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353B1 -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 - Google Patents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353B1
KR101682353B1 KR1020150143187A KR20150143187A KR101682353B1 KR 101682353 B1 KR101682353 B1 KR 101682353B1 KR 1020150143187 A KR1020150143187 A KR 1020150143187A KR 20150143187 A KR20150143187 A KR 20150143187A KR 101682353 B1 KR101682353 B1 KR 10168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type block
concret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현
이대현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천지플랜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지플랜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지플랜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E02D5/187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the bulkheads or walls being made continuously, e.g. excavating and constructing bulkheads or walls in the same process, without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에 서로 마주보며 이격 설치되는 양측 베이스와 이 양측 베이스에 의해 폭 방향 양단이 고정되는 차폐벽체를 구비하고, 차폐 벽체는 제1형 블럭과 제2형 블럭이 상하로 번갈아 서로 끼워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차수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수벽은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의 일부 영역에서 처리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여 그 설치 및 제거의 비용이 작고, 황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설치,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빈번히 특정 위치에 차수벽을 설치하고 해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처리수의 흐름에 큰 방해가 되지 않는 베이스 구조를 미리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운영하고, 베이스 구조를 바탕으로 조립식으로 차폐벽체를 설치, 해체하면 설치 및 해체의 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이 설치 해체를 위한 작업 공간도 최소로 줄일 수 있어서 수로를 덮는 덮개를 분해 탈착하는 노력과 비용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tentative cut off wall for concrete channel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치나 폐수처리장치와 같은 수처리장치에서 처리수의 통로가 되는 콘크리트 수로에서 주변 시설 보수, 교체 등을 위해 처리수 흐름을 차단할 필요가 있거나, 수로 벽면에 있는 지류 수로를 차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시설에서는 처리를 위한 대상물 혹은 처리된 대상물을 수로를 통해 이송시키거나 저장을 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대상물이 일정하고 제한된 경우, 파이프와 같은 관로를 많이 이용하지만 관로 대신 넓은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 수로를 형성하고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콘크리트 수로는 위쪽을 덮어 관로의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콘크리트 자체는 통상적으로 내구성이 크지만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주변에는 많은 기계 장치나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 이들을 손보기 위해 특정 수로 영역에서는 수로 자체를 통과하는 처리수 흐름을 중단시키고 수로를 비운 상태로 하여 수리를 해야할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처리수 흐름을 모든 수로 영역에서 전부 중단시키는 것은 수처리시설 자체에 매우 중대한 부담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큰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가령, 오폐수처리장치에서 상당기간 처리 요소 사이의 오폐수 흐름을 중단시키거나, 기존 처리 시설 내의 오폐수를 모두 없애고 시설을 수리하는 것은 오폐수를 그대로 상당부분 방류해야 하거나, 일정 기간 오폐수 처리를 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와 큰 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대개 시설 수리가 필요할 때에도 모든 수로를 다 막을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구간만큼 수로를 폐쇄하고, 나머지 부분은 시설 가동에 이용하면서 한편으로 문제되는 부분에서 수로를 비운 채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필요한 일부를 폐쇄하고 나머지 수로를 이용하여 수처리시설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일부 구간에 처리수를 저장하면서 필요한 설비, 장치 수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1은 이런 구체적인 예를 이루는 하수처리장 시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기존 하수처리장은 생물반응조, 일차짐전지, 침사지 등 요소와 관련하여 콘크리트벽체로 형성된 각종 유입, 유출용 수로가 있다. 이들 수로 길이는 통상 10m 내지 60m이며 길이별로 중간에 생화학처리 구간이 틀리며 구간별 기계부품들이 즐비하다.
