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121A -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121A
KR20110100121A KR1020100076939A KR20100076939A KR20110100121A KR 20110100121 A KR20110100121 A KR 20110100121A KR 1020100076939 A KR1020100076939 A KR 1020100076939A KR 20100076939 A KR20100076939 A KR 20100076939A KR 20110100121 A KR20110100121 A KR 2011010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cursor
key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철
허문기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040,02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219323A1/en
Publication of KR2011010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문자 선택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의 선택을 입력받는 영역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변경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이미 입력된 문자를 활용하여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문자 입력 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 또는 키패드에 구비된 키를 입력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현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이미 입력된 문자들 중 일부 문자를 옮기거나 반복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문자를 삭제하고 재입력해야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입력 시 이미 입력된 문자를 활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문자 선택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의 선택을 입력받는 영역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변경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문자 입력 창,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 커서를 표시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의 선택을 입력 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이미 입력된 문자를 활용하여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 표시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사용자가 좌방향의 드래그를 입력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표시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터치스크린 기반이 아닌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경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키 패드만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터치 기구를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터치 해제'는 사용자가 터치 기구를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을 해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탭(tap)'은 사용자가 터치 기구를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한 후 접촉을 해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터치 기구를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한 후 접촉 위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정의된 용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저장부(130), 터치스크린부(140), 키 입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40)는 터치센서부(141) 및 표시부(14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4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4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41)는 접촉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부(140)를 포함하지 않으며, 키패드, 버튼 키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42)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42)는 문자 입력 창,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커서(cursor)를 표시하며, 실시예에 따라 문자 입력 키를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가 아닌 경우, 표시부(142)는 터치센서부(141)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키 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50)는 숫자 키, 문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4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5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기반이 아닌 휴대 단말기의 경우, 키 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메인 입력부로서 동작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 및 선 형태의 커서(cursor)를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에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의 선택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문자와 문자 사이의 영역으로의 터치를 입력받으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가 입력된 영역에 커서를 표시하고,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된 커서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터치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입력되는 경우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를 입력받으면,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문자와 문자 사이의 영역으로의 터치를 입력받고,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고, 터치 이동 방향이 제1방향인지 제2방향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터치 이동 방향이 제1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터치 이동 방향이 제2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에 반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으로의 선택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선택된 영역에 선 형태의 커서를 표시하고,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커서로의 터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커서로의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커서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를 입력받고,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으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터치 이동 동작의 최종 위치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기반이 아닌 휴대 단말기의 경우,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1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 또는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커서의 최종 위치로 이동 또는 복사시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 또는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커서의 최종 위치로 이동 또는 복사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42) 이외에 별도의 서브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과 커서(cursor)를 표시한다. 제어부(160)가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선 형태의 커서 및 문자 입력 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문자 입력 키를 이용하여 키를 입력하면, 터치센서부(141)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키를 확인한 후,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및 커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키입력부(150)를 통해 키를 입력하면, 키입력부(150)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달하며,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키를 확인한 후,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커서는 최종 입력된 문자 다음 영역에 표시된다.
2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앞의 영역에 탭(tap)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문자의 바로 앞 영역에 탭을 입력하는 경우, 터치센서부(141)는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가 입력된 위치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에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표시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문자 입력 창(301), 문자 입력 키(302), 선 형태의 커서(303)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인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에서 커서(303)는 문자열의 가장 끝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a]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 창(301)의 영역 중 '대' 앞에 탭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탭이 입력된 영역에 선 형태의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어 2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커서에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3의 [b]는 사용자의 탭 입력에 따라 커서를 '대' 앞으로 이동시켜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b]는 사용자가 '대' 앞으로 이동된 커서에 터치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커서에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선 형태의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면 형태의 커서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창의 배경색보다 어두운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면 형태의 커서가 문자와 겹쳐져 표시되는 경우, 배경색과 문자 색이 반전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c]는 도 3의 [b]에서 사용자가 커서에 터치를 기 설정된 시간('T') 이상 입력한 경우에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c]에는 면 형태의 커서(304)가 '대' 와 겹쳐져 표시되어 있으며, 면 형태의 커서(304)는 문자 입력 창(301)의 배경색 보다 어두운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앞의 영역에 터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가 입력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가 입력된 영역에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선 형태의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202단계 내지 20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2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선 형태의 커서에 터치를 입력한 후 선 형태의 커서가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되면 문자가 배열된 방향으로 드래그를 입력한다. 205단계에서 면 형태의 커서가 문자와 겹쳐져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커서와 겹쳐진 문자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를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를 입력하면,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드래그 경로에 따라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드래그 경로를 확인하며 드래그 경로에 위치하는 문자들을 확인한다.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0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드래그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드래그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블록을 설정하고 음영(陰影)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드래그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블록을 설정하고 배경색과 문자 색의 반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사용자가 '대' 부터 시작하여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을 드래그 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의 [d]는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d]는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문자 입력 창(301)의 배경색보다 어두운 색의 블록(305)을 설정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로부터 터치를 해제하면, 20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터치 해제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209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에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 후 터치를 해제하고, 문자들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영역에 탭을 입력한다.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에 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탭이 입력된 영역에 선 형태의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3의 [d]는 문자 입력 창(301)에서 사용자가 '다.' 다음 영역에 탭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의 [e]는 '다.' 다음 영역에 선 형태의 커서(303)가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e]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305)은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어 있다.
