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013A -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013A
KR20110100013A KR1020100019074A KR20100019074A KR20110100013A KR 20110100013 A KR20110100013 A KR 20110100013A KR 1020100019074 A KR1020100019074 A KR 1020100019074A KR 20100019074 A KR20100019074 A KR 20100019074A KR 20110100013 A KR20110100013 A KR 2011010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witch
voice
receiver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148B1 (ko
Inventor
장지상
윤철효
박재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148B1/ko
Priority to US13/040,055 priority patent/US8842860B2/en
Publication of KR2011010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013A/ko
Priority to US14/494,453 priority patent/US97365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성(Hearing Aids Compatibility, HAC)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치로 전달하는 제1증폭부를 포함하는 모뎀 칩;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리시버 또는 제2증폭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리시버 및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와 연결한 경우 상기 제1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리시버로 전달하는 제2증폭부; 및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제2증폭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증폭부 또는 상기 제2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보청기를 착용하는 청각 장애인에게 음성을 음질 왜곡 없이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청기 호환성(Hearing Aids Compatibility, HAC)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해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는 HAC(Hearing Aids Compatibility) 규격에 따라 관리되며, HAC 규격에는 강도(intensity),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의 항목들이 포함된다.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항목들이 요구하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여야만 HAC용 휴대 단말기로서 성능이 인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항목들 중 SNR은 음성 신호 세기 및 노이즈 정도에 따라 T1 내지 T4의 등급(T-Category 등급)으로 분류되며, T3 및 T4의 등급을 받아야 HAC용 휴대 단말기로서 성능이 인정될 수 있다.
종래에는 SNR을 향상시키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모뎀 칩(modem chip)내에 있는 리시버(RCV) 전용 증폭기의 게인(gain)을 증가시켰다. 일반적으로 모뎀 칩 내의 리시버 전용 증폭기는 출력이 비교적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게인을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경우, 신호 자체의 세기가 커지기는 하나 음질 왜곡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음질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 보청기를 착용하는 청각 장애인은 음성을 정확하게 들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HAC용 휴대 단말기에서 음질 왜곡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음성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치로 전달하는 제1증폭부를 포함하는 모뎀 칩;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리시버 또는 제2증폭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리시버 및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와 연결한 경우 상기 제1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리시버로 전달하는 제2증폭부; 및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제2증폭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증폭부 또는 상기 제2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 또는 리시버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의 음성 출력 방법은 HAC(Hearing Aids Compatibility) 모드의 'ON' 또는 'OFF' 설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에 연결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음성 출력 명령 입력 시, 상기 제1증폭부를 제어하여 전기 신호를 증폭시켜 제2증폭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증폭부를 제어하여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리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리시버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보청기를 착용하는 청각 장애인에게 음성을 음질 왜곡 없이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AC용 휴대 단말기의 T-Category 등급 결정 시, 보다 높은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를 오디오 처리부(120) 및 제어부(160)의 구성 요소들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에 있어서, HAC 모드가 'ON' 으로 설정된 경우 음성 신호의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에 있어서, HAC 모드가 'OFF' 로 설정된 경우 음성 신호의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을 출력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음성 출력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경우,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PR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성'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음(可聽音)을 의미한다. 음성은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며,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에 의해 출력된다.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이 변환된 전기 신호에 해당한다. 