각 수로 구간중 기계부품의 고장 및 신설부품 설치시 수로에 있는 처리수를 비워야 하는데, 전체 수로의 처리수를 비우기에는 처리수 양이 많고, 하천으로 방류하면 처리되지 않는 처리수가 하천으로 방류되어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1에 표시되듯이 수로 구간에 간이로 차수벽을 설치하여 일체형 수로를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한 쪽을 비움으로써 콘크리트 벽체 내부의 기계부품 수리, 벽체 균열, 부식된 부분 개보수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때 이용되는 수로 차폐 구조 즉 차수벽은 임시적인 것이므로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그 비용이 작게 들며, 차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황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설치,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15809호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1-0070188호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의 일부 영역에서 처리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수벽(차폐구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비용이 작게 들며, 상황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설치, 제거할 수 있는 차수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차수벽은,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에 서로 마주보며 이격 설치되는 양측 베이스와 이 양측 베이스에 의해 폭 방향 양단이 고정되는 차폐벽체를 구비하고, 차폐 벽체는 제1형 블럭과 제2형 블럭이 상하로 번갈아 서로 끼워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2형 블럭은 차폐벽체의 표면을 이루고, 제1형 블럭은 차폐벽체 표면에서 서로 접하는 제2형 블럭을 결합시키는 커넥터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형 블럭은 자체의 길이 방향(차폐벽체를 기준으로 하면 차폐벽체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대략 I형 또는 H형을 이루는 I빔 또는 H빔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들 I빔이나 H빔의 가운데 있는 부분을 제1 선형 판재(길이에 비해 작은, 일정한 폭과 폭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지는 판재)라 하고, 그 폭 방향(차폐벽체를 기준으로 하면 차폐벽체 두께 방향) 양단에 이 제1 선형 판재와 수직한 평면을 이루면서 이 양단에서 각각 양측(차폐 벽체를 기준으로 하면 차폐벽체 상하 높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부분을 날개 부분 혹은 제2 선형 판재라 하면, 제2 형 블럭은 날개가 끼워지는 홈을 자체의 폭 방향(차폐벽체를 기준으로 상하 높이 방향) 양측에 가지며, 제 2형 블럭은 차폐벽체 표면을 이루는 표면측판재와 대략 표면측판재와 평행한 이면측판재와, 이들 사이이면서 이들 판재를 자체의 폭방향 중간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존재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표면측판재와 이면측판재 사이에 있는 공간이 홈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형 블럭에는 조립, 해체의 편의를 위해 중간부분 판재에 러그(lifting lug)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의 일부 영역에서 처리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수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그 설치 및 제거의 비용이 작게 들며, 상황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설치, 제거할 수 있는 차수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빈번히 특정 위치에 차수벽을 설치하고 해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처리수의 흐름에 큰 방해가 되지 않는 베이스 구조를 미리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운영하고, 베이스 구조를 바탕으로 조립식으로 차폐벽체를 설치, 해체하면 설치 및 해체의 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이 설치 해체를 위한 작업 공간도 최소로 줄일 수 있어서 수로를 덮는 덮개를 분해 탈착하는 노력과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수벽체를 간단한 구조의 블럭 결합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일부 블럭이 손상된 경우, 이를 쉽게 대체할 수 있고, 여러 수로에 번갈아 가면서 차수벽을 형성, 해체하는 경우, 한 쪽에서 해체한 차수벽체를 다른 쪽 차수벽체 설치에 바로 이용하기 용이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하수처리장 시설에 차수벽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2의 A 평면에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차수벽을 나타내는 단면도의 부분,
도 5는 도2의 B 평면에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차수벽을 나타내는 단면도의 부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형성하는 한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수벽체를 이루는 2 종류의 블럭이 서로 결합하여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8의 C 평면에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차수벽을 나타내는 단면도의 부분,
도 10은 도8의 D 평면에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차수벽을 나타내는 단면도의 부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수벽을 이루는 제1형 블럭에 설치되는 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 구조(차수벽)를 나타내는 정면도, 하나의 측단면도, 다른 위치에서의 측단면도의 부분 확대도, 부분 평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각각 차수벽을 형성하는 방법 및 제1형 블럭과 제2형 ㅂ블럭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차수벽은 수로 내의 처리수 흐름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저면 및 양 측면이 콘크리트 벽체(1)로 이루어지는 수로에 대한 것으로, 차폐벽체와 이 차폐벽체를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베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두 개의 베이스는 대향하고 있는 양 측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된다. 각 측면의 베이스는 같은 측면의 콘크리트 벽체(1)에 상하로 두 개의 베이스 앵글(1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각 베이스 앵글(10)은 벽체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측면의 콘크리트 벽체(1)를 향해 뻗는 돌출 리브(14)와, 벽체에 콘크리트 볼트(12) 혹은 나사로 고정되는 부분인 고정 리브(16)를 가지며, 콘크리트 수로의 측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선형으로 설치된다.
