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339B1 - 유량 조정기 - Google Patents

유량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339B1
KR101681339B1 KR1020117013281A KR20117013281A KR101681339B1 KR 101681339 B1 KR101681339 B1 KR 101681339B1 KR 1020117013281 A KR1020117013281 A KR 1020117013281A KR 20117013281 A KR20117013281 A KR 20117013281A KR 101681339 B1 KR101681339 B1 KR 10168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flow
regulator housing
ring
sea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376A (ko
Inventor
파비안 빌트팡
Original Assignee
네오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447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813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네오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네오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1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0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 G05D7/012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deformable and acting as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1624Destructible or deformable element 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54In couplings for coaxial conduits, e.g., drill pipe check valves
    • Y10T137/7857Valve seat clamped between coupl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fety Valves (AREA)
  • Flow Control (AREA)
  • Valve Housing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로틀 바디를 구비한 유량 조정기(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로틀 바디는 조정기 하우징(4)의 관류 채널(3)에 배치되고, 상기 스로틀 바디와 내부 둘레측 및/또는 외부 둘레측에 위치한 채널벽에 제공된 조정 프로파일 사이에서 제어갭(5)을 한정하고, 상기 제어갭(5)은 상기 제어갭의 내부의 관류 횡단부에서 관류 매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스로틀 바디(2)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조정기 하우징(4)은 외부 둘레측에서 2개의 상호 결합한 라인 세그먼트들 또는 라인 부재들 사이에 상기 유량 조정기(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테두리 영역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1)는, 조정기 하우징(4)이 밀봉링(6)의 링 개구부에 배치되고, 밀봉링(6)의 유입측 및 유출측의 전방면(7, 8)은 고정 테두리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1)는 제한된 공간 비율에서도 위생 공급 라인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 때 조정기 하우징(4)의 고정 테두리 영역으로서 제공된 밀봉링(6)은, 상호간에 결합해야할 라인 세그먼트들의, 서로를 향해있는 전방면을 외부에 대해 밀봉한다.

Description

유량 조정기{FLOW QUANTITY REGULATOR}
본 발명은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로틀 바디(throttle body)를 포함하는 유량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로틀 바디는 조정기 하우징의 관류 채널(permeating channel)에 배치되고, 상기 스로틀 바디와 내부 둘레측 및/또는 외부 둘레측의 채널 벽에 제공된 조정 프로파일 사이에서 제어 갭(control gap)을 한정하며, 제어 갭은 내부의 관류 횡단부에서 관류 매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스로틀 바디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고, 조정기 하우징은 외부 둘레측에서 2개의 서로 연결된 라인 세그먼트들(line segments) 또는 라인 부재들 사이에 유량 조정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테두리 영역을 지지한다.
유량 조정기는, 물 배관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수량을 수압과 무관하게 최대값으로 확정하기 위해, 위생 물 배관(sanitary water line)에 장착되도록 지정된다. 이러한 유량 조정기는 이미 다양한 실시 방식으로 공지되어 있다.
DE 20 2007 008808 U1 및 DE 26 23 191 A1으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는 유량 조정기는, 샤워할 때 물 절약을 위한 용도이다.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 말단 영역들에서 각각 연결 나사산을 지지한다. 전방 말단 영역에 제공된 연결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기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의 조정기 하우징은 샤워 헤드쪽으로 이어진 물 배관에서 중간에 연결될 수 있다.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는 차후에 물 배관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의 조정기 하우징은 기존의 라인 세그먼트와 맞지 않는 형상 및 색으로 인하여 뚜렷하게 알아볼 수 있어서, 이러한 장비의 외관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 소재의 링형 스로틀 바디를 포함한 유량 조정기로서, 이 때 상기 스로틀 바디는 조정기 하우징의 관류 채널에 배치되고, 상기 스로틀 바디와 조정 프로파일 사이에서 제어갭을 한정하며, 이러한 제어갭은 상기 제어갭의 내부 관류 횡단부에서 관류 매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스로틀 바디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는 경우의 조정기도 제조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를 물 배관에 고정하고, 예컨대 2개의 파이프 라인 피팅 사이에 또는 물 튜브 또는 핸드 샤워 사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정기 하우징의 외부 둘레에 링 플랜지가 제공되고, 링 플랜지는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에서 고정 테두리 영역으로서 역할한다.