리시버 또는 스피커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에 해당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저장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리시버(RCV) 또는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본 발명의 음성 출력 장치를 구성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입력부(140)는 3*4 자판, Qwerty 자판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 이외에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들(통화 기능,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등)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HAC 모드를 'ON' 또는 'OFF'으로 선택하면,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HAC 모드를 'ON' 또는 'OFF'로 선택하는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 화면을 보고, 입력부(140)를 통해 HAC 모드를 'ON' 또는 'OFF'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음성 출력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제어부(160)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를 오디오 처리부(120) 및 제어부(160)의 구성 요소들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처리부(120)는 리시버(receiver)(121), 스위치(switch)(122) 및 제2증폭부(123)를 포함하며, 제어부(160)는 모뎀 칩(modem chip)(161)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모뎀 칩(161)은 제1증폭부(162)를 포함한다. 도 2는 리시버(121), 스위치(122) 및 제2증폭부(123)와 모뎀 칩(161)이 서로 다른 블록에 포함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시버(121), 스위치(122), 제2증폭부(123) 및 모뎀 칩(161)이 하나의 음성 출력 장치로서 하나의 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리시버(121)는 전기 신호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에 해당한다.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기 신호가 리시버(121)에 포함된 보이스 코일(voice coil)에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은 전기의 세기와 주파수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사람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음압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121)는 'T-COIL(텔레 코일)'을 포함하는 HAC 전용 리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일반 리시버에 해당할 수 있다. 'T-COIL'은 상기 보이스 코일에 부가된 코일로서 보이스 코일에 의해 발생된 음압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T-COIL'은 원반형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의 외곽을 감고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시버(121)는 스피커(speaker) 일체형 리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는 상황에 따라 리시버 또는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리시버(121)는 유선 헤드셋(headset),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등의 헤드셋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시버(121)는 헤드셋에서 사람의 귀에 접촉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리시버(121)가 블루투스 헤드셋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제어부(160)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며, 블루투스 헤드셋에 포함된 리시버(121)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위치(122)는 모뎀 칩(161)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리시버(121) 또는 제2증폭부(123)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치(122)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 스위치(122)는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연결하여 제1증폭부(162)가 제2증폭부(123)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HAC 모드가 'OFF'로 설정된 경우에는 스위치(122)는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연결하여 제1증폭부(162)가 리시버(121)와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HAC 모드'는 보청기 사용자에 적합한 음성을 출력하는 모드에 해당하며, HAC 모드가 'OFF'로 설정되었을 때 보다 'ON'으로 설정되었을 때 음성이 더욱 증폭되어 출력된다. 사용자는 보청기 사용 시 HAC 모드를 'ON'으로 설정하며, 일반 통화 시 HAC 모드를 'OFF'로 설정한다.
제2증폭부(123)는 제1증폭부(16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증폭부(123)는 스피커 폰 앰프(speaker phone AMP) 등 오디오 앰프(Audio AMP)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앰프(Analog AMP) 또는 디지털 앰프(Digital AMP)에 해당할 수 있다. 제2증폭부(123)는 리시버 전용인 제1증폭부(162)보다 효율이 높고 노이즈가 적은 증폭부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모뎀 칩(161)만으로 구성되는 단일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뎀 칩(161)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칩(Application Processor Chip)으로 구성되는 멀티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뎀 칩(161)은 제1증폭부(1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증폭부(162)는 리시버 전용 앰프에 해당하며, 제2증폭부(123)보다 최대 출력의 세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할 때, 리시버(121)는 스위치(122)와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통해 연결되며, 제2증폭부(123)와 제3음성 신호 라인(13)을 통해 연결된다. 리시버(121)는 스위치(122) 또는 제2증폭부(123)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위치(122)는 제1증폭부(162)와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통해 연결되며, 리시버(121)와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통해 연결되고, 제2증폭부(123)와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122)는 모뎀 칩(161)과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을 통해 연결된다. 스위치(122)는 모뎀 칩(161)으로부터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제2음성 신호 라인(12) 또는 제4음성 신호 라인(14)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스위치(122)가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제2음성 신호 라인(12)과 연결한 경우, 제1증폭부(162)는 리시버(121)와 연결되며, 제1증폭부(162)를 통해 증폭한 음성 신호를 리시버(121)로 전달하게 된다. 스위치(122)가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제4음성 신호 라인(14)과 연결한 경우, 제1증폭부(162)는 제2증폭부(123)와 연결되며, 제1증폭부(162)를 통해 증폭한 음성 신호를 제2증폭부(123)를 제어하여 다시 한 번 증폭시키고, 이를 리시버(121)로 전달하게 된다.
제2증폭부(123)는 리시버(121)와 제3음성 신호 라인(13)을 통해 연결되며, 스위치(122)와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2증폭부(123)는 모뎀 칩(161)과 제2증폭부 제어 신호 라인(16)을 통해 연결된다. 제2증폭부(123)는 모뎀 칩(161)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스위치(122)가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제4음성 신호 라인(14)과 연결한 경우, 제2증폭부(123)는 제1증폭부(162)와 연결되며, 스위치(122)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음성 신호를 증폭시켜 제3음성 신호 라인(13)을 통해 리시버(121)로 전달한다.