이때, 같은 측면의 콘크리트 벽체(1)에 베이스 앵글(10) 두 개를 설치하는 방법은 각 베이스 앵글(10)의 돌출 리브(14)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도록 하며,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돌출 리브(14) 사이의 이격거리(간격)는 차폐벽체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아서 차폐벽체를 두 돌출 리브(14) 사이에 끼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차폐벽체를 이루는 벽체 블럭은 제1형 블럭(21)과 제2형 블럭(23)이 상하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끼워져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차폐벽체를 이루는 벽체 블럭 가운데 제1 형 블럭(21)은 길이 방향(차폐벽체의 폭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대략 I형 또는 H형을 이루는 I빔 또는 H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4 및 도7을 참조하여 제1형 블럭(21)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들 I빔이나 H빔은 가운데 있는 부분인 제1 선형 판재(211)(여기서 판재는 길이에 비해 작은, 일정한 폭과 폭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지는 부분 혹은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와, 제1 선형 판재(211)의 폭 방향(차폐벽체의 두께 방향) 양단에 각각 하나씩, 제1 선형 판재와 수직한 평면을 이루면서 양단에서 양측(차폐벽체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날개들 혹은 제2 선형 판재(213, 215)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선형 판재(211) 상면에는 필요한 개소에 거꾸로 세운 U자형 러그(21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러그(217)는 제1 형 블럭(21)을 해체할 때 제1 형 블럭(21)을 잡고 힘을 줄 수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가령, 단부가 절곡된 갈고리형 막대의 갈고리 부분을 위로 노출된 제1 형 블럭(21)의 러그(217)에 걸고 막대를 위에서 잡아당기면 차폐벽체에서 이 제1형 블럭(21)을 쉽게 해체할 수 있다.
제2 형 블럭(23)은 이들 I빔이나 H빔의 각 날재 혹은 각각의 제2 선형 판재(213, 215)의 끝단이 끼워지는 홈(233)을 자체의 폭 방향(차폐벽체의 상하 높이 방향) 양측에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제2 형 블럭(23)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형 블럭은 차폐벽체 표면을 이루는 표면측판재(231)와 대략 표면측판재(231)와 평행한 이면측판재(235)를 구비하고 이들 판재는 자체의 폭방향(차폐벽체의 상하 높이 방향)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존재하는 연결부(239)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표면측판재(231)와 이면측판재(235) 사이에 있는 공간이 홈(233)을 이루고 이 홈(233)에 제1 형 블럭의 날개가 끼워져 제1형 블럭과 제2형 블럭이 결합된다.
이면측판재(235) 자체의 폭방향 양단은 표면측과 반대쪽으로 절곡된 형태의 절곡부(237)를 이루고 있으며, 이런 절곡부(237)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 제1형 블럭을 홈(233)에 끼울 때 날개 단부를 정확한 홈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차폐벽체를 해체할 때에는 이 절곡부(237)를 잡고 위로 힘주어 당김으로써 차폐벽체에서 제2형 블럭을 분리, 해체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표면측판재(231)의 폭에 비해 이면측판재(235)의 폭이 작아 날개가 홈(233)에 끝까지 끼워질 때 제1 형 블럭의 제1 선형 판재(211: I빔이나 H빔은 가운데 있는 부분)가 이면측판재(235)에 닿아 홈에 완전히 끼워지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 구조의 차수벽을 형성하는 방법의 한 예가 도6에 개시된다.
