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343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343B1
KR101680343B1 KR1020090094611A KR20090094611A KR101680343B1 KR 101680343 B1 KR101680343 B1 KR 101680343B1 KR 1020090094611 A KR1020090094611 A KR 1020090094611A KR 20090094611 A KR20090094611 A KR 20090094611A KR 101680343 B1 KR101680343 B1 KR 101680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virtual key
virtual
input node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249A (ko
Inventor
조용원
신동수
이만호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343B1/ko
Priority to US13/500,766 priority patent/US8994675B2/en
Priority to PCT/KR2010/006672 priority patent/WO2011043555A2/ko
Publication of KR2011003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은 터치에 대응된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가 마련된 터치 스크린에 복수 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터치데이터에 따라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을 수신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터치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 중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인접한 가상터치입력노드로 터치신호를 확장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진정으로 입력하고자 의도하였던 키값을 출력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터치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기, 가상 키버튼, 인식률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진정으로 입력하고자 의도하였던 키값을 출력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터치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 기능의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 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진정으로 입력하고자 의도하였던 키값을 출력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터치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은, 터치에 대응된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가 마련된 터치 스크린에 복수 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터치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을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 중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인접한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상기 터치신호를 확장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는, 상기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상 기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에 인접한 터치입력노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포인트일 수 있다.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와의 거리에 따른 상기 터치의 감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터치영역의 형상(shape)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가상 키버튼을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되, 상기 출력하는 키값을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은, 상기 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폐곡면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과 겹치는 영역이 더 넓은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더 상측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중앙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기 입력된 키값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키값을 출력하는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은, 터치에 대응된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가 마련된 터치 스크린에 복수 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터치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터치영역의 형상(shape)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가상 키버튼을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되, 상기 출력하는 키값을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에 기초하여 결정하되,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 중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인접한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상기 터치신호를 확장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는, 상기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에 인접한 터치입력노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포인트일 수 있다.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와의 거리에 따른 상기 터치의 감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과 겹치는 영역이 더 넓은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1우선순위를 따르거나,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더 상측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2우선순위를 따 르거나,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중앙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3우선순위를 따르거나, 기 입력된 키값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키값을 출력하는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4우선순위를 따르거나, 상기 제 1 내지 4우선순위 중 적어도 두 가지를 조합한 제 5우선순위를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에 대응된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터치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을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 중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인접한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상기 터치신호를 확장하여 상기 터치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에 인접한 터치입력노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포인트를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데이터가 상기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와의 거리에 따른 상기 터치의 감쇄값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터치영역의 형상(shape)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가상 키버튼을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되, 상기 출력하는 키값을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과 겹치는 영역이 더 넓은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더 상측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중앙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입력된 키값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키값을 출력하는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기 입력된 키값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키값을 출력하는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진정으로 입력하고자 의도하였던 키값을 출력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터치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바디(70)와, 입력키(61)와, 터치 스크린(1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70)는 이동 단말기(10)의 외관을 구성한다. 바디(70)는 전면바디와 후면바디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70)는 제어부(도 2의 40) 등 이동 단말기(10) 내부의 각종 구성품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나아가, 감성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디(70)에는 각종 후처리 공정을 통하여 표면처리, 장식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 형상의 바디(70)를 표시하였으나, 바디(70)는 슬라이드, 폴더, 스윙, 스위블 형상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입력키(61)는 통화, 취소, 종료 등에 대응된 물리적 버튼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바디(70)에 입력키(61)가 마련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100)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버튼(도 3의 VK)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가상 키버튼(도 3의 VK)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20)와, 입력부(60)와, 출력부(50)와, 제어부(40)와, 전원 공급부(30)와, 터치 스크린(1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와 이동단말기(1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60)는 도면에 표시된 정압 또는 정전식의 터치 패드(62) 외에도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출력부(50)는 도면에 표시된 터치 스크린(100) 외에도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반응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터치 스크린(100)은 바디(도 1의 70)의 전면(前面) 상당부분을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을 통하여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정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을 합쳐진 형태일 수 있다. 즉, LCD, OLED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터치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0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이 일체화되어 생산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식, 초음파식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 중 정전식은, 이에 포함된 도전층들 사이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서 터치 입력을 인식한다.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전식은 2개의 도전층과, 하나의 절연층 기판과, 보호층으로 구성되며, 신호대잡음비를 높이기 위한 쉴드(shield)층이 추가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1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입력을 받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출력부(50)인 동시에 입력부(60)일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100) 상에 가상 키패드(도 3의 VK)를 표시함으로서 출력부(50)로서의 역할을 하며, 표시된 가상 키패드(도 3의 VK)에 대한 터치입력을 받는다는 점에서 입력부(60)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2 터치 스크린의 터치입력 관련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00)은 두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100)의 상측에는 입력된 키값을 표시하는 키값표시부(KP)가 표시되며, 터치 스크린(100)의 하측에는 터치에 의한 키입력을 받는 가상 키패드(VK)가 표시될 수 있다.