일체형으로 조정기 하우징에 맞춤 성형된 고정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를 기밀적으로(tight) 물 배관안에 설치하기 위해,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의 양 측에는 이에 상응하는 고무 밀봉을 더 구비한다. 고정 테두리 영역과 양측에 구비된 고무 밀봉은 적잖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의 차후 설치는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한, 선행 공지된 유량 조정기의 설치는, 고정 테두리 영역보다 돌출한 조정기 하우징의 부분 영역이 내부의 라인 횡단부에 맞지 않는 경우에도 어렵다.
유사한 유량조정기가 일예로, 미국특허 제3,847,1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유럽특허공개 1 042 452호에는, 나사결합부의 내부에 두개의 인접한 선단면 사이에 밀봉 링이 개재된 수도관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밀봉 링의 개구부의 내측벽면에는, 비드(bead)가 형성된 케이싱을 가진 스크린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이 연결부에서 유체흐름 단면적을 그다지 축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은 물 흐름에 유체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스크린은 큰 유체저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스트레이너의 마찰식 부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물흐름의 압력하에서는 유체 유량조정기 때문에 유체조정기의 마찰식 결합에 유체저항이 증가하면 할수록, 유량 조정의 부품들이 즉시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제한된 공간 비율에서도 용이하게 위생 가스 배관 또는 물 배관에 설치되면서 특히 개조(retrofit)될 수 있는 유량 조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결 수단은 특히, 조정기 하우징이 밀봉링의 링 개구부에 배치되고, 밀봉링의 유입측 및 유출측의 전방면이 고정 테두리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의 조정기 하우징은 밀봉링의 링 개구부에 배치되고, 밀봉링의 유입측 및 유출측의 전방면은 고정 테두리 영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는 부가적인 밀봉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하나의 밀봉링처럼, 2개의 상호 결합한 라인 세그먼트의 라인 연결부안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개조 시, 유량 조정기는 이제까지 밀봉부가 위치해있던 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는 이러한 밀봉부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밀봉부 및 조정기 하우징을 오버몰딩하는 것,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관류 조정기의 이러한 부품을 2성분 또는 다성분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링은 조정기 하우징의 오버 몰딩으로 형성되거나/형성되고 조정기 하우징 및 상기 조정기 하우징과 결합한 밀봉링이 다성분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조정기 하우징 및 밀봉링의 조립을 위한 다른 방법 단계는 피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실시예는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제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조정기 하우징과 밀봉링 사이에 고정적이고 풀림이 불가능한 결합은, 부가적으로, 조정기 하우징이 바람직하게는 종축 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개구부를 밀봉링의 밀봉 물질이 관통하면서 이루어진다.
조정기 하우징 및 밀봉링은 상호간 보완적인 외부 윤곽 또는 둘레 윤곽을 가지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는 규칙적으로 형상 맞춤방식으로 상호간 결합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 조정기 하우징 및 밀봉링이 마찰 결합, 접착 결합 또는 물질간의 결합에 의해 또는 이러한 결합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호간 결합되는 경우도 중요할 수 있다.
고무 또는 다른 기밀적-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밀봉링 및 이에 비해 더 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진 조정기 하우징을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조정기 하우징은 밀봉링의 링 개구부에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링 개구부를 한정하는 링 내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 또는 이와 유사한 체결 수단이 구비되고, 이러한 체결 수단은 조정기 하우징의 하우징 외부 둘레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출부 또는 이와 유사한 대응 체결 수단과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조정기 하우징이 유입측 또는 유출측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밀봉링의 부분까지 상기 밀봉링의 링 개구부에 장착될 수 있는 경우에, 조정기 하우징은 수압이 높을 때에도 더욱 확실하고 고정적으로 밀봉링에 유지된다.
