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060A -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060A
KR20060132060A KR1020050052147A KR20050052147A KR20060132060A KR 20060132060 A KR20060132060 A KR 20060132060A KR 1020050052147 A KR1020050052147 A KR 1020050052147A KR 20050052147 A KR20050052147 A KR 20050052147A KR 20060132060 A KR20060132060 A KR 20060132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hearing
unit
sig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5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2060A/ko
Publication of KR2006013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HAC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보청기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보청기 특성 저장부, 상기 보청기 특성 저장부에 저장된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보청기 특성에 관련된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RF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RF회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보청기 특성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음성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각각의 보청기 특성에 맞도록 HAC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AC, 보청기, RF, 제어부, 호환성, 청각장애인,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Hearing-Aid Compatibl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청기 매개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회로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처리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단말기 20: 보청기 매개체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보청기 특성 저장부 160: 보청기 특성 측정부
170: RF 회로부 180: 음성신호처리부
172: 스위칭부 174: 일반모드 정합회로
176: 보청기모드 정합회로 178: RF 파워증폭부
182: 음역선택부 184: 음질/음압 조절부
186: 가청처리부
본 발명은 HAC(Hearing-Aids Compatibility)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청기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보청기 특성 저장부와 보청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보청기 특성 측정부를 통해 얻은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RF출력과 음성출력을 제어하여 HAC를 구현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HAC는 Hearing-Aids Compatibility의 약자로서, 보청기 호환성이라고도 하며, 청각장애인을 위한 규격을 말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5억명 이상의 인구가 HAC규격에 해당되고, 통신업체에 대한 HAC규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통신회사가 해외에 단말기를 수출하는 경우, 일부 수입국에서는 납품되는 단말기 중에서 일정수량의 단말기를 HAC규격에 맞추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HAC가 구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청각장애인이 HAC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HAC용 이어폰이나 다른 매개체를 필요로 하였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10)와 보청기 매개체(2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단말기(10)의 음성출력단자에 보청기 매개체(20)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동통신단말기(10)를 통해 나온 음성신호는 HAC가 적용된 보청기 매개체(20)를 거치면서 청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이동통신단말기 자체에 HAC가 적용되지 않았고, 청각장애인마다 각각 다른 보청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HAC규격을 적용하기 위하여 보청기 특성을 저장하는 보청기 특성 저장부와 보청기 특성을 측정하는 보청기 특성 측정부를 구비하고, 보청기 특성에 따라 RF출력과 음성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보청기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보청기 특성 저장부, 상기 보청기 특성 저장부에 저장된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보청기 특성에 관련된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RF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RF회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보청기 특성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음성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보청기를 통해 나오는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측정하기 위한 보청기 특성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청기 특성 저장부에는 상기 보청기 특성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보청기 특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RF회로부는 일반적인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모드 정합회로, 보청기 특성에 적합한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보청기모드 정합회로, 상기 보청기모드 정합회로를 통해 나온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RF 증폭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와 일반모드 정합회로를 연결시키거나, 안테나와 보청기모드 정합회로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보청기 특성에 미치는 RF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RF 증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는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음성신호의 저음역, 중음역, 고음역 중에서 하나의 음역대를 강조하기 위한 음역선택부, 상기 음역선택부로부터 나온 음성신호의 음질과 음압을 조절하기 위한 음질/음압 조절부, 상기 음질/ 음압 조절부로부터 나온 신호를 가청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가청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보청기 특성에 가장 적합한 음역대를 선택하여 강조하도록 음역선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보청기 특성 저장부(150), 보청기 특성 측정부(160), RF회로부(170), 음성신호처리부(18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 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보청기 특성 저장부(150)는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보청기 특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보청기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출시할 때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보청기 특성에 관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보청기 특성 측정부(160)는 보청기를 통해 나오는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의 보청기에 관한 세부정보(specification)가 보청기 특성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는 보청기 특성 저장부(160)를 이용하여 직접 보청기의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측정함으로써, 보청기 특성 정보를 보청기 특성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청기 특성 측정부(16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보청기 특성 저장부(150)에 저장된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보청기 특성에 관련된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RF회로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RF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음성신호처리부(18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보청기 특성 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보청기 특성에 따라 RF출력과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RF회로부(170)와 음성신호처리부(180)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회로부(170)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RF회로부(170)는 스위칭부(172), 일반모드 정합회로(174), 보청기모드 정합회로(176), RF증폭부(178)를 포함한다.
