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009B1 -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 Google Patents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009B1
KR101681009B1 KR1020160091393A KR20160091393A KR101681009B1 KR 101681009 B1 KR101681009 B1 KR 101681009B1 KR 1020160091393 A KR1020160091393 A KR 1020160091393A KR 20160091393 A KR20160091393 A KR 20160091393A KR 101681009 B1 KR101681009 B1 KR 10168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ire
wire
expansion
expansion member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현 filed Critical 이주현
Priority to KR102016009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27Rod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와이어용 페일팩에 관한 것으로, 외통과 내통 사이에 와이어뭉치가 수용된 페일팩에서, 내통의 표면에 부착된 팽창부재와, 팽창부재를 팽창시키도록 기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동력원을 구비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용접와이어용 페일팩{Pail pack for welding wire}
본 발명은 페일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패일팩에 내장된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면서 발생하는 엉킴,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접와이어용 페일팩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빠른 발전과 함께 용접기의 반자동화, 자동화가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용접재료 또한 피복용접봉에서 용접용 와이어의 형태로 전환되어 왔다. 특히, 자동용접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접용 와이어의 형태는 권취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고, 일정 형태의 플라스틱 얼레(BOBBIN)에 권취되는 스풀 방식, 종이 지대를 이용하는 코일 방식과, 드럼형태에 대용량으로 권취될 수 있는 페일 팩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페일팩 방식은 용접와이어가 페일팩 용기의 내부에 대량으로 권취되어 보관되므로 장시간의 용접작업 또는 연속 용접작업 등의 환경에서도 용접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어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종래의 페일팩(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1), 내통(12), 외통(11)과 내통 사이에 권취된 와이어(W), 와이어(W)의 상면에 배치된 누름판(13), 외통(11)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헤드캡(14)과, 헤드캡(14)의 상단측 부위에 설치된 스프링 라이너(1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페일팩(10)은 장시간의 용접작업 동안에도 페일팩 용기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W)가 원활히 인출되어 송급되도록 한다. 또한, 와이어(W)의 원활한 인출을 위해 누름판(13)이 권취된 와이어(W)를 하방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누름판(13)은 권취되어 있는 상태의 와이어(W)를 하방 가압할 뿐, 인출되는 와이어(W)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의 어떠한 구속력도 제공하지 못하므로, 와이어(W)가 인출되면서 탄성에 의해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7693호(2011.09.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7313호(2007.06.12.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와이어가 팽창부재 상에 권취되도록 하고,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동안 팽창부재가 팽창하면서 용접와이어에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인출되거나 탄성에 의해 회귀할 때 발생하는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접와이어용 페일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용 페일팩은, 외통과 내통 사이에 와이어뭉치가 수용된 페일팩에서, 내통의 표면에 부착된 팽창부재와, 팽창부재를 팽창시키도록 기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동력원을 구비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와이어뭉치는 용접와이어가 팽창부재의 외면에서부터 감기 시작하여 아랫 방향과 윗 방향으로 번갈아 감으면서 바깥쪽으로 점점 두꺼워지도록 감겨 제작된다.
한편, 본 발명의 페일팩은, 외통의 상부에 장착된 헤드캡을 관통하는 용접와이어를 일정 길이만큼 감싸도록 배치된 스프링라이너, 스프링라이너와 체결되면서 용접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설치된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감지장치는 용접와이어와 접촉하여 내장되면서 용접와이어의 인출과 후퇴 방향 및 속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1개의 롤러, 롤러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감지센서, 감지센서에서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동력원을 제어하여 팽창부재의 팽창력 및 팽창속도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기는 팽창부재의 팽창력을 조절하여 팽창부재와 접촉한 용접와이어의 후퇴를 방지하면서 인출을 용인하고, 와이어뭉치가 풀리지 않도록 일정 압력을 가하도록 동력원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통에 팽창부재가 부착되고, 팽창부재에 용접와이어가 감겨 와이어뭉치를 만들고, 페일팩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뭉치와, 이 와이어뭉치에서 풀려 인출되는 용접와이어에 일정 압력을 가함으로써, 와이어뭉치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용접 작업 중 일시 중지 또는 작업 완료 시 용접와이어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여 후퇴로 인해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접와이어의 표면에 접촉한 롤러가 용접와이어의 인출 또는 후퇴 방향과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용접와이어가 후퇴하면 팽창부재의 팽창력을 변화시켜 용접와이어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페일팩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동안 팽창부재가 팽창하는 상태가 도시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용접와이어가 권취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용접와이어 감지장치가 장착된 헤드캡 부위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용접와이어 감지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8에 도시된 감지롤러와 용접와이어의 배치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와이어용 페일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가압장치(200), 헤드캡(300)과 감지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권취된 용접와이어(W)를 내부에 보관하도록 제작된다. 