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263B1 -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 Google Patents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263B1
KR101680263B1 KR1020150177235A KR20150177235A KR101680263B1 KR 101680263 B1 KR101680263 B1 KR 101680263B1 KR 1020150177235 A KR1020150177235 A KR 1020150177235A KR 20150177235 A KR20150177235 A KR 20150177235A KR 101680263 B1 KR101680263 B1 KR 10168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glass panel
corner
frame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지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지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지유
Priority to KR102015017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06B3/67321Covering spacer elements, e.g. with sea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이 서로 대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각형의 제1 유리패널 및 제2 유리패널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패널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내측에 단열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각형으로 폐합되는 간봉(spacer)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과 상기 간봉의 양 측벽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간봉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을 접착하여 상기 단열공간을 밀봉하는 제1 접착제와; 상기 간봉의 코너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를 커버하며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부착되어 상기 간봉의 코너부를 밀봉하는 코너 밀봉커버를 포함하는 코너 밀봉부와;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이격공간에 충전되는 충전 실란트를 포함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Multi-layer glazing for window having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 유리의 간봉의 불연속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을 방지하여 복층 유리의 단열공간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창호용 단열 복층 유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열 손실이 가장 많은 부분은 창호인데, 천장, 바닥, 벽체와 달리 창호는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창호에서 열 에너지 손실을 줄이지 않고서는 건물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어렵다.
최근 창호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유리패널 2장 또는 3장을 복층으로 구성한 복층 유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유리 커튼 월(curtain wall)을 시공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복층 유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층 유리의 유리패널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보냉, 보온,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단열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단열공간에 건조공기, 비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복층 유리의 단열성능을 높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복층 유리를 구성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유리패널 사이에 단열공간이 마련되도록 폐합된 고리 형태의 간봉(spacer)를 개재하고, 간봉과 유리패널을 접착제로 접착시켜 단열공간을 밀봉하게 된다.
도 1은 일 형태의 간봉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형태의 간봉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각형 형태의 간봉을 제조하기 위하여,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의 간봉 프레임 4개를 사각형으로 배치하고 사각형의 각 코너부에서 "ㄱ"형태의 코너 연결피스를 간봉 프레임의 관통부에 각각 삽입하여 간봉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간봉의 양측면을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를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유리패널 사이에 배치하고 접착하여 내부에 밀폐된 단열공간이 마련된 복층 유리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연결피스의 연결부위는 간봉의 불연속 부위로서 단열공간의 밀폐 측면에서 보면 매우 취약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간봉 코너부의 측면에 충분하게 접착제를 도포함에도 불구하고 코너부에서 밀폐가 해제되면서 내부의 비활성 가스가 새거나 진공이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4는 다른 형태의 간봉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형태의 간봉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의 간봉 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절곡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간봉 프레임을 다각형 형태로 절곡한 후에는 폐합된 간봉을 형성하기 위해서 간봉 프레임의 양단부에 직선 연결피스의 양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연결하여 폐합된 사각형 형태의 간봉을 형성하게 된다.
본 형태의 간봉은, 간봉의 불연속 부위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단열공간의 밀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본 형태의 간봉의 경우도 직선 연결피스의 연결부에서 불연속 부위가 발생하기 때문에 연결부에서 밀폐가 해제되어 내부의 비활성 가스가 새거나 진공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 프레임의 절곡 과정에서 절곡부의 외측에는 인장력이 발생하고 내측에는 압축력이 발생하는데, 외측의 인장력에 의해 간봉 프레임의 코너부의 외측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 간봉의 코너부에서 누설이 발생하거나, 내측의 압축력에 의해 간봉 프레임이 접히면서 간봉 프레임의 측단부가 울퉁불퉁하게 되어 접착제의 접착제의 도포에도 불구하여 간봉의 코너부에서 밀폐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97428호 (2013.06.07 공개)
본 발명은, 간봉의 불연속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을 방지하여 복층 유리의 단열공간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이 서로 대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각형의 제1 유리패널 및 제2 유리패널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패널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내측에 단열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각형으로 폐합되는 간봉(spacer)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과 상기 간봉의 양 측벽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간봉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을 접착하여 상기 단열공간을 밀봉하는 제1 접착제와; 상기 간봉의 코너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를 커버하며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부착되어 상기 간봉의 코너부를 밀봉하는 코너 밀봉커버를 포함하는 코너 밀봉부와;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이격공간에 충전되는 충전 실란트를 포함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가 제공된다.