가상 키패드(VK)는 쿼티(QWERTY)자판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가상 키패드(VK)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가상 키패드(VK)는 문자의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표시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상 키패드(VK)는 각종 아이콘 형상으로 표시되거나, 각종 게임에서 구현되는 터치입력 받을 수 있는 캐릭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 어, 바둑게임이 터치 스크린(100) 상에 표시되는 경우라면, 가상 키패드(VK)는 바둑판 위에 올려진 바둑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키패드(VK)의 구현 형태는 다양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패드(VK)는 쿼티자판 형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상 키패드(VK)에 터치입력이 있게 되면 터치입력 감지부(110)가 이를 감지한다.
터치입력 감지부(110)는 터치감지노드(도 6의 H, K의 교차점)에서 발생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상 키패드(VK)를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에 인접한 터치감지노드(도 6의 H, K의 교차점)에서 신호가 발생하며, 터치입력 감지부(110)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00)의 어느 지점에서 터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 및 각 터치감지노드(도 6의 H, K의 교차점)에서의 터치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입력 형상 결정부(120)에서는 터치입력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영역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에 대한 터치는 손가락 등으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된 부분은 점이 아닌 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터치입력 형상 결정부(120)는 터치가 이루어진 면의 형상을 결정한다. 면의 형상을 결정하는 터치입력 형상 결정부(120)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터치된 가상 키버튼 결정부(130)에서는 터치입력 형상 결정부(120)의 작동 결과 얻어진 터치가 이루어진 면의 형상에 기초하여, 터치동작을 한 사용자가 진정 으로 터치하기 원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키버튼을 결정한다. 실재로 원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키버튼은, 일반적인 사용자의 통상적인 터치습관에 따른 터치영역의 형상 및 우선순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터치된 가상 키버튼 결정부(130)에서 키버튼을 결정하면, 이를 제어신호(CS)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된 가상 키버튼 결정부(130)의 구체적은 작동방법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상 키버튼 표시부(140)는 터치 스크린(100)에 가상 키패드(VK)를 표시한다. 가상 키버트 표시부(140)는 표시된 가상 키패드(VK)에 관한 정보를 터치된 가상 키버튼 결정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된 가상 키패드(VK)에 관한 정보는 각 키버튼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된 가상 키버튼 결정부(130)는, 사용자가 진정으로 터치하기 원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키버튼을 결정함에 있어서 가상 키버튼 표시부(140)에서 전달받은 가상 키패드(VK)에 관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flow chart)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에서는 가상 키버튼(VK)을 표시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키버튼(VK)이 표시되면, 터치 스크린(100)의 리얼노드(real node)를 통하여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은 터치감지노드(도 6의 H, K의 교차점)를 통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리얼노드는 터치감지노드(도 6의 H, K의 교차점)을 의미한다. 