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541A -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541A
KR20120018541A KR1020100081452A KR20100081452A KR20120018541A KR 20120018541 A KR20120018541 A KR 20120018541A KR 1020100081452 A KR1020100081452 A KR 1020100081452A KR 20100081452 A KR20100081452 A KR 20100081452A KR 20120018541 A KR20120018541 A KR 2012001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character
key
touch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8541A/ko
Priority to EP11167697A priority patent/EP2423788A1/en
Priority to US13/205,012 priority patent/US20120044175A1/en
Publication of KR2012001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초기 표시 단계; 상기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 터치 입력 단계; 상기 터치된 키와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인식된 키와 상기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입력 문자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을 이용할 때보다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 상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최근 터치스크린 기술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선호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구현된 터치스크린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은 버튼식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과 동일하게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에 있어서 터치스크린만의 고유한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버튼식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는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하고,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초기 표시 단계; 상기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 터치 입력 단계; 상기 터치된 키와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인식된 키와 상기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입력 문자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및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부;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터치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된 키와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키와 상기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을 이용할 때보다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예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예시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저장부(130), 터치스크린부(140), 키 입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 마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별로 입력할 문자에 관한 정보가 매핑 된 테이블을 저장한다.
터치스크린부(140)는 터치센서부(141) 및 표시부(14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4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4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4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는 터치 위치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 속도보다 큰 동작에 해당하는 플릭(flick), 터치 위치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 속도보다 작은 동작에 해당하는 드래그(drag)가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4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42)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42)는 문자 입력 창과 키패드를 표시하며, 키패드의 키 입력에 따라 문자 입력 창에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한다.
키 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5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버튼식의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4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5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통해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을 인식한다. 제어부(160)는 인식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고,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터치된 키의 영역에서 다른 키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인지 판단하고, 터치된 키의 영역에서 다른 키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뿐만 아니라 터치 위치 이동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터치된 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고,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면서,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키패드에 표시된 문자들의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패드가 영문 소문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입력 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영문 소문자를 영문 대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키패드가 영문 대문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입력 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영문 대문자를 영문 소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입력할 문자 결정 시, 복수의 키 입력들을 조합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패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 동작을 입력한 후, 다른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후 터치 해제 동작이 입력된 키,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관한 정보를 조합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구현되는 문자 입력 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한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영문 키패드 또는 한글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키패드는 3*4 형태로 배치된 키들과 상기 키들을 둘러싸는 테두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테두리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입력을 위해 확보된 영역으로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키들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3*4 형태의 키패드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QWERTY 패드를 비롯하여 모든 형태의 키패드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2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 상의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를 입력하면,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터치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문자 입력을 위한 동작에 해당하며, 제어부(160)는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곧바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터치 입력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207단계에서 터치 해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입력 후 터치 해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208단계에서 터치된 키의 1회 터치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할 문자로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키패드가 한글 키패드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ㄱㅋ' 키에 터치를 입력한 후, 바로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ㄱㅋ' 키가 1회 터치되었을 때에 해당하는 문자 'ㄱ'을 입력할 문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6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표시하게 된다.
203단계에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204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로부터 수신한 터치 감지 신호를 통해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을 인식한다.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를 입력한 상태에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터치센서부(14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감지 신호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통해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을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키패드가 한글 키패드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ㄱㅋ' 키를 입력한 후 좌측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된 키가 'ㄱㅋ'키이며,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이 '좌측 방향'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어 2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인식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 마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별로 입력할 문자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키패드가 영문 키패드에 해당하고 각각의 키에 3개의 영문자가 표시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가운데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좌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좌측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우측 영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입력할 문자를 'b'로 결정하고, 터치 후 좌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면 입력할 문자를 'a'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면 입력할 문자를 'c'로 결정할 수 있다.
