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25B1 -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3425B1 KR101683425B1 KR1020160064685A KR20160064685A KR101683425B1 KR 101683425 B1 KR101683425 B1 KR 101683425B1 KR 1020160064685 A KR1020160064685 A KR 1020160064685A KR 20160064685 A KR20160064685 A KR 20160064685A KR 101683425 B1 KR101683425 B1 KR 101683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heat
- plate
- frame
- drying
- laund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10908 plant waste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4056 waste incin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4 chemical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 B09B3/008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소각과정에서 발생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폐열을 활용하여 농업 부산물을 건조함으로써, 석탄, 석유 및 가스와 같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자원의 생성 준비를 하는 한편, 자원의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투입구(11) 및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피건조물 이송장치(20);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전동장치(30);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내부로 소각장의 폐열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폐열공급장치(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투입구(11) 및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피건조물 이송장치(20);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전동장치(30);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내부로 소각장의 폐열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폐열공급장치(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소각과정에서 발생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폐열을 활용하여 농업 부산물을 건조함으로써, 석탄, 석유 및 가스와 같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자원의 생성 준비를 하는 한편, 자원의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이다.
건조란 농산물의 경우, 저장성 및 가공성 향상을 위해 농산물 내부 수분을 외부로 증발시키는 것으로 건조 중 수분 이동 속도인 건감율에 따라 농산물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현재 국내에는 주로 곡류 건조를 위한 순환식 및 연소식 건조기 대부분을 차지하고 곡류 이외 고추, 버섯 등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가 보급되어 있다. 곡류용 건조기는 곡류의 산물밀도가 500 kg/m3 이상으로 커서 자중에 의한 낙하현상을 원료 이송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고추, 버섯 등 농산물은 산물밀도가 작아 자중에 의한 이송이 어려워 상자에 담아 건조를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렇게 산물밀도가 작은 원료는 상자에 담아 건조를 행하는 방식으로 처리량이 작고, 적재 위치에 따라 건조속도가 달라지고, 건조작업에 많은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산물밀도가 작은 음식물 쓰레기, 농업 부산물 등을 대량,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10-0283682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함)에는 "열풍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제1회전통, 제2회전통과 제3회전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의 가이드롤러(12)(1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모터(13)와 연결된 체인벨트(A)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14)(14')가 제1회전통의 타측 외주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2회전통과 제3회전통의 내,외주면에 교반날개(19b)(19c)(20b)(20c)가 형성되어 있으며, 호퍼(3)(25)로 투입된 폐기물이 버너(2)(24)의 열풍에 의해서 건조되어 건조된 폐기물이 토출구(17)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건조기가 설치된 열풍건조장치에 있어서, 가열기(1)에 건조기(11)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있고, 상기 건조기(11)의 토출구(17)에 유입구(21)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싸이클론의 원심력집진기(22)를 연결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문헌 1은 음식물 쓰레기 및 농산물 슬러지를 건조시키면서 자원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중이나 3중으로 형성한 가열기에 의해 연소되는 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 가열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가열기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3중의 회전통으로 형성된 건조기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와류하면서 진행하도록 하여 내부의 제3 회전통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의 증발 및 악취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회전통에서는 건조물의 함수율이 균일해지도록 하고, 싸이클론의 원심력 집진기를 최종적으로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건조물의 수분함량이 60% ∼10% 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시간당 2 톤∼ 10 톤 까지 음식물 쓰레기 및 농산물 슬러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건조처리에 요구되는 열에너지를 화학원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만큼 생산원가가 과다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농업 부산물 등과 같은 폐자원을 대량, 연속적으로 건조하는 장치를 개발하되, 건조 시 필요한 에너지를 쓰레기 소각장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하여 보다 경제적인 연료 자원을 생산하는 건조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는,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투입구(11) 및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피건조물 이송장치(20);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전동장치(30);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로 소각장의 폐열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폐열공급장치(40)가 형성되고,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20)는 상기 전동장치(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체인(23);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23)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다공판(25)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판(25)은 이웃하는 다공판과 맞닿는 면에 자석(29)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공판과의 틈새로 피건조물이 낙오되지 않도록 무한궤도의 평행구간에서는 서로 부착되고, 회전구간에서는 서로 분리됨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이 일정높이로 적재될 수 있도록 퇴적물높이 조절판(15)이 형성되되,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은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한편, 그 위치가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 상에 위치되어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피건조물이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 하측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피건조물의 적재 높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20)는 상기 전동장치(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체인(23);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23)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다공판(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판(25)은 상기 폐열공급장치로 공급된 폐열이 상기 다공판 상측에 적재된 피건조물 사이로 통과될 수 있도록, 그 외면에 폐열이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27)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27)은 