조정기 하우징이 장애요인이 되지 않는 정도로 밀봉링보다 돌출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가 장착비율과 무관하게 가능한 한 여러 측에서 장착될 수 있기 위해, 조정기 하우징이 밀봉링의 링 개구부에서 신축형(retractable)인 경우가 유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정기 하우징은 밀봉링의 양측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않는 정도로 밀봉링보다 돌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는, 밀봉링의 외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유지캠(retaining cam) 또는 유지 돌출부가 돌출하고, 이러한 돌출부가 라인-결합부의 내부 나사산과 맞물리는 경우에, 간단한 방식으로 예컨대 파이프 라인 결합부의 유니온 너트(union nut)에 장착되고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장비 연결측에 또는 핸드 샤워쪽으로의 접합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샤워 튜브의 유니온 너트는 통상적인 응용예에 해당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밀봉링의 링-외부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유지 돌출부들이 제공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가 상기의 라인 결합부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에 더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의 규정에 따른 기능 방식을 항상 보장하기 위해, 유입측에서 유량 조정기 앞에는 스트레이너(strainer) 부가물이 연결되고, 이러한 부가물은 기껏해야, 유입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원뿔형으로 뾰족해지는 중심 영역과 함께로만 조정기 하우징 및 밀봉링의 외부 윤곽보다 돌출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중심 영역에서 유입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원뿔형으로 뾰족해지는 스트레이너 부가물은 매질에 함께 이송된 오염물 입자를 걸러낼 수 있고, 이러한 오염물입자는 스트레이너 부가물의 특별한 형상에 의해 외부의 스트레이너 테두리에 침전된다. 또한, 원뿔형으로 뾰족해지는 이러한 스트레이너 부가물은 인접한 파이프 라인의 내부 라인 횡단부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않는 방식으로 돌출하는데, 원뿔형으로 뾰족해지는 스트레이너 부가물에 있어 첨단(peak)을 향해있는 자유 말단 영역은 밀봉링보다 돌출한 둘레 영역에서 충분히 작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은 청구범위와 관련한 이하의 도면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외부 둘레측에 제공된 밀봉링의 링 개구부에 배치된 유량 조정기의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유입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의 유량 조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의 유량 조정기에 있어 도 3에 비해 약간 회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4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유량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에서 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5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유량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플렉시블 샤워 튜브에 의해 핸드 샤워와 결합한 위생 아웃렛 장치로서, 이 때 도 1 내지 6에 따른 유량 조정기를 위해 바람직한 설치 대안예는 원으로 둘러쳐져 A, B로 표시된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설치 영역(A)에서 도 1 내지 6의 유량 조정기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설치 영역(B)에서 도 1 내지 6의 유량 조정기이다.
도 10은 도 11의 절단선 X-X에 의해 표시된 유량 조정기의 종축 단면도로, 상기 유량 조정기는 - 도 1 내지 6과 유사하게 - 외부 둘레측에 제공된 밀봉링의 링 개구부에 배치되고, 이 때 여기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는 유입측 스트레이너 부가물을 포함하지 않고, 매우 평편한 외부 윤곽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도 10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유입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11의 유량 조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 내지 12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에서 본 사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 내지 13의 유량 조정기를 도 13에 대해 회전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15는 도 10 내지 14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8의 절단면 XVI-XVI에 의해 표시된 유량 조정기의 종단면도로, 이 때 조정기 하우징은 외측에서 상기 조정기 하우징의 오버몰딩으로서 형성된 밀봉링을 지지하고, 여기서도 유량 조정기는 유입측의 스트레이너 부가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7은 밀봉링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절단된, 도 16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유입측에서 본 사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 17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전방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 내지 6과 비교 가능한 유량 조정기를 도 20의 절단선 XIX-XIX에 의한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유량 조정기를 제어갭의 영역에서 확대된 부분 종단면도로 도시하며, 상기 제어갭은 탄성 스로틀 바디와 외부 둘레측의 채널벽에 위치한 조정 프로파일 사이에 제공된다.
도 21은 도 19, 20의 유량 조정기를 사시 부분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2는 도 19 내지 21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유입측을 본 평면도로 도시하며, 이 때 무엇보다 유입측에서 유량 조정기보다 앞에 배치되며 상기 유량 조정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한 스트레이너 부가물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9 내지 22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을 본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24는 도 19 내지 23의 유량 조정기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5는 도 10 내지 15와 비교 가능한 유량 조정기를 도 26의 절단선 XXV-XXV에 따른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을 본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27은 도 25, 26의 유량 조정기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8은 도 25 내지 27의 유량 조정기를 둘레 방향에서 회전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9는 도 25 내지 28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을 본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30은 도 25 내지 29의 유량 조정기를 상기 조정기의 아웃렛 전방측을 본 사시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31은 도 19 내지 24의 유량 조정기의 응용예를 부분적인 종단면도로 도시하며, 이러한 응용예에서 유량 조정기는 볼 조인트(ball joint)-물 아웃렛에 장착된다.