키패드가 한글 키패드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가 입력되는 키 및 터치 횟수에 따라 자음을 결정하고,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고,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ㄱㅋ'를 2회 터치하고 우측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ㄱㅋ' 키의 2회 터치에 해당하는 'ㅋ'을 자음으로 결정하고,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해당하는 'ㅏ'를 모음으로 결정하고, 'ㅋ'과 'ㅏ'를 결합하여 '카'를 입력할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음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자동으로 'ㅇ'을 자음으로 결정하고,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ㅣ' 키를 입력한 후 우측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ㅇ'을 자음으로 결정하고,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해당하는 'ㅏ'를 모음으로 결정하고, 'ㅇ'와 'ㅏ'를 결합하여 '아'를 입력할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모음을 결정할 때,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함께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키는 모음을 이중 모음으로 변경시키는 기능키에 해당하며, 'ㅇ' 키, '*' 키, '#' 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ㄱㅋ'에 1회 터치 후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후, 'ㅇ' 키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ㄱㅋ' 키의 1회 터치에 해당하는 'ㄱ'을 자음으로 결정하고,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해당하는 'ㅏ'의 이중 모음인 'ㅑ'를 모음으로 결정하고, 'ㄱ'와 'ㅑ'를 결합하여 '갸'를 입력할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6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205단계에서 결정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204단계에서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을 인식하면서, 입력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터치된 키 영역을 벗어나는 이동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입력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으로서 유효한지 판단하기 위한 단계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될 때 터치된 키 영역에서 다른 키 영역으로의 이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들은 각각 일정 영역을 가지며, 키들 간에는 경계지점이 존재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키와 키 사이의 경계지점을 통과하는 동작인지 판단함으로써,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터치된 키 영역을 벗어나는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키와 키 사이의 경계지점을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했을 때, 205단계로 진행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204단계에서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을 인식하면서, 터치 위치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위치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했을 때, 제어부(16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터치된 키와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입력할 문자 결정 시, 복수의 키 입력들을 조합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패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 동작을 입력한 후, 다른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후 터치 해제 동작이 입력된 키,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관한 정보를 조합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키패드가 한글 키패드의 경우, 제어부(160)는 자음 키 입력에 대해서는 터치 여부만을 고려하고, 모음 키 입력에 대해서는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자음 키에 터치를 입력하여 자음을 먼저 선택하고 모음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ㄱㅋ'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를 입력하고, 'ㅣ' 키에 터치 후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ㄱㅋ' 키의 1회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ㄱ'을 자음으로 결정하고, 'ㅣ'키의 우측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입력에 해당하는 'ㅏ'를 모음으로 결정하며, 'ㄱ'와 'ㅏ'를 조합하여 '가'를 입력할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은 키패드가 한글 키패드일 때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a]는 문자 입력 메뉴에 진입했을 때 최초로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은 문자 입력 창(301), 키패드(302)를 포함하며, 키패드(302)는 테두리 영역(303)과 복수의 키(304)들을 포함한다. 테두리 영역(303)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입력을 위해 확보된 영역에 해당한다. 'ㄱㅋ' 키의 좌측 경계선이 표시부(142)의 좌측 경계선과 맞닿아 있는 경우, 사용자는 'ㄱㅋ' 키에 터치를 입력한 후 좌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할 수 없게 된다. 테두리 영역(303)은 이처럼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입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3의 [b]는 사용자가 'ㄱㅋ' 키를 입력한 후,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b]에서 문자 입력 창(301)에는 '고'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ㄱㅋ' 키의 1회 입력에 따라 자음이 'ㄱ'으로 결정되고,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모음이 'ㅗ'로 결정된 후, 'ㄱ'과 'ㅗ'가 결합된 결과에 해당한다. 실시예에 따라 '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ㅇ' 키를 입력하게 되면 모음 'ㅗ'는 이중 모음인 'ㅛ'로 변경되며 '고'는 '교'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c] 내지 도 3의 [e]는 사용자가 'ㄱㅋ' 키를 입력한 후, 각각 좌방향, 우방향 및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들에 해당한다. 도 3의 [c]의 문자 입력 창(301)에는 '거'가 표시되고, 도 3의 [d]의 문자 입력 창(301)에는 '가'가 표시되고, 도 3의 [e]의 문자 입력 창(301)에는 '구'가 표시되어 있다.
도 3의 [f]는 자음 키에 대해서는 터치 여부만을 고려하고 모음 키에 대해서는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함께 고려하는 실시예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f]에서 사용자는 '가'를 입력하기 위해, 'ㄱㅋ'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를 입력하여 'ㄱ'를 선택하고, 'ㅣ'에 터치 후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여 'ㅏ'를 선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4는 키패드가 영문 키패드일 때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4의 [a]는 문자 입력 메뉴에 진입했을 때 최초로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은 문자 입력 창(401), 키패드(402)를 포함하며, 키패드(402)는 테두리 영역(403)과 복수의 키(404)들을 포함한다. 도 4는 각각의 키에 3개의 영문자가 표시되며,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가운데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좌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좌측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우측 영문자로 결정하는 실시예의 예시 화면이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ghi'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를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4의 [b]의 문자 입력 창(401)에는 'ghi' 중 가운데 영문자인 'h'가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c] 및 도 4의 [d]는 사용자가 'ghi' 키를 입력한 후, 각각 좌방향 및 우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들에 해당한다. 도 4의 [c]의 문자 입력 창(401)에는 'ghi' 중 좌측 영문자인 'g'가 표시되고, 도 4의 [d]의 문자 입력 창(401)에는 'ghi' 중 우측 영문자인 'i'가 표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제2실시예는 터치된 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위치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5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한다. 5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영문 키패드 또는 한글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키패드는 테두리 영역이 없는 일반적인 형태의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02단계 및 503단계는 도 2의 202단계 및 203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하며, 도 2의 202단계 및 203단계의 설명은 도 5의 502단계 및 503단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503단계에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507단계에서 터치 해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해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508단계에서 터치된 키의 1회 터치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할 문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60)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표시하게 된다.