제1증폭부(162)는 스위치(122)와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통해 연결되며, 모뎀 칩(161)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제1증폭부(162)는 모뎀 칩(161)의 제어에 의해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치(122)로 전달한다.
모뎀 칩(161)은 스위치(122)와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122)를 제어하여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제2음성 신호 라인(12) 또는 제4음성 신호 라인(14)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모뎀 칩(161)은 제2증폭부(123)와 제2증폭부 제어 신호 라인(16)을 통해 연결되며, 제2증폭부(123)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음성 신호를 리시버(121)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 경우, 모뎀 칩(161)은 보청기에 적절한 세기의 음성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2증폭부(123)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증폭시킨다.
리시버(121), 스위치(122), 제2증폭부(123), 모뎀 칩(161), 제1증폭부(121)와 제1 내지 제4음성 신호 라인(11, 12, 13, 14),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 및 제2증폭부 제어 신호 라인(16)은 본 발명의 음성 출력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스위치(122) 및 제2증폭부(123)가 제어부(160)에 포함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음성 출력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방법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음성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모뎀 칩(161)으로 구성되며, 휴대 단말기(100)에는 HAC 모드를 'ON' 또는 'OFF'로 설정하는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HAC 모드는 미리 'ON' 또는 'OFF'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 스위치(122)는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연결한 상태를 유지하며, HAC 모드가 'OFF'로 설정된 경우, 스위치(122)는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연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301단계에서 모뎀 칩(161)은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HAC 모드가 'ON'으로 선택되는지 또는 'OFF'로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모뎀 칩(161)은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HAC 모드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HAC 모드 설정 메뉴 화면에는 HAC 모드를 'ON' 또는 'OFF'으로 설정하는 입력창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HAC 모드 설정 메뉴 화면을 확인하고, 입력부(140)를 통해 HAC 모드를 'ON' 또는 'OFF'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HAC 모드를 'ON'으로 선택하는 경우, 모뎀 칩(161)은 302단계에서 스위치(122)가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제2증폭부(123)에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모뎀 칩(161)은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을 통해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연결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스위치(122)로 전달한다. 스위치(122)는 모뎀 칩(161)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2음성 신호 라인(12)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2음성 신호 라인(12)과의 연결을 차단하고,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제4음성 신호 라인(14)에 연결한다. 만약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4음성 신호 라인(14)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 모뎀 칩(161)은 스위치(122)의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303단계에서 모뎀 칩(161)은 입력부(140) 또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음성 출력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포함한 무선 신호를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면, 모뎀 칩(161)은 음성 출력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04단계에서 모뎀 칩(161)은 음성 신호를 제1증폭부(162)를 통해 증폭시키고 제1음성 신호 라인(11) 및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통해 제2증폭부(123)로 음성 신호를 전달한다. 305단계에서 모뎀 칩(161)은 제2증폭부(123)를 제어하여 수신한 음성 신호를 증폭한다. 모뎀 칩(161)은 제2증폭부 제어 신호 라인(16)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제2증폭부(123)로 전달하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증폭부(123)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를 증폭시킨다. 306단계에서 모뎀 칩(161)은 제2증폭부(123)를 제어하여 증폭된 음성 신호를 리시버(121)로 전달한다. 이후 307단계에서 모뎀 칩(161)은 리시버(121)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에 음성 신호의 전달을 도시하는 도면에 해당한다. 도 4에서 모뎀 칩(161)은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0)을 통해 스위치(122)로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치(122)가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제1증폭부(162)는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통해 음성 신호를 스위치(122)로 전달하며, 스위치(122)는 제4음성 신호 라인(14)을 통해 음성 신호를 제2증폭부(123)로 전달한다. 모뎀 칩(161)은 제2증폭부 제어 신호 라인(16)을 통해 제2증폭부(123)로 제2증폭부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제2증폭부(123)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를 증폭하며, 제3음성 신호 라인(13)을 통해 리시버(121)로 증폭된 음성 신호를 전달한다.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 음성 신호는 효율이 높고 노이즈가 적은 제2증폭부(123)에 의해 한 번 더 증폭되기 때문에 보청기 사용자는 안정되고 음질 왜곡 없는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3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HAC 모드가 'OFF'로 선택되면, 모뎀 칩(161)은 308단계에서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리시버(121)에 연결하도록 스위치(12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모뎀 칩(161)은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을 통해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연결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스위치(122)로 전달한다. 제1음성 신호 라인(11)이 이미 제2음성 신호 라인(12)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 모뎀 칩(161)은 스위치(122)의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만약, 제1음성 신호 라인(11)이 제4음성 신호 라인(14)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 모뎀 칩(161)은 스위치(122)를 제어하여 제1음성 신호 라인(11)이 제2음성 신호 라인(12)에 연결되도록 한다.