상기 코너 밀봉커버는, 일면이 다각형의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상응하여 절곡되며, 일면에 상기 제2 접착제가 도포되는 앵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글 프레임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너 밀봉커버는, 상기 앵글 프레임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그립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앵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는 접착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스트립의 폭은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크며, 상기 앵글 프레임의 폭은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코너 밀봉커버는 유체 불투과성의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는 부틸 실란트(butyl seala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봉은, 선형의 간봉 프레임을 상기 다각형 형태로 절곡하고 양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양단부의 연결부의 외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3 접착제와, 상기 제3 접착제를 커버하며 상기 연결부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를 밀봉하는 선형 밀봉커버를 포함하는 선형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밀봉커버는,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며, 일면에 상기 제3 접착제가 도포되는 선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밀봉커버는, 상기 선형 프레임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그립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제는 상기 선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는 접착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착스트립의 폭은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크며, 상기 선형 프레임의 폭은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는,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어 상기 충전 실란트를 커버하는 커버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상기 커버 시트는, 내화학성의 유체 불투과성의 고분자 화합물이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는, 모재의 일면에 부틸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틸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에는 아르곤(Ar) 가스 또는 크립톤(Kr) 가스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봉의 불연속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을 방지하여 복층 유리의 단열공간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층 유리의 단열공간을 강하게 밀봉하여 복층 유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형태의 간봉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형태의 간봉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다른 형태의 간봉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도 4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코너 밀봉부의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코너 밀봉부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평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선형 밀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코너 밀봉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의 코너 밀봉부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층 유리(10), 제1 유리패널(12), 제2 유리패널(14), 복층 유리패널(16), 이격공간(18), 단열공간(20), 흡습제(21), 간봉(22), 측벽(23), 간봉 프레임(24), 외벽(25), 코너 연결피스(26), 내벽(27), 직선 연결피스(28), 코너부(30), 제1 접착제(34), 접착스트립(35), 제2 접착제(36), 코너 밀봉부(37), 코너 밀봉커버(38), 충전 실란트(39), 앵글 프레임(40), 그립퍼(42), 커버 시트(4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10)는, 일면이 서로 대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각형의 제1 유리패널(12) 및 제2 유리패널(14)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패널(16)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공간(18)이 형성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패널(16)의 내측에 단열공간(20)이 마련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16)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각형으로 폐합되는 간봉(22)(spacer)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16)과 상기 간봉(22)의 양 측벽(23)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간봉(22)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16)을 접착하여 상기 단열공간(20)을 밀봉하는 제1 접착제(34)와; 상기 간봉(22)의 코너부(3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접착제(36)와, 상기 제2 접착제(36)를 커버하며 상기 간봉(22)의 코너부(30)에 부착되어 상기 간봉(22)의 코너부(30)를 밀봉하는 코너 밀봉커버(38)를 포함하는 코너 밀봉부(37)와; 상기 간봉(22)의 외벽(25)이 커버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16)의 이격공간(18)에 충전되는 충전 실란트(39)를 포함한다.
제1 유리패널(12)과 제2 유리패널(14)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일면이 마주하게 된다. 제1 유리패널(12)과 제2 유리패널(14)은 다각형 형태로서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간봉(22)에 의해 접착되어 다각형의 창호용 복층 유리(10)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는 사각형의 제1 유리패널(12)과 제2 유리패널(14)이 마주하여 사각형의 창호용 복층 유리(10)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유리패널이 서로 마주하여 복층 유리패널(16)을 형성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2개 이상의 유리패널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복층 유리패널(16)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층 유리패널(16)'은 설명의 편의상 제1 유리패널(12)과 그에 마주하는 제2 유리패널(14)을 통칭하기 위해 명명된 이름이며, '복층 유리(10)'는 본 발명에 따라 최종 완성된 유리를 의미한다.