도 32는 도 31의 응용예를 사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3은 도 31, 32의 응용예를 볼 조인트-물 아웃렛의 유입측에 장착된 유량 조정기의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34는 도시된 응용예의 사시도로, 이러한 응용예에서는 도 25 내지 30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가 벽측의 모서리 벨브에 장착된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응용예에 있어 측면도로 모사된 모서리 밸브이며, 이 때 모서리 밸브는 도 34의 A 영역에서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6, 8 내지 33 및 35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링형 스로틀 바디(2)를 구비한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가 도시되어 있고, 스로틀 바디(2)는 조정기 하우징(4)의 관류 채널(3)에 배치된다. 스로틀 바디(2)는 스로틀 바디와 내부 둘레측 또는 외부 둘레측의 채널벽에 제공된 조정 프로파일 사이에 제어갭( 5 )을 한정하고, 제어갭(5)은 상기 제어갭의 내부 관류 횡단부에서, 관류 매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스로틀 바디(2)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스로틀 바디(2)는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고, 이를 통해 제어갭(5)은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점차 좁아지므로, 시간 단위당 관류 채널(3)을 통과하여 관류하는 매질의 용적은 최대값으로 확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6, 8 내지 33 및 3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의 조정기 하우징(4)은 외부 둘레측에서 고정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고, 이러한 영역은 2개의 상호 결합된, 위생 공급 라인의 라인 세그먼트들 또는 라인 부재들 사이에 유량 조정기(1)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 때 도 1, 10, 16, 19, 21, 28, 31, 35에서는, 조정기 하우징(4)이 밀봉링(6)의 링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링의 유출측 및 유입측의 전방면(7, 8)은 고정 테두리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매우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유량 조정기(1)는 예컨대 파이프 라인 결합부의 유니온 너트에 삽입될 수 있고, 이 때 밀봉링(6)으로 형성된 고정 테두리 영역은 상호 인접한 라인 세그먼트들의 상호 인접한 전방면을 외부에 대해 밀봉한다.
도 1, 10, 19, 21, 28, 31 및 35로부터, 유량 조정기(1, 30, 32, 33)의 조정기 하우징(4)은 밀봉링(6)의 링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 개구부를 한정하는 밀봉링(6)의 링 내부 둘레에는 원주형 체결홈(9)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은 조정기 하우징(4)의 하우징 외부 둘레에서 마찬가지로 원주형인 체결 돌출부(10)와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조정기 하우징(4)은 밀봉링(6)의 유입측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내부를 향하여 돌출한 부분(11)까지 상기 부분의 링 개구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조정기 하우징(4)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밀봉링(6)의 링 개구부에서 카운트싱크된(countersunk), 조정기 하우징(4)은 양측에서 실질적으로 더 이상 밀봉링(6)보다 돌출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31)의 밀봉링(6)은 조정기 하우징(4)의 오버몰딩부로서 형성된다. 이 때, 조정기 하우징(4)은 외부 둘레측의 링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링 플랜지는 3개의 관통 개구부( 341 )를 포함한다. 둘레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서로 이격되며 특히 원호형으로 형성된 관통 개구부들( 341 )은 상기 개구부의 종축에서 가령 유량 조정기(31)의 종 방향으로 배향되며, 이러한 개구부들을 밀봉링(6)의 연성 밀봉 물질이 관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2성분- 또는 다성분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된 유량 조정기(31)의 밀봉링(6) 및 조정기 하우징(4)은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적으로 풀림 불가능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조정기 하우징(4)과 밀봉링(6)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고정적으로 풀림 불가능하게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부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에, 조정기 하우징 및 밀봉링은 마찰결합, 접착결합 또는 물질간의 결합에 의해 또는 이러한 결합방식의 선택에 따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정기의 기능 안전성을 항상 보장하고, 위생 공급 라인에서 경우에 따라 함께 이송된 오염물 입자를 걸러내기 위해서는, 유량 조정기(1, 32) 앞에는 스트레이너 부가물(12)이 유입측에서 배치되며, 기껏해야 유입 방향에서 원뿔형으로 뾰족해진 중앙 영역(13)과 함께로만 조정기 하우징(4) 및 밀봉링(6)의 외부 윤곽보다 돌출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그에 반해, 유량 조정기(30, 31, 33)에는 스트레이너 부가물이 구비되지 않아서, 이러한 유량 조정기(30, 31, 33)는 조정기의 설치 높이가 매우 낮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6, 11 내지 15, 17 내지 18, 19, 21 내지 24 및 26 내지 30으로부터, 밀봉링(6)의 외부 둘레에서 복수 개의 유지캠 또는 그 유사체보다 유지 돌출부(14)가 돌출하며, 상기 유지 돌출부는 예컨대 유니온 너트로서 형성된 라인 결합부의 내부 나사산과 맞물린다. 이 때, 여기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1)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링(6)의 링 외부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하는 복수 개의 유지 돌출부(14)를 구비한다.
