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741B1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Google Patents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741B1
KR101681741B1 KR1020140135869A KR20140135869A KR101681741B1 KR 101681741 B1 KR101681741 B1 KR 101681741B1 KR 1020140135869 A KR1020140135869 A KR 1020140135869A KR 20140135869 A KR20140135869 A KR 20140135869A KR 101681741 B1 KR101681741 B1 KR 10168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rotary shaft
disposed
moving par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816A (ko
Inventor
이석우
이원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일 반경 방향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서로 상이한 반경으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속 레인지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하나의 센싱 모듈만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사이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센싱 모듈이 온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SHIFTING-RANGE ROTARY SENSOR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 내지 센서로서, 차량의 변속 레인지 감지 등 차량의 상태 감지를 이루는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로터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스위치는 회전수 내지 회전 속도 등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소정의 출력부로 해당 감지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동작을 출력부에서 실행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중의 하나로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로터리 스위치는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의도를 출력부로 정확하게 전달함에 있어 중요한 스위칭 기구로 사용되는데, 특히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로터리 스위치도 단순한 회동 상태의 감지를 넘어 감성적 품질에 대한 많은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로터리 스위치가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보다 정확한 감지와 상당한 작동 신뢰성이 요구된다. 근래 스위치의 경우 접촉식에서 비접촉식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근래 비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의 경우 해당 변속 레인지에 상응하는 개수의 마그네트를 배치시켜 정확한 레인지 출력을 이루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위치의 경우 컴팩트한 구성을 어렵게 하고, 자석 간의 배치 위치가 근접화되어 상호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발생 가능성이 증대되는 등 작동 신뢰성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이루되 비접촉 방식의 스위치 내지 센서로서 감지 정확도와 더불어 작동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부 및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1 센싱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모듈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가동부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2 센싱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자석이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위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두 개의 소자를 포함하는 자기 센서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홀소자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는 호상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가 감지하는 대응하는 영역으로, 복수 개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에 의한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와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 사이의 상대 위치와 출력 신호 간에 선형 출력 관계를 이루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선형 출력 관계가 유지되는 오버스트로크 영역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차량의 P(주차), D(주행), R(후진), N(중립)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은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의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레인지의 사이에 버퍼 레인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버퍼 레인지에 대응하는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의 길이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가 회동하는 원주 방향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상이한 극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홀센서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홀센서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홀센서 중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측에 배치되는 홀센서의 홀소자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홀센서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와의 상대 높이를 조정하여 지지하는 홀더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에 수직 배치되는 버티컬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버티컬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기 소자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는 호상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기 소자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는 호상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수용 배치되는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상기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에 의하여 탄성 지되어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과 함께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의 대응 위치로 상기 하우징 측에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일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바디를 향한 일면에는 