21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커서에 다시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커서에 탭이 입력되면, 21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커서가 표시된 위치에 이동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에 블록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1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커서에 더블 탭(double-tap)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커서에 세 번 이상의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211단계에서 커서에 탭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21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에 블록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상기 블록에 탭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탭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214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에 블록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1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커서 이외의 영역에 탭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커서 이외의 영역에 탭이 입력되면 21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f]는 도 3의 [e]에서 사용자가 커서('l')에 탭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의 [f]에서 블록으로 설정되어 있던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은 커서의 위치로 이동되고 블록이 해제되어 표시된다. 도 3의 [g]는 도 3의 [e]에서 사용자가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305)에 탭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의 [g]에서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의 문자열은 배열순서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며, '대한민국을'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이 해제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3의 [g]에서 커서는 사용자가 탭을 입력한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09단계에서 제어부(160)가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에 탭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10단계, 211단계를 생략하고 212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커서가 표시된 위치에 이동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209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에 더블 탭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210단계, 211단계를 생략하고, 212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문자 입력 창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때,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고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다른 위치에 반복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401단계 내지 405단계는 도 2a의 201단계 내지 205단계와 동일한 과정에 해당하며, 201단계 내지 205단계에 대한 설명은 401단계 내지 405단계에 모두 적용된다.
4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우방향의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로부터 수신하는 터치 신호를 통해 드래그의 방향을 구분하고,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우방향과 좌방향의 드래그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자들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상방향과 하방향의 드래그도 제2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우방향의 드래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407단계 내지 414단계를 수행한다. 407단계 내지 414단계는 도 2a 및 도 2b의 207단계 내지 214단계와 동일한 과정에 해당하며, 207단계 내지 214단계에 대한 설명은 407단계 내지 414단계에 모두 적용된다. 사용자가 우방향의 드래그를 입력하고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통해 드래그 경로에 위치하는 문자들을 확인하고,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이를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이동시켜 표시한다.
406단계에서 우방향의 드래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415단계에서 좌방향의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좌방향의 드래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416단계 내지 420단계를 수행한다. 416단계 내지 420단계는 도 2a 및 도 2b의 207단계 내지 211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하며, 207단계 내지 211단계에 대한 설명은 416단계 내지 420단계에 모두 적용된다.
420단계에서 커서에 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421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고, 커서가 표시된 위치에 반복하여 표시한다. 이는 '복사(copy)' 기능에 해당하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이미 입력된 문자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문자열을 커서가 표시된 위치에 반복하여 입력한다.