여기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에는 밀봉링(6)을 이용한 링 밀봉부가 편입된다. 이 때,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는 비교적 낮은 설계 높이를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높이로 인하여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의 설치가 거의 모든 설치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밀봉링(6)의 외부 둘레에 제공된 돌출부(14)는 밀봉링(6) 및 상기 밀봉링의 유지 돌출부(14)를 위해 사용된 물질의 탄성과 연계하여 더욱 확실하고 고정적으로, 대응하는 라인 결합부안으로 형태를 맞추면서 삽입될 수 있어,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는 해당 라인 세그먼트가 먼저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세그먼트안에서 실질적으로 분실의 위험 없이 유지된다. 여기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의 경우 부가적인 밀봉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상기 유량 조정기는 상호 결합할 라인 세그먼트들의 서로를 향해있는 전방측을 외부에 대해 밀봉할 수 있다.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는 한편으로는 조정기 하우징(4)과 밀봉링(6)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먼저 조립된 상태의 유량 조정기를 분실의 위험없이 유지할 수 있긴 하나, 동일한 밀봉링(6)을 이용하여 다른 유량 조정기들과 함께 또 다른 유량 등급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때, 여기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는 예컨대 핸드 샤워 또는 샤워 튜브에 구비된 라인 결합부에 부속할 수 있다.
도 7 내지 9에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1)를 위한 통상적 응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도 7에는 예컨대 욕조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위생 아웃렛 장치(20)가 도시되어 있다. 위생 아웃렛 장치(20)는 한편으로는 물 아웃렛(21)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플렉시블 샤워 튜브(22)에 의해 핸드 샤워(23)와 결합되어 있다. 핸드 샤워(23)쪽으로 흐르는 수량을 시간 단위당 최대 용적으로 한정하기 위해, 유량 조정기(1)는 예컨대 아웃렛 장치(20)에 조립될 수 있는, 샤워 튜브(22)의 유니온 너트(24)에서 도 8에 따른 설치 위치(A) 또는 핸드 샤워(23)와의 접합부에 제공된 유니온 너트(25)에서 도 9에 따른 설치 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유량 조정기(1)의 특별한 이점은, 유량 조정기와 상이한 설치 위치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스트레이너 부가물(12)은 기능에 따라 항상 유량 조정기(1)의 유입측에 배치되고, 아웃렛 장치(20)의 내부 파이프 횡단부(26)에 또는 플렉시블 샤워 튜브(22)의 내부 튜브 횡단부(27)안으로 돌출한다는 것이다.
