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45B1 -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45B1
KR101681845B1 KR1020150138406A KR20150138406A KR101681845B1 KR 101681845 B1 KR101681845 B1 KR 101681845B1 KR 1020150138406 A KR1020150138406 A KR 1020150138406A KR 20150138406 A KR20150138406 A KR 20150138406A KR 101681845 B1 KR101681845 B1 KR 10168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llback message
message
callbac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재
박시중
박시현
Original Assignee
홍승재
박시중
박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재, 박시중, 박시현 filed Critical 홍승재
Priority to KR102015013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통해 발송되는 콜백 메시지를 개인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룹별로 설정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평소에는 개인계정에서 설정된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되, 관리자가 그룹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는 이벤트를 설정하면 개인 콜백 메시지 대신에 그룹 콜백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SENDING CENTER CONTROLL TYPE GROUP CALL-BACK MESSAGE}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콜백 메시지 서비스가 알려졌다. 그 중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61116호는 휴대전화의 부재중 상태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재중 전화가 착신되면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부재중 알림 문자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발송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2시간 후에 연락드리겠습니다.'라는 부재중 알림 문자 메시지를 등록해놓으면, 휴대전화가 이를 자동으로 발신자에게 전송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재중 알림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휴대전화가 보급되기 시작한 초창기에 매우 편리한 서비스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지금에 이르러서는 이와 같은 형태의 서비스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 한편으로는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이 등장함에 따라 다양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졌으며,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기대가 한층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은 개인화된 서비스였으나,개인의 사회성 혹은 사회적 관계가 고려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그/그녀는 개인이라는 개별자로서 소통행위를 하기도 하지만, 사회라는 관계자로서 소통행위를 한다. A와 B 사이에 이루어지는 사람의 소통은 A와 C 사이의 관계, 혹은 Z와 B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런데 {B, C}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원소로서 존재하고, 그런 원소로서 공동 혹은 공통의 소통행위를 모바일 단말로 함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침묵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종래기술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고자 오랫동안 연구하고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통해 발송되는 콜백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개인을 개별자로서의 지위뿐만 아니라 사회에 속한 관계자로서의 지위를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휴대전화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가입과 설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그룹 단위로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별로 콜백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평소에는 개인계정에서 설정된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되, 그룹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는 이벤트가 설정되면 해당 그룹에 속해있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그룹 콜백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송된 그룹 콜백 메시지에 대한 각종 통계를 작성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작성된 통계는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국면은
(a) 서비스 서버가 그룹계정 및 상기 그룹계정에 속한 그룹원 스마트단말이 입력할 그룹코드를 발급하는 단계;
(b) 그룹원 스마트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그룹코드를 입력하여 해당 그룹에 참여하는 단계;
(c) 상기 그룹원 스마트단말이 개인 콜백 메시지를 등록하고 발신자단말에게 상기 개인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d)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그룹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그룹 콜백 메시지를 등록하는 단계;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원 스마트단말에게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그룹원 스마트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발신자단말에게 상기 개인 콜백 메시지 대신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를 대체 발송하는 기간 및 횟수를 설정하는 이벤트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 발신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그룹원 스마트단말로부터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 발신 통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에 URL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URL의 클릭 방문율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인 콜백 메시지 또는 그룹 콜백 메시지는 발신자단말과 발신통화가 종료되거나, 수신통화가 종료되거나, 부재중통화가 확인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발송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그룹원 각자가 자유롭게 사용하는 개인 콜백 메시지와 그룹 전체가 사용하는 그룹 콜백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평소에는 그룹원 개인이 개별적으로 콜백 메시지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 관리자가 그룹원 전체의 콜백 메시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편리한 콜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그룹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콜백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것 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200), 서비스 서버(300), 그룹원 단말(400), 발신자 단말(500)을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300)에 콜백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그룹을 등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200)은 그룹계정과 그룹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0)은 서비스 이용을 위해 결재가 필요한 경우 결재를 실행한다. 