리얼노드는 물리적으로 존재하여, 실재로 터치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리얼노드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는 터치입력 감지부(도 3의 110)로 전달되어 터치 스크린(100) 상의 특정 좌표로 인식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0)의 리얼노드를 통하여 터치가 인식되면, 리얼노드를 통하여 인식된 터치입력을 가상노드(virtual node)로 확장하는 단계(S30) 및 터치된 것으로 인식된 영역의 형상(shape)을 결정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리얼노드에서 발생되어 터치입력 감지부(도 3의 110)로 전달된 특정 좌표는, 터치입력 형상 결정부(도 3의 120)에서 2차원의 터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2차원의 터치 형상은 리얼노드 사이의 가상노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얼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가상노드를 설정한 후, 터치의 강도, 터치의 지속시간 등에 따른 각 리얼노드에서의 터치입력신호의 세기가 거리에 따라서 감쇄되는 점을 고려하여, 각 가상노드와의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특정 리얼노드에 ‘10’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 그에 가장 인접한 가상노드는 ‘9’의 터치 입력, 그 보다 멀리 있는 가상노드는 ‘8’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리얼노드 보다 조밀한 분포의 가상노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분포를 고려하면, 궁극적으로 터치 입력을 일정한 형상을 가진 2차원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2차원 면적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터치 스크린(100)에 일정한 시간동안 접촉한 부분을 반영하므로, 원형, 타원형 또는 부정형의 폐곡면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치된 것으로 인식된 영역의 형상이 결정되면, 인식된 영역의 형상에 기초하여 가상 키버튼 간의 우선순위값(priority)을 계산하는 단계(S50) 및 우선순위값 을 고려하여 터치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킷값을 출력하는 단계(S60)가 진행될 수 있다.
인식된 영역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손가락 끝단의 모양을 따라 원형, 타원형 또는 부정형의 폐곡면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인식된 영역은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VK)에 겹쳐질 수 있다. 다만, 인식된 영역이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VK)에 겹쳐진 경우라 하더라도, 터치 동작을 한 사용자의 진정한 의사에 기하여 겹쳐진 영역의 면적이 각 가상 키버튼(VK)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키버튼을 인식된 영역이 겹쳐진 면적이 보다 넓은 부분으로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판단 기준을 우선순위값으로 할 수 있다. 인식된 영역의 형상과 겹쳐진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VK) 중 어느 키버튼을 실재로 입력된 키값으로 출력할지는 다양한 기준에 근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4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의 끝단을 이용하여 가상 키버튼(VK)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 키버튼(VK)을 터치함에 있어서, 손가락(F) 끝단의 면적이 표시된 가상 키버튼(VK) 보다 넓거나, 손가락(F)이 비스듬에게 터치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2개 이상의 가상 키버튼(VK)이 터치될 수 있다.
도 5b에는, 상술한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복수개의 가상 키버 튼(VK)에 겹쳐진 경우를 도시하였다. 사용자가 터치한 면적에 따른 형상의 외곽을 따른 터치 폐곡선(FT)은 D버튼과 F버튼에 겹쳐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VK)에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에, 터치 입력을 좌표값 자체로 인식하던 종래에는 손가락(F)이 최초도 닿은 D버튼이 입력된 것을 인식하거나, D버튼과 F버튼이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거나, 상대적으로 나중에 터치된 F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등 상황에 따라서 상이한 키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VK)이 입력된 경우에도 우선순위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진정한 의사를 합리적으로 추정함으로서 일관된 키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 폐곡선(FT)은 특정한 리얼노드(H와 V의 교차점)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얼노드(H와 V의 교차점)는 터치 스크린(100)에 형성된 가로패턴(H)과 세로패턴(V)의 교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터치는, D버튼(K1)과 F버튼(F2)에 겹쳐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H1과 