커버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의 상기 커버 가이드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커버 가이드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 가이드와 맞물림 상대 가동 가능한 샤프트 윙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 윙 가이드보다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 측에 배치되는 오링부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을 제한하는 하우징 스톱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는, 두 개의 소자를 갖는 홀센서 내지 자기센서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고정부를 갖는 구성을 통하여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가져 접점의 저항성분이 증가하여 단선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 정확도를 증대시키는 구조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는, 종래의 복잡한 구조의 영구자석 착자 형태 및 센서 이격 배치와는 달리 간결한 배치를 통하여 이에 따른 오차 발생 최소화 및 정확한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협소하고 다양한 Package 구성에 적용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제품으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는, 영구자석과 센서 간 복잡한 매개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정확한 감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실질적으로 영구자석을 통한 자기 감지 구조를 형성하여 조립성을 개선하여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감지 범위 확대 내지 감도 개성 등의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는, 영구자석의 착자 구성에 따라 자속의 세기 변화 및 자속방향의 변화를 검출 등 다양한 구성에도 정확한 감지 가능할 수도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는, 복수 개의 소자를 통하여 영구자석이 회동하는 영역에 대하여 선형적 출력 관계를 형성하여 정확한 감지를 가능하게 하고, 제 1 센싱 모듈을 통하여 예를 들어 차량 변속 레인지의 특정 영역에서의 가동 내지 비가동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센싱 가동 자성체 및 센싱 가동 마그네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센싱 가동 자성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제 2 센싱 가동부와 제 2 센싱 고정부 간의 변속 레인지 대응 상태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제 2 센싱 가동부의 센싱 가동부 자성체 및 이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10)는 특히 차량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장치나 차량의 각종 기능 선택을 위한 스위치 장치, 예를 들어,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니트로서 회전 조작을 통하여 다양한 차량 상태의 감지 가능하도록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스티어링 휠 센서 등과 더불어, 다양한 조작 상태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 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 것과 같은 차량의 다양한 선택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회전 동작을 감지하고 소정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동작을 이루는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선택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변속 레버 측에 연동하는 변속 레인지 감지 스위치 및/또는 변속기의 스풀(미도시)와 연결되는 인히비터 스위치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기판(200)과 로터리 샤프트(300)와, 센싱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는 각각 측부에 하우징 커버 체결부 및 하우징 바디 체결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 체결부와 하우징 바디 체결부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 체결부 및 하우징 바디 체결부는 외주에 형성되는 요홈 내지 관통구로 구현되고, 별도의 체결 부재(101)를 통하여 관통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가 내부 공간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 사이에는 실링 부재(600)가 배치되어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기밀 차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서 하기되는 센싱부의 제 1 센싱 고정부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구조의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현되는데, 경우에 따라 별도의 메인 기판이 더 구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바디(110)는 기판(200)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리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바디(110)에는 하우징 바디 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120)의 일면으로 하우징 바디 관통구(11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21)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바디 관통구(111)와 하우징 커버 관통구(121)에는 로터리 샤프트(300)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센싱부(400)의 제 2 센싱 모듈(402)이 배치된다. 기판(200)은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기판은 센싱부의 제 1 센싱 모듈과 연결되는 별도의 메인 기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에는 제 2 센싱 모듈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한다.
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10)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제 1 센싱 모듈의 배치 영역과의 간섭을 방지하나, 이는 일예로서 기판이 기판 관통구를 구비하여 로터리 샤프트(30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로터리 샤프트(300)는 중앙에 샤프트 관통구(301)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로터리 샤프트(300)의 샤프트 관통구(301)에는 외부 대상체(미도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변속 레버와 연동하는 로드(샤프트, 미도시) 내지 별도의 액츄에이터 등을 통한 관통 배치를 이루고 축회동을 이룸으로써 로터리 샤프트(300)의 회전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 및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 연장 형성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이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120) 및 하우징 바디(110) 사이의 공간 내에서 안정적인 장착 가동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는 원통형 구조를 취하고,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샤프트 