503단계에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504단계에서 터치된 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위치 이동 거리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거리로서 키와 키 사이의 경계 지점 몇 개를 통과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패드가 영문 키패드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abc' 키를 입력한 후, 우측 방향으로 두 개의 키를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된 키가 'abc'키이며, 터치 위치 이동 방향이 '우측 방향'이고, 터치 위치 이동 거리가 '키 두 개'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어 5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인식된 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한다. 저장부(130)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 마다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위치 이동 거리 별로 입력할 문자에 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키패드가 영문 키패드에 해당하고 키들이 3열로 배열되고, 각각의 키에 3개의 영문자가 표시된 경우, 제어부(160)는 좌측열의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좌측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가운데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으로 두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우측 영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가운데열의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가운데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좌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좌측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우측 영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우측열의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우측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좌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가운데 영문자로 결정하고, 터치 후 좌측 방향으로 두 번 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좌측 영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열 중 좌측열에 위치하는 'abc'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입력할 문자를 'a'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b'로 결정하고, 터치 후 우측 방향으로 두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할 문자를 'c'로 결정할 수 있다.
키패드가 한글 키패드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ㄱㅋ'를 터치하고 우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입력할 문자를 'ㅋ'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60)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505단계에서 결정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6a 및 도 6b는 키패드가 영문 키패드일 때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6a의 [a]는 문자 입력 메뉴에 진입했을 때 최초로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6a의 [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은 문자 입력 창(601), 키패드(602)를 포함하며, 키패드(602)는 복수의 키(603)들로 구성된다. 도 6a의 [a]에서 복수의 키(603)들은 3열로 배열되어 있다.
도 6a의 [b]는 사용자가 'ghi' 키를 입력한 후 터치 해제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6a의 [b]에서 문자 입력 창(601)에는 'g'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좌측열에 배열된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좌측 영문자가 선택된 결과에 해당한다.
도 6a의 [c] 및 도 6a의 [d]는 사용자가 'ghi' 키를 입력한 후, 각각 우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인 'jkl' 키와 두 번째 위치하는 키인 'mno'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들에 해당한다. 도 6a의 [c]의 문자 입력 창(601)에는 'h'가 표시되고, 도 6a의 [d]의 문자 입력 창(601)에는 'i'가 표시되어 있다.
도 6b의 [e]는 사용자가 'mno' 키를 입력한 후 터치 해제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6b의 [e]에서 문자 입력 창(601)에는 'o'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우측열에 배열된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우측 영문자가 선택된 결과에 해당한다.
도 6b의 [f] 및 도 6b의 [g]는 사용자가 'mno' 키를 입력한 후, 각각 좌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인 'jkl' 키와 두 번째 위치하는 키인 'ghi'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들에 해당한다. 도 6b의 [f]의 문자 입력 창(601)에는 'n'이 표시되고, 도 6b의 [g]의 문자 입력 창(601)에는 'm'이 표시되어 있다.
도 6b의 [h]는 사용자가 'jkl' 키를 입력한 후 터치 해제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6b의 [h]에서 문자 입력 창(601)에는 'k'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가운데 열에 배열된 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키 내의 3개의 영문자들 중 가운데 영문자가 선택된 결과에 해당한다.
