될 필요가 있다. 즉,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되는 동안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중첩되어 마이크(203)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204)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다른 추가적인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다른 추가적인 입력버튼에 입력되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기 위해 마이크(203)가 활성화되고 스피커(204)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즉, 제2 입력버튼(202)과 별도의 입력버튼을 통해 마이크(203)의 활성화 및 스피커(204)의 비활성화가 수행되고,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203)를 통해 제2 언어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언어가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버튼(202)에 의해 선택되면, 마이크(203)를 통해 사용자 음성의 입력이 시작될 수 있다. 시작된 사용자 음성의 입력은 제2 입력버튼(202)에 의해 제1 언어의 선택의 유지가 해제되면 종료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해 제1 언어를 선택하고, 사용자에 의한 언어 선택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는 경우, 제1 언어의 선택이 유지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해 제1 언어의 선택의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은 제2 입력버튼(202)에 의해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시작되고, 제2 입력버튼(202)에 의한 제1 언어의 선택의 유지가 해제되면 종료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의 입력의 시작은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한 제1 언어의 선택으로 정의될 수 있고, 사용자 음성의 입력의 종료는 제2 입력버튼(202)에 의해 제1 언어 선택 유지의 해제로 정의될 수 있다. 마이크(203)에 의한 사용자 음성이 인식이 시작되는 시점 및 종료되는 시점은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한 제1 언어의 선택되는 시점 및 제2 입력버튼(202)에 의해 제1 언어 선택의 유지가 해제되는 시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언어가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버튼(202)에 의해 선택되면, 마이크(203)를 통해 사용자 음성의 입력이 시작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마이크(203)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음성의 입력이 종료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의 입력의 시작은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한 제1 언어의 선택으로 정의될 수 있고, 사용자 음성의 입력의 종료는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마이크(203)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마이크(203)에 의한 사용자 음성이 인식이 시작되는 시점 및 종료되는 시점은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한 제1 언어의 선택되는 시점 및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마이크(203)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지 않는 시점일 수 있다.
스피커(204)는 통역 음성을 출력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통역 대상 음성은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 처리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 대상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통역 서버로 전송되고, 통역 서버는 음성 인식, 번역(번역문 생성), 및 음성 합성을 수행하여 수신된 통역 대상 음성을 통역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 통역 음성은 통역 서버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고,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된다. 스피커(204)는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의해 수신된 통역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통역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의해 수신되면, 마이크(203)는 비활성화되고, 스피커(204)는 활성화될 수 있다. 통역 음성이 스피커(204)로부터 출력되는 동안 마이크(203)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어 입력과 출력이 중첩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203)에 의해 입력되거나, 통역 음성이 스피커(204)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마이크(203) 및 스피커(204)가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의해 동시에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제1 입력버튼(201) 및 제2 입력버튼(202)을 포함하고,추가적으로 리플레이(205) 기능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방식으로 마이크(203)를 통한 사용자 음성의 입력이 종료되고, 통역 음성이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통역 음성의 출력이 종료되면, 추가적인 사용자 음성의 입력이 시작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 의해 리플레이(205) 기능이 입력된다면, 추가적인 사용자 음성의 입력이 시작되지 않고, 마지막으로 출력된 통역 음성이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지막으로 출력된 통역 음성은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회되어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가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리플레이 명령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조회하여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된 통역 음성 중 마지막으로 전송된 통역 음성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통역 음성은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수신된 통역 음성을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지막으로 출력된 통역 음성은 통역 서버에 의해 조회될 수 있다. 통역 서버는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리플레이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통역 음성 중 마지막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된 통역 음성을 검색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통역 음성은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될 수 있고,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스피커(204)를 통해 수신된 통역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마이크(203), 스피커(204), 제어부(301), 입력부(302), 송수신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203) 및 스피커(20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고 통역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301)에 의해 마이크(203)는 활성화되고, 스피커(204)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통역 음성이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마이크(203)는 비활성화되고, 스피커(204)는 활성화될 수 있다.