제1 유리패널(12)과 제2 유리패널(14)은 저융점 유리, 로이(low emissivity)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가 3 ~ 10mm로 제작될 수 있다.
간봉(22)(spacer)은,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공간(18)이 형성되도록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층 유리패널(16)의 내측에 단열공간(20)이 마련되도록 복층 유리패널(16)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각형으로 폐합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간봉(22)은, 간봉 프레임(24)을 코너 연결피스(26)로 연결하여 다각형 형태로 제작하거나, 간봉 프레임(24)을 다각형으로 절곡하고 양단부를 직선 연결피스(28)로 연결하여 폐합된 다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봉(22)이 복층 유리패널(16)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된다.
간봉(22)은, 서로 마주하는 제1 유리패널(12)과 제2 유리패널(14)이 형성하는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층 유리패널(16)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유리패널(12) 및 제2 유리패널(14)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면과 간봉(22)의 외벽(25)에 의해 이격공간(18)이 구획되고, 이격공간(18)에는 후술할 충전 실란트(39)가 포설되어 단열공간(20)을 더욱 밀봉하게 된다.
간봉(22)은 폐루프 형태로 폐합되어 복층 유리패널(16)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유리패널(12) 및 제2 유리패널(14)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과 폐합된 간봉(22)의 내벽(27)에 의해 복층 유리패널(16)의 내부에 단열공간(20)이 구획된다.
간봉(22)은 내부에 관통부를 갖는 알루미늄이나 아연도금강,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내부 관통부에 흡습제(21)가 채워져 단열공간(20)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단열공간(20)은 진공으로 유지되거나 내부에 건조공기, 아르곤(Ar) 가스, 크립톤(Kr) 가스 등의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기체가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공간(20)의 밀폐 성능을 높여야만 진공의 해제나 단열기체의 누설이 이루어지지 않아 복층 유리(10)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1 접착제(34)는, 복층 유리패널(16)과 간봉(22)의 양 측벽(23)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간봉(22)과 복층 유리패널(16)을 접착하여 단열공간(20)을 밀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유리패널(12)의 일면과 간봉(22)의 일 측벽(23), 제2 유리패널(14)의 일면과 간봉(22)의 타 측벽(23)에는 제1 접착제(34)가 개재되어 간봉(22)과 유리패널의 접착이 이루어진다.
제1 접착제(34)의 접착에 의해 단열공간(20)은 외부와 단절되어 밀폐되어야 하므로, 제1 접착제(34)로는 기체나 수분의 이동을 강력히 제한할 수 있는 유체 불투과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유체 불투과성 접착제로는 부틸 실란트(butyl sealant)가 알려져 있다. 부틸 실란트는 후술할 폴리설파이드 실란트(polysulfide sealant)나 실리콘 실란트(silicon sealant)에 비해 40 ~ 160배 이상으로 습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틸 실란트를 이용하여 간봉(22)과 유리패널(12, 14)을 접합하여 단열공간(20)을 밀봉한 형태를 제시한다.
코너 밀봉부(37)는, 간봉(22)의 코너부(3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접착제(36)와, 제2 접착제(36)를 커버하며 간봉(22)의 코너부(30)에 부착되어 간봉(22)의 코너부(30)를 밀봉하는 코너 밀봉커버(38)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봉(22)은, 선형의 간봉 프레임(24)을 코너 연결피스(26)로 연결하여 다각형 형태로 제작하거나 간봉 프레임(24)을 다각형으로 절곡하고 양단부를 직선 연결피스(28)로 연결하여 폐합된 다각형 형태로 제작되는데, 간봉(22)의 코너부(30)는, 간봉 프레임(24)을 절곡하거나 간봉 프레임(24)에 코너 연결피스(26)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곳으로, 밀봉의 취약부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봉(22)과 유리패널(12, 14)을 제1 접착제(34)로 접착하여 단열공간(20)을 1차 밀봉한 후, 밀봉의 취약부에 해당하는 간봉(22)의 코너부(30)의 외측에 코너 밀봉부(37)로 2차 밀봉하여 단열공간(20)의 밀폐력을 높이게 된다.