이 본체(100)는 외통(110), 내통(120)과 누름판(1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외통(110)과 내통(120)은 대략 원통 형상이고, 대략 원통 형상의 외통(110)의 내부 중심에 내통(120)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 외통(110)과 내통(120) 사이에는 용접와이어(W)가 권취된 와이어뭉치(D)가 개재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판(130)은 와이어뭉치(D)를 하방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이 누름판(130)은 와이어뭉치(D)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와이어뭉치(D)가 상방향으로 튀어나와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게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압장치(200)는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는 동안 용접와이어(W)가 측방향으로 튀어나와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고, 인출이 중지되어 탄성에 의해 용접와이어(W)가 후퇴하면서 엉키거나 꼬이지 않도록 용접와이어(W)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장치이다. 이 가압장치(200)는 팽창부재(210), 동력원(220)과 압력센서(2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팽창부재(210)는 내통(120)의 외면에 부착되고, 동력원(220)에 의해 팽창하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팽창부재(210)는 튜브(tube)일 수 있다. 이 경우, 내통(120)의 외면에 부착된 튜브에 동력원(220)이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가 팽창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팽창부재(210)는 연질 또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테두리가 내통(120)의 외면에 밀폐되어 부착되고, 동력원(220)이 내통(120)과 팽창부재(210)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 팽창부재(210)는 기체 또는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하면서 용접와이어(W)를 가압할 수 있는 재질, 형태 및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동력원(220)은 팽창부재(210)를 팽창 및 수축시키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동력원(220)은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pump)일 수 있다. 이 경우, 튜브를 포함한 팽창부재(21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거나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수축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력원(220)은 기체 또는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펌프, 실린더 등을 포함한 통상의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동력원(220)은 본체(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일례로 누름판(130)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력원(220)이 공기를 포함한 기체 또는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함에 따라 팽창부재(210)가 팽창되거나 수축되고, 주입량 및 배출량에 따라 팽창부재(210)의 팽창률 및 수축률이 조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센서(230)는 팽창부재(210)의 팽창력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 압력센서(230)는 팽창부재(210)의 팽창력을 확인하여 후술된 제어기(450)에 송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뭉치(D)의 권취 형태를 보면, 용접와이어(W)를 팽창부재(210)의 외면에서부터 감기 시작한 후, 아래에서 위로, 위에 도달하면 다시 아래로 번갈아 감으면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점점 두꺼워지도록 감는 형태일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와이어뭉치(D)는 안쪽, 즉 팽창부재(210)와 접촉된 부위부터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듯이, 용접와이어(W)를 감을 때 팽창부재(210)와 접촉하는 1열은 일정 압력으로 최초 팽창된 상태의 팽창부재(210)의 표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팽창부재(210)의 표면과 용접와이어(W)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는 1열의 용접와이어(W)가 인출하는 동안 팽창부재(210)가 1열의 용접와이어(W)를 가압하여 권취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팽창부재(210)가 용접와이어(W)를 가압하는 팽창력은 용접와이어(W)의 인출력보다는 낮을 수 있다. 또한, 용접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팽창부재(210)가 팽창하면서 항상 일정한 팽창압으로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 뿐만 아니라 권취된 상태의 와이어뭉치(D) 전체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이때, 팽창압은 용접와이어(W)의 인출력보다는 낮고, 후퇴력 보다는 크며, 와이어뭉치(D)의 권취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팽창압은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변하여 용접와이어(W)와 와이어뭉치(D)에 제공하는 가압력이 일정할 수 있도록 변할 수 있고, 이는 감지센서(440)와 제어기(450)에 의해 동력원(220)이 제어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팽창부재(210)가 용접와이어(W)와 와이어뭉치(D)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용접 작업 중 일시 중지 또는 작업 완료 후에 인출된 용접와이어(W)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처럼 용접와이어(W)가 