여기서는 먼저, 콘크리트 수로의 한 측면 벽체에 베이스 앵글 2개(10a, 10b)를 설치하여 베이스를 형성하고, 다른 한 측면 벽체에는 베이스 앵글 하나(10c)를 설치한 뒤, 이들 3개의 베이스 앵글을 이용하여 위치를 잡아 먼저 제1형 블럭을 제일 아래쪽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그 위로 제2형 블럭, 제1형 블럭을 번갈아 가면서 결합시킨다. 차폐벽체가 완성되면 나머지 하나의 베이스 앵글(10d)을 다른 한 측면 벽체에서 기존에 설치된 베이스 앵글과 대칭되도록 설치하여 차폐벽체를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결합구조에서는 하나의 제1형 블럭(21) 위쪽으로 차폐벽체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하나씩 제2형 블럭(23)이, 좀 더 정확하게는 제2형 블럭의 아래쪽 홈이 결합되며, 이들 제2형 블럭의 위쪽 홈에는 다시 제1형 블럭의 아래쪽 날개들이 끼워진다.
도 7은 이러한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차폐벽체의 부분 분해도이다.
단, 제1형 블럭(21)과 제2형 블럭(23)을 완전히 서로 분해된 상태로 베이스 앵글 사이에 끼워가면서 서로 결합시키기 보다는, 도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편의상 제1형 블럭(21)의 위쪽에 있는 전방 측 날개와 후방 측 날개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제2형 블럭(23)을 결합시켜 결합형 블럭을 먼저 만들고, 결합형 블럭 단위로 블럭 결합을 실시하여 차폐벽체를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차폐벽체를 해체할 때에도 제1형 블럭 위에 두 개의 제2형 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 두 개의 제2형 블럭 사이로 드러나는 제1형 블럭의 러그에 막대의 갈고리를 끼워 위로 당기면 결합형 블럭 단위로 능률적으로 차폐벽체를 해체할 수 있으며, 제2형 블럭에 마땅히 잡을 곳이 없어 해체하려고 잡고 힘을 줄 때 잡힌 곳이 파손되는 위험도 방지할 수 있다.
결합형 블럭의 길이(차수벽체의 폭에 해당)는 모두 콘크리트 수로의 폭에 해당하는 정도이고, 따라서, 이들 블럭을 결합하면 쌓아올리면 콘크리트 수로의 전체 폭을 커버하면서 필요한 높이 만큼 수로를 폐쇄할 수 있다.
한번 차수벽을 설치한 곳에 다시 차수벽을 설치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차수벽을 해체할 때에 베이스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 앵글들은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앵글의 돌출 리브는 콘크리트 수로의 전체 폭에 비해 통상은 매우 작아 처리수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며, 향후 차수벽을 설치할 때에는 도7과는 달리 4개의 베이스 앵글이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위쪽에서 결합형 블럭을 하나씩 내려가면서 차례로 결합시켜 차수벽체를 재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베이스가 결합형 블럭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형 블럭의 이면측판재 자체의 절곡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 이것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위쪽의 결합형 블럭을 위쪽에서 그 아래쪽의 결합형 블럭으로 힘주어 밀면 아래쪽 결합형 블럭의 제2형 블럭의 홈에 위쪽 결합형 블럭의 제1형 블럭의 날개가 정위치에서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이런 방식으로 차례로 차폐벽체를 형성해 나갈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직접 내려가서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을 넓게 필요로하지 않고, 처리수가 수로를 흐르는 상태에서도 차수벽을 형성하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만약 콘크리트 수로가 덮개로 덮인 경우라면 특히 베이스가 설치된 부분에서만 덮개를 제거하여 쉽게 차수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차수벽을 형성할 때 베이스를 쉽게 덮개를 제거할 수 있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벽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단면도의 일 부분, 평단면도의 일 부분이며, 도11은 