420단계에서 커서에 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422단계 및 423단계를 수행한다. 422단계 및 423단계는 도 2b의 213단계 및 214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하며, 213단계 및 214단계에 대한 설명은 422단계 및 423단계에 모두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사용자가 좌방향의 드래그를 입력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3의 [a]와 동일한 형태의 표시 화면으로서 문자 입력 창(501), 문자 입력 키(502), 선 형태의 커서(503)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인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a]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 창(501)의 영역 중 '대' 앞에 탭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는 도 3의 [b]와 동일한 형태의 표시 화면으로서, 사용자의 탭 입력에 따라 커서를 '대' 앞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b]는 사용자가 '대' 앞으로 이동된 커서에 터치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c]는 도 5의 [b]에서 사용자가 커서에 터치를 기 설정된 시간('T') 이상 입력한 경우에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5의 [c]에는 면 형태의 커서(504)가 '대'와 겹쳐져 표시되어 있으며, 면 형태의 커서(504)는 문자 입력 창(501)의 배경색 보다 어두운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c]는 사용자가 '는' 부터 시작하여 좌방향으로 '나는'의 문자열을 드래그 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d]는 '나는'의 문자열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d]는 '나는'의 문자열에 문자 입력 창(501)의 배경색보다 어두운 색의 블록(505)을 설정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d]는 문자 입력 창(501)에서 사용자가 '다.' 다음 영역에 탭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e]는 '다.' 다음 영역에 선 형태의 커서(503)가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e]에서 '나는'의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505)은 해제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 5의 [f]는 도 5의 [e]에서 사용자가 커서('l')에 탭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5의 [f]는 '나는'의 문자열이 커서의 위치에 반복하여 표시되고,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g]는 도 5의 [e]에서 사용자가 '나는'의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505)에 탭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5의 [g]는 문자열의 이동 또는 반복 입력 없이 '나는'에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우방향, 좌방향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문자가 배열될 수 있는 모든 방향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서로 다른 방향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이동시키거나 복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거나, 이미 입력한 문자를 다른 위치에 반복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문자를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601단계는 도 2a의 201단계와 동일한 과정에 해당하며, 201단계에 대한 설명은 601단계에 모두 적용된다. 6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과 커서를 표시하며, 커서는 최종 입력된 문자 다음 칸에 표시한다.
6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에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문자열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터치센서부(141)는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가 입력된 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6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터치가 입력된 문자에 면 형태의 커서를 표시한다. 면 형태의 커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창의 배경색보다 어두운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면 형태의 커서가 문자와 겹쳐져 표시되는 경우, 배경색과 문자 색이 반전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표시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문자 입력 창(701), 문자 입력 키(702), 선 형태의 커서(703)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인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에서 커서(703)는 문자열의 가장 끝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a]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 창(701)의 영역 중 '대'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b]는 도 7의 [a]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기 설정된 시간('T') 이상 입력한 경우에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7의 [b]에는 면 형태의 커서(704)가 '대'와 겹쳐져 표시되어 있으며, 면 형태의 커서(704)는 문자 입력 창(701)의 배경색 보다 어두운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6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한 영역에 면 형태의 커서가 생성되면 사용자는 문자가 배열된 방향으로 드래그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를 입력하면,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드래그 경로에 따라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드래그 경로를 확인하며 드래그 경로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한다.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6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드래그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드래그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블록을 설정하고 음영(陰影)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드래그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블록을 설정하고 배경색과 문자 색의 반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사용자가 '대' 부터 시작하여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을 드래그 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의 [c]는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c]는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문자 입력 창(701)의 배경색보다 어두운 색의 블록(705)을 설정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로부터 터치를 해제하면, 6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터치 해제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607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사용자는 선택한 문자열을 이동시키기 위해 선택한 문자열에 다시 터치를 입력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문자열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60)는 608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문자열에 터치를 입력한 후, 이동시키고자 하는 영역으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드래그를 입력하면, 터치센서부(141)는 사용자의 드래그 경로에 따라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드래그 경로를 확인하며 드래그의 최종 위치를 확인한다. 드래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609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드래그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이동 전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서는 디밍(dimming)처리를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로부터 터치를 해제하면, 6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터치 해제를 감지한다.
도 7의 [c]는 사용자가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705)을 터치한 후, '다.' 다음 영역으로 드래그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d]는 블록(705)이 이동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d]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의 이동 전 위치에는 '대한민국을'에 블록이 설정되고 디밍 처리되어 있다.