관통구(301)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요홈이 형성되어 외부 대상체와의 상대 회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는 원통형 구조를 이루되,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에서의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형성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은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서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은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로터리 샤프트 윙(320)은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사이각을 갖는 복수 개의 배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하기되는 센싱부(400)의 제 1 센싱 모듈(401)의 제 1 센싱 가동부(420)가 배치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샤프트 윙 가동부 장착부(321)가 구비되고, 샤프트 윙 가동부 장착부(321)에 제 1 센싱 가동부(420)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샤프트 윙 가동부 장착부(321) 및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본 실시예에서 한 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와 하우징(100)에는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커버 가이드(122, 도 5 참조)를 구비하고, 로터리 샤프트(300)는 샤프트 윙 가이드(3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하우징 커버(120)의 로터리 샤프트(300)의 로터리 샤프트 윙(320)을 향한 일면에는 커버 가이드(122)가 배치되는데, 커버 가이드(122)와 샤프트 윙 가이드(322)는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등반경 위치에 배치되고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가이드(122)는 요홈 구조를 이루고 샤프트 윙 가이드(322)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취하여 커버 가이드(122)에 샤프트 윙 가이드(322)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수용 맞물림 구조를 통하여 로터리 샤프트의 안정적인 회동 상태 유지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의 로터리 샤프트 바디와 하우징의 회동 장착시 구성요소의 간극으로 인한 습기 내지 이물 유입으로 인하여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기판(200) 내지 기판 상의 회로소자의 손상 내지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는 오링부(500)가 더 구비되는데,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는 샤프트 바디 오링 안착부(313)가 구비되고, 샤프트 바디 오링 장착부(313)에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커버(120)에는 커버 오링 가압부(123)가 구비되는데, 샤프트 바디 오링 장착부(313)에 오링부(500)이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의 장착 결합시 오링부(500)가 가압되어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의 간극을 밀폐시키고 커버 오링 가압부(123)가 비교적 긴 구성을 취하여 습기 경로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중앙부위로부터 습기 또는 이물이 기판(20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센싱부(400)는 제 1 센싱 모듈(401)과 제 2 센싱 모듈(402)을 포함하는데, 제 1 센싱 모듈(401)은 제 1 센싱 가동부(420)와 제 1 센싱 고정부(410)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모듈(402)은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제 2 센싱 고정부(430)를 포함한다.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 배치되어 회동하고, 제 1 센싱 고정부(410)는 제 1 센싱 가동부(420)에 대응하여 제 1 센싱 가동부(420)의 회동을 감지한다. 즉, 제 1 센싱 고정부는 위치 고정되어 하우징 측에 배치되고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 배치되어 로터리 샤프트 윙(320)과 함께 회동하며 위치 고정된 제 1 센싱 고정부(410)와의 상호 연동에 의하여 회동 감지가 이루어진다. 제 1 센싱 고정부 및 제 1 센싱 가동부는 소정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센싱 모듈(401)은 접촉식 스위칭 구조를 취한다. 즉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포함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샤프트 윙 장착부(321)가 구비되고,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는 샤프트 윙 장착부(321)에 수용 배치된다.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는 일단이 샤프트 윙 장착부(321)의 내측에 접촉하고 타단은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와 접촉하여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탄성 지지한다.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는 'ㄷ'자 형상을 취하는데, 이는 일예로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의 일단은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와 접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대응하여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제 1 센싱 고정부(410)와 접촉 가능하고, 접촉 위치 변화로 전기적 신호의 변동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센싱 모듈은 한 개가 구비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하나의 로터리 샤프트 윙 및 대응 위치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로터리 샤프트 윙 및 대응 위치에 단수 내지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센싱 고정부(410)는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의 대응되는 위치, 즉 가동 범위 내로 하우징 측에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으로 구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10)에 인서트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의 기판이 구비되고 이에 형성되는 기판 도전성 라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제 1 센싱 가동부(420)의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와의 접촉 단속을 통한 소정의 위치 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센싱 모듈(401)은 차량의 변속 레인지 중 P(주차) 및 N(중립) 상태의 여부만을 감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제 1 센싱 고정부(410)는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 영역 중 차량의 변속 레인지 중 특정 변속 레인지, 예를 들어 P(주차) 및 N(중립) 상태에 대한 영역에만 제 1 센싱 가동부(420)와의 접촉 유지 내지 접촉 해제 상태가 발생하는 구조를 취하여 다른 변속 레인지와의 신호 차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시 P,N 변속 