V4, H2와 V3, H2와 V4가 교차하는 리얼노드에서 터치에 의한 전기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얼노드(H와 V의 교차점)의 사이에 가상노드(V21 내지 V43과 H11 내지 H23의 교차점)가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가상노드(V21 내지 V43과 H11 내지 H23의 교차점)는 리얼노드(H와 V의 교차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제 1리얼노드(V3와 H2의 교차점)에 있어서, 사용자의 가압력, 터치 지속시간에 따라 터치의 강도에 따라서 그 힘이 제 1터치 폐곡선(FT1)의 영역에 미치는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 즉, 제 1리얼노드(V3와 H2의 교차점)에 대한 터치의 강도를 고려할 때, 그 터치 입력은 제 1, 2, 3, 4가상노드(V3와 H13의 교차점, V23과 H2의 교차점, V3와 H21의 교차점, V31과 H2의 교차점)를 포함하는 제 1터치 폐곡선(FT1)의 범위까지 미치는 것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3리얼노드(V4와 H1의 교차점, V4와 H2의 교차점)에 대한 터치입력이 제 2,3터치 폐곡선(FT2, FT3)까지 미치는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
제 1, 2, 3터치 폐곡선(FT1, FT2, FT3) 사이의 공간은, 제 1, 2, 3리얼노드(V3와 H2의 교차점, V4와 H1의 교차점, V4와 H2의 교차점)의 상대적인 위치 터치 강도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힘의 분포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3터치 폐곡선(FT2, FT3)가 겹쳐지는 구간은, 제 2리얼노드(V3와 H2의 교차점)와 제 3리얼노드(V4와 H2의 교차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중복되는 구간이어서 그 강도가 강한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2, 3리얼노드(V3와 H2의 교차점, V4와 H1의 교차점, V4와 H2의 교차점)와 그 사이의 가상노드(V21 내지 V43과 H11 내지 H23의 교차점)를 이용하여 터치 폐곡선(FT)이 계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산된 터치 폐곡선(FT)은 D버튼(K1)과 F버튼(K2)에 겹쳐질 수 있다. D버튼(K1)과 F버튼(K2)에 겹쳐진 터치 폐곡선(FT)을 통하여, 어떠한 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키값을 출력할 것인가는 미리 설정된 우 선순위값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값은 사용자 별로 상이할 수 있는 터치 습관에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새로이 설정되거나,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에서는 우선순위로서 터치된 면적을 고려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D버튼(K1)과 터치 폐곡선(FT)은 제 1범위(A1)만큼 겹쳐지며, F버튼(K2)과 터치 폐곡선(FT)은 제 2범위(A2)만큼 겹쳐짐을 알 수 있다. 제 2범위(A2) 범위는 제 1범위(A1) 보다 넓음을 알 수 있으므로, 터치된 가상 키버튼 결정부(도 3의 130)은 F버튼(K2)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해당하는 키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터치하기 원하는 지점에서 손가락에 힘을 준다고 봄이 타당하며,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진정으로 터치하기 원하는 지점에서 보다 큰 터치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넓은 면적이 터치된 키를 사용자의 진정한 터치 의사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가상 키버튼(VK)에 대한 터치에 의하여 터치 폐곡선(FT)이 형성되며, 터치 폐곡선(FT)의 형상에 따른 우선순위값을 고려한 결과 F가 키값(I)으로 입력된 결과를 도 9에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4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 터치입력과 관련된 우선순위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키버튼(VK)에 대한 터치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가상노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면적으로 변환 하여 제 1,2터치 폐곡선(FT1, FT2)이 계산된 상태이다. 제 1터치 폐곡선(FT1)은 가로방향 타원형 또는 제 2터치 폐곡선(FT2)은 세로방향 타원형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터치 폐곡선(FT1)과는 6개의 키버튼, 제 2터치 폐곡선(FT2)과는 5개의 키버튼이 겹쳐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개의 키버튼이 터치 폐곡선과 겹쳐지는 경우에, 어떠한 키버튼을 진정한 의사에 의한 키입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값에 따를 수 있다.