이후, 61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탭이 입력되면, 61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에 블록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61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더블 탭(double-tap)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세 번 이상의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탭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61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이외의 영역에 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이외의 영역에 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614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이동된 문자를 이동 전 위치로 복귀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7의 [e]는 도 7의 [d]에서 사용자가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705)에 탭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의 [e]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은 블록이 해제되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디밍 처리된 '대한민국을'은 삭제되어 표시된다. 도 7의 [f]는 도 7의 [d]에서 사용자가 디밍 처리된 '대한민국을'의 블록에 탭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의 [f]에서 배경색보다 짙은 색으로 음영 처리된 '대한민국을'의 블록(705)은 삭제되며, 디밍 처리된 '대한민국을'의 블록은 디밍 처리가 해제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3의 [f]에서 커서(703)는 사용자가 탭을 입력한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608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609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드래그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610단계, 611단계를 생략하고 612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611단계 또는 613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또는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이외의 영역에 더블 탭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각각 612단계 또는 61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604단계에서 터치센서부(141)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때, 드래그의 방향을 확인하고, 우방향의 드래그인 경우에는 609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드래그의 최종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좌방향의 드래그인 경우에는 609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드래그의 최종 위치에 반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문자 입력 창으로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통해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때,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고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 기반이 아닌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142)와 키 입력부(150)를 포함하며, 표시부(142)는 문자 입력 창, 입력된 문자 및 커서를 표시하고, 키 입력부(150)는 문자 입력, 커서 이동 입력 등을 위한 입력 키들을 구비한다. 도 8은 터치스크린 기반이 아닌 휴대 단말기의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문자 입력 창(801)과 키 입력부(150)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키 입력부(150)는 방향키(151), OK키(152), CLR키(153) 및 3*4 키패드(1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4 키패드(154)는 QWERTY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제4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9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과 선 형태의 커서(cursor)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150)를 통해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를 확인한 후,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선 형태의 커서를 표시된 문자 다음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9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 중에서 방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902단계에서의 방향키 입력은 커서 이동을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는 우방향키, 좌방향키, 상방향키 및 하방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상기 4개의 키들 중 입력되는 키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의 [a]는 선 형태의 커서(1002)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인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1001)을 도시하고 있다. 도10의 [a]에서 선 형태의 커서(1002)는 문자열의 가장 끝에 표시되어 있다.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9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 및 입력 횟수에 따라 선 형태의 커서(1002)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5번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커서를 5칸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0의 [b]는 사용자가 좌방향키를 11번 입력했을 때 커서가 이동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b]에서 커서는 '대' 앞에 위치하고 있다.
9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1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1키는 이동시킬 문자열을 선택하는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제1키는 키 입력부(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 제1키는 방향키, OK키 및 CLR키를 제외한 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키는 '*키', '#키', 숫자키 또는 문자키가 될 수 있다.
제1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9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선 형태의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면 형태의 커서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창의 배경색보다 어두운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면 형태의 커서가 문자와 겹쳐져 표시되는 경우, 배경색과 문자 색이 반전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c]는 도 10의 [b]의 상태에서 '*키'(제1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한 경우에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c]에는 면 형태의 커서(1003)가 '대' 와 겹쳐져 표시되어 있으며, 면 형태의 커서(1003)는 문자 입력 창(1001)의 배경색 보다 어두운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9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906단계에서 방향키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90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블록을 설정하고 음영(陰影)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블록을 설정하고 배경색과 문자 색의 반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문자열, 즉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인식한다.
도 10의 [d]는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4번 입력하여 '대한민국을'을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문자 입력 창(1001)에 해당한다. 도 10의 [d]는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90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의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2키는 이동시킬 문자열을 확정하거나 문자열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908단계에서 제2키의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확정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제2키는 키 입력부(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 제2키는 방향키를 제외한OK키, 숫자키 또는 문자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909단계에서 제어부(160)는 그래픽 변경된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결정한다. 도 10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결정하게 된다.
9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방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결정된 문자열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 방향키를 입력하게 된다. 즉, 910단계에서의 방향키 입력은 문자열을 이동시킬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라고 할 수 있다.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911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과 입력 횟수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0의 [e]는 도 10의 [d] 상태에서 사용자가 OK키를 입력한 후 우방향키를 7번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e]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형성된 블록은 표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91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912단계에서 제2키의 입력은 문자열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이라고 할 수 있다.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913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현재 커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문자열에 블록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f]는 도 10의 [e] 상태에서 사용자가 OK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f]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은 문장의 가장 끝에 이동되어 표시된다.