레인지 이외의 상태에서 시동을 방지하여 차량의 급출발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센싱 모듈(401)은 접촉식 스위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제 1 센싱 모듈도 비접촉식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전자식 릴레이를 더 구비하여 별도의 P/N 단자 또는 백업 램프의 점멸 기능을 수행하는 R단자 등과의 통전 구현을 이룰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제 2 센싱 모듈(402)은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제 2 센싱 고정부(430)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 배치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이격 배치되어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회동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자석을 포함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위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이다. 여기서, 재 2 센싱 고정부(430)인 자기 센서는 자성체 및 자석으로 구현되는 가동부 측과 마주하여 홀소자가 배치되는 구조의 패키징화된 홀IC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MR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제 2 센싱 가동부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측에 고정 장착되는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두 개의 센서 소자를 구비하여 복수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두 개의 홀센서를 구비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430-1,430-2)는 각각의 홀소자(433;433-1,433-2)를 포함하는데, 홀소자(433;433-1,433-2)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대 회동 운동을 이루는 제 2 센싱 가동부(440)로서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에 대하여 위치 변화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데, 특정 영역, 즉 하기되는 복수 개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에 대하여 전압과 같은 출력 신호가 선형적 출력 관계를 형성하여 양자의 상대 회동, 궁극적으로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소정의 각 회동 변위에 대하여 선형적 출력값을 도출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출력값 도출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의 외측, 즉 제 2 센싱 가동부 영역의 옆 또는 양옆에 대하여도 소정의 회동 변위에 대한 출력값의 선형적 관계가 유지되는 오버스트로크 영역을 구비하여 과도한 회동에 대하여도 능동적인 대응값 출력으로 보정 등의 보완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구간을 형성하여 능동적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두 개의 홀소자(433)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도 5의 본 실시예에서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각각 하나의 홀소자를 구비하는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홀 센서로 구현되는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원주 방향으로 순차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어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도 10의 a 및 도 11의 a).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홀센서가 제 2 센싱 가동부에 대하여 동일한 Air Gap을 갖도록 배치 하여 안정적인 센서 성능을 얻을 수 있으나, 두 개의 홀센서의 홀소자의 위치가 서로 간에 다소 상이하여 제 2 센싱 가동부에 대하여 동일한 면, 예를 들어 회전 위치로서의 동작 각도를 갖지 않아 출력값 간에 다소 간의 상이한 출력 성능을 보인다는 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홀센서가 반경 방향, 즉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하여 동 반경 선분 상에 나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도 10의 b, 도 11의 b).
이러한 구조의 경우 제 2 센싱 가동부에 대하여 두 개의 홀센서가 동일한 위치, 즉 동일한 동작 각도를 검출 할 수 있도록 정열 가능하여, 홀센서의 홀소자의 위치를 유사하게 설정, 즉 에어갭을 유사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구조를 취하여 각각의 홀센서로부터의 출력성능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균일하고 안정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홀센서 중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을 향한, 즉 제 2 센싱 가동부(440) 측을 향한 홀센서에 구비되는 홀센서는 반대편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홀센서는 제 2 센싱 가동부(440)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제 2 센싱 고정부(430) 간의 에어갭은 도면 부호 a로,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제 2 센싱 고정부(430)의 내측 홀센서의 홀소자 까지의 거리를 도면 부호 b로,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제 2 센싱 고정부(430)의 외측 홀센서의 홀소자 까지의 거리를 도면 부호 c로 나타내는 경우, a<<b≒c의 관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두 개의 홀센서에서의 에어갭 등의 제 2 센싱 가동부와의 거리 차이를 최소화시켜 보다 정확한 출력값 도출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재 2 센싱 고정부(430)인 자기 센서는 자성체 및 자석으로 구현되는 가동부 측과 마주하여 홀소자가 배치되는 구조의 패키징화된 홀IC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MR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11 (c)에는 두 개의 소자가 단일의 패키지에 내장된 Dual Sensor 구조(430-D)를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각 소자를 구비하는 두 개의 센서 간 출력 성능 편차를 최소화하고, 개별 센서로 인하여 발생하는 조립 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듀얼 센서 구조의 경우, 별도의 PCB를 적용하거나 하나의 PCB를 조립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도 10,11 (c) 및 (d)에 각각 PCB로서의 기판의 배치 변형예 및 하기되는 바와 같은 이에 수반하는 착자 변형예가 도시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조립성을 개선하기 위해 간단히 기존 형상의 영구자석(400) 착자 구성을 변경하고 간단하게 듀얼 센서 구조의 제 2 센싱 고정부(430-D)를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센싱 고정부는 각변위에 대한 자속밀도의 세기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구조 이외에도, 자속 방향을 검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10,11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속 밀도의 세기를 검출하지 않고 자속 방향을 검출하는 구조(430-D)를 취하여 대응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궁극적으로 