제2 접착제(36)는 간봉(22)의 코너부(30)의 외측에 포설되고, 제2 접착제(36)의 상면은 다시 코너 밀봉커버(38)로 덮히게 된다. 제2 접착제(36)로는 상술한 제1 접착제(34)와 같이 유체 불투과성 접착제인 부틸 실란트가 적용될 수 있다.
코너 밀봉커버(38)는 제2 접착제(36)의 상면을 덮게 되는데, 후술한 충전 실란트(39)가 코너 밀봉커버(38)의 상면에 다시 포설되면서 충전 실란트(39)와 코너 밀봉커버(38)가 접착되면서 복층 유리(10)의 밀폐력을 더욱 높이게 된다. 코너 밀봉커버(38) 없이 제2 접착제(36)의 상면에 바로 충전 실란트(39)가 포설되는 경우 제2 접착제(36)와 충전 실란트(39)의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밀폐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2 접착제(36)와 충전 실란트(39) 사이에 코너 밀봉커버(38)가 배치되게 된다.
코너 밀봉커버(38)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유체 불투과성의 고분자 화합물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너 밀봉부(37)의 설치 상의 편의를 위하여 코너 밀봉커버(38)로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충전 실란트(39)는, 간봉(22)의 외벽(25)과 코너 밀봉커버(38)가 커버되도록 복층 유리패널(16)의 이격공간(18)에 충전된다.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획된 이격공간(18)에 충전 실란트(39)가 충전되어 단열공간(20)의 밀폐력을 증가시킨다. 충전 실란트(39)로는 폴리설파이드 실란트, 실리콘 실란트(silicon sealant)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충전 실란트(39)는 제1 유리패널(12), 제2 유리패널(14), 간봉(22) 간의 접착을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간봉(22)과 코너 밀봉커버(38)를 덮어 단열공간(20)의 밀봉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10)는,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어 충전 실란트(39)를 커버하는 커버 시트(4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시트(44)는,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어 충전 실란트(39)를 커버한다. 커버 시트(44)는 긴 띠장 형태로 충전 실란트(39)가 포설된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감겨 충전 실란트(39)를 커버한다. 커버 시트(44)로는 기체나 수분의 이동을 강력히 제한할 수 있도록 내화학성의 유체 불투과성 시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진 시트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시트를 커버 시트(44)로 사용할 수 있다.
창호용 복층 유리(10)를 이용하여 창호나 유리 커튼 월을 시공하는 경우, 시공과정에서 작업자가 창호나 유리 커튼 월의 마감 등을 위하여 실링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도포하는 실링재가 창호용 복층 유리(10)의 충전 실란트(39)와 바로 접촉되는 경우 서로 반응을 일으켜 복층 유리(10)를 더럽히거나 실란트가 손상되어 단열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복층 유리(10)는, 충전 실란트(39)가 복층 유리패널(16)에 이격공간(18)에 충전된 상태로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 실란트(39)가 커버되도록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커버 시트(44)를 덮은 형태이다.