912단계에서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91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3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3키는 결정된 문자열을 해제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제3키는 키 입력부(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될 수 있으며, 방향키 및 OK키를 제외한 CLR키, 숫자키 또는 문자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3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91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문자열에 블록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g]는 도 10의 [e]에서 사용자가 CLR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의 [g]에서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의 문자열은 배열순서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며, '대한민국을'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은 해제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10의 [g]에서 커서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기능키로서 제1키, 제2키, 제3키를 사용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제1키만을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90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지 않고, 제1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선택하는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뿐만 아니라 이동시킬 문자열을 확정하기 위한 입력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91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지 않고, 제1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입력은 문자열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91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3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지 않고, 제1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키의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의 입력은 결정된 문자열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사용자가 문자열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문자열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에 복사(copy)하는 실시예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913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현재의 커서 위치로 복사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다른 위치에 반복하여 입력(복사)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1101단계 내지 1105단계는 도 9a 및 9b의 901단계 내지 905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하며, 도 9a 및 9b의 901단계 내지 905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11a 및 11b의 1101단계 내지 1105단계에 모두 적용된다. 또한 도 12의 [a] 내지 [c]는 도 10의 [a] 내지 [c]와 동일한 화면에 해당하며, 도 10의 [a] 내지 [c]에 관한 설명은 도 12의 [a] 내지 [c]에 모두 적용된다.
11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우방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106단계에서 우방향키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우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10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문자열, 즉 그래픽이 변경된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인식한다.
110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의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2키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시킬 문자열을 확정하거나 문자열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1108단계에서 사용자는 이동시킬 문자열을 확정하기 위해 제2키를 입력하게 된다.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109단계에서 제어부(160)는 그래픽 변경된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결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0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결정하게 된다.
11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방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110단계에서 입력되는 방향키는 우방향키가 될 수 있으며, 좌방향키가 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결정된 문자열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 방향키를 입력하게 된다. 즉, 1110단계에서의 방향키 입력은 문자열을 이동시킬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라고 할 수 있다.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111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과 입력 횟수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0의 [e]는 도 10의 [d] 상태에서 사용자가 OK키를 입력한 후 우방향키를 7번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e]에서 커서는 문장의 맨 끝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111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112단계에서 제2키 입력은 문자열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113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현재 커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문자열에 블록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설정되어 있던 블록을 해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f]는 도 10의 [e] 상태에서 사용자가 OK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f]에서 '대한민국을'은 문장의 가장 마지막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1112단계에서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111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3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3키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정된 문자열을 해제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제3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11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0의 [g]는 도 10의 [e]에서 사용자가 CLR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의 [g]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은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1106단계에서 제어부(160)가 키 입력부(150)를 통해 우방향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 111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좌방향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1116단계에서 좌방향키 입력은 복사할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좌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11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문자열, 즉 그래픽이 변경된 문자열을 복사할 문자열로 인식한다.
111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의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2키는 복사할 문자열을 확정하거나 문자열의 복사를 실행하기 위한 키로도 사용될 수 있다. 1118단계에서 제2키 입력은 복사할 문자열을 확정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119단계에서 제어부(160)는 그래픽 변경된 문자열을 복사할 문자열로 결정한다. 도 12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나는'의 문자열을 복사할 문자열로 결정하게 된다.
112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방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120단계에서 입력되는 방향키는 우방향키가 될 수 있으며, 좌방향키가 될 수도 있다. 1120 단계에서 방향키 입력은 결정된 문자열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121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과 입력 횟수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2의 [e]는 도 10의 [d] 상태에서 사용자가 OK키를 입력한 후 우방향키를 15번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2의 [e]에서 커서는 문장의 가장 끝에 위치하고 있다.
112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122단계에서 제2키의 입력은 문자열을 복사할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123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현재 커서 위치로 복사하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2의 [f]는 도 10의 [e] 상태에서 사용자가 OK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2의 [f]에서 '나는'의 문자열은 커서의 위치로 복사되어 표시된다.
1122단계에서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112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3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3키는 결정된 문자열을 해제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제3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12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를 복사하지 않고,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2의 [g]는 도 12의 [e]에서 사용자가 CLR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의 [g]에서 '나는'의 문자열은 복사되지 않고 '나는'에 설정된 블록만이 해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제6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달리 방향키와 1개의 기능키만을 이용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13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과 선 형태의 커서를 표시한다.
13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 중에서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선택하는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1302단계에서 제어부(160)가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1312단계로 진입하여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312단계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의 입력은 커서 이동을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커서 이동을 위해 방향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1313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 및 입력 횟수에 따라 선 형태의 커서(1002)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의 [a]는 선 형태의 커서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인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창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서 사용자가 좌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11번 입력했을 때 커서가 이동된 형태를 도시한다.
1302단계에서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3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선 형태의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선 형태의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할 때, 방향키의 방향으로 면 형태의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면 형태의 커서를 선 형태의 커서의 우측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c]는 도 14의 [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한 경우에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4의 [c]에는 면 형태의 커서가 '대' 와 겹쳐져 표시되어 있다.