관리자 단말(200)은 PC, 스마트폰, 테블릿과 같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200)이 접속하여 그룹 등록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은 관리자 단말(200)이 그룹계정을 개설하는 경우 해당 그룹계정의 관리를 받는 그룹원 참여를 위한 그룹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그룹원 단말(4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200)이 그룹계정을 통해 설정한 그룹 콜백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룹원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룹원 단말(400)은 자신의 계정 또는 그룹코드를 입력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룹원 단말(40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룹원 단말(400)은 발신자 단말(500)에게 콜백 메시지를 전송한다. 콜백 메시지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 중 전화가 온 경우는 물론 통화에 성공한 경우에도 콜백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콜백 메시지는 그룹원 단말(400)을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속한 회사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광고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신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문자메시지 기능을 통해 그룹원 단말(400)로부터 콜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그룹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그룹원 단말에 설치되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한다. 어플리케이션은 그룹원 단말의 전화 수신 상태(예를 들어 수신, 발신, 부재중)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각 상태에 대응하는 콜백 메시지를 발신자 단말에게 전송한다. 콜백 메시지는 SMS, LMS, MMS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인터페이스 제공부(410), 개인 메시지 저장부(420), 메시지 수신부(430), 그룹 메시지 저장부(440), 제어부(450), 메시지 발신부(460), 및 통계 데이터 저장부(47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10)는 그룹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각종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10)는 개인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메시지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 인터페이스는 SMS, LMS, 또는 MMS 메시지 중에 어떤 메시지를 보낼지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SMS의 경우 최대문자수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MMS의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10)는 개인 메시지를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지 설정하는 상황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중에 전송할 개인 메시지를 무엇으로 설정할지, 수신 또는 발신 통화 성공 후에 전송할 개인 메시지를 무엇으로 설정할지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 메시지 저장부(420)는 그룹원 단말이 개별적으로 설정한 개인 콜백 메시지를 저장한다. 개인 콜백 메시지는 예를 들어 수신, 발신, 부재중과 같은 상황별로 설정될 수도 있고, 요일, 시간대별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대방이 누구인지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바림직한 실시예에서 메시지 수신부(430)는 서비스 서버가 전송한 그룹 콜백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된 그룹 콜백 메시지는 그룹 메시지 저장부(440)에 저장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그룹 콜백 메시지는 서비스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450)는 백그라운드에서 그룹원 단말의 전화 수신 상태(예를 들어 수신, 발신, 부재중)를 체크하며, 설정된 상황에 맞는 콜백 메시지를 발신하는 콜백 메시지 발신 이벤트를 실행한다. 제어부(450)는 먼저 그룹 콜백 메시지 이벤트가 있으면 이를 개인 콜백 메시지에 우선하여 발신한다. 그룹 콜백 메시지 이벤트는 관리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1회만 발송할 수도 있고, 복수회 발송할 수도 있다. 또한, 그룹 콜백 메시지 이벤트는 특정한 기간 동안 발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 휴가 시즌 동안 한시적으로 특정 메시지를 발송되도록 할 수 있다.
메시지 발신부(460)는 제어부(450)의 지시에 따라 콜백 메시지를 발신자 단말에게 전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시지 발신부(460)는 그룹원 단말의 문자기능을 이용하여 콜백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룹원 단말의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푸시할 수도 있다.
통계 데이터 저장부(470)는 메시지 발신부(460)에서 발신된 콜백 메시지의 통계를 작성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그룹 콜백 메시지가 언제 누구에게 몇번 발송되었는지 통계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개별 그룹원 단말의 통계 데이터는 서비스 서버에서 취합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관리자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회원가입정보를 입력하고 콜백 서비스를 결제하면, 서비스 서버가 그룹계정 및 상기 그룹계정에 참여할 수 있는 그룹코드를 발급한다(S1100). 그룹원 단말(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은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그룹코드를 입력하여 그룹에 참여한다.
그룹원 단말이 개인 콜백 메시지를 등록한다(S1200). 개인콜백 메시지는 예를 들어 수신성공 또는 실패시 발신하는 메시지, 발신성공 또는 실패시 발신하는 메시지, 부재 중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하는 메시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은 메시지를 확인없이 자동으로 발신할지 또는 메시지 발신여부를 팝업창으로 표시하여 확인 후 발신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이 그룹계정으로 서비스 서버에 로그인하여 그룹 콜백 메시지를 등록한다(S1300). 관리자 단말은 그룹콜백 메시지의 내용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 발송기간, 발송횟수, 발송대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룹 콜백 메시지가 등록되면 서비스 서버가 그룹원 단말에게 그룹 콜백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룹원 단말은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룹원 단말이 그룹 콜백 메시지를 미리 자신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면 보다 빠르게 그룹 콜백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콜백 메시지 발송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룹원 단말이 그룹 콜백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 및 발송 조건을 검토한다(S1400).
수신된 그룹 콜백 메시지가 없으면 상황에 맞는 개인 콜백 메시지를 발송한다(S1500). 그룹콜백 메시지가 수신되었고 발송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개인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고 그룹 콜백 메시지를 우선하여 발송한다(S1600).
추가적으로 그룹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 발신 통계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그룹원 단말로부터 그룹 콜백 메시지 발신 통계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통계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동차 영업팀원 1은 자신의 스마트폰(400(a))에 서비스 서버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자신의 고객(500(a))에게 개인 콜백 메시지(B)를 발신하고 있고, 같은 회사 영업팀원 2는 자신의 스마트폰(400(b))을 이용하여 자신의 고객(500(b))에게 개인 콜백 메시지(C)를 발신하고 있다.
그러던 중 영업 팀장이 관리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그룹 콜백 메시지(A)를 등록하고, 그룹 콜백 메시지의 발신 기간을 7월 15일부터 8월 15일로 설정한다.
그룹 콜백 메시지는 그룹원인 자동차 영업팀원 1과 2의 스마트폰(400(a), 400(b))에 저장되며, 7월 15일이 되면 자동차 영업팀원 1과 2의 스마트폰(400(a), 400(b))은 개인 콜백 메시지인 B와 C 대신에 그룹 콜백 메시지 A를 고객(500(a), 500(b))의 단말에 발신한다.
