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974B1 -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974B1
KR101682974B1 KR1020150037365A KR20150037365A KR101682974B1 KR 101682974 B1 KR101682974 B1 KR 101682974B1 KR 1020150037365 A KR1020150037365 A KR 1020150037365A KR 20150037365 A KR20150037365 A KR 20150037365A KR 101682974 B1 KR101682974 B1 KR 10168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xing
protrusion
fixing brack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170A (ko
Inventor
한철
Original Assignee
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철 filed Critical 한철
Priority to KR102015003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9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밥통 등과 같은 물건이 올려지는 받침대를 상/하부로 승강시켜주어 받침대에 올려진 물건을 주방 가구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내부로 수납시켜주는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중앙부 상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지지프레임;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의 측면에 고정장착되는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고정장착되며,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를 지지해주는 받침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부 끝단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이 반자동으로 가구의 내부공간으로 수납되도록 해주는 유압쇼바;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고정시켜주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Dining room set for lift device}
본 발명은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밥통 등과 같은 물건이 올려지는 받침대를 상/하부로 승강시켜주어 받침대에 올려진 물건을 주방 가구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내부로 수납시켜주는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주방을 단순히 식사를 하는 곳이라는 개념에서 확장되어 가정의 중요한 생활공간 중 하나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식탁, 싱크대, 찬장, 수납장과 같은 주방용 가구들도 주부의 요구 수준에 맞추어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주부의 생활이 보다 편리하도록 해주는 방식으로 발전되고 있다.
최근에 주방용 수납 가구는 단순히 그릇이나 식기를 보관하던 개념에서 탈피하여 새롭고 독립된 수납 공간의 개념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고, 이에 발맞추어 전자레인지나 밥통과 같은 가전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주방 가구가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자레인지나 밥통과 같은 가전제품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수평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작되어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받침대를 잡아당겨서 꺼내거나 밀어서 수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주방 가구에 가전제품을 받쳐주는 받침대를 반자동으로 상하 이동시켜주는 유압쇼바가 장착된 리프트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받침대를 잡고 소정의 힘을 가해 밀거나 당겨주면 자동으로 받침대가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해주는 반자동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받침대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리프트장치는 단지 유압쇼바에만 의존해 받침대가 상부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로 지지해줘야 하므로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없음은 물론 제품의 무게 하중의 힘이 유압쇼바의 지지해주는 힘보다 강할 경우 받침대가 무너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75825호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19308호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목적은 주방 가구의 내부에 반자동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리프트장치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주방 제품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가구의 내부로 용이하게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받침대를 지지해주도록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걸림홈에서 빠져나간 후 재차 다시 고정돌기가 걸림홈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상기 리프트장치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유압쇼바에 길이조절부를 구비하여 가구의 높낮이에 따라 리프트장치의 높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상기 리프트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체 어셈블리의 구조가 복잡하지않아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중앙부 상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지지프레임;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의 측면에 고정장착되는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고정장착되며,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를 지지해주는 받침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130)의 상부 끝단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151)를 지지해주는 받침프레임(150)을 반자동으로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해주는 유압쇼바;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고정시켜주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고정시켜주는 스토퍼의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걸림홈에서 빠져나간 후 재차 다시 고정돌기가 걸림홈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리프트장치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유압쇼바에 길이조절부를 구비하여 가구의 높낮이에 따라 리프트장치의 높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리프트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체 어셈블리의 구조가 복잡하지않아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받침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받침대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받침대가 하강된 상태의 부분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받침대가 승강된 상태의 부부확대 측면도.