13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다시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304단계에서의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확정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1304단계에서 입력되는 방향키는 1302단계에서 입력되는 방향키와 반대 방향의 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302단계에 우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경우, 13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좌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1304단계에서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었다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1314단계에서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314단계에서의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31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문자열, 즉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인식한다.
도 14의 [d]는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4번 입력하여 '대한민국을'을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문자 입력 창에 해당한다. 도 10의 [d]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는 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1304단계에서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305단계에서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시킬 문자열로 결정한다. 즉, 1305단계에서 이동될 문자열이 확정된다.
이후, 13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306단계에서의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입력은 결정된 문자열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307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과 입력 횟수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4의 [e]는 도 14의 [d]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한 후 우방향키를 7번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4의 [e]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형성된 블록은 표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커서만이 이동되어 표시된다.
130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308단계에서의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은 문자열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기 설정된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309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현재 커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4의 [f]는 도 14의 [e]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4의 [f]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은 문장의 가장 끝에 이동하여 표시되어 있다.
1308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1310단계로 진입하여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1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제1키는 결정된 문자열을 해제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제1키는 키 입력부(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될 수 있으며, 방향키 및 OK키를 제외한 CLR키, 숫자키 또는 문자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31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4의 [g]는 도 14의 [e]에서 사용자가 CLR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의 [g]에서 '나는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의 문장은 배열순서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며, '대한민국을' 문자열에 설정된 블록이 해제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사용자가 문자열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문자열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에 복사(copy)하는 실시예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제2실시예 및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제7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달리 방향키와 1개의 기능키만을 이용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15a 및 15b는 도 14와 제7실시예에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화면의 변경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인 도 1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a 및 15b에서 1501단계 내지 1503단계, 1514단계 및 1515단계는 도 13의 1301단계 내지 1303단계, 1312단계 및 1313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13의 1301단계 내지 1303단계, 1312단계 및 1313단계에 관한 설명은 도 15a 및 15b의 1501단계 내지 1503단계, 1514단계 및 1515단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 16의 [a] 및 [b]는 도 14의 [a] 및 [b]와 동일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16의 [c]는 사용자가 복사할 문자열을 선택하는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좌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한 경우에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15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우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우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의 입력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우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5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문자열, 즉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문자열을 이동시킬 문자열로 인식한다. 도 14는 제7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4의 [d]는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4번 입력하여 '대한민국을'을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문자 입력 창에 해당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1506단계에서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506단계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입력은 이동시킬 문자열을 확정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1506 단계에서 좌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507단계에서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시킬 문자열로 결정한다. 즉, 1507단계에서 이동될 문자열이 확정된다.
이후, 150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508단계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의 입력은 문자열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609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과 입력 횟수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4의 [e]는 도 14의 [d]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한 후 우방향키를 7번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4의 [e]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에 형성된 블록은 표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커서만 이동되어 표시된다.
15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510단계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입력은 문자열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기 설정된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511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현재 커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4의 [f]는 도 14의 [e]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4의 [f]에서 '대한민국을'의 문자열은 문장의 가장 끝에 이동하여 표시된다.
1510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151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1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 제1키는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정된 문자열을 해제하기 위한 키에 해당한다
제1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51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문자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4의 [g]는 도 14의 [e]에서 사용자가 CLR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하며 '대한민국을'에 설정되어 있던 블록은 해제되어 표시된다.
1504단계에서 우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1516단계에서 키 입력부(150)를 통해 좌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516단계에서 좌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마만의 입력은 복사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좌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51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문자열, 즉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문자열을 복사할 문자열로 인식한다. 도 16의 [d]는 사용자가 좌방향키를 1번 입력하여 '나는'을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문자 입력 창에 해당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1518단계에서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518단계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은 복사할 문자열을 결정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1518 단계에서 우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519단계에서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복사할 문자열로 결정한다. 즉, 1519단계에서 복사될 문자열이 확정된다.
152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520단계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의 입력은 결정된 문자열을 복사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521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과 입력 횟수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6의 [e]는 도 16의 [d]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한 후 우방향키를 15번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6의 [e]에서 '나는'의 문자열에 형성된 블록은 표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커서는 문장의 가장 끝에 위치하고 있다.