충전 실란트(39)는 겔(gel) 형태로 복층 유리패널(16)의 이격공간(18)에 충전되는데, 충전 실란트(39)가 굳기 전에 바로 띠장 형태의 커버 시트(44)로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감아두면 충전 실란트(39)가 굳으면서 커버 시트(44)가 충전 실란트(39)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충전 실란트(39)가 굳은 이후에는, 굳은 충전 실란트(39)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띠장 형태의 커버 시트(44)로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감아 충전 실란트(39)에 커버 시트(44)를 접착시키거나, 일면에 접착제가 형성된 테이프 형태의 커버 시트(44)를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감아 충전 실란트(39)에 커버 시트(44)를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 시트(44)로는 모재의 일면에 부틸 실란트가 도포된 부틸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충전 실란트(39)가 굳은 이후에 부틸 테이프의 부틸 접착제가 충전 실란트(39)를 향하도록 복층 유리패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틸 테이프을 감아 커버 시트(44)를 형성하는 것이다. 부틸 테이프는, 긴 띠장 형태의 모재의 일면에 부틸 실란트가 도포된 형태로서, 모재는 상술한 유체 불투과성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실란트(39)가 유체 불투과성의 커버 시트(44)로 덮혀 있기 때문에 시공 중 다른 실링재의 접촉이 차단되어 충전 실란트(39)와 실링재의 접촉에 따른 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 밀봉부(37)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 밀봉부(37)의 설치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창호용 복층 유리(10)의 제조과정에서 코너 밀봉부(37)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 밀봉부(37)는, 일면이 다각형의 간봉(22)의 코너부(30)에 대향하도록 간봉(22)의 코너부(30)에 상응하여 절곡되며 일면에 제2 접착제(36)가 도포되는 앵글 프레임(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봉(22)은 사각형 형태이므로 사각형의 코너부(30)에 상응하여 앵글 프레임(40)은 "ㄱ"형태로 절곡되며 간봉(22)의 코너부(30)에 제2 접착제(36)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코너 밀봉부(37)는 간봉(22)에 의해 제1 유리패널(12)과 제2 유리패널(14)이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협소한 이격공간(18)을 통하여 간봉(22)의 코너부(30)의 외측에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코너 밀봉커버(38)를 딱딱한 앵글 프레임(40) 형태로 제작하여 작업자의 핸들링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앵글 프레임(40)의 일측에 그립퍼(42)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그립퍼(42)를 잡고 앵글 프레임(40)의 핸들링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앵글 프레임(40)과 그립퍼(42)는 딱딱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앵글 프레임(4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접착제(36)는, 앵글 프레임(4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는 접착스트립(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착스트립(35)의 폭은 이격공간(18)의 폭보다 크며, 앵글 프레임(40)의 폭은 이격공간(18)의 폭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제2 접착제(36)가 일정 점성을 갖는 경우 긴 스트립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스트립 형태의 접착스트립(35)을 앵글 프레임(40)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접착시킨 상태에서 앵글 프레임(40)을 핸들링하여 이격공간(18)을 통하여 간봉(22)의 코너부(3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0에 보면, 제1 유리패널(12)과 제2 유리패널(14)이 형성하는 이격공간(18)의 폭에 비해 앵글 프레임(40)의 폭을 작게 하고, 접착스트립(35)의 폭은 이격공간(18)의 폭 보다 크게 한 코너 밀봉부(37)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코너 밀봉부(37)의 앵글 프레임(40)을 핸들링하여 이격공간(18)에 삽입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프레임(4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돌출된 접착스트립(35)의 단부가 이격공간(18)의 양측벽(23)에 의해 접히면서 간봉(22)의 코너부(30)에 부착되어 접착스트립(35)이 간봉(22)의 코너부(30)을 완전히 덮어 밀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10)의 평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10)의 선형 밀봉부(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층 유리(10'), 복층 유리패널(16), 단열공간(20), 간봉(22), 직선 연결피스(28), 코너부(30), 연결부(32), 제2 접착제(36), 코너 밀봉부(37), 충전 실란트(39), 그립퍼(42), 제3 접착제(46), 선형 밀봉커버(48), 선형 프레임(49), 선형 밀봉부(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10')는 간봉(22)의 코너부(30)를 코너 밀봉부(37)로 밀봉하는 것 이외에 간봉 프레임(24)의 연결부(32)를 밀봉한 형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봉(22)은, 선형의 간봉 프레임(24)을 다각형으로 절곡하고 양단부를 직선 연결피스(28)로 연결하여 폐합된 다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직선 연결피스(28)에 의해 연결되는 간봉 프레임(24)의 양단부는 불연속 부위로서 밀폐 측면에서 취약부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취약부의 밀봉을 강화하기 위해서, 간봉 프레임(24)의 연결부(32)로 선형 밀봉부(50)로 밀봉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밀봉부(50)는, 양단부의 연결부(32)의 외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3 접착제(46)와, 제3 접착제(46)를 커버하며 연결부(32)에 부착되어 연결부(32)를 밀봉하는 선형 밀봉커버(48)를 포함한다. 선형 밀봉부(50)의 제3 접착제(46)는 간봉 프레임(24)의 연결부(32)의 외측에 포설되고, 제3 접착제(46)의 상면은 다시 선형 밀봉커버(48)로 덮히게 된다. 제3 접착제(46)로는 상술한 제2 접착제와 같이 유체 불투과성 접착제인 부틸 실란트가 적용될 수 있다.