제1형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차수벽은 콘크리트 수로 내의 한 측벽(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되는 분기 수로(도8의 원형 점선 부분)를 통과하여 흐르는 처리수의 흐름을 막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베이스 구조는 이 한 측벽(콘크리트 벽체:1)에서 분기 수로 좌우에 상하로 길게 서로 일정 폭 이격 설치되는 두 개의 베이스 앵글(110)로 이루어지고, 각 베이스 앵글(110)은 콘크리트 벽체(1)와 패킹(119)을 매개로 고정 나사(117)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고정 리브(115)와 고정 리브 일단에서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돌출 리브(111)와 돌출 리브(111)의 첨단에서 돌출 리브와 수직한 평면을 이루면서 양측(차폐벽체 기준으로 좌우 폭방향)으로 뻗는 날개 형태의 제한 리브(113)를 가지며, 제한 리브(113) 가운데 차폐벽체(20)가 있는 쪽으로 뻗는 제한 리브(113)는 차폐벽체 앞쪽 표면과 접하면서 돌출 리브(111)와 함께 차폐벽체(20)의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차폐벽체는 제1형 블럭(21)과 제2형 블럭(23)이 상하로 차례로 번갈아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제1형 블럭과 제2형 블럭의 형태나 결합 방식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형 블럭(21)은 자체의 길이 방향(차폐벽체를 기준으로 하면 차폐벽체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대략 I형 또는 H형을 이루는 I빔 또는 H빔의 형태를 가지고, 그 가운데 있는 부분을 제1 선형 판재(211)라 하고, 그 폭 방향 양단에 이 제1 선형 판재(211)와 수직한 평면을 이루면서 이 양단에서 각각 양측으로 뻗어있는 부분을 날개 부분 혹은 제2 선형 판재(213, 215)라 하면, 제2 형 블럭(23)은 날개가 끼워지는 홈을 자체의 폭 방향(차폐벽체를 기준으로 상하 높이 방향) 양측에 가지며, 제 2형 블럭(23)은 차폐벽체 표면을 이루는 표면측판재와 대략 표면측판재와 평행한 이면측판재와, 이들 사이이면서 이들 판재를 자체의 폭방향 중간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존재하는 연결부를 가져 표면측판재와 이면측판재 사이에 있는 공간이 홈을 이루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차수벽을 형성하는 한 방법은 먼저, 한 측면 벽체의 분기 수로 양측 가운데 한 쪽, 가령 왼쪽에 패킹(119)을 매개로 하나의 베이스 앵글의 고정 리브(115)를 먼저 나사(117)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 베이스 앵글의 돌출 리브(111)와 제한 리브(113)를 이용하여 위치를 제한하면서 앞선 실시예와 같이 결합형 블럭을 아래에서 위로 쌓아나가면서 차례로 결합시켜 차폐벽체를 만들고, 분기 수로 양측 가운데 다른 한 쪽(오른쪽)에 역시 패킹(119)을 매개로 다른 하나의 베이스 앵글의 고정 리브(115)를 나사(117)로 고정한다. 물론, 이때에도 다른 하나의 베이스 앵글의 돌출 리브(111)와 제한 리브(113)가 차수 벽체의 오른쪽 단부의 위치를 제한하면서 고정하도록 베이스 앵글을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도 도 11과 같이 제1형 블럭의 중간 부분, 즉, 제1 선형 판재(211)에는 거꾸로된 U자형의 러그(217)가 설치되어 차폐벽체를 조립하여 형성하거나 차폐벽체를 해체할 때에 결합형 블럭을 위로 잡아당기거나 아래로 힘을 주어 밀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도 차수벽을 설치한 곳에 차폐벽체 해체 후 다시 차수벽을 설치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차수벽을 해체할 때에 베이스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 앵글들은 제거하지 않을 수 있고, 차수벽체를 재형성할 때 베이스가 결합형 블럭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의 차수벽체에서 제1형 블럭의 날개는 제2형 블럭의 홈 속으로 깊이 삽입되어 밀착되므로 차수벽체를 통해 차수벽체 후방의 물(처리수)이 전방으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차수벽체 후면을 이루는 제2형 블럭의 홈과 제1형 블럭의 날개가 접하는 부분과, 차수벽체 전면을 이루는 제2형 블럭의 홈과 제1형 블럭의 날개가 접하는 부분을 차례로 지나쳐서 통과해야 하므로 차수벽체를 이루는 블럭들 사이로 누수가 일어나는 것은 별도의 실리콘 실링 등이 없어도 쉽지 않게 된다.