도 5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돌기가 걸림홈에서 빠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부분환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고정돌기가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계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받침대에 물건이 올려진 상태로 주방 가구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받침대에 물건이 올려진 상태로 주방 가구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받침프레임이 가구의 내측에 구비된 댐퍼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1)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스토퍼가 하부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제1돌기턱(11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10);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121)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150)의 측면에 고정되고, 중앙부 상측에는 고정돌기(122)가 돌출 형성된 제1지지프레임(120);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131)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150)의 측면에 고정장착되는 제2지지프레임(130); 상기 제1지지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13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41) 연결되는 연결부재(140); 상기 제1지지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130)의 타단에 고정장착되며,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151)를 지지해주는 받침프레임(150); 상기 제2지지프레임(130)의 상부 끝단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151)를 지지해주는 받침프레임(150)을 반자동으로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해주는 유압쇼바(160);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71) 설치되며, 이 힌지 축에는 하부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당겨주는 완충스프링(172)이 장착되고,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고정시켜주는 스토퍼(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완충스프링(172)은 힌지(171) 축에 코일 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일측 끝단이 스토퍼(170)의 일단 측면에 걸려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스토퍼(170)의 타단에 설치된 손잡이(176)를 상부로 올린 다음 놓으면 완충스프링(17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일측에는 제1돌기턱(111)이 형성되어 스토퍼(170)의 일측면이 걸리게 되므로 스토퍼(170)가 완충스프링(172)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70)의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홈(173)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173)의 하부로 이어지는 일면에는 고정돌기(122)가 원활하게 걸림홈(173)으로 밀려 들어가 걸리도록 경사면(174)을 갖으며, 이 경사면(174)의 일측에는 걸림방지부재(180)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2돌기턱(175)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토퍼(170)를 상부로 회전작동시키는 손잡이(176)가 장착되고, 상기 걸림홈(173)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122)가 걸림홈(173)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176)의 작동에 의해 고정돌기(122)가 걸림홈(173)에서 빠져나갔다 재차 걸림홈(173)에 들어가 걸리는 것을 차단하도록 걸림방지부재(18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181)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방지부재(180)의 상부에는 걸림홈(173)에 재차 고정돌기(122)가 걸려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날개(182)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날개(182)의 하부에는 스토퍼(170)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턱(175)에 걸려 걸림방지부재(180)가 상/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회전이동되도록 한 쌍의 걸림날개(183a)(18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쇼바(160)의 상부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부(16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부(161)의 하부에는 하부 끝단에 제1좌나사선(162a)이 형성된 피스톤부(162)가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부(162)의 하부에는 가구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며 상부 끝단에 제1우나나선(163a)가 형성된 고정부재(163)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162)와 고정부재(163)의 사이에는 유압쇼바(160)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길이조절부(164)가 구비되되, 상기 길이조절부(164)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피스톤부(162)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제1좌나사선(162a)에 맞물려 상/로 회전이동되도록 제2좌나사선(164a)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재(163)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제1우나사선(163a)에 맞물려 상/하로 회전이동되도록 제2우나사선(164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프레임(150)의 정방측 끝단에는 받침대(151)에 수납되는 주방제품이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드레일(152)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150)의 후방측 끝단은 가구(1)의 내측에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면서 충격을 완화해주는 댐퍼(2)의 끝단이 밀착되도록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 제품이 가구(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손잡이(176)를 잡아올리면 유압쇼바(160)의 작동에 의해서 제1지지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130)이 상부로 올라감과 동시에 제1지지프레임(120)에 형성된 고정돌기(122)가 스토퍼(170)에 형성된 걸림홈(173)에 걸려 고정되어 제1지지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130)의 타단에 장착된 주방 제품이 받쳐진 받침대(15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프레임(150)의 전방측 끝단에는 가드레일(152)이 구비되어있어서 상기 받침대(151)에 받쳐진 주방 제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런 다음 제품을 다시 가구(1)의 내부로 수납하고자 할 경우 노출된 받침대(151)를 소정의 힘을 가해서 일정거리 밀어주면 유압쇼바(16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130)이 하부로 내려감과 동시에 제1지지프레임(120)에 형성된 고정돌기(122)가 스토퍼(170)에 형성된 걸림홈(173)에서 빠져나간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173)의 일측에 설치된 걸림방지부재(180)가 무게중심에 의해 자력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림날개(183a)가 제2돌기턱(175)에 걸리게 되고 차단날개(182)는 걸림홈(173)을 막아주어 고정돌기(122)가 걸림홈(173)에서 빠져나간 후 재차 다시 걸림홈(173)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쇼바(160)의 피스톤부(162)와 고정부재(163)의 사이에는 피스톤부(162)에 형성된 수나사부(162a)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중앙 내측에 암나사부(164a)가 형성된 길이조절부(164)가 구비되어있어 가구(1)의 높낮이에 따라 길이조절부(164)를 좌우로 회전시켜 리프트장치(100)의 높이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프레임(150)의 후방측 끝단은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구(1)의 내측에 구비된 댐퍼(2)의 끝단에 밀착되어 받쳐진 상태로 천천히 하강하여 수납되도록 한 것으로 주방 제품의 무게에 의해 빠르게 하강하여 부딪혀 부서지는 것은 물론 충격에 의한 소음을 없애주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가구 100 - 리프트장치