도 11에는 우선순위값 조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서는 위쪽의 키버튼이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좌우방향에서는 중간의 키버튼이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를 도 10의 제 1터치 폐곡선(FT1)에 적용할 경우에, 상하방향에서 위쪽의 키버튼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므로, X, C, V버튼에 비하여 D, F, G버튼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또한 좌우방향에서 가운데의 키버튼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므로, 결과적으로 F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키버튼 결정부(도 3의 130)는 사용자가 F를 터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키값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우선순위값 조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라인의 우선순위 가중값이 가장 높으며, 제 4라인의 우선순위 가중값이 가장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를 도 10의 제 2터치 폐곡선(FT2)에 적용할 경우에, E가 위치한 제 1라인의 우선순위 가중값이 가장 높다. 따라서 키버튼 결정부(도 3의 130)는 사용자가 E를 터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키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혹은, 판단된 우선순위 가중값에 제 2터치 폐곡선(FT2)과 겹쳐지는 각 버튼의 면적을 곱하여 가장 큰 값이 나온 키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4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의 가상 키버튼(VK)을 이용하여 철자(I)를 입력할 수 있다. 현재 철자(I)는 “brie"까지 입력된 상태이며, 그 다음철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51)의 가상 키버튼(VK)에 터치 입력을 한 상태이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터치 폐곡선(FT)은 D, F, X, C버튼과 겹쳐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폐곡선(FT)이 복수개의 버튼에 걸쳐져 있는 경우에, 제어부(도 2의 40)는 현재까지 입력된 철자(I)에 기초하여 다음에 입력될 키값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제어부(도 2의 40)는, 터치 폐곡선(FT)과 겹쳐져 있는 여러 개의 버튼 중에서 올바른 의미를 가지는 단어가 완성될 수 있는 버튼을 사용자가 진정으로 입력하고자 의도하였던 키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도 2의 40)의 동작에 의하여 brief라는 최종입력값(CI)이 터치 스크린(151)에 제시될 수 있다. 한편, 예상되는 올바른 단어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여러 개의 단어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가상 키버튼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버튼(VK)은 가상 키버튼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중심 측에 있는 가상 키버튼(VK)은 크게 표시되고,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는 가상 키버튼(VK)은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주 사용되는 가상 키버튼(VK)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잘못된 터치입력을 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나아가, 가상 키버튼(VK)의 크기를 다르게 표현함으로서 터치 폐곡선을 사용한 터치 입력의 인식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터치입력 관련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flow chart)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4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 터치입력과 관련된 우선순위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4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가상 기버튼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단말기 20 : 무선 통신부
30 : 전원 공급부 40 : 제어부
50 : 출력부 60 : 입력부
100 : 터치스크린

Claims (26)

  1. 터치에 대응된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가 마련된 터치 스크린에 복수 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터치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을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 중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인접한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상기 터치신호를 확장하여 산출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터치영역의 형상(shape)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가상 키버튼을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되, 상기 출력하는 키값을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과 겹치는 영역이 더 넓은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1우선순위,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더 상측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2우선순위 또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중앙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3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입력된 키값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키값을 출력하는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4우선순위를 조합한 제 5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는,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에 인접한 터치입력노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와의 거리에 따른 상기 터치의 감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은,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폐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12. 터치에 대응된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가 마련된 터치 스크린에 복수 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가상 키버튼에 대한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터치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터치영역의 형상(shape)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가상 키버튼을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되, 상기 출력하는 키값을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에 기초하여 결정하되,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 중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인접한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상기 터치신호를 확장하여 산출하고,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과 겹치는 영역이 더 넓은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1우선순위,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더 상측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2우선순위 또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중앙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3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입력된 키값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키값을 출력하는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4우선순위를 조합한 제 5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는,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에 인접한 터치입력노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데이터는,
    상기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와의 거리에 따른 상기 터치의 감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15. 삭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처리방법.