309단계에서 모뎀 칩(161)이 음성 출력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310단계에서 모뎀 칩(161)은 제1증폭부(162)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고 제1음성 신호 라인(11) 및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통해 음성 신호를 리시버(121)로 전달한다. 리시버(121)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는 제1증폭부(162)에 의해서만 증폭된 음성 신호에 해당한다. 이어 모뎀 칩(161)은 311단계에서 리시버(121)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에 있어서, HAC 모드가 'OFF'으로 설정된 경우 음성 신호의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에서 모뎀 칩(161)은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150)을 통해 스위치(122)로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치(122)가 제1음성 신호 라인(11)과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1증폭부(162)는 제1음성 신호 라인(11)을 통해 음성 신호를 스위치(122)로 전달하며, 스위치(122)는 제2음성 신호 라인(12)을 통해 리시버(121)로 음성 신호를 전달한다.
일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HAC 모드를 'OFF'로 설정한다. 이 경우 SNR이 HAC 규격에 부합할 필요가 없으며, 음성 신호의 증폭은 제1증폭부(162)에 의한 증폭만으로도 충분하다. HAC 모드를 'OFF'로 설정함으로써, 보청기 사용자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23 : 제2증폭부
110 : 무선통신부 161 : 모뎀 칩
120 : 오디오 처리부 162 : 제1증폭부
130 : 저장부 11 : 제1음성 신호 라인
140 : 입력부 12 : 제2음성 신호 라인
150 : 표시부 13 : 제3음성 신호 라인
160 : 제어부 14 : 제4음성 신호 라인
121 : 리시버 15 : 스위치 제어 신호 라인
122 : 스위치 16 : 제2증폭부 제어 신호 라인

Claims (7)

  1.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치로 전달하는 제1증폭부를 포함하는 모뎀 칩;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리시버 또는 제2증폭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리시버 및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와 연결한 경우 상기 제1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리시버로 전달하는 제2증폭부; 및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제2증폭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증폭부 또는 상기 제2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칩은
    제1제어 신호 라인을 통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가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상기 리시버 또는 상기 제2증폭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칩은
    제2제어 신호 라인을 통해 상기 제2증폭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증폭부가 상기 제1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칩은
    HAC(Hearing Aids Compatibility) 모드의 'ON' 또는 'OFF' 설정을 판단하고, 상기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치가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와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HAC 모드가 'OFF'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치가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상기 리시버와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칩은
    상기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2제어 신호 라인을 통해 상기 제2증폭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장치.
  6.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 또는 리시버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의 음성 출력 방법에 있어서,
    HAC(Hearing Aids Compatibility) 모드의 'ON' 또는 'OFF' 설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제2증폭부에 연결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음성 출력 명령 입력 시, 상기 제1증폭부를 제어하여 전기 신호를 증폭시켜 제2증폭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증폭부를 제어하여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리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리시버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HAC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증폭부의 출력 라인을 리시버에 연결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음성 출력 명령 입력 시, 상기 제1증폭부를 제어하여 전기 신호를 증폭시켜 리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리시버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방법.