도 31 내지 33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19 내지 24의 유량 조정기(32)는 볼 조인트(ball joint)-물 아웃렛(34)에 장착될 수 있다. 볼 조인트-물 아웃렛(34)은 볼 조인트(35)에 의해 관절식으로(articulated) 상호 결합한 2개의 조인트 부분(36, 37)을 포함하고, 이러한 조인트 부분들 중 유입측의 조인트부(36)는 내부 나사산을 가진 나사산 개구부(38)를 포함하고, 내부 나사산은 위생 아웃렛 장치의 아웃렛 말단에서 외부 나사산에 조립될 수 있다. 도 31의 부분 종단면도로부터, 유량 조정기(32)는 경우에 따라서 차후에 밀봉링으로 교체되고, 나사산 개구부(38)안에 장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량 조정기(32)의 설치 높이가 낮은 이유로, 조정기는 외부로부터 어떠한 방식으로도 인지할 수 없이, 나사산 개구부(38)안에 장착될 수 있다. 유량 조정기(32)가 장착된 볼 조인트-물 아웃렛(34)은 기능적으로 고압축된 유닛을 형성하고, 이러한 유닛은 가장 작은 공간에서 밀봉부, 스트레이너 부가물, 질량 조정기 및 볼 조인트 아웃렛의 기능을 상호간 조합시킨다. 이러한 고압축 유닛은 차후에, 기존의 위생 아웃렛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4, 35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량 조정기(33)는 물 튜브(40)의 튜브 연결부(39)에 장착된다. 튜브 연결부(39)는 내부 나사산을 가진 나사산 개구부(41)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나사산을 이용하여 튜브 연결부(39)는 모서리 밸브(42)의 외부 나사산에서 조립된다. 이 때 튜브 연결부(39)의 나사산 개구부(41)에 장착된 유량 조정기(33)는 밀봉링을 대신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밀봉링은 일반적으로 튜브 연결부(39)와 모서리 밸브(42)의, 외부 나사산을 포함한 나사산 접합관(43) 사이에서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에 도시된 유량 조정기는 제한된 공간 비율에서도 용이하게 위생 물 배관에 설치될 수 있고, 이 때 유량 조정기는 밀봉링(6)으로 형성된 고정 테두리 영역과 함께, 상호간에 결합할 라인 세그먼트들의 상호 인접한 전방면을 외부에 대하여 밀봉한다.
조정기 하우징(4)은 예컨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밀봉링(6)은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연성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성분 사출 성형 부품에 대한 경우라면, 즉각적인 시간적 순서 및/또는 예컨대 단일의 사출 성형 도구로 실시하는 이러한 사출 성형 공정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출 성형 부품의 제조를 위해 복수 개의 부재들이 다양한 도구를 통해, 경우에 따라서 더 큰 시간적 간격을 두어, 서로 함께 사출 성형 부품으로 성형되거나 재형성되는 사출 성형 공정도 의미한다.
1, 30, 31, 32, 33: 유량 조정기 2: 스로틀 바디
3: 관류 채널 4: 조정기 하우징
5: 제어 갭(control gap) 6: 밀봉 링
7: 유입측의 전방면 8: 유출측 전방면
9: 체결홈 10: 체결 돌출부
11: 돌출한 부분 12: 스트레이너 부가물
13: 중앙 영역 14: 돌출부
20: 위생 아웃렛 장치 21: 물 아웃렛
22: 샤워 튜브 23: 핸드 샤워
24: 유니온 너트 25: 유니온 너트
26: 내부 파이프 횡단부 27: 내부 튜브 횡단부
34: 볼 조인트-물 아웃렛 35: 볼 조인트
36, 37: 조인트 부분 38: 나사산 개구부
39: 튜브 연결부 40: 물 튜브
41: 나사산 개구부 42: 모서리 밸브
43: 나사산 접합관

Claims (11)

  1.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로틀 바디(2)와 조정기 하우징(4)을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 바디는 조정기 하우징(4)의 관류 채널(3)에 배치되고, 스로틀 바디(2) 자체와 내부 둘레측 또는 외부 둘레측의 채널벽에 제공된 조정기 프로파일 사이의 제어갭(5)을 한정하며, 상기 제어갭(5)의 관류 횡단면은, 제어갭(5)을 통과하는 관류 매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스로틀 바디(2)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조정기 하우징(4)의 외부 둘레측에, 상호 연결되는 2개의 라인 세그먼트들 또는 라인 부재들 사이에서,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테두리 영역을 보유하는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정기(1, 30, 31, 32, 33)는 밀봉링(6)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기 하우징(4)은 상기 밀봉링(6)의 링 개구부 내에 탈착가능하게 잠금되며, 상기 링 개구부를 한정하는 밀봉링(6)의 링 내측 원주면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9)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9)은 상기 조정기 하우징(4)의 외측 원주면상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출부(10)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잠금될 수 있고, 상기 밀봉링(6)의 유입측 및 유출측의 전방면(7, 8)은 상기 고정 테두리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 하우징(4) 및 상기 조정기 하우징(4)에 결합된 밀봉링(6)은 다성분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 하우징(4)은 종축 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341)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를 상기 밀봉링(6)의 밀봉 물질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 하우징(4)은 상기 밀봉링(6)의 링 개구부에, 유입측 또는 유출측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내부를 향해 돌출한 부분(11)까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 하우징(4)은 상기 밀봉링(6)의 링 개구부에서 카운트 싱크된(countersunk)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6)의 외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유지캠 또는 유지 돌출부(14)가 돌출하고, 상기 유지 돌출부는 라인 결합부의 내부 나사산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6)의 링 외부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유지 돌출부(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정기(1) 앞에서 스트레이너 부가물(12)이 유입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레이너 부가물은 유입 방향에서 원뿔형으로 뾰족해지는 중앙 영역(13)과 함께 상기 조정기 하우징(4) 및 밀봉링(6)의 외부윤곽보다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정기.