차수벽체는 아래에서 위로 필요한 만큼 결합형 블럭을 투입하여 쌓으면서 형성 높이를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다. 일단 형성된 차수벽에서 파수벽체 표면(전면 혹은 후면) 가운데 어느 한쪽으로는 처리수가 채워져 있고 다른 한쪽은 처리수가 채워지지 않아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상당한 압력이 작용하므로 차수벽체는 자신을 제한, 고정하고 있는 베이스 앵글의 돌출 리브(앞선 실시예의 경우) 혹은 제한 리브(나중 실시예의 경우) 방향으로 밀착되고, 이런 압력은 베이스 앵글과 차수 벽체 사이의 틈으로 처리수가 누수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차수벽체의 전방측 표면을 이루게 되는 제2형 블럭의 부분에 실리콘 코팅을 한다면 이 부분이 베이스를 이루는 앵글의 돌출 리브와 접할 때 실리콘이 돌출 리브와 더 잘 밀착될 수 있으므로 누수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좀 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차수벽을 형성한 상태에서 차수벽체의 표면 가운데 처리수가 없는 쪽에서 차수벽체와 베이스 앵글 사이의 틈을 실리콘(silicone) 등의 메움재료로 밀봉(sealing)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차수벽체를 이루는 최하부의 제1형 블럭에서 콘크리트 바닥 벽체와 닿는 두 날개 부분에는 골무 형태로 만들어진 실리콘 부재를 씌워서 사용할 수 있고, 시공할 때 바닥에 먼저 실리콘 고무판을 설치하고 시공하여 차폐벽체와 콘크리트 수로 바닥과 틈새로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처리수는 여러 가지 물질로 오염된 상태일 수 있으며, 차수벽은 태양광이 강한 옥외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차수벽의 내구성을 유지하고, 재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베이스나 차수벽체를 이루는 재료는 그 표면에 얇은 산화막이 형성되면 매우 부식에 강하게 되며 보관, 운반이 용이하고 기계적 강도도 가질 수 있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수벽체를 간단한 구조의 블럭 결합으로 이룰 수 있으므로, 일부 블럭이 손상된 경우, 이를 쉽게 대체할 수 있고, 여러 수로에 번갈아 가면서 차수벽을 형성, 해체하는 경우, 한 쪽에서 해체한 차수벽체를 다른 쪽 차수벽체 설치에 바로 이용하기 용이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1: 콘크리트 벽체 10, 110: 베이스 앵글
12: 볼트 14, 111: 돌출 리브
16, 115: 고정 리브 20: 차수 벽체
21: 제1형 블럭 23: 제2형 블럭
113: 제한 리브 119: 패킹
211: 제1 선형 판재 213, 215: 제2 선형 판재(날개)
217: 러그 231: 표면측판재
233: 홈 235: 이면측판재
239: 연결부

Claims (6)

  1.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에 서로 마주보며 이격 설치되는 양측 베이스와
    상기 양측 베이스에 의해 폭 방향 양단이 고정되는 차폐 벽체(20)를 구비하고,
    상기 차폐 벽체는 제1형 블럭(21)과 제2형 블럭(23)이 상하로 번갈아 서로 위치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제1 형 블럭(21)은 자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I형 또는 H형을 이루는 I빔 또는 H빔의 형태를 가지고, I빔 또는 H빔의 가운데 있는 부분을 제1 선형 판재(211)라 하고, 상기 제1 선형 판재의 폭 방향양단에 상기 제1 선형 판재와 수직한 평면을 이루면서 각각 양측으로 뻗어있는 부분을 날개 부분 혹은 제2 선형 판재(213, 215)라 하면,
    상기 제2 형 블럭(23)은 상기 날개가 끼워지는 홈(233)을 자체의 폭 방향양측에 가지며, 상기 차폐벽체 표면을 이루는 표면측판재(231)와 상기 표면측판재와 평행한 이면측판재(235)와, 상기 표면측판재 및 상기 이면측 판재를 연결하기 위해 가운데이면서 폭방향 중간 위치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차수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 블럭(23)은 상기 차폐벽체(20)의 표면을 이루고, 상기 제1형 블럭(21)은 상기 차폐벽체(20)의 표면에서 서로 접하는 상기 제2형 블럭들을 결합시키는 커넥터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차폐벽체 및 베이스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차수벽.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 블럭(21)에는 상기 차폐벽체(20)의 조립, 해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선형 판재(211)에 설치되는 러그(21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차수벽.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은 수로 내의 처리수 흐름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저면 및 양 측면이 콘크리트 벽체(1)로 이루어지는 수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차폐벽체를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베이스는 상기 양 측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양 측면 각각에서 상기 베이스는 하나의 콘크리트 벽체(1)에 상하로 두 개의 베이스 앵글(1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앵글(10)은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측면의 콘크리트 벽체(1)를 향해 뻗는 돌출 리브(14)와, 콘크리트 벽체에 볼트(12) 혹은 나사로 고정되는 부분인 고정 리브(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차수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은 콘크리트 수로의 한 콘크리트 벽체(1)에 설치된 분기 수로를 통한 처리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서 상기 분기 수로 좌우에 상하로 길게 서로 일정 폭 이격 설치되는 두 개의 베이스 앵글(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앵글(110)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1)와 패킹(119)을 매개로 고정 나사(117)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고정 리브(115)와