후퇴하여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캡(300)은 도 2,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외통(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권취된 용접와이어(W)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헤드캡(300)은 용접와이어(W)가 관통하는 위치에 스프링라이너(310)가 설치되고, 용접와이어(W)가 스프링라이너(310)를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정 길이를 갖는 스프링라이너(310)는 통과하는 용접와이어(W)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측 부위에 장착된 체결부재(320)를 매개로 헤드캡(300)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라이너(310)는 용접와이어(W)를 감싸는 범위에 대해 용접와이어(W)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장치(400)는 용접와이어(W)의 인출 및 후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 감지장치(400)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듯이, 스프링라이너(3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용접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감지장치(400)는 헤드캡(3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프링라이너(310)와 체결부재(320)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와이어(W)가 감지장치(400)와 스프링라이너(310)를 통과할 수 있다. 물론, 감지장치(400)는 헤드캡(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스프링라이너(310)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장치(400)는 도 6에서와같이 체결부재(320)와 체결되는 커플링(410), 커플링(410)에 체결되는 케이스(420), 케이스(420)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감지롤러(430), 감지센서(440)와 제어기(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플링(410)은 체결부재(320)와 케이스(420)를 연결하여 설치되고, 케이스(4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한 용접와이어(W)가 체결부재(320)와 스프링라이너(3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커플링(410)이 배제되면서 체결부재(320)에 케이스(420)가 직접 체결될 수도 있고, 커플링(410)과 체결부재(320)가 배제되면서 스프링라이너(310)가 케이스(42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420)는 헤드캡(3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롤러(430)는 용접와이어(W)의 이동방향 및/또는 이동속도 등을 감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감지롤러(430)는 케이스(4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용접와이어(W)의 표면과 접촉하며, 인출 또는 후퇴하는 용접와이어(W)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감지롤러(430)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도 7에서와같이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롤러(430)가 2개인 경우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용접와이어(W)가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감지롤러(430)와 용접와이어(W) 간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측면상 용접와이어(W)가 약간 구부러지는 형태가 되도록 감지롤러(430)를 배치할 수 있다.
또, 감지센서(440)는 감지롤러(430)의 회전방향 및/또는 회전속도 등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정보를 제어기(450)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제어기(450)는 도 8에서 보듯이, 감지센서(440)에서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용접와이어(W)가 인출 중인지 후퇴 중인지를 판단하고, 인출 속도에 따라 팽창부재(210)의 팽창 속도를 제어하며, 후퇴 속도에 따라 팽창부재(210)의 팽창력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용접와이어(W)가 인출 중일 때의 팽창은 용접와이어(W)의 권취된 상태의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후퇴 중일 때의 팽창은 배열 흐트러짐 방지와 더불어 용접와이어(W)가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용접와이어(W)의 후퇴를 정지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어기(450)는 감지센서(440)의 정보와 압력센서(230)의 정보를 수신 및 판단하고, 동력원(220)을 제어하여 팽창부재(210)의 팽창력 및 팽창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450)는 용접와이어(W)를 강제 인출시키는 와이어송급장치(미도시)와 연계 설치됨으로써, 용접와이어(W)를 인출하거나 정지시킬 때의 신호를 수신하여 팽창부재(210)의 팽창을 조절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장치(400)의 일련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본체(100) 내부의 용접와이어(W)가 외부로 인출되면, 용접와이어(W)와 접촉한 감지롤러(430)가 회전하게 되고, 감지롤러(430)의 회전속도 및/또는 회전방향을 감지센서(440)가 검출하게 되며, 이 검출된 정보를 제어기(450)가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제어기(450)는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용접와이어(W)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인출 중인지 후퇴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용접와이어(W)가 인출 중이면 인출 속도에 따라 제어기(450)가 동력원(220)을 제어하여 팽창부재(210)의 팽창속도 및 팽창력이 항상 용접와이어(W) 및 와이어뭉치(D)에 일정하게 제공되도록 한다. 또, 용접와이어(W)가 후퇴 중이면 용접와이어(W)의 후퇴 속도에 따라 제어기(450)는 동력원(220)을 제어하여 팽창부재(210)를 팽창시키고, 팽창부재(210)와 용접와이어(W)의 밀착력을 급상승시켜 용접와이어(W)가 후퇴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팽창부재(210)의 팽창력을 압력센서(230)가 감지하여 제어기(450)에 송신하면, 제어기(450)가 이 정보를 토대로 팽창부재(210)의 팽창 또는 수축 여부를 판단하여 동력원(220)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본체 110:외통
120:내통 130:누름판
200:가압장치 210:팽창부재
220:동력원 300:헤드캡
310:스프링라이너 320:체결부재
400:감지장치 410:커플링
420:케이스 430:감지롤러
440:감지센서 450:제어기
W:용접와이어 D:와이어뭉치.