KR1020117013281A 2008-12-30 2009-12-10 유량 조정기 KR101681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820017031 DE202008017031U1 (de) 2008-12-30 2008-12-30 Durchflussmengenregler
DE202008017031.1 2008-12-30
PCT/EP2009/008814 WO2010075943A1 (de) 2008-12-30 2009-12-10 Durchflussmengenreg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376A KR20110111376A (ko) 2011-10-11
KR101681339B1 true KR101681339B1 (ko) 2016-11-30

Family

ID=4214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281A KR101681339B1 (ko) 2008-12-30 2009-12-10 유량 조정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985142B2 (ko)
EP (1) EP2384382B9 (ko)
KR (1) KR101681339B1 (ko)
CN (2) CN102272391B (ko)
AU (1) AU2009335310B2 (ko)
BR (1) BRPI0924071B1 (ko)
CL (1) CL2011001631A1 (ko)
DE (1) DE202008017031U1 (ko)
ES (1) ES2552324T3 (ko)
HK (1) HK1161621A1 (ko)
MX (1) MX2011006727A (ko)
PL (1) PL2384382T3 (ko)
WO (1) WO20100759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7031U1 (de) * 2008-12-30 2010-05-12 Neoperl Gmbh Durchflussmengenregler
DE202010007835U1 (de) * 2010-06-11 2011-09-29 Neoperl Gmbh Durchflussmengenregler
DE202011005236U1 (de) 2010-06-16 2011-07-20 Neoperl Gmbh Sanitäre Einsetzeinheit sowie Brausearmatur mit einer sanitären Einsetzeinheit
DE102010023962A1 (de) 2010-06-16 2011-12-22 Neoperl Gmbh Dichtring, Durchflussmengenregler sowie Brausearmatur mit einem Durchflussmengenregler
DE202010009135U1 (de) 2010-06-16 2011-11-21 Neoperl Gmbh Dichtring, Durchflussmengenregler sowie Brausearmatur mit einem Durchflussmengenregler
ES2351593A1 (es) * 2010-07-02 2011-02-08 Industrial Disflex Iberica S.L. Flexo para duchas o similares.
CN102409746A (zh) * 2011-08-22 2012-04-11 重庆大学 一种改造新建城镇小区下垫面的方法
DE202012000808U1 (de) * 2012-01-27 2013-05-02 Neoperl Gmbh Sanitäres Einsetzteil
GB201220974D0 (en) * 2012-11-22 2013-01-02 Cefai Joseph J Micro valve
AU2016386544B2 (en) * 2016-01-14 2019-05-02 Phoenix Industries Pty Ltd Adjustable flow regulator
US20170299104A1 (en) * 2016-04-13 2017-10-19 Tsai-Chen Yang Water-saving sheet and water-sav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0208881B2 (en) 2016-04-13 2019-02-19 Tsai-Chen Yang Water-saving sheet and water-saving device having the same
TWI702359B (zh) * 2016-04-21 2020-08-21 富世華股份有限公司 具有水流穩定性的水龍頭接頭
DE102016209819B3 (de) * 2016-06-03 2017-06-22 Magna powertrain gmbh & co kg Welle-Nabe Verbindung
DE202017105379U1 (de) * 2017-09-06 2018-12-07 Neoperl Gmbh Strahlregler
CN209054133U (zh) * 2018-08-09 2019-07-02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节水器
CN109984017A (zh) * 2019-04-30 2019-07-09 南昌大学 一种雨效洒水器
CN110433971A (zh) * 2019-09-06 2019-11-12 厦门卫标洁具有限公司 一种带洁牙水的多功能花洒头
DE102022129376A1 (de) 2022-11-07 2024-05-08 Neoperl Gmbh Sanitäres Einbauteil, Baureihe von sanitären Einbauteilen, korrespondierendes Verfahren und korrespondierende Verbindung
DE102022131257A1 (de) 2022-11-25 2024-05-29 Neoperl Gmbh Sanitäres Einbautei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8177A (en) * 1961-09-06 1964-06-23 Gen Electric Flow control device
BE755445A (fr) * 1969-09-04 1971-02-01 Gerdts Gustav F Kg Soupape de retenue
US3630444A (en) 1970-03-31 1971-12-28 American Standard Inc Trajectory flow control apparatus
SE397736B (sv) * 1970-12-10 1977-11-14 Mannesmann & Keppel Vetskemengdregulator
DE2623191A1 (de) 1976-05-24 1977-12-01 Helmut Dieter Ing Gra Siegmund Automatik-volumenregler
US4867198A (en) * 1988-10-11 1989-09-19 Faust Bobby G Adjustable flow regulating valve
DE19510734C2 (de) * 1995-03-24 2003-01-23 Wildfang Dieter Gmbh Einbauteile-Garnitur zum Einbau in ein Auslauf-Mundstück
US5928898A (en) 1997-12-23 1999-07-27 Eli Lilly And Company Multiple drug resistance gene atrD of Aspergillus nidulans
NL1011596C1 (nl) * 1998-06-30 2000-01-04 Watts Ocean B V Debietbegrenzer.