대응하는 차량의 변속 레인지 등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센싱 가동부의 착자 구조는 단순한 원주 방향으로의 N,S 극의 단순 교번 배열 구조(440-A) 만을 취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2 센싱 고정부(430-D)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D)는 제 2 센싱 가동부(440-A)의 외주에 사전 설정된 간격(d)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자장의 방향 검출을 통하여 현재 회동 위치를 감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제 2 센싱 가동부(440)와의 자장 영역에 정확한 배치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감지 상태 형성이 가능하도록 센싱부는 제 2 센싱 고정부의 높이 조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더(4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홀더(450)에는 제 2 센싱 고정부(430)의 각각의 홀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고, 하면에 기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2 센싱 고정부(430)의 두 개의 홀소자는 각각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제 2 센싱 가동 영역의 대응되는 설계 사양상 동작 각도 상 중간 선형적 자속 밀도 변경부를 이용하기 위함이며, 이의 배치 위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소자, 즉 홀소자 내지 자기소자의 일체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인서트 몰딩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각각 제 2 센싱 고정부(430)와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대응 배치 구조 및 출력 선도가 도시되는데, 자석으로 형성되는 제 2 센싱 가동부(440)가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회동에 따라 소정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가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상대 위치 변화로 형성되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위치 변화 감지 기능을 실행하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변속 레인지 변화를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도 8에서 제 2 센싱 가동부(440)와의 상대 회동 변위, 즉 회전각에 대하여 제 2 센싱 고정부(430)가 감지하는 자속 밀도는 제 2 센싱 가동부 영역에 대하여 선형적 관계를 형성하고, 제 2 센싱 가동부 영역의 외곽에도 실질적으로 선형적 출력 관계를 형성하는 구조를 유지하나, 과도한 범위에 들어서는 경우 비선형적 출력 관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출력 선도는 하나의 홀센서에 대하여 취득되는 선도로서 다른 하나의 홀센서가 감지하여 출력하는 출력값은 대칭적 관계를 형성한다.
도 9에는 두 개의 홀센서로 구현되는 제 2 센싱 고정부(430)에서 모두 출력되는 출력값을 모두 도시한 선도이다.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 장착되어 함께 회동하는 제 2 센싱 가동부(440)에 의한 회전각 범위, 즉 스트로크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이루는 관계를 형성하여 각각의 홀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출력값 도출 및 셀프 체킹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복수 개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은 소정의 할당된 대응영역을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인히비터 스위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은 차량의 변속 레인지에 대응한다. 즉, 로터리 샤프트(300)가 회동하여 로터리 샤프트(300)의 회동 중심(O)과 홀 소자(433)를 잇는 선분(선 O-O) 상에 제 2 센싱 가동 영역과 제 2 센싱 고정부(430)의 소자가 대응 배치되는 경우 해당하는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에 대응하는 자장을 제 2 센싱 고정부(430)가 감지하고, 즉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 상태에 따라 복수 개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와 제 2 센싱 고정부(430) 간에 자속의 변화를 감지되어 출력되는 출력값이 상이한 값을 갖는 구조를 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센싱부(400)는 차량의 변속 레인지, 즉 차량의 P(주차), R(후진), N(중립), D(주행)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데, 각각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은 차량의 P(주차), R(후진), N(중립), D(주행)의 변속 레인지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자성체로 구현되는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과 제 2 센싱 고정부(430)의 홀소자 내지 자기소자에 의하여 감지되는 자속의 변화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활용하여 현재 변속 레인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속 범위는 본 실시에에서는 R과 N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α의 각도 범위를 형성하고, 이들의 최외곽 측에 각각 오버스트로크 영역을 구비하여 소정의 선형 출력 관계를 유지 내지 보정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신호의 오작동 내지 불필요한 빈번한 변속 레인지 변화를 방지하여 원치 않는 변속 충격 내지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의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레인지 사이에 버퍼 레인지(P-R, R-N, N-D)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버퍼 레인지에 대응하는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440P-R, 440R-N, 440N-D; 도 9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는 센싱 가동 영역 사이에 중간 영역으로서의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변속 감지 및 감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440P-R, 440R-N, 440N-D)과 제 2 센싱 고정부(430) 간의 상대 위치 변화로 인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변속 레인지를 확인하고 이전 단계에서의 변속 레인지 및 기타 주변 환경 감지 신호를 활용하여 소정의 중간 영역에서의 변속 출력값을 선정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440P-R, 440R-N, 440N-D)의 길이, 즉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 방향, 즉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 차이를 형성하여 히스테리시스적 구성을 취하는 등의 방식을 통하여 두 개의 센싱 가동 영역 사이에서의 빈번한 변동 신호 출력으로 인한 출력부, 예를 들어 차량의 변속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고,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의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두 개의 홀소자를 각각 홀센서를 구비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제 2 센싱 고정부는 자기 소자를 두 개 구비하는 단일의 MR센서, GMR센서 