선형 밀봉커버(48)는, 상술한 코너 밀봉커버와 마찬가지로, 딱딱한 선형 프레임(49) 형태로 제작하여 작업자의 핸들링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선형 프레임(49)의 일측에는 그립퍼(42)가 돌출되어 작업자가 그립퍼(42)를 잡고 선형 밀봉부(5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3 접착제(46)는, 제2 접착제(36)와 마찬가지로, 선형 프레임(49)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접착스트립(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격공간(18)의 폭에 비해 선형 프레임(49)의 폭을 작게 하고, 접착스트립(35)의 폭은 이격공간(18)의 폭 보다 크게 하여 선형 밀봉부(5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공간(18)에 선형 프레임(49)을 삽입하여 간봉(22)의 연결부(32)에 부착하는 경우, 선형 프레임(49)의 양측에서 돌출된 접착스트립(35)의 단부가 이격공간(18)의 양측벽(23)에 의해 접히면서 간봉(22)의 코너부(30)에 부착되어 접착스트립(35)이 간봉(22)의 연결부(32)를 완전히 덮어 부착되어 밀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외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10': 복층 유리 12: 제1 유리패널
14: 제2 유리패널 16: 복층 유리패널
18: 이격공간 20: 단열공간
21: 흡습제 22: 간봉
23: 측벽 24: 간봉 프레임
25: 외벽 26: 코너 연결피스
27: 내벽 28: 직선 연결피스
30: 코너부 34: 제1 접착제
35: 접착스트립 36: 제2 접착제
37: 코너 밀봉부 38: 코너 밀봉커버
39: 충전 실란트 40: 앵글 프레임
42: 그립퍼 44: 커버 시트
46: 제3 접착제 48: 선형 밀봉커버
49: 선형 프레임 50: 선형 밀봉부

Claims (15)

  1. 일면이 서로 대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각형의 제1 유리패널 및 제2 유리패널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패널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내측에 단열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각형으로 폐합되는 간봉(spacer)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과 상기 간봉의 양 측벽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간봉과 상기 복층 유리패널을 접착하여 상기 단열공간을 밀봉하는 부틸 실란트로 이루어진 제1 접착제와;
    상기 간봉의 코너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부틸 실란트로 이루어진 제2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를 커버하며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부착되어 상기 간봉의 코너부를 밀봉하는 코너 밀봉커버를 포함하는 코너 밀봉부와;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이격공간에 충전되는 충전 실란트; 및
    상기 복층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어 상기 충전 실란트를 커버하는 커버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시트는,
    모재의 일면에 부틸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틸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밀봉커버는,
    유체 불투과성의 고분자화합물이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면이 다각형의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상응하여 절곡되며, 일면에 상기 제2 접착제가 도포되는 앵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앵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는 부틸 실란트로 이루어진 접착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스트립의 폭이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크고 상기 앵글 프레임의 폭이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접착스트립이 부착된 상기 앵글 프레임을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상기 앵글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돌출된 상기 접착스트립의 단부가 상기 이격공간의 양측벽에 의해 접히면서 상기 간봉의 코너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밀봉커버는,
    상기 앵글 프레임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그립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은,
    선형의 간봉 프레임을 상기 다각형 형태로 절곡하고 양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양단부의 연결부의 외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3 접착제와, 상기 제3 접착제를 커버하며 상기 연결부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를 밀봉하는 선형 밀봉커버를 포함하는 선형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밀봉커버는,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며, 일면에 상기 제3 접착제가 도포되는 선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밀봉커버는,
    상기 선형 프레임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그립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상기 선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는 접착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스트립의 폭은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크며, 상기 선형 프레임의 폭은 상기 이격공간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 제4항, 제8항, 제9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공간에는 아르곤(Ar) 가스 또는 크립톤(Kr) 가스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KR1020150177235A 2015-12-11 2015-12-11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KR10168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35A KR101680263B1 (ko) 2015-12-11 2015-12-11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35A KR101680263B1 (ko) 2015-12-11 2015-12-11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263B1 true KR101680263B1 (ko) 2016-11-29