Claims (4)

  1. 외통(110)과 내통(120) 사이에 와이어뭉치(D)가 수용된 페일팩에서,
    상기 내통(120)의 표면에 부착된 팽창부재(210)와, 팽창부재(210)를 팽창시키도록 기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동력원(220)을 구비하는 가압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2. 제1항에서,
    상기 와이어뭉치(D)는 용접와이어(W)가 팽창부재(210)의 외면에서부터 감기 시작하여 아랫 방향과 윗 방향으로 번갈아 감으면서 바깥쪽으로 점점 두꺼워지도록 감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외통(110)의 상부에 장착된 헤드캡(300)을 관통하는 용접와이어(W)를 일정 길이만큼 감싸도록 배치된 스프링라이너(310), 스프링라이너(310)와 체결되면서 용접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설치된 감지장치(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400)는 용접와이어(W)와 접촉하여 내장되면서 용접와이어(W)의 인출과 후퇴 방향 및 속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감지롤러(430), 감지롤러(430)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감지센서(440), 감지센서(440)에서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동력원(220)을 제어하여 팽창부재(210)의 팽창력 및 팽창속도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4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4. 제3항에서,
    상기 제어기(450)는 팽창부재(210)의 팽창력을 조절하여 팽창부재(210)와 접촉한 용접와이어(W)의 후퇴를 방지하면서 인출을 용인하고, 와이어뭉치(D)가 풀리지 않도록 일정 압력을 가하도록 동력원(22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KR1020160091393A 2016-07-19 2016-07-19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KR10168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93A KR101681009B1 (ko) 2016-07-19 2016-07-19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93A KR101681009B1 (ko) 2016-07-19 2016-07-19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009B1 true KR101681009B1 (ko) 2016-12-13

Family

ID=5757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93A KR101681009B1 (ko) 2016-07-19 2016-07-19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0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579A (ja) * 1989-10-18 1991-06-06 Daido Steel Co Ltd 溶接ワイヤ収納容器
KR20000018847U (ko) * 1999-03-30 2000-10-25 정광섭 반복 사용을 위한 분리형 직물 권취용 보빈관
KR200365753Y1 (ko) * 2004-07-30 2004-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용량 페일 팩 용접 와이어 잔량 검출장치
KR100727313B1 (ko) 2006-03-24 2007-06-12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와이어용 인출장치
KR101067693B1 (ko) 2010-10-25 2011-09-27 이상래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의 가압판 고정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579A (ja) * 1989-10-18 1991-06-06 Daido Steel Co Ltd 溶接ワイヤ収納容器
KR20000018847U (ko) * 1999-03-30 2000-10-25 정광섭 반복 사용을 위한 분리형 직물 권취용 보빈관
KR200365753Y1 (ko) * 2004-07-30 2004-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용량 페일 팩 용접 와이어 잔량 검출장치
KR100727313B1 (ko) 2006-03-24 2007-06-12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와이어용 인출장치
KR101067693B1 (ko) 2010-10-25 2011-09-27 이상래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의 가압판 고정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93828U (zh) 一种自动气胀轴收卷装置
CN205662113U (zh) 一种恒张力智能纠偏收放卷系统
US3863857A (en) Leaf-type expansible shaft with trapper bar
CN105692275A (zh) 卷绕轴及将卷绕轴插入卷绕装置的方法
KR101681009B1 (ko) 용접와이어용 페일팩
CN102574656A (zh) 纱线卷绕装置
CN101780903A (zh) 制造络纱筒子用纺织机械的卷绕装置及其操作方法
CN102101613A (zh) 高速纸机气涨式卷纸轴
KR101246257B1 (ko)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US20100108795A1 (en) External cover for a spool of thread to prevent thread from freely coming off as the spool is being used
JP2010037083A (ja) 糸巻取機及び自動ワインダ
CN208992844U (zh) 全自动分切机
EP3159293B1 (en) Yarn winding device
CN106006210B (zh) 内紧外松式筒纱控制装置
JP4681652B2 (ja) タイヤ製造方法
US6755370B2 (en) Support belt for strips of deformable material, apparatus for using the belt, and related methods
JPH0776064B2 (ja) 芯なし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の製法
US6607158B1 (en) Unwinding apparatus
JP5251290B2 (ja) Frpプリフォームの製造装置におけるテンション付与装置
US5622329A (en) Terminal band feeding device having efficient partitioning tape disposal which limits tension in the terminal band
CN203714897U (zh) 一种消防带卷机
CN217296563U (zh) 一种用于保护复卷机放卷驱动轴的装置
CN218931353U (zh) 基材卷绕装置
EP1140683B1 (en) Support belt for strips of deformable material,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215040742U (zh) 一种制袋机放料导向涨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