입력부(302)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입력버튼(201), 제2 입력버튼(202), 및 리플레이(20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명령은 사용자로부터 제1 입력버튼(201)을 통해 수신된다. 제1 언어는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추가적인 언어의 선택을 위해 입력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해 제1 언어가 선택되고, 추가적인 버튼을 통해 제1 언어가 통역되는 언어인 제2 언어가 선택될 수 있다. 제2 언어는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되는 통역 음성의 언어와 동일할 수 있는데, 제2 언어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 제1 언어로 통역되기 위해 추가적인 버튼을 통해 제2 언어가 선택될 수 있다. 입력부(302)는 한국어 및 중국어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언어가 선택될 수 있는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력버튼(202)을 통해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제어부(301)에 의해 마이크(203)는 활성화되고 스피커(204)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력버튼(202)과 별도의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통해 제어부(301)는 마이크(203)는 활성화하고 스피커(204)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203)에 의해 입력되는 동안 통역 음성이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되면, 출력되는 통역 음성이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301)에 의해 마이크(203)가 활성화되면 스피커(204)는 비활성화된다.
송수신부(30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무선접속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엑스비(Xbee), Wifi, ISA100, 및 WirelessHAR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을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통역 대상 음성은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될 수 있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은 송수신부(303)에 의해 수신되고, 제어부(301)는 수신된 통역 음성을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피커(204)를 통해 통역 음성이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301)에 의해 마이크(203)는 비활성화되고 스피커(204)는 활성화된다. 제어부(301)는 통역 음성이 송수신부(303)에 의해 수신되면 마이크(203)를 비활성화하고 스피커(204)를 활성화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마이크(203)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은 마이크 증폭기(401)에 전달되어 증폭될 수 있다. 마이크 증폭기(401)에 의해 증폭된 사용자 음성은 코덱(402)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코덱(402)을 통해 변환된 신호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 될 수 있고,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전단부(405)에 의해 안테나(406)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블루투스 무선 통신 전단부(405)는 블루투스 콘트롤러(4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된 통역 음성은 블루투스 무선통신 전단부(405)에 의해 안테나(406)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블루투스 무선 통신 전단부(405)에 의한 통역 음성의 수신은 블루투스 콘트롤러(4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통역 음성은 DSP(403)에 신호 처리되고, 코덱(402)에 의해 음성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 증폭기(407)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40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03)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사용자 음성이라 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인식 통역기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음성 신호는 통역 대상 음성이라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은 통역 대상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된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통역 음성이라 한다. 음성인식 통역기에 의해 수신된 통역 음성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408)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도 통역 음성이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는 제1 마이크(501) 및 제2 마이크(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이크(501) 및 제2 마이크(502)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방향은 사용자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103)과 일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인식 통역기(100)를 이용하여 통역 기능을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에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를 향하여 전달되는 진행 방향(103)이 있을 것이고, 제1 마이크(501) 및 제2 마이크(502)는 사용자 음성이 전달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간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전면부의 양 가장자리에 제1 마이크(501) 및 제2 마이크(502)가 배치되도록 하는 간격일 수 있으나, 사용자 음성이 전달되는 방향의 지향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임의의 간격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이크(501) 및 제2 마이크(502)가 사용자 음성의 진행 방향(103)과 일치하고, 사용자 음성이 제1 마이크(50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사용자 음성이 제2 마이크(50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큰 경우,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은 제어부(30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통역 대상 음성이라 한다. 제1 마이크(501)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1 음성 신호라 하고, 제2 마이크(502)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2 음성 신호라 한다면, 제어부(301)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에 기초하여 마이크(203)에 입력되는 음성을 변환하여 통역 대상 음성을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이 103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입력된다면,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301)는 입력된 음성 신호의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부(301)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다면, 마이크(203)에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잡음으로 결정하고, 잡음으로 결정된 사용자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기 위한 변환이 수행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는 제1 마이크(601) 및 제2 마이크(6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이크(601) 및 제2 마이크(602)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방향은 사용자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103)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인식 통역기(100)를 이용하여 통역 기능을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에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를 향하여 전달되는 진행 방향(103)이 있을 것이고, 이러한 진행 방향(103)과 수직이 되는 지향성을 갖도록, 제1 마이크(601) 및 제2 마이크(602)는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간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전면부의 일 측에 제1 마이크(601) 및 제2 마이크(602)가 배치되도록 하는 간격일 수 있으나, 사용자 음성이 전달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지향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임의의 간격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이크(601) 및 제2 마이크(602)가 사용자 음성의 진행 방향(103)과 직교하고, 사용자 음성이 제1 마이크(60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사용자 음성이 제2 마이크(60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은 제어부(30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통역 대상 음성이라 한다. 제1 마이크(601)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1 음성 신호라 하고, 제2 마이크(602)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2 음성 신호라 한다면, 제어부(301)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에 기초하여 마이크(203)에 입력되는 음성을 변환하여 통역 대상 음성을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이 103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입력된다면,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클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301)는 입력된 음성 신호의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부(301)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크다면, 마이크(203)에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잡음으로 결정하고, 잡음으로 결정된 사용자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기 위한 변환이 수행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701). 