KR1020100019074A 2010-03-03 2010-03-03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607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074A KR101607148B1 (ko) 2010-03-03 2010-03-03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US13/040,055 US8842860B2 (en) 2010-03-03 2011-03-03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US14/494,453 US9736598B2 (en) 2010-03-03 2014-09-23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074A KR101607148B1 (ko) 2010-03-03 2010-03-03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013A true KR20110100013A (ko) 2011-09-09
KR101607148B1 KR101607148B1 (ko) 2016-03-30

Family

ID=4453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074A KR101607148B1 (ko) 2010-03-03 2010-03-03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842860B2 (ko)
KR (1) KR101607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55B1 (ko) * 2013-06-25 2020-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청기 호환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701495B2 (en) * 2014-08-08 2020-06-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xternal device leveraged hearing assistance and noise suppression device, method and systems
US20160142832A1 (en) * 2014-11-19 2016-05-19 Martin Evert Gustaf Hillbratt Signal Amplifier
DK3343956T3 (en) 2016-12-30 2021-05-03 Sonion Nederland Bv A circuit and a receiver comprising the circuit
CN106600948B (zh) * 2016-12-30 2019-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红外遥控装置及终端
CN106851481B (zh) * 2017-03-17 2020-06-0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Hac功放的状态控制方法、状态控制模块及控制系统
EP3661230A1 (en) * 2018-11-30 2020-06-03 GN Hearing A/S Hearing device with integrated magnetic induction coil and rf antenna
DE102019207680B3 (de) * 2019-05-24 2020-10-29 Sivantos Pte. Ltd. Hörgerät, Receiv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gerätes
KR20210035642A (ko) 2019-09-24 2021-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783A (en) * 1995-06-07 1998-02-24 Anderson; James C. Hearing aid with wireless remote processor
US6009311A (en) * 1996-02-21 1999-12-28 Etymotic Re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udio interference from cellular telephone transmissions
US7043041B2 (en) * 2000-10-04 2006-05-09 Sonionmicrotronic Nederland B.V. Integrated telecoil amplifier with signal processing
US7257372B2 (en) * 2003-09-30 2007-08-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luetooth enabled hearing aid
US7317932B2 (en) * 2004-06-23 2008-01-08 Inventec Appliances Corporation Portable phone capable of being switched into hearing aid function
KR100664564B1 (ko) 2004-12-14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계 발생 장치
KR20060095425A (ko) 2005-06-02 2006-08-31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KR20060132060A (ko) 2005-06-17 2006-12-21 주식회사 팬택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US7783067B1 (en) * 2005-08-11 2010-08-24 At&T Mobility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inductive coupling between a hearing aid operating in telecoil mode and a communication device
JP2007325042A (ja) 2006-06-02 2007-12-13 Mimii Denshi Kk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0181A1 (en) 2015-01-08
KR101607148B1 (ko) 2016-03-30
US20110216929A1 (en) 2011-09-08
US9736598B2 (en) 2017-08-15
US8842860B2 (en)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148B1 (ko) 휴대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JP5155296B2 (ja) ヘッドセットオーディオアクセサリ
US853271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udible location alarm from ear level device
TWI508056B (zh) 攜帶型音訊設備
KR101585793B1 (ko) 스마트 보청기
US20070098195A1 (en) Wireless hearing aid system and method
JP2007520943A (ja) ノイズの大きい環境における電話機の拡張された使用
JP2005504470A5 (ko)
US20110217930A1 (en)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n Ear-Level Device Functional Element
KR101122767B1 (ko)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17967A1 (en) Earpiece with voice menu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WO2022022423A1 (zh) 无线耳机的低功耗方法、装置、无线耳机及可读存储介质
US20090186579A1 (en) Wireless headset with character message outputting function and method for outputting character message
JP2012095047A (ja) 音声処理装置
KR100955501B1 (ko)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
KR100423705B1 (ko) 보청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EP3072314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KR100774072B1 (ko) 휴대폰용 블루투스헤드셋 어셈블리
TWI233741B (en) Mobile communication earphone accommodating hearing aid with volume adjus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886861B1 (ko) 보청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2195813A (ja) 電話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82420B1 (ko) 난청자용 휴대폰 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8621B1 (ko) 분리형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