Family

ID=5770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235A KR101680263B1 (ko) 2015-12-11 2015-12-11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26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8005A (zh) * 2019-01-18 2019-09-10 佛山市顺德区奥达信电器有限公司 复合胶条式中空玻璃热压成型生产工艺
KR102029838B1 (ko) * 2019-03-14 2019-10-08 주식회사 선우시스 열교차단형 bipv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44910A (zh) * 2019-09-26 2020-01-03 陈小建 一种防止中空百叶帘玻璃结雾的边框结构
KR20210029232A (ko) * 2018-07-05 2021-03-15 나카지마 가라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유리
KR102241739B1 (ko) * 2020-05-11 2021-04-16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기밀성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274366B1 (ko) 2021-02-08 2021-07-07 조정민 차열 및 단열 기능을 갖는 가스 충진형 안전 창호
CN114360380A (zh) * 2022-01-04 2022-04-15 奥英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
WO2024073814A1 (en) * 2022-10-06 2024-04-11 Clearvue Technologies Ltd A window unit for a building or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5046B2 (ja) * 2010-05-18 2014-05-21 清水建設株式会社 複層ガラ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5046B2 (ja) * 2010-05-18 2014-05-21 清水建設株式会社 複層ガラス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232A (ko) * 2018-07-05 2021-03-15 나카지마 가라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유리
KR102640442B1 (ko) * 2018-07-05 2024-02-27 나카지마 가라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유리
CN110218005A (zh) * 2019-01-18 2019-09-10 佛山市顺德区奥达信电器有限公司 复合胶条式中空玻璃热压成型生产工艺
KR102029838B1 (ko) * 2019-03-14 2019-10-08 주식회사 선우시스 열교차단형 bipv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44910A (zh) * 2019-09-26 2020-01-03 陈小建 一种防止中空百叶帘玻璃结雾的边框结构
KR102241739B1 (ko) * 2020-05-11 2021-04-16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기밀성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WO2021230543A1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기밀성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274366B1 (ko) 2021-02-08 2021-07-07 조정민 차열 및 단열 기능을 갖는 가스 충진형 안전 창호
CN114360380A (zh) * 2022-01-04 2022-04-15 奥英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
WO2024073814A1 (en) * 2022-10-06 2024-04-11 Clearvue Technologies Ltd A window unit for a building o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263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복층 유리
JP6395938B2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
JPH04243942A (ja) 複合ガラス部材
JP6452822B2 (ja) 複層ガラス
PL198882B1 (pl) Zespół przekładki i szczeliwa, zespół okna zawierający zespół przekładki i szczeliwa oraz sposób wytwarzania taśmy z zespołem przekładki i szczeliwa
US8769889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ss panes
JP6526812B2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JP2004513273A (ja) リブ付きチューブの連続可撓性スペーサーアセンブリ
KR102567521B1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JP2005508280A5 (ko)
JP2014510008A (ja) スペーサー、コネクター、及び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
JP7312331B2 (ja) 向上した接着性を有するスペーサ
DK2734680T3 (en) Insulation plate
EP2463472B1 (en) Pane spacer
IE86810B1 (en) An insulation panel
KR101629333B1 (ko) 금속 보강 플라스틱 복층유리 단열간봉
EP3147443B1 (en) Insulating glass unit compression-injection coated patch and method
JP7387287B2 (ja) 断熱構造体、及び板状断熱材
KR20140064449A (ko) 3중 복층 유리 및 그 제조방법
JP2018053497A (ja) 断熱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US20230175314A1 (en) Insulating glazing comprising a spacer having a reinforcing profile
JP5652709B2 (ja) 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付き複層ガラスの組立方法
GB2529269B (en) Insulation module assembly
CA1046351A (en) Add-on multiple gla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