통역되기 전의 사용자 음성의 언어인 제1 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702). 제1 언어가 선택되면, 마이크가 활성화되고 스피커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703).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동안 출력되는 음성과 중첩되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지 않게 하기 위해, 마이크가 활성화되는 경우 스피커가 비활성화되는 데 이러한 상태로 전환되기 위한 별도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고, 이는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마이크가 활성화되고 스피커가 비활성화되면 사용자로부터 마이크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될 수 있다(704).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은 제어부에 의해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될지 여부가 결정되고, 변환된 통역 대상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된다(705). 통역 대상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되고, 통역된 음성은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송되는데, 통역된 음성 신호를 통역 음성이라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통역 음성은 음성인식 통역기의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다(706). 수신된 통역 음성은 제어부에 의해 출력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707).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도 통역 음성이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통역기, 스마트 디바이스, 및 통역 서버가 연동하여 통역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801).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로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이 전달되고(802), 통역 어플리케이션(803)이 활성화된다.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제1 언어를 선택받을 수 있다(804).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마이크가 활성화되고 스피커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805).
사용자로부터 마이크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될 수 있다(806).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이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전송될 수 있다(807). 스마트 디바이스(101)가 무선 통신망으로 통역 서버(104)에 접속된 경우, 통역 대상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101)로부터 통역 서버(104)에 전송된다.
통역 서버(104)는 수신된 통역 대상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810)하고, 인식된 음성을 번역(811)하고, 번역된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합성하는데(812), 합성된 음성을 통역 음성(813)이라 한다.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813)은 통역 서버(104)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전송된다.
스마트 디바이스(101)가 통역 서버(104)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101)의 내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번역 처리가 수행되고, 통역 음성이 생성된다(814).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의해 수신된 통역 음성은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101)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된다.(815)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역 음성은 문자로 변환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816).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수신부에 의해 통역 음성이 수신되면, 마이크는 비활성화되고 스피커는 활성화될 수 있다(817). 제어부에 의해 통역 음성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818).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출력된 통역 음성을 재출력할지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고(819), 리플레이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리플레이 명령은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전송될 수 있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최근에 통역된 음성을 조회할 수 있다(820).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최근 통역 음성의 검색은 스마트 디바이스(101)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통역 음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통역 서버(104)에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검색된 통역 음성은 스마트 디바이스(101)로부터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821). 음성인식 통역기(100)에 의해 통역 음성이 수신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스피커를 통한 출력을 위해 마이크는 비활성화되고 스피커는 활성화될 수 있다(817).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리플레이 명령이 없는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822). 음성인식 통역기(100)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의 추가적인 입력이 결정되는 경우, 제1 언어가 선택될 수 있고(804), 상술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추가적인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음성인식 통역기(100)는 통역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823). 수신된 비활성화 명령은 음성인식 통역기(100)로부터 스마트 디바이스(101)에 전송되고, 통역 어플리케이션은 비활성화된다(82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음성인식 통역기
201 : 제1 입력버튼
202 : 제2 입력버튼
203 : 마이크
204 : 스피커

Claims (14)

  1.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언어 통역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 통역기에 있어서,
    마이크;
    스피커;
    제1 입력버튼 및 사용자로부터 제1 언어를 선택받는 제2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를 비활성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접속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언어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역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는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방향은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과 서로 직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인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하고,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을 잡음으로 결정하고, 상기 잡음으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하지 않는,
    음성인식 통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역 음성이 상기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3.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언어 통역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 통역기에 있어서,
    마이크;
    스피커;
    제1 입력버튼 및 사용자로부터 제1 언어를 선택받는 제2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를 비활성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접속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언어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역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는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방향은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인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하고,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을 잡음으로 결정하고, 상기 잡음으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하지 않는,
    음성인식 통역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 의한 상기 사용자 음성의 입력은 상기 제2 입력버튼에 의해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시작되고, 상기 제2 입력버튼에 의해 상기 제1 언어의 선택의 유지가 해제되면 종료되는,
    음성인식 통역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 의한 상기 사용자 음성의 입력은 상기 제2 입력버튼에 의해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시작되고,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종료되는,
    음성인식 통역기.