DE19915406A1 (de) * 1999-04-06 2000-10-12 Grohe Armaturen Friedrich Siebanordnung
DE10251362B4 (de) * 2002-11-05 2011-01-27 Neoperl Gmbh Strahlregler
DE102005042212B4 (de) * 2005-01-25 2010-04-15 Neoperl Gmbh Sanitäres Einbauteil
DE102005046674B3 (de) * 2005-09-29 2007-03-22 Neoperl Gmbh Sanitärer Leitungsanschluss
DE102006057787B3 (de) * 2006-12-06 2008-05-29 Neoperl Gmbh Durchflussmengenregler
DE202007008808U1 (de) 2007-06-21 2007-09-13 Watersavers S.R.O. Vorrichtung zur Wassereinsparung für Duschen
DE102008063257B3 (de) * 2008-12-30 2010-09-02 Neoperl Gmbh Durchflussmengenregler
DE202008017031U1 (de) * 2008-12-30 2010-05-12 Neoperl Gmbh Durchflussmengenreg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72391B (zh) 2014-11-12
CL2011001631A1 (es) 2011-10-14
BRPI0924071A2 (pt) 2015-07-14
MX2011006727A (es) 2011-07-20
AU2009335310B2 (en) 2015-05-07
CN102272391A (zh) 2011-12-07
DE202008017031U1 (de) 2010-05-12
WO2010075943A1 (de) 2010-07-08
EP2384382B1 (de) 2015-09-30
HK1161621A1 (en) 2012-07-27
AU2009335310A1 (en) 2011-07-07
ES2552324T9 (es) 2016-08-18
US8985142B2 (en) 2015-03-24
EP2384382B9 (de) 2016-03-16
KR20110111376A (ko) 2011-10-11
ES2552324T3 (es) 2015-11-27
PL2384382T3 (pl) 2015-12-31
BRPI0924071B1 (pt) 2020-01-07
US20110247702A1 (en) 2011-10-13
EP2384382A1 (de) 2011-11-09
CN103806508A (zh) 2014-05-21
CN103806508B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339B1 (ko) 유량 조정기
CN201532583U (zh) 流量调节器
US10294641B2 (en) Flow rate regulator
US5743291A (en) Sanitary safety device
AU2011267477B2 (en) Sanitary insertion unit and shower fitting having a sanitary insertion unit
JP2006504017A5 (ko)
US10549221B2 (en) Hose line, and filter screen for a hose line
CN102518799B (zh) 卫生嵌置单元及配有卫生嵌置单元的喷淋器配件
CN111442109A (zh) 带有过滤功能的高可靠性超低温固定球阀
US20210062924A1 (en) Water outlet member of faucet
CN210397810U (zh) 一种龙头出水构件
CN210716085U (zh) 塑料混水龙头连接件
KR102514571B1 (ko) 교체형 필터를 갖는 샤워헤드 및 그에 사용되는 씨일 링
CN216407807U (zh) 一种分水组件及淋浴器
WO2014195913A1 (en) A hydraulic outlet adapter
CN110848410A (zh) 一种防盗止回球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