8월 15일이 경과되면 자동차 영업팀원 1과 2의 스마트폰(400(a), 400(b))은 다시 개인 콜백 메시지인 B와 C를 발신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변형예]
(1) 서비스 서버가 그룹 콜백 메시지에 URL을 삽입할 수 있다. 콜백 메시지의 URL은 수신자가 메시지의 특정 영역을 누르면 해당 URL이 지시하는 콘텐츠나 웹사이트로 자동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 서버는 상기 URL의 클릭 방문율을 체크하여 방문 통계를 작성할 수 있다. 이렇게 작성된 통계는 예를 들어 콜백 메시지의 광고 효과를 검증하거나 과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부가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콜백 메시지 수신을 거부한 고객의 리스트를 저장하고 해당 고객에게는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서 콜백 메시지를 스팸으로 오해하는 고객의 불신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루에 또는 한달에 자신의 그룹원 단말에서 발신되는 콜백 메시지의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로서 콜백 메시지를 이동통신사의 문자메시지를 통해 발신할 경우 지나치게 많은 요금이 청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a) 서비스 서버가 그룹계정 및 상기 그룹계정에 속한 그룹원 스마트단말이 입력할 그룹코드를 발급하는 단계;
    (b) 그룹원 스마트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그룹코드를 입력하여 해당 그룹에 참여하는 단계;
    (c) 상기 그룹원 스마트단말이 개인 콜백 메시지를 등록하고 발신자단말에게 상기 개인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d)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그룹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그룹 콜백 메시지를 등록하는 단계;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원 스마트단말에게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콜백 메시지 발송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그룹원 스마트단말이 그룹 콜백 메시지가 수신되었고, 그룹콜백 발송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그룹원 스마트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발신자단말에게 상기 개인 콜백 메시지 대신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를 대체 발송하는 기간 및 횟수를 설정하여 그룹콜백 발송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앙제어형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 발신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그룹원 스마트단말로부터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 발신 통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 콜백 메시지에 URL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URL의 클릭 방문율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개인 콜백 메시지 또는 그룹 콜백 메시지는 발신자단말과 발신통화가 종료되거나, 수신통화가 종료되거나, 부재중통화가 확인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발송되는 것인,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150138406A 2015-10-01 2015-10-01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KR10168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06A KR101681845B1 (ko) 2015-10-01 2015-10-01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06A KR101681845B1 (ko) 2015-10-01 2015-10-01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845B1 true KR101681845B1 (ko) 2016-12-01

Family

ID=5757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06A KR101681845B1 (ko) 2015-10-01 2015-10-01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153B1 (ko) * 2019-01-03 2020-05-11 하태민 푸시 메시지 생성 및 서비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284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위피아 멀티메시지를 이용한 간접 푸시방식의 모바일 광고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7469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쇼테크 다중 그룹 가입자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84548A (ko) * 2005-01-20 2006-07-25 (주) 엘지텔레콤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콜백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6316A (ko) * 2006-04-28 2007-11-01 엔에이치엔(주) 메시지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284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위피아 멀티메시지를 이용한 간접 푸시방식의 모바일 광고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7469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쇼테크 다중 그룹 가입자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84548A (ko) * 2005-01-20 2006-07-25 (주) 엘지텔레콤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콜백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6316A (ko) * 2006-04-28 2007-11-01 엔에이치엔(주) 메시지 전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153B1 (ko) * 2019-01-03 2020-05-11 하태민 푸시 메시지 생성 및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114B2 (en) Automatic aftercall directory and phonebook entry advertising
US20220224664A1 (en) Network-based messaging system with database management for computer based inter-user communication
US11461805B2 (en) Call tracking
US8265595B1 (en) Managing application permissions on a mobile device
EP321349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notifications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8526586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targeted content to provide in response to a missed communication
US975648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text message marketing
US20150081488A1 (en) Marketing inclusion list manipulation
CN102868982B (zh) 面向移动终端的信息转发和企业获取交互信息的方法
KR101681845B1 (ko)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US8837691B2 (en) Message forwarding system
KR101720453B1 (ko) 중앙제어형 그룹 콜백 메시지 전송방법
US93695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inquiry callback and information update services
KR20140023160A (ko) 스마트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주소록에 기반한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24024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13952B1 (ko) 고객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고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6753B1 (ko) 콜백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75084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filtering a request to communicate with a user
KR101418577B1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주소록에 기반한 알람 제어 방법
KR102151462B1 (ko) 인증 호에 대한 팝업 서비스 시스템
KR102023819B1 (ko) 통화 기반 실시간 참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377026A1 (en) Embedding texting and calling communications into media items
US20160055528A1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about product or service
US20210112151A1 (en) Method and System that Mitigates Digital Address Book Data Decay [TetherTap]
US201503248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o a user of a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