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78B1 -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178B1
KR101680178B1 KR1020160086396A KR20160086396A KR101680178B1 KR 101680178 B1 KR101680178 B1 KR 101680178B1 KR 1020160086396 A KR1020160086396 A KR 1020160086396A KR 20160086396 A KR20160086396 A KR 20160086396A KR 101680178 B1 KR101680178 B1 KR 10168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coupler
forming
mandre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오
박재웅
Original Assignee
이광오
박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오, 박재웅 filed Critical 이광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4Making by means of profiled-rolls or di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8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internal screw-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확장돌기 및 평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러한 결합홈과 확장돌기 및 평면부는 비절삭 가공을 통해 단일의 작업으로 동시에 일괄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로써 내외면에 나선형의 결합홈과 확장돌기가 각각 형성되면서도 렌치 조작이 가능한 커플러를 단일 작업으로 손쉽게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coupler for coupling a screw type steel ba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플러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용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의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커플러의 외주면은 별도의 기계 가공을 하지 않고도 렌치의 조작을 위한 다각형의 조작면을 갖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보강근(補强筋)으로써, 표면에 마디가 없는 원형철근 및 표면에 마디가 존재하는 이형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철근은 건축현장에서 다양한 이음 방법을 통해 둘 이상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의 이음 방법은 크게 겹침이음과 기계적이음 및 용접이음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다양한 건설현장이나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의 경우는 각 커플러를 이용하는 기계식이음으로 둘 이상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철근 간의 연결 부위에 대한 강도의 확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커플러는 쐐기형 커플러와, 퀵 커플러와, 테이퍼잭 커플러와 나사식 커플러 등이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826143호, 등록특허 제10-1319398호, 공개특허 제10-2014-0046308호, 등록특허 제10-1486039호, 등록특허 제10-1456055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568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3-184222호, 등록특허 제10-1505961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02-16011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 철근 이음용 커플러는 기계 가공을 통해 제조됨에 따라 기계 가공을 통해 버려지는 소재로 인한 소재비의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기계 가공에 따른 제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 철근 이음용 커플러 중의 일부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단조 방식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는 단조 방식의 경우도 그 단조 작업 후 별도의 기계 가공을 추가로 수행하여야만 하며, 이로써 소재비의 소모가 크고 그의 제조를 위한 작업 시간 역시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등록특허 제10-0826143호 등록특허 제10-1319398호 공개특허 제10-2014-0046308호 등록특허 제10-1486039호 등록특허 제10-1456055호 등록특허 제10-0857930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568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3-184222호 등록특허 제10-1505961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02-160112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철근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콘크리트에의 매설시 결합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소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강도의 확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렌치의 조작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리브가 돌출 형성된 두 나사형 철근의 양 끝단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면서 각 나사형 철근의 나선형 리브와 동일한 형상의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홈;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렌치의 물림을 위한 복수의 평면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나선형 확장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과 나선형 확장돌기 및 나선형 확장돌기의 평면부는 비절삭 가공을 통해 동시에 일괄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제조장치는 커플러의 내주면에 나사형 철근의 나선형 리브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피치의 나선형 결합홈을 가공하기 위해 외주면에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되고,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설치된 나선성형용 맨드릴; 커플러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확장돌기를 성형하도록 외주면에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되고, 셋 이상 복수로 제공되면서 그 각각은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의 방사 방향측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됨과 더불어 이동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된 나선성형용 다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의 외주면에는 커플러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복수의 라운드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된 나선성형용 맨드릴을 준비함과 더불어 이 나선성형용 맨드릴의 방사 방향측에 셋 이상 복수의 나선성형용 다이스를 각각 위치시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의 외주면에 소재를 공급하는 단계;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들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함과 동시에 나선성형용 맨드릴은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를 나선성형용 맨드릴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소재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는 소재를 향해 추가로 이동시키면서 이 나선성형용 다이스의 회전 및 가압력으로 상기 소재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확장돌기 및 복수의 평면부가 동시에 성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소재의 내주면에는 나사형 철근의 나선형 리브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피치를 갖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상기 맨드릴의 산과 골에 의해 상기 확장돌기 및 평면부와 동시에 성형되도록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는 내주면에 나선형 결합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확장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나선형 철근의 나선형 리브가 상기 나선형 결합홈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나선형의 확장돌기로 인해 콘크리트 내로의 매립시 결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는 나선형의 결합홈 및 나선형의 확장돌기가 전조 및 단조 공정을 통해 몸체부의 내외면에 일괄적으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소재가 전혀 존재하지 않아 소재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비틀어 성형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피치가 짧은 건설용의 나사형 철근 이음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에 복수의 평면부가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렌치를 이용한 조립 작업이 가능하며, 이러한 각 평면부는 나선형의 결합홈 및 나선형의 확장돌기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성형됨으로써 별도의 기계 가공을 위한 작업이 필요치 않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선형의 결합홈 및 확장돌기를 동시에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에 복수의 평면부를 동일 작업에 의해 추가로 성형함에 따라 전체적인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로 두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로 