도 6b의 [i] 및 도 6b의 [j]는 사용자가 'jkl' 키를 입력한 후, 각각 좌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인 'ghi'와 우측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키인 'mno' 키로 이동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들에 해당한다. 도 6b의 [i]의 문자 입력 창(601)에는 'j'가 표시되고, 도 6b의 [j]의 문자 입력 창(601)에는 'l'이 표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터치 위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 조절을 통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제3실시예는 문자 입력 창에 문자를 입력하면서 키패드에 표시된 문자 형태를 함께 변경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7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한다. 7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영문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소문자로 구성되는 영문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대문자로 구성되는 영문 키패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키패드는 3*4 형태의 키패드 또는 QWERTY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7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703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7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된 키의 1회 터치에 대응하는 문자의 대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bc' 키에 터치를 입력하고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abc'의 1회 터치에 대응하는 문자'a'의 대문자인 'A'를 문자 입력 창에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705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키패드 내에 표시된 문자들을 대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701단계에서 키패드가 소문자들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705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키패드 내의 소문자들을 대문자들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701단계에서 키패드가 대문자들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705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대문자 표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703단계에서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7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70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된 키의 1회 터치에 대응하는 문자의 소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708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키패드 내에 표시된 문자들을 소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701단계에서 키패드가 소문자들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708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소문자 표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701단계에서 키패드가 대문자들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708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키패드 내의 소문자들을 대문자들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706단계에서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709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터치 해제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터치 해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7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된 키의 1회 터치에 대응하는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현재 키패드의 문자 표시 형태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키패드가 소문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해당 영문자의 소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한다. 또한 현재 키패드가 대문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해당 영문자의 대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한다. 키패드의 문자 표시 상태는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703단계에서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704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70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706단계에서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707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708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문자 입력 창에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키패드의 문자 표시 상태만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방향 및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중심으로 키패드의 문자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방향, 우방향 등 다른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역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은 키패드가 영문 키패드일 때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의 [a]는 문자 입력 메뉴에 진입했을 때 최초로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은 문자 입력 창(801), 키패드(802)를 포함하며, 키패드(802)는 복수의 키(803)들로 구성된다. 키패드(802) 내의 키(803)들은 소문자들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의 [b]는 사용자가 'ghi' 키에 터치 후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며, 도 8의 [c]는 사용자가 'ghi' 키에 터치 후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의 [c]에서 문자 입력 창(801)에는 대문자 'G'가 표시되어 있으며, 키패드(802) 내의 문자들은 모두 대문자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 8의 [c]는 사용자가 'ABC'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의 [d]는 사용자가 'ABC'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의 [d]에서 문자 입력 창(801)에는 대문자 'A'가 'G' 뒤에 표시되어 있으며, 키패드(802) 내의 문자들은 대문자 표시 상태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 8의 [d]는 사용자가 'TUV' 키에 터치 후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며, 도 8의 [e]는 사용자가 'TUV' 키에 터치 후 하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의 [e]에서 문자 입력 창(801)에는 소문자 't'가 'GA' 뒤에 표시되어 있으며, 키패드(802) 내의 문자들은 모두 소문자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 8의 [e]는 사용자가 'tuv'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의 [f]는 사용자가 'tuv'키에 터치 후 터치 해제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의 [f]에서 문자 입력 창(801)에는 소문자 't'가 'GAt' 뒤에 표시되어 있으며, 키패드(802) 내의 문자들은 소문자 표시 상태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9는 키패드가 영문 QWERTY 패드일 때의 예시 화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은 문자 입력 창(901)과 키패드(902)를 포함하며, 키패드(902)는 복수의 키(903)들로 구성된다. 상기 키(903)들에는 각각 하나의 영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a]는 사용자가 'g'에 터치 후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며, 도 9의 [b]는 사용자가 'g'에 터치 후 상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9의 [b]에서 문자 입력 창(901)에는 대문자 'G'가 표시되어 있으며, 키패드(902) 내의 문자들은 모두 대문자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제3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터치 위치 이동 방향 조절을 통해 키패드 문자 입력 환경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버튼식의 키패드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드래그(drag)와 같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문자 입력에 적용하여 터치스크린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위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거리를 조절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터치 입력 횟수가 감소되고 문자 입력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함으로써, 키패드를 대문자 키패드에서 소문자 키패드로 또는 소문자 키패드에서 대문자 키패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대문자 키패드에서 소문자 키패드로 전환하기 위한 특수키 입력을 생략할 수 있어 문자 입력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301, 401, 601, 801, 901 : 문자 입력 창
110 : 무선통신부 302, 402, 602, 802, 902 : 키패드
120 : 오디오처리부 303, 403 : 테두리 영역
130 : 저장부 304, 404, 603, 803, 903 : 키
140 : 터치스크린부
141 : 터치센서부
142 : 표시부
150 : 키 입력부
160 : 제어부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초기 표시 단계;
    상기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 터치 입력 단계;
    상기 터치된 키와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인식된 키와 상기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입력 문자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하는 문자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복수의 키들과 상기 키들을 둘러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상기 터치된 키 영역에서 다른 키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 결정 단계는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상기 터치된 키의 영역에서 다른 키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일 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 결정 단계는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는 동작일 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단계는