상형하광의 형태로 형성되어 폐열은 통과되는 한편, 피건조물은 상기 통공을 통해 낙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폐열공급장치(40)는 폐열을 이송하는 송풍기(41), 상기 송풍기로부터 폐열을 배출하는 덕트(43)를 포함하되, 상기 덕트는 그 출구가 상기 다공판 하측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다공판 상측에 적재된 피건조물 사이에 고온의 폐열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15)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51),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볼트(B)로 결합되는 한편, 그 외면에 복수개의 볼트결합홀(154)이 형성되어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153)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153) 일측에는 탄성재질에 유도판(155)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음식물 쓰레기 또는 농업 부산물 등과 같이 산물밀도가 작아서 대량 연속식 건조처리가 불가능한 피건조물을 강제로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작업이 가능해져 대량 연속적인 건조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건조 처리 시 요구되는 에너지를 전기 또는 화석 에너지가 아닌 쓰레기 소각 시 발생되는 폐열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함으로서 폐에너지 활용 및 제품의 생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현재 대부분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 및 농업부산물의 건조소요 비용을 대폭 절감시켜 연소용 연료로의 재활용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다공판을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도 3의 다공판 측면에 형성된 자석을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도 2의 퇴적물 높이 조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퇴적물 높이 조절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퇴적물 높이 조절판의 작동을 나타낸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다공판을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도 3의 다공판 측면에 형성된 자석을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도 2의 퇴적물 높이 조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퇴적물 높이 조절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퇴적물 높이 조절판의 작동을 나타낸 상세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음식물 쓰레기 및 농업 부산물 등 고함수율의 원료는 건조 시 수분 감소로 중량이 급속하게 작아진다. 건조작업 시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풍의 흐름과 동시에 피건조물의 흐름이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농업 부산물 등은 산물밀도가 작아서 자중에 의한 흐름이 불가능하여 연속적인 건조작업 및 대량 건조처리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산물밀도가 작은 원료를 대량 연속적으로 건조처리 하기 위해 피건조물을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장치를 도 1 및 2와 같이 구성하였다.
먼저, 상기 건조장치는 투입구(11) 및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10);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피건조물 이송장치(20);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전동장치(30);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로 소각장의 폐열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폐열공급장치(40)를 포함한다.
피건조물 이송장치(20)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전동장치(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체인(23);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23)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다공판(2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공판(25)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폐열공급장치로 공급된 폐열이 상기 다공판 상측에 적재된 피건조물 사이로 통과될 수 있도록, 그 외면에 폐열이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27)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은 상형하광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폐열은 통과되는 한편, 피건조물은 상기 통공을 통해 낙오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다공판(25) 측면에는, 도 4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다공판과의 틈새로 피건조물이 낙오되지 않도록 자석(29)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다공판 간의 틈새를 봉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23) 하측에는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과 접촉되게 롤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동장치(30)는 전동기(31),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용 체인(33), 상기 전동용 체인에 연결되어 전달받은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체인 스프라켓(3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인 스프라켓(35)은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과 동축을 공유한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폐열공급장치(40)는 폐열을 이송하는 송풍기(41), 상기 송풍기로부터 폐열을 배출하는 덕트(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덕트는 그 출구가 상기 다공판 하측과 접촉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다공판 상측에 적재된 피건조물 사이에 고온의 폐열을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0) 상부에는 폐열 배출구(17)가 형성되는 한편, 흡입용 송풍기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다공판 상에 적재된 피건조물에 열을 전달한 후 냉각된 폐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 내부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건조공기실(19)에는 상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폐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8)가 형성됨으로써, 공급되는 폐열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이 일정높이로 적재될 수 있도록 퇴적물높이 조절판(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되, 그 위치가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 상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피건조물이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 하측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피건조물의 적재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15)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51),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볼트(B)로 결합되는 한편, 그 외면에 복수개의 볼트결합홀(154)이 형성되어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153)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153) 일측에는 탄성재질에 유도판(155)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도판의 길이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길이의 합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결합과는 상관없이 항상 상기 프레임의 천장부와 맞닿는 한편, 길이차이 및 탄성재질로 인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판은 상기 프레임의 천장부를 통해 곡률을 형성함으로써, 도 7을 참조하면, 적재되어 이송되는 피건조물중 상기 유도판과 충돌되는 피건조물이 저항없이 유도판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다공판 상으로 재투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다공판 상에 적재된 피건조물은 제한된 높이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상기 유도판은 별도의 저항력 없이 피건조물을 제한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더불어, 건조가 진행된 피건조물은 우측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13)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배출된다.