두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로 두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제조장치 중 나선성형용 다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8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 제조장치로 커플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리브(11,21)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두 나사형 철근(10,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로 두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로 두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로 두 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이하, “커플러”라 함)(100)는 몸체부(110)와 나선형의 결합홈(120) 및 나선형의 확장돌기(130)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결합홈(120)과 확장돌기(130)는 단일의 공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되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확장돌기(130)에는 복수의 평면부(131)가 추가로 형성되면서 렌치(도시는 생략됨)를 이용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커플러(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상기 두 나사형 철근(10,20)의 양 끝단 일부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및 내경을 갖는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두 나사형 철근(10,20)의 연결 부위에 대한 충분한 결합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각 나사형 철근(10,20)의 적어도 일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
이와 같은 결합홈(120)은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각 나사형 철근(10,20)의 나선형 리브(11,21)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피치를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확장돌기(130)는 콘크리트에의 매설시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한 부위로써,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확장돌기(130)의 추가 형성에 의해 커플러(100)는 콘크리트와의 결합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돌기(130)는 상기 결합홈(120)과 동일한 피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피치 및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확장돌기(130)는 비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나선형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는 상기 확장돌기(130)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는 단일의 전조 공정을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결합홈(12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확장돌기(130)도 함께 성형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시간의 단축 및 소재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장돌기(130)의 표면에 복수의 평면부(131)가 추가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평면부(131)는 스패너와 같은 렌치의 물림을 위한 부위이며, 이러한 평면부(131)의 추가 제공을 통해 커플러(100)가 렌치의 조작에 의한 나사형 철근(10,20)과의 조립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10)의 양 끝단측 둘레면에는 상기 몸체부(110) 내외를 관통하는 체결공(140,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체결공(140,150)에는 체결부재(141,151)가 결합되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41,151)는 상기 몸체부(110) 내로 수용된 나사형 철근(10,20)을 가압하면서 상기 나사형 철근(10,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이며, 이러한 체결부재(141,151)의 추가 제공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100)로부터 나사형 철근(10,20)이 원치않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141,151)는 상기 체결공(140,15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무두볼트로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상기 체결부재(141,151)의 외부 돌출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작업 도중의 간섭 현상이나 부러짐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제조를 위한 제조장치(이하, “커플러 제조장치”라 함)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토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 제조장치는 크게 하나의 나선성형용 맨드릴(300)과 셋 이상 복수의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은 커플러(100)의 내주면에 나사형 철근(10,20)의 나선형 리브(11,21)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피치의 결합홈(120)을 가공하기 위한 맨드릴로써, 그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회전 구동부(도시는 생략됨)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는 커플러(100)의 외주면에 확장돌기(130)를 성형하기 위한 다이스로써, 그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들은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의 방사 방향측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별도의 단일 회전 구동부(도시는 생략됨)로부터 동시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함께 이동 구동부(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이동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을 향해 방사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들의 외주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라운드부(211,221,231)가 추가로 요철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라운드부(211,221,231)는 커플러(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확장돌기(130)를 다각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써, 성형하고자 하는 다각형 변(邊)의 수(數)에 따라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사점 및 상사점을 갖도록 반복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라운드부(211,221,231)의 상사점은 상기 확장돌기(130)의 각 변을 이루는 평면부(131)를 형성하도록 작용되고, 라운드부(211,221,231)의 하사점은 상기 확장돌기(130)의 각 모서리(132)를 형성하도록 작용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8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된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준비함과 더불어 이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의 방사 방향측에는 셋 이상 복수의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를 각각 위치시킨다.
그리고,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로의 가공을 위한 원통 형상의 소재(101)를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소재(101)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들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함과 동시에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은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들(210,220,230)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 다음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들을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소재(101)의 외주면에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첨부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를 소재(101)를 향해 추가로 점차 이동시키면서 이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의 회전 및 가압력으로 상기 소재(101)의 외주면에 확장돌기(130) 및 복수의 평면부(131)와 모서리(132)가 동시에 성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소재(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들의 회전 및 가압력에 의해 소재(101)의 내부로 변형되는 부위가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의 산과 골에 채워지면서 결합홈(120)이 함께 성형되도록 가공한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들과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210,220,230)들이 소재(101)의 외주면을 점차적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소재(101)는 그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의 나선형 산과 골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300)의 전방(또는 후방)을 향해 스스로 이동되면서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의 전방으로 이탈되어 낙하된다.