    상기 고정 리브 일단에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돌출 리브(111)와
    상기 돌출 리브(111)의 첨단에서 상기 돌출 리브와 수직한 평면을 이루면서 적어도 차폐벽체 쪽으로 뻗는 날개 형태의 제한 리브(113)를 가져, 상기 제한 리브(113)는 상기 돌출 리브(111)와 함께 상기 차폐벽체(20)의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 차수벽.
KR1020150143187A 2015-10-14 2015-10-14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 KR10168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87A KR101682353B1 (ko) 2015-10-14 2015-10-14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87A KR101682353B1 (ko) 2015-10-14 2015-10-14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353B1 true KR101682353B1 (ko) 2016-12-12

Family

ID=5757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187A KR101682353B1 (ko) 2015-10-14 2015-10-14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3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09B1 (ko) 2001-09-17 2004-01-24 이순호 흙막이용 프리캐스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100512199B1 (ko) * 2005-03-22 2005-09-02 (주)포텍건축사사무소 결속 토류벽을 이용한 지하 흙막이 시공 방법
KR100694888B1 (ko) * 2006-07-19 2007-03-14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용 조립식 벽체 구조
KR20110070188A (ko) 2009-12-18 2011-06-24 박정태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09B1 (ko) 2001-09-17 2004-01-24 이순호 흙막이용 프리캐스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100512199B1 (ko) * 2005-03-22 2005-09-02 (주)포텍건축사사무소 결속 토류벽을 이용한 지하 흙막이 시공 방법
KR100694888B1 (ko) * 2006-07-19 2007-03-14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용 조립식 벽체 구조
KR20110070188A (ko) 2009-12-18 2011-06-24 박정태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285B2 (en) Slot drain
KR20090098760A (ko)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KR101975601B1 (ko) 무앙카 조립식 밀폐형 클린도류벽
KR101224445B1 (ko) 사수 방지형 저수조
KR101682353B1 (ko) 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수로에 설치되는 차수벽
DK3088633T3 (en) Formwork pipes
AU2010328303A1 (en) Modular, scalable liquid management system
EP3919787A1 (en) Low-torque water shutoff-type line stopping valve using stepwise pressure point support
KR101604535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JP6419355B2 (ja) 浄化槽及び水処理施設用ブロックの結合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立式ブロック
KR101380120B1 (ko) 가변형 제수밸브
CN112095621A (zh) 用于狭窄空间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RU136828U1 (ru) Защитная облицовка для ремонта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го колодца
JP4061282B2 (ja) マンホール内装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KR200408798Y1 (ko) 콘크리트 수조 리모델링구조
KR101433352B1 (ko) 코너 보강부를 가지는 저장탱크
KR101371151B1 (ko) 밸브실
CN213895565U (zh) 一种粪污处理装置
JP7421334B2 (ja) 接続管
KR102543834B1 (ko) 하수관거 차수장치 구조체
EP3455534B1 (en) Sleeve,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a movement of a pipe
KR200362348Y1 (ko) 조립형 이음관
CN217580488U (zh) 一种浴盘及具有其的集装箱
JP2006083888A (ja) 補修用被覆体構造と管路の補修方法
KR101759264B1 (ko) 차집 관거용 차수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