152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1522단계에서 방향키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은 문자열의 복사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
방향키가 기 설정된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523단계에서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현재 커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6의 [f]는 도 16의 [e]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방향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6의 [f]에서 '나는'의 문자열은 문장의 가장 끝에 복사되어 표시되어 있다.
1522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152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키 입력부(150)를 통해 제1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제1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152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2)를 제어하여 결정된 문자열을 복사하지 않고, 그래픽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 변경을 해제하여 표시한다. 도 16의 [g]는 도 16의 [e]에서 사용자가 CLR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으로서 문장의 형태는 변경되지 않고 '나는'에 설정되어 있던 블록만이 해제되어 표시된다.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처리부
130 : 저장부
140 : 터치스크린부 141 : 터치센서부
142 : 표시부
150 : 키 입력부
160 : 제어부
301, 501, 701, 1001, 1201, 1401, 1601 : 문자 입력 창
302, 502, 702 : 문자 입력 키
303, 503, 703, 1002, 1202, 1402, 1602 : 선 형태의 커서(cursor)
304, 504, 704, 1003, 1203, 1403, 1603 : 면 형태의 커서(cursor)
305, 505, 705, 1004, 1204, 1404, 1604 : 블록

Claims (28)

  1.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문자 선택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의 선택을 입력받는 영역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변경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선 형태의 커서(cursor)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 단계는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문자와 문자 사이의 영역으로의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터치가 입력된 영역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커서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 단계는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해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에 선 형태의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커서로의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된 커서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선택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으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의 최종 위치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 단계는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문자와 문자 사이의 영역으로의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터치 이동 방향이 제1방향인지 제2방향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표시 단계는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이 제1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이 제2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에 반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2. 문자 입력 창,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 커서를 표시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문자 입력 창 중 일정 영역의 선택을 입력 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및 표시부는 터치스크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문자와 문자 사이의 영역으로의 터치를 입력받으면, 상기 터치가 입력된 영역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커서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의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를 입력받으면, 상기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를 입력받고, 상기 문자 입력 창의 일정 영역으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의 최종 위치 영역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문자와 문자 사이의 영역으로의 터치를 입력받고,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의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확인하고, 터치 이동 방향이 제1방향인지 제2방향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여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이 제1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이 제2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일정 영역에 반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 단계는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제1키가 입력되면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기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제2키가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 또는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표시 단계는
    제2키가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시켜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우방향키인지 좌방향키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우방향키인 경우,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시킬 문자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좌방향키인 경우,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 단계는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면,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면, 상기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 또는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커서가 표시된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표시 단계는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시켜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우방향키인지 좌방향키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우방향키인 경우,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시킬 문자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좌방향키인 경우,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제1키, 제2키 및 제3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1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 또는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2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커서의 최종 위치로 이동 또는 복사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제1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커서를 면 형태의 커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면 형태의 커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그래픽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이동 또는 복사할 문자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향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그래픽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커서의 최종 위치로 이동 또는 복사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76939A 2010-03-03 2010-08-10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10100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40,023 US20110219323A1 (en) 2010-03-03 2011-03-03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cut or copy and p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9039 2010-03-03
KR1020100019039 2010-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121A true KR20110100121A (ko) 2011-09-09

Family

ID=4495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39A KR20110100121A (ko) 2010-03-03 2010-08-10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01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138B1 (ko) * 2012-03-08 2013-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4123260A1 (ko) * 2013-02-0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913026B2 (en) 2012-03-06 2014-12-1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3026B2 (en) 2012-03-06 2014-12-1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US10656895B2 (en) 2012-03-06 2020-05-1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KR101337138B1 (ko) * 2012-03-08 2013-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4123260A1 (ko) * 2013-02-0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18950A (ko) * 2013-02-07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9996260B2 (en) 2013-02-07 2018-06-12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7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US9395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7856605B2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ositioning an insertion marker in a touch screen display
KR100770936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10193805A1 (en) Scre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touch screens
EP2423788A1 (en) Letter input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20110219323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cut or copy and paste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20096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in mobile terminal responsive to multi-touch inputs
TWI389015B (zh) 軟體鍵盤之操作方法
KR20120079707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081170B2 (en) Object-selecting method using a touchpad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95947A1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102663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20140011072A (ko) 다양한 제스처를 이용하여 키패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9733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05753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US20140028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g for a moving object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9588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JP4521320B2 (ja) 入力端末
KR10135484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그 입력처리 방법
KR20110100121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EP2685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device
KR102120651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46380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