    상기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입력 후, 터치가 해제되고, 다른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 결정 단계는
    상기 터치가 입력된 후 해제된 키, 상기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 키 및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거리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 결정 단계는
    상기 인식된 키,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키 및 상기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키들에 표시된 문자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패드 변경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영문 키패드에 해당하며,
    상기 키패드 변경 표시 단계는
    키들이 소문자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대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키들이 대문자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소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한글 키패드에 해당하며,
    상기 입력 문자 결정 단계는
    상기 터치된 키 및 터치 횟수에 따라 자음을 결정하고, 터치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고,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4. 사용자의 터치 및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부;
    문자 입력 창 및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터치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된 키와 상기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키와 상기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81452A 2010-08-23 2010-08-23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20018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52A KR20120018541A (ko) 2010-08-23 2010-08-23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EP11167697A EP2423788A1 (en) 2010-08-23 2011-05-26 Letter input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13/205,012 US20120044175A1 (en) 2010-08-23 2011-08-08 Letter input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52A KR20120018541A (ko) 2010-08-23 2010-08-23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41A true KR20120018541A (ko) 2012-03-05

Family

ID=441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52A KR20120018541A (ko) 2010-08-23 2010-08-23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44175A1 (ko)
EP (1) EP2423788A1 (ko)
KR (1) KR201200185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43B1 (ko) * 2019-12-30 2021-04-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키패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6652A1 (en) * 2005-09-01 2010-02-04 David Hirshberg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9182909B2 (en) * 2011-04-27 2015-1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umber keypad
US8436827B1 (en) * 2011-11-29 2013-05-07 Google Inc. Disambiguating touch-input based on variation in characteristic such as speed or pressure along a touch-trail
US9524050B2 (en) 2011-11-29 2016-12-20 Google Inc. Disambiguating touch-input based on variation in pressure along a touch-trail
JP6071107B2 (ja) * 2012-06-14 2017-02-01 裕行 池田 携帯端末
US9141200B2 (en) * 2012-08-01 2015-09-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ntering characters
US8487897B1 (en) * 2012-09-12 2013-07-16 Google Inc. Multi-directional calibration of touch screens
US8806384B2 (en) 2012-11-02 2014-08-12 Google Inc. Keyboard gestures for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US9274610B2 (en) * 2013-01-11 2016-03-01 Nec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letter inputting method and program
CN104076942A (zh) * 2013-03-28 2014-10-01 武汉科技大学 一种把电脑输入法转变为手机小键盘输入的方法
US20140306898A1 (en) * 2013-04-10 2014-10-16 Barnesandnoble.Com Llc Key swipe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ui virtual keyboard
US20140317564A1 (en) * 2013-04-23 2014-10-23 Synaptics Incorporated Navigation and language input using multi-function key
CN103294222B (zh) 2013-05-22 2017-06-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输入方法和系统
CN104182156B (zh) * 2013-05-22 2019-04-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触屏设备及其批量选择方法与装置
JP6217459B2 (ja) * 2014-03-04 2017-10-25 オムロン株式会社 文字入力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IN2014CH02016A (ko) * 2014-04-18 2015-10-23 Samsung R & D Inst India Bangalore
US10095403B2 (en) 2015-05-05 2018-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xt input on devices with touch screen displays
JP2023114022A (ja) * 2022-02-04 2023-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4014A2 (en) * 2003-01-11 2005-10-12 Action Information Technologies Limited Data input by first selecting one of four options then selecting one of eight directions to determine an input-character
US7098896B2 (en) * 2003-01-16 2006-08-29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KR100805770B1 (ko) *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문자입력장치
EP1988444A3 (en) * 2007-04-30 2016-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8059101B2 (en) * 2007-06-22 2011-11-15 Apple Inc.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KR20100039650A (ko)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US20100241984A1 (en) * 2009-03-21 2010-09-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non alphanumeric character based on a user inp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43B1 (ko) * 2019-12-30 2021-04-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키패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4175A1 (en) 2012-02-23
EP2423788A1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8541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0175858B2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U2017200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KR100770936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20079707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40358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92826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117978A (ko) 휴대 단말기의 텍스트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30021256A1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panel function and input method for same
KR20110117979A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40898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071326A (ko)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079018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KR20130089486A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9205303A (ja)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KR20150030406A (ko) 키 입력 또는 그의 조합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US20140028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g for a moving object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KR20110065702A (ko) 복수의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40010845A (ko) 전자장치에서 자동응답시스템 서비스 이용중 화면 꺼짐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7534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보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4075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958747B1 (ko)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10100121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