결국, 전술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커플러(100)의 성형이 완료된다. 만일, 해당 커플러에 체결공(140,150)을 추가로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계 가공을 통해 커플러(100)를 이루는 몸체부(110)의 양측 끝단에 체결공(140,150)을 각각 관통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100)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양 끝단 내로 각 나사형 철근(10,20)을 나사식으로 결합한 후 각 체결공(140,150)에 체결부재(141,151)를 체결함으로써 두 나사형 철근(10,20)의 연결이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는 내주면에 결합홈(120)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확장돌기(13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나선형 철근(10,20)의 나선형 리브(11,21)가 상기 결합홈(120)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확장돌기(130)로 인해 콘크리트 내로의 매립시 결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100)는 결합홈(120) 및 확장돌기(130)가 전조 및 단조 공정을 통해 몸체부(110)의 내외면에 일괄적으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소재가 전혀 존재하지 않아 소재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고, 비틀어 성형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피치가 짧은 건설용의 나사형 철근 이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100)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에 복수의 평면부(131) 및 모서리(132)가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렌치를 이용한 조립 작업이 가능하며, 이러한 각 평면부(131) 및 모서리(132)는 결합홈(120) 및 확장돌기(13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성형됨으로써 별도의 기계 가공을 위한 작업이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10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결합홈(120) 및 확장돌기(130)를 동시에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커플러(100)의 외주면에 복수의 평면부(131) 및 모서리(132)를 동일 작업에 의해 추가로 성형함에 따라 전체적인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10,20. 나사형 철근 11,21. 나선형 리브
100. 커플러 101. 소재
110. 몸체부 120. 결합홈
130. 확장돌기 131. 평면부
132. 모서리 140,150. 체결공
141,151. 체결부재 210,220,230. 나선성형용 다이스
211,221,231. 라운드부 300. 나선성형용 맨드릴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된 나선성형용 맨드릴을 준비함과 더불어 이 나선성형용 맨드릴의 방사 방향측에 셋 이상 복수의 나선성형용 다이스를 각각 위치시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나선성형용 맨드릴의 외주면에 소재를 공급하는 단계;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들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함과 동시에 나선성형용 맨드릴은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를 나선성형용 맨드릴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소재의 외주면에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각 나선성형용 다이스는 소재를 향해 추가로 점차 이동시키면서 이 나선성형용 다이스의 회전 및 가압력으로 상기 소재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확장돌기 및 복수의 평면부가 동시에 성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소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성형용 다이스의 회전 및 가압력에 의해 소재의 내부로 변형되는 부위가 맨드릴의 산과 골에 채워지면서 나사형 철근의 나선형 리브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피치를 갖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함께 성형되도록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 제조장치를 이용한 커플러 제조방법.
KR1020160086396A 2015-12-01 2016-07-07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680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255 2015-12-01
KR20150170255 2015-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178B1 true KR101680178B1 (ko) 2016-11-30

Family

ID=5770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96A KR101680178B1 (ko) 2015-12-01 2016-07-07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07B1 (ko) * 2020-12-21 2021-06-15 임병준 철근 받침 장치
KR20220105821A (ko) 2021-01-21 2022-07-28 김주일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철근 이음 커플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이음 커플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222A (ja) 2001-12-21 2003-07-03 Okiyama Seisakusho:Kk コイルばね入り鉄筋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39458A (ja) 2001-07-09 2003-08-27 Nippon Steel Corp ねじ節鉄筋用ねじ継手及びねじ節鉄筋用カプラ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458A (ja) 2001-07-09 2003-08-27 Nippon Steel Corp ねじ節鉄筋用ねじ継手及びねじ節鉄筋用カプラーの製造方法
JP2003184222A (ja) 2001-12-21 2003-07-03 Okiyama Seisakusho:Kk コイルばね入り鉄筋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07B1 (ko) * 2020-12-21 2021-06-15 임병준 철근 받침 장치
KR20220105821A (ko) 2021-01-21 2022-07-28 김주일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철근 이음 커플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철근 이음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712B2 (ja) 異形鉄筋のねじ式鉄筋継手およびそのねじ付き異形鉄筋
KR101505957B1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KR101680178B1 (ko) 나사형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와 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6689028B2 (ja) 鉄筋の継手方法
KR101123849B1 (ko) 철근 결속장치
KR2009004925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JP5869716B1 (ja) 異形鉄筋のねじ式鉄筋継手
JP2011102488A (ja) 異径鉄筋ねじ式鉄筋継手および継手付き鉄筋構造
CN102689358B (zh) 预应力无端板桩的张拉组件、张拉方法及包括该组件的桩
US7624556B2 (en)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 and method for making the bar
CN104328869B (zh) 钢筋楔锥锚固式连接装置及连接方法
JP6029868B2 (ja) 異形鉄筋のねじ式鉄筋継手使用の接続構造および布基礎配筋構造
JP4881917B2 (ja) インサートナットおよびtナット
KR101847635B1 (ko) 철근 연결장치
CN105555394A (zh) 用于制粒机的挤压体
KR20190027066A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US3930373A (en) Reinforced concrete pi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pile
TWI787516B (zh) 活用外螺紋部之不完整螺紋部的接頭
KR20150096554A (ko)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JP5564141B2 (ja) 異形鉄筋のねじ式鉄筋継手およびそのねじ付き異形鉄筋
WO2021014616A1 (ja) 鉄筋継手および鉄筋組立体、並びに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KR200378282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1187379B1 (ko) 나사 체결식 철근 결속장치
CN111502129A (zh) 一种锥筒夹片式钢筋连接件
KR20210075660A (ko) 내진용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