110 - 고정브라켓 120 - 제1지지프레임
130 - 제2지지프레임 140 - 연결부재
150 - 받침프레임 160 - 유압쇼바
170 - 스토퍼 180 - 걸림방지부재

Claims (4)

  1. 수납공간을 갖는 가구(1)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스토퍼가 하부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제1돌기턱(11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10);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121)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150)의 측면에 고정되고, 중앙부 상측에는 고정돌기(122)가 돌출 형성된 제1지지프레임(120);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131) 설치되며, 타단은 받침프레임(150)의 측면에 고정장착되는 제2지지프레임(130);
    상기 제1지지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13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41) 연결되는 연결부재(140);
    상기 제1지지프레임(120)과 제2지지프레임(130)의 타단에 고정장착되며,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151)를 지지해주는 받침프레임(150);
    상기 제2지지프레임(130)의 상부 끝단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151)를 지지해주는 받침프레임(150)을 반자동으로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해주는 유압쇼바(160);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71) 설치되며, 이 힌지 축에는 하부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당겨주는 완충스프링(172)이 장착되고,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고정시켜주는 스토퍼(17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70)의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홈(173)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의 하부로 이어지는 일면에는 고정돌기가 원활하게 걸림홈으로 밀려 들어가 걸리도록 경사면(174)을 갖으며, 이 경사면의 일측에는 걸림방지부재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2돌기턱(175)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토퍼를 상부로 회전작동시키는 손잡이(176)가 장착되고,
    상기 걸림홈(173)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걸림홈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고정돌기가 걸림홈에서 빠져나갔다 재차 걸림홈에 걸리는 것을 차단하도록 걸림방지부재(18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181)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방지부재(180)의 상부에는 걸림홈에 재차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날개(182)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날개(182)의 하부에는 스토퍼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턱에 걸려 걸림방지부재가 상/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회전이동되도록 한 쌍의 걸림날개(183a)(183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4. 삭제
KR1020150037365A 2015-03-18 2015-03-18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KR10168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65A KR101682974B1 (ko) 2015-03-18 2015-03-18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65A KR101682974B1 (ko) 2015-03-18 2015-03-18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70A KR20160112170A (ko) 2016-09-28
KR101682974B1 true KR101682974B1 (ko) 2016-12-06

Family

ID=5710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365A KR101682974B1 (ko) 2015-03-18 2015-03-18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1565A (zh) * 2018-08-22 2018-11-23 河南联合互动广告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智能悬吊桌及其工作原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305A (en) * 1906-08-08 1908-03-31 William E Fetch Type-writer support.
US2744805A (en) * 1952-11-24 1956-05-08 Mcmahan Walter Carl Lift mechanism for extending a horizontal support
KR100475825B1 (ko) 2001-10-26 2005-03-10 김수철 투과 구멍을 가지는 자동차의 이중 도어 유리
KR20080004275U (ko) * 2007-03-28 2008-10-02 삼흥정공 주식회사 사물함의 문 자동 닫힘 장치
US9494370B2 (en) 2010-12-09 2016-11-15 GeramTec GmbH Homogeneous liquid cooling of LED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70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4665B1 (en)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JP2015534470A (ja) 家具の棚部の滑動および旋回機構、家具および家庭用電気器具
KR20080059758A (ko) 냉장고
KR20190129325A (ko) 식기세척기
US20070241650A1 (en) Automated and movable shelving system for cabinetry
KR101682974B1 (ko) 주방 가구용 리프트장치
KR101748414B1 (ko)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KR200475825Y1 (ko)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KR100895244B1 (ko) 키친시스템
KR20150072027A (ko) 주방용 수납장
JP4994130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102422099B1 (ko) 냉장고
JP5384850B2 (ja) 可動棚の昇降装置
JP4942149B2 (ja) 昇降式ラック
US10172457B2 (en) Rollable drawer system and rollable appliance support system
JP4994131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US10443286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door of an appliance
JP3600327B2 (ja) 引き出し式補助カウンター
KR20160074115A (ko) 세탁물 건조대가 수납된 서랍형 가구
KR200409707Y1 (ko) 가리개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KR20190042968A (ko) 상부 벽장용 선반의 리프트 인출장치
CN112806941B (zh) 装载篮和家用电器
KR101685029B1 (ko) 서랍형 디딤대
KR100414007B1 (ko) 주방용 기기의 승강장치
CN202751001U (zh) 一种与橱柜一体化的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