또는 AMR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0의 (c) 내지 (e) 및 도 11의 (c)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자기소자를 구비하는 단일의 자기센서로서의 제 2 센싱 고정부(430)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기판(200)은 메인기판(210)이외에 버티컬 기판(220)을 더 구비하고 메인 기판(21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버티컬 기판(220)의 일면 상에 장착되어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외주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도 10 (c) 및 도 11 (c)),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메인 기판으로서의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감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도 10(d) 및 도 11(d)),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메인 기판으로서의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되 기판(200)이 수직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2 센싱 가동부(440)의 외주에 대향 배치되는 구조(도 10(e) 및 도 11(e))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센싱 가동부(430)로 구현되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N극과 S극의 착자구조를 이루는데, 착자 구조는 반경방향으로의 상이한 극성 배치 및 원주 인접 방향으로의 상이한 극성 배치 구조를 이룬다(도 8 참조). 이와 같은 4극 구조를 통하여 제 2 센싱 고정부(440)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자속 배치를 이루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감지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제 2 센싱 가동부의 구조는 도 10 (a), (b),(c) 및 도 11 (a),(b),(c)의 경우에 대한 것으로, 도 10 및 도 11의 (d) 내지 (e)의 경우 제 2 센싱 가동부(430)는 다른 착자 배치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의 (d)의 경우 제 2 센싱 가동부(430)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원주 방향으로의 상이한 극성 배치를 이룸과 동시에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회동축의 길이 방향으로도 상이한 극성 배치를 이루는 구조(440-V)를 형성하고, 도 10 및 도 11의 (e)의 경우 제 2 센싱 가동부(430)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원주 방향으로의 상이한 극성 배치를 이루되 N극과 S극의 1:1 단수 배치가 아니고 N,S,N,S 또는 S,N,S,N의 동일 극성의 복수 개의 교번적 배치 구조(440-A)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4극 착자, 6극 착자, 8극 착자 등 착자의 개수와 더불어 착자의 방향이 반경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거나 원주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거나 및/또는 회전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착자의 방향 및 착자의 개수 등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기판에 연결되되 기판 상에 직접 접촉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제 2 센싱 고정부(430)를 위치 고정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싱 홀더(4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센싱 홀더(450)는 센싱 몰딩부(435)와 기판(200) 사이에 배치되어 센싱 몰딩부(435)를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여 안정적인 감지 위치 확보를 통한 신뢰성 높은 감지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로터리 샤프트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 바디(110)와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양자의 맞닿음을 통한 회동 저지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되는데, 하우징 바디(110)는 바디 스톱퍼(117, 도 6 참조)이 구비되어 로터리 샤프트 윙(320)과의 제한 접촉을 통하여 로터리 샤프트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회동방향에 따른 변속 레인지의 추가적 변화 방지 구조는 소정의 스톱핑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센싱부(400)의 제 1 센싱 모듈(401) 및 제 2 센싱 모듈(402)은 경우에 따라 별개의 MCU를 구비하여 신호 조합 구성을 출력하거나 또는 단일체로서의 ASIC회로 구성을 취하여 신호 조합 및 다양한 신호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10)의 하우징(100)은 차량에 배치되고, 기판(200)이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며, 하우징(100)에 차량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300)와, 센싱부(400)를 구비하여,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인히비터 스위치로서의 차량 변속 레인지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제 2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센서 내지 스위치로 구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00..하우징 110...하우징 바디
120...하우징 커버 200...기판
300..로터리 샤프트 400...센싱부

Claims (1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부 및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1 센싱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모듈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가동부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2 센싱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자석이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위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두 개의 소자를 포함하는 자기 센서이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홀소자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는 호상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가 감지하는 대응하는 영역으로, 복수 개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에 의한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와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 사이의 상대 위치와 출력 신호 간에 선형 출력 관계를 이루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선형 출력 관계가 유지되는 오버스트로크 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차량의 P(주차), D(주행), R(후진), N(중립)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은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의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레인지의 사이에 버퍼 