또한, 효과적인 건조작업을 위해서 퇴적물높이 조절판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폭 방향으로 피건조물 전개가 가능한 회전형 롤러 또는 스크류장치 형태로 구성한다.
아울러, 어태치먼트 체인과 다공판을 사용한 건조장치 방식에서 건조 공기실과 어태치먼트 체인 롤러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폐열의 유출을 막는 폐열 누출 방지용 막판(29)을 사용하였다. 폐열 누출 방지용 막판은 측면으로는 움직이는 어테치먼트 체인 롤러 부분, 상부로는 다공판과 건조 공기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기밀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금속소재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목재,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해야 하고, 특히 휘어지는 기능이 있는 솔(브러시)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부분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이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는 농업 부산물을 청구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 또는 열분해 처리과정을 통해 자원화 될 수 있는 물질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활용한 음식물 쓰레기 및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실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폐열을 활용한 음식물 쓰레기 및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를 사용한 건조 처리 실험 결과를 정리 한 것을 표 2에 나타냈다.
농업 부산물의 경우 풍량 70 ~ 100 m3/min., 건조공기 온도는 105℃ ~ 110℃, 처리시간 0.42 ~ 0.83시간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표 2에서 건조속도는 49.11 ~ 105.86 %/hr, 건조능력은 119.1 ~ 120.5 kg/hr로 나타나 소각장 폐열을 활용하여 대량 연속적인 건조작업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풍량 (m3/min.) |
투입량 (kg) |
건조시간 (hr) |
투입함수율 (%, wb) |
건조후함수율 (%, wb) |
건조 속도 (%/hr) |
건조 능력 (kg/hr) |
건조공기온도 (℃) |
70 | 50 | 0.42 | 45.31 | 1.75 | 103.71 | 119.1 | 110 |
100 | 50 | 0.42 | 45.31 | 0.85 | 105.86 | 119.1 | 105 |
100 | 100 | 0.83 | 41.85 | 1.09 | 49.11 | 120.5 | 110 |
<농업부산물 원료의 건조실험 결과>
* 건조속도 = (투입함수율 건조후 함수율)/건조
* 건조능력 = 투입량/건조시간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투입구
13 : 배출구 15 : 퇴적물 높이 조절판
17 : 폐열 배출구 18 : 온도센서
19 : 건조 공기실 20 : 피건조물 이송장치
21 :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 23 : 어태치먼트 체인
25 : 다공판 30 : 전동장치
31 : 전동기 33 : 전동용 체인
35 : 체인 스프라켓 40 : 폐열공급장치
41 : 송풍기 43 : 덕트
13 : 배출구 15 : 퇴적물 높이 조절판
17 : 폐열 배출구 18 : 온도센서
19 : 건조 공기실 20 : 피건조물 이송장치
21 :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 23 : 어태치먼트 체인
25 : 다공판 30 : 전동장치
31 : 전동기 33 : 전동용 체인
35 : 체인 스프라켓 40 : 폐열공급장치
41 : 송풍기 43 : 덕트
Claims (7)
-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투입구(11) 및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피건조물 이송장치(20);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전동장치(30);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로 소각장의 폐열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폐열공급장치(40)가 형성되고,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20)는 상기 전동장치(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 스프라켓(21)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체인(23); 상기 어태치먼트 체인(23)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다공판(25)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판(25)은 이웃하는 다공판과 맞닿는 면에 자석(29)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공판과의 틈새로 피건조물이 낙오되지 않도록 무한궤도의 평행구간에서는 서로 부착되고, 회전구간에서는 서로 분리됨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이 일정높이로 적재될 수 있도록 퇴적물높이 조절판(15)이 형성되되,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은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한편, 그 위치가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 상에 위치되어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피건조물이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 하측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피건조물의 적재 높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25)은 상기 폐열공급장치로 공급된 폐열이 상기 다공판 상측에 적재된 피건조물 사이로 통과될 수 있도록, 그 외면에 폐열이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27)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27)은 상형하광의 형태로 형성되어 폐열은 통과되는 한편, 피건조물은 상기 통공을 통해 낙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열공급장치(40)는 폐열을 이송하는 송풍기(41),
상기 송풍기로부터 폐열을 배출하는 덕트(43)를 포함하되,