  17. 터치에 대응된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터치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을 상기 수신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노드 중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인접한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상기 터치신호를 확장하여 상기 터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터치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터치영역의 형상(shape)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가상 키버튼을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출력하되, 상기 출력하는 키값을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상기 터치영역의 형상과 겹치는 영역이 더 넓은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1우선순위,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더 상측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2우선순위 또는 복수개의 상기 가상 키버튼 중 중앙에 위치한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3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입력된 키값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는 키값을 출력하는 가상 키버튼이 더 높은 제 4우선순위를 조합한 제 5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터치신호가 발생한 터치입력노드에 인접한 터치입력노드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포인트를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데이터가 상기 터치입력노드와 상기 가상터치입력노드와의 거리에 따른 상기 터치의 감쇄값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가상 키버튼의 면적,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094611A 2009-10-06 2009-10-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1680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11A KR101680343B1 (ko) 2009-10-06 2009-10-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US13/500,766 US8994675B2 (en) 2009-10-06 2010-09-30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PCT/KR2010/006672 WO2011043555A2 (ko) 2009-10-06 2010-09-30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611A KR101680343B1 (ko) 2009-10-06 2009-10-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249A KR20110037249A (ko) 2011-04-13
KR101680343B1 true KR101680343B1 (ko) 2016-12-12

Family

ID=4385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611A KR101680343B1 (ko) 2009-10-06 2009-10-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94675B2 (ko)
KR (1) KR101680343B1 (ko)
WO (1) WO201104355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77A1 (ko) * 2022-01-27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키보드 상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의도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0011B2 (en) * 2011-08-12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intelligent targeting
KR101340963B1 (ko) * 2012-01-30 2013-12-13 (주)멜파스 터치 정보 검출 방법
US20140152586A1 (en) * 2012-11-30 2014-06-05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27783B1 (ko) * 2012-12-26 2014-08-07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EP2770421A3 (en) * 2013-02-22 2017-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KR20140105354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감응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535603B2 (en) * 2013-03-14 2017-01-03 Carl F. Andersen Columnar fitted virtual keyboard
US20150089435A1 (en) * 2013-09-25 2015-03-26 Microth,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on and recognition of input sequences
CN103558989B (zh) * 2013-11-18 2016-05-2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内容排版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50107337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감지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US20150277609A1 (en) * 2014-04-01 2015-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data segmentation method of touch controller
KR101671837B1 (ko) * 2014-05-20 2016-11-16 주식회사 비주얼캠프 시선 추적형 입력 장치
USD735702S1 (en) * 2014-09-09 2015-08-04 Michael L. Townsend Interface for an alphanumeric user activated component, keypad, or keyboard
KR101791930B1 (ko) * 2016-09-23 2017-10-31 (주)신성이노테크 문자입력 장치
CN109213413A (zh) * 2017-07-07 2019-01-1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推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7493A (en) * 1996-04-17 1999-06-29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ly generating information for subsequent correlating
US6710770B2 (en) * 2000-02-11 2004-03-23 Canesta, Inc. Quasi-three-dimensional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and localize interaction of user-object and virtual transfer device
US7821425B2 (en) 2002-07-12 2010-10-26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keyboard with non-locking reduced keying ambiguity
DE60301831T2 (de) 2002-07-12 2006-08-10 Philipp, Harald, Southampton Kapazitive Tastatur mit verminderter Mehrdeutigkeit bei der Eingabe
KR20070042858A (ko) * 2005-10-19 2007-04-24 (주)모비솔 펜 형태의 디지털 입력 장치
KR101244300B1 (ko) * 2005-10-31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서데이터를 인식하여 전송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7903092B2 (en) * 2006-05-25 2011-03-08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keyboard with position dependent reduced keying ambiguity
KR20080029028A (ko) 2006-09-28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TW200923758A (en) * 2007-11-27 2009-06-01 Wistron Corp A key-in method and a content display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application thereof
KR100900087B1 (ko) * 2008-03-31 2009-06-01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77A1 (ko) * 2022-01-27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키보드 상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의도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3555A3 (ko) 2011-07-07
US20120326996A1 (en) 2012-12-27
US8994675B2 (en) 2015-03-31
KR20110037249A (ko) 2011-04-13
WO2011043555A2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3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US9060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execution
KR101115467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US8493338B2 (en) Mobile terminal
JP5958215B2 (ja) 情報端末装置、タッチ座標決定方法及びタッチ座標決定プログラム
US20110148774A1 (en) Handling Tactile Inputs
CN103034433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979666B1 (ko)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405928B1 (ko) 이동 단말기의 키 신호 발생 방법 및 이동 단말기
US888626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297936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164982A1 (en) Integrated hardware and software user interface
KR2011003096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92826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20043556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8541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47515A (ko)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2013032132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KR101526575B1 (ko)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351439B2 (ja) 入力装置
KR20080049696A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KR20070100209A (ko) 터치펜과 같은 보조도구가 필요 없는 터치스크린버튼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