레인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버퍼 레인지에 대응하는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가 회동하는 원주 방향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상이한 극성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홀센서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순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홀센서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순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홀센서 중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측에 배치되는 홀센서의 홀소자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홀센서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와의 상대 높이를 조정하여 지지하는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에 수직 배치되는 버티컬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버티컬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기 소자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는 호상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기 소자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는 호상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수용 배치되는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상기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에 의하여 탄성 지되어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과 함께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의 대응 위치로 상기 하우징 측에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바디를 향한 일면에는 커버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의 상기 커버 가이드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커버 가이드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 가이드와 맞물림 상대 가동 가능한 샤프트 윙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을 제한하는 하우징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1020140135869A 2014-06-24 2014-10-08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101681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7547 2014-06-24
KR1020140077547 2014-06-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680A Division KR102103536B1 (ko) 2014-06-24 2016-11-24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16A KR20160000816A (ko) 2016-01-05
KR101681741B1 true KR101681741B1 (ko) 2016-12-02

Family

ID=551647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869A KR101681741B1 (ko) 2014-06-24 2014-10-08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1020160157680A KR102103536B1 (ko) 2014-06-24 2016-11-24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680A KR102103536B1 (ko) 2014-06-24 2016-11-24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81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386B1 (ko) * 2017-11-03 2019-06-18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KR102348898B1 (ko) * 2019-03-15 2022-01-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페달 장치
JP2021167181A (ja) * 2020-04-13 2021-10-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420A (ja) * 2006-12-28 2008-07-17 Nippon Seiki Co Ltd アクセル開度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6480B2 (ja) * 1997-07-29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KR20100070593A (ko) * 2008-12-18 2010-06-2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비접촉 변속 감지 유니트
EP2772728B1 (en) * 2011-10-27 2017-08-09 Tyco Electronics Japan G.K. Detecting sensor manufacturing method
KR102050724B1 (ko) * 2012-06-28 2019-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앵글 센서용 기판 및 이를 갖는 토크 앵글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420A (ja) * 2006-12-28 2008-07-17 Nippon Seiki Co Ltd アクセル開度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16A (ko) 2016-01-05
KR20160141377A (ko) 2016-12-08
KR102103536B1 (ko)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8308B2 (en) Current sensor
US8334688B2 (en) Multi-position switch having dual output hall device
US9379598B2 (en) Absolute encoder device and motor
US9250102B2 (en) Magnetic encoder
US7321230B2 (en) Rotation angle-detecting device
KR20100070593A (ko) 비접촉 변속 감지 유니트
US20040194560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torque exercised on a shaft
KR102021753B1 (ko) 각 위치 센서
KR101681741B1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101653444B1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JP3850199B2 (ja) インヒビタスイッチ
US8937479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KR101629088B1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US8327722B2 (en) Rotary torque detecting device
JP201204604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000141B1 (ko) 비접촉 변속 감지 유니트
KR20160043228A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US10539430B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WO2021020541A1 (ja) 回転角度検出センサ
JP6282010B2 (ja) 位置検出装置
WO2020158677A1 (ja) 位置検出装置
KR20180043581A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JP2012079424A (ja) 近接スイッチ
US20200318729A1 (en) Detecting device
CN114174769B (zh) 旋转角度检测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