상기 덕트는 그 출구가 상기 다공판 하측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다공판 상측에 적재된 피건조물 사이에 고온의 폐열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높이 조절판(15)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51),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볼트(B)로 결합되는 한편, 그 외면에 복수개의 볼트결합홀(154)이 형성되어 상기 피건조물 이송장치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153)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153) 일측에는 탄성재질에 유도판(155)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685A KR101683425B1 (ko) | 2016-05-26 | 2016-05-26 |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685A KR101683425B1 (ko) | 2016-05-26 | 2016-05-26 |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3425B1 true KR101683425B1 (ko) | 2016-12-08 |
Family
ID=5757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4685A KR101683425B1 (ko) | 2016-05-26 | 2016-05-26 |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342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7433B1 (ko) * | 2017-04-18 | 2017-11-1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고체연료화 제조방법 및 시스템 |
CN114674132A (zh) * | 2022-03-29 | 2022-06-28 | 南通捷茜纺织科技有限公司 | 一种均匀节能型纺织布料烘干设备 |
KR20220094237A (ko) | 2020-12-28 | 2022-07-06 | 탑스이앤씨 주식회사 | 농축산 부산물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0922A (en) * | 1982-09-28 | 1985-01-01 | Gorodetsky Alexandr A | Apparatus for drying and calcinating coated welding electrodes with the use of induction heating |
JPH06243133A (ja) * | 1993-02-18 | 1994-09-02 | Canon Inc | 文書処理装置 |
KR100283682B1 (ko) | 1998-07-14 | 2001-03-02 | 조정래 | 열풍건조장치 |
KR100724277B1 (ko) * | 2006-04-07 | 2007-06-04 | 이동완 |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 및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
KR101524568B1 (ko) * | 2015-01-02 | 2015-06-01 |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를 위한 석탄 공급 장치 |
-
2016
- 2016-05-26 KR KR1020160064685A patent/KR1016834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0922A (en) * | 1982-09-28 | 1985-01-01 | Gorodetsky Alexandr A | Apparatus for drying and calcinating coated welding electrodes with the use of induction heating |
JPH06243133A (ja) * | 1993-02-18 | 1994-09-02 | Canon Inc | 文書処理装置 |
KR100283682B1 (ko) | 1998-07-14 | 2001-03-02 | 조정래 | 열풍건조장치 |
KR100724277B1 (ko) * | 2006-04-07 | 2007-06-04 | 이동완 |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 및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
KR101524568B1 (ko) * | 2015-01-02 | 2015-06-01 |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분진 감소를 위한 석탄 공급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7433B1 (ko) * | 2017-04-18 | 2017-11-1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고체연료화 제조방법 및 시스템 |
KR20220094237A (ko) | 2020-12-28 | 2022-07-06 | 탑스이앤씨 주식회사 | 농축산 부산물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
CN114674132A (zh) * | 2022-03-29 | 2022-06-28 | 南通捷茜纺织科技有限公司 | 一种均匀节能型纺织布料烘干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3425B1 (ko) |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농업 부산물 건조장치 | |
CN201680685U (zh) | 烘干机 | |
CN201653105U (zh) | 一种利用烟道气余热的干燥设备 | |
CN103919249A (zh) | 一种果蔬烘干机 | |
CN205398435U (zh) | 一种链板式干燥机及污泥干燥炭化装置 | |
JP2012188702A (ja) | 塊成物の乾燥装置および乾燥塊成物の製造方法 | |
CN2088675U (zh) | 链板输送热风循环干燥机 | |
KR200196148Y1 (ko) |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 |
CN213835014U (zh) | 一种低温带式污泥干燥装置 | |
CN213238321U (zh) | 一种生物质颗烘干除湿装置 | |
CN218372073U (zh) | 一种隧道窑置顶式污泥烘干系统 | |
CN218185160U (zh) | 加料机热风控制系统及烟草加工系统 | |
CN205066339U (zh) | 一种适用于药渣烘干颗粒成型的系统 | |
KR101932677B1 (ko) | 연속식 슬러지 건조기 | |
CN215447226U (zh) | 一种膨润土烘干机内部结构 | |
CN205843292U (zh) | 一种带有多层输送装置的微波烘干设备 | |
JP6635464B2 (ja) | バンド式乾燥機の被乾燥物付着防止方法及びバンド式乾燥機 | |
CN101776383B (zh) | 干燥机 | |
KR20060117617A (ko) | 폐기물 건조장치 | |
CN210036121U (zh) | 电气自动化湿料烘干机 | |
KR101549488B1 (ko) | 인라인형 숯 건조장치 | |
CN207095206U (zh) | 一种农药生产用烘干机 | |
CN215337586U (zh) | 一种生物质烘干系统 | |
CN209872867U (zh) | 生物质炭成型及烘干系统 | |
CN203776116U (zh) | 一种果蔬烘干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