일반모드 정합회로(174)는 일반적인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보청기모드 정합회로(176)는 보청기 특성에 적합한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RF증폭부(178)는 보청기모드 정합회로(176)를 통해 나온 RF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보청기 특성에 미치는 RF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RF증폭부(178)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부(172)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와 일반모드 정합회로를 연결시키거나, 안테나와 보청기모드 정합회로(176)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칭한다. 실제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는 사용자가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된 선택창을 통해서 일반모드와 보청기모드를 선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반모드 정합회로(174)와 보청기모드 정합회로(176)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가 선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처리부(180)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음성신호처리부(180)는 음역선택부(182), 음질/음압 조절부(184), 가청처리부(1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역선택부(182)는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음성신호의 저음역, 중음역, 고음역 중에서 하나의 음역대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보청기 특성에 가장 적합한 음역대를 선택하여 강조하도록 음역선택부(182)를 제어할 수 있다.
음질/음압 조절부(184)는 음역선택부(182)로부터 나온 음성신호의 음질과 음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가청처리부(186)는 음질/음압 조절부(184)로부터 나온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대역의 신호인 가청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청각장애 인이 사용하는 각각의 보청기 특성에 맞도록 HAC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보청기 특성에 따라 RF출력 및 음성출력을 제어하여 RF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음향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바가 크고, 단말기 제조사 입장에서는 HAC규격을 만족하여 수출에 따른 규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보청기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보청기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보청기 특성 저장부;
    상기 보청기 특성 저장부에 저장된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보청기 특성에 관련된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RF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RF회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보청기 특성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음성신호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보청기를 통해 나오는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측정하기 위한 보청기 특성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청기 특성 저장부에는 상기 보청기 특성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보청기 특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회로부는
    일반적인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모드 정합회로;
    보청기 특성에 적합한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보청기모드 정합회로;
    상기 보청기모드 정합회로를 통해 나온 RF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RF증폭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와 일반모드 정합회로를 연결시키거나, 안테나와 보청기모드 정합회로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청기 특성에 미치는 RF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RF증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는
    보청기 특성 정보에 따라 음성신호의 저음역, 중음역, 고음역 중에서 하나의 음역대를 강조하기 위한 음역선택부;
    상기 음역선택부로부터 나온 음성신호의 음질과 음압을 조절하기 위한 음질/음압 조절부;
    상기 음질/음압 조절부로부터 나온 신호를 가청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가청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청기 특성에 가장 적합한 음역대를 선택하여 강조하도록 음 역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52147A 2005-06-17 2005-06-17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32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47A KR20060132060A (ko) 2005-06-17 2005-06-17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47A KR20060132060A (ko) 2005-06-17 2005-06-17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060A true KR20060132060A (ko) 2006-12-21

Family

ID=3781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147A KR20060132060A (ko) 2005-06-17 2005-06-17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20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2191B2 (en) 2006-02-24 2013-01-01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9736598B2 (en) 2010-03-03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2191B2 (en) 2006-02-24 2013-01-01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8360076B2 (en) 2006-02-24 2013-01-29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8539965B2 (en) 2006-02-24 2013-09-24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8567416B2 (en) 2006-02-24 2013-10-29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9107485B2 (en) 2006-02-24 2015-08-18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9259069B2 (en) 2006-02-24 2016-02-16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9521891B2 (en) 2006-02-24 2016-12-20 Mm&R Products, Inc.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US9736598B2 (en) 2010-03-03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8320B2 (en) Sound reproduction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20070041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al specific noise reduction algorithms
US20040131206A1 (en) User selectable sound enhancement feature
JP2010524407A (ja) 聴力損失を補償するための動的ボリューム調整及びバンドシフト
US8284975B2 (en)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CN109155802A (zh) 用于产生音频输出的装置
KR20000029682A (ko) 셀룰러폰스피커로제공되는음성신호에사용자선택주파수응답패턴을인가하는방법및장치
US8577421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KR101395329B1 (ko) 두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32060A (ko) 다양한 보청기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5163B1 (ko) 배경음악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 신호 전송방법
JP6061489B2 (ja) 電子機器及び音声調整方法
KR101087094B1 (ko) 사운드 이퀄라이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175747A (ja) 携帯通信端末機
JP2003060737A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482420B1 (ko) 난청자용 휴대폰 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9509B1 (ko)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JPH10327499A (ja) 音質切換回路及び音質切換回路搭載電話機
JP5316442B2 (ja) 携帯電話機、スピーカ出力制御方法およびスピーカ出力制御プログラム
KR100700595B1 (ko) 청각특성 변경을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32319B1 (ko) 음성 변조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62427B1 (ko) 개선된 음질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0499B1 (ko) 보청기 호환성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39607A (ko) 벨소리 제어 방법
KR101114123B1 (ko) 오디오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