  9.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언어 통역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1 언어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마이크가 활성화되고 스피커가 비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이크에 의해 상기 제1 언어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되고, 상기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통역 음성이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접속되고,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에 포함되고,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방향은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과 서로 직교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이 디지털 신호인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될지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은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되고,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고,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은 잡음으로 결정되고, 상기 잡음으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음성은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되지 않는,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역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스피커가 활성화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11. 스마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언어 통역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1 언어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마이크가 활성화되고 스피커가 비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이크에 의해 상기 제1 언어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통역 대상 음성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언어로 통역되고, 상기 제2 언어로 통역된 통역 음성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통역 음성이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접속되고,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에 포함되고,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는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거리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방향은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 통역기에 전달되는 진행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이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이 디지털 신호인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될지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은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되고, 상기 통역 대상 음성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고,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크기의 차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은 잡음으로 결정되고, 상기 잡음으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음성은 상기 통역 대상 음성으로 변환되지 않는,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 의한 상기 사용자 음성의 입력은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시작되고, 상기 제1 언어의 선택의 유지가 해제되면 종료되는,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 의한 상기 사용자 음성의 입력은 상기 제1 언어가 선택되면 시작되고,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종료되는,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KR1020150054302A 2015-04-17 2015-04-17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KR10168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02A KR101683480B1 (ko) 2015-04-17 2015-04-17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PCT/KR2016/003989 WO2016167619A1 (ko) 2015-04-17 2016-04-18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02A KR101683480B1 (ko) 2015-04-17 2015-04-17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21A Division KR20160140535A (ko) 2016-11-24 2016-11-24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47A KR20160123747A (ko) 2016-10-26
KR101683480B1 true KR101683480B1 (ko) 2016-12-07

Family

ID=5712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02A KR101683480B1 (ko) 2015-04-17 2015-04-17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3480B1 (ko)
WO (1) WO2016167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1497B (zh) * 2017-07-28 2024-02-06 深圳市锐曼智能装备有限公司 蓝牙指尖翻译器及其翻译方法
KR102173975B1 (ko) * 2019-01-21 2020-11-04 (주)한컴인터프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통번역 방법 및 시스템
CN112770206B (zh) * 2020-12-22 2023-04-07 安徽星弘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离线机器翻译的多语种智能翻译喊话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21B1 (ko) * 2013-07-30 2014-07-22 (주)블루랩스 언어통역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언어통역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699B1 (ko) * 2000-09-30 2003-05-09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디지털 무선마이크/동시통역/회의시스템
KR20020059089A (ko) 2000-12-30 2002-07-12 이종원 근거리통신용 동시 통역시스템
JP2002245038A (ja) * 2001-02-21 2002-08-30 Ricoh Co Ltd 携帯端末装置による多国語翻訳システム
JP5206234B2 (ja) * 2008-08-27 2013-06-12 富士通株式会社 雑音抑圧装置、携帯電話機、雑音抑圧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21B1 (ko) * 2013-07-30 2014-07-22 (주)블루랩스 언어통역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언어통역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47A (ko) 2016-10-26
WO2016167619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499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289448B2 (ja) 即時翻訳システム
US10599785B2 (en) Smart sound devices and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96484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use of different microphones in a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4227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method used in the apparatus
US20170249954A1 (en) Method of improving sound quality and headset thereof
KR101683480B1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KR101619133B1 (ko) 통역용 이어셋
KR101579537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음성 인식 제어 방법
EP1662841A3 (de) Akustiksystem mit automatischer Umschaltung
EP3735646B1 (en) Using auxiliary device case for translation
EP3015975A1 (en) Steering device for a dictation machine
US20180260388A1 (en) Headset-based translation system
KR20170026786A (ko) 능동 소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보청기 시스템 및 그 보청기의 제어 장치
KR20110100013A (ko)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731840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폰 통화 방법 및 장치
KR20160140535A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인식 통역기 및 음성인식 통역기의 동작 방법
KR101573760B1 (ko) 음성 명령 실행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원격 무선 제어 시스템
CN109565627B (zh) 处理音频信号的装置和方法
JP2018185758A (ja) 音声対話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087827B1 (ko) 동시 통역/번역 기능을 겸비한 멀티 헤드셋 장치
KR102510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634133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5877B1 (ko)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 시스템
KR102075750B1 (ko) 문자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