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930B1 -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930B1
KR101678930B1 KR1020140175723A KR20140175723A KR101678930B1 KR 101678930 B1 KR101678930 B1 KR 101678930B1 KR 1020140175723 A KR1020140175723 A KR 1020140175723A KR 20140175723 A KR20140175723 A KR 20140175723A KR 101678930 B1 KR101678930 B1 KR 10167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232A (ko
Inventor
정병희
김복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40175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9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터치부와,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스위치부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와, 적외선 조사를 위한 적외선조사부와, 식품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염도센서부와, 데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외부의 이동통신장치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장치용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헬스 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펜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장치용 펜만으로도 독자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저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PE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HEALTH CARE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장치용 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피씨에 대한 터치 펜의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상기 장치들과 연동되어 다양한 헬스케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 PDA,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수단이 개발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신속한 업무 수행을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 수단의 확장적 기능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에 의해 기존 휴대폰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용 프로그램은 통상 에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줄임말로서 앱(App)으로 불리며, 나아가 이러한 앱을 유무상으로 자유로이 배포 판매할 수 있는 웹 상의 가상 공간으로서 앱스토어(Appstore)가 제공되어 유저들에 의해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유저 인터페이스부로써는 화면을 터치하여 아이콘 또는 자판을 실행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이 이용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써는 사람의 손 또는 터치펜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써, 아이콘 또는 자판을 실행하는 가압식 터치스크린과 스크린 패널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손 또는 터치펜이 닿을 경우에 발생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해 종래 사람의 손가락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손가락을 통한 터치의 경우 화면과의 접촉 면적이 일정하지 않아 아이콘 또는 자판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한 접촉 면적을 가지도록 개발된 다양한 터치펜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경우 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와 함께 이용되는 터치펜의 경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하여 아이콘 또는 자판을 실행하는 제한적인 역할만을 할 뿐이며,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과 함께 이용되는 터치펜은 그 특성 상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게 되며, 따라서 매일 매일의 사용자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터치펜을 이용하여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은 사용자에게 매우 유익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장치용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헬스 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장치용 펜에 대한 사용자의 보안성을 강화한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장치용 펜만으로도 독자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저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터치부와,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스위치부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와, 적외선 조사를 위한 적외선조사부와, 식품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염도센서부와, 데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외부의 이동통신장치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진동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식품의 당도를 측정하기 위한 당도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혈중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측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터치부에는 박막 형태의 전도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장치용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헬스 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펜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장치용 펜에 설치되는 유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헬스케어 기능의 조작 및 측정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구성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부(10)와,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터치부(2)와,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6)와,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스위치부(6, 8) 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14)와, 적외선 조사를 위한 적외선조사부(7)와, 식품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염도센서부(17)와, 데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20)와,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0)와,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6)를 포함하여 외부의 이동통신장치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테블릿 피씨로서, 상기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수단의 확장적 기능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스마트폰은, 기존 일반 이동통신수단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이동통신장치라는 그 특성 상 외부의 통신 서버 또는 인터넷망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통신서버와 3G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다.
상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피씨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는 엘시디 액정을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접촉으로써 각종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에는 소리 신호의 발생을 위한 스피커가 마련되어, 음성통화 시의 음성신호 또는 음악 등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마이크부를 통해서는 소리 신호를 입력받는다.
통상, 상기 스마트폰의 일측에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가 배치되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상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피씨와 연동되는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합성수지재로써 전체적으로 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10)의 선단부에는 터치부(2)가 설치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 장치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부(2)는 실리콘, 우레탄, 이피디엠(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부드럽게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여 압력을 가할 경우에도 터치 스크린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부(2)는 상기와 같은 부드러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기재(基材)에 카본, 니켈, 은과 같은 전도성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전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부(2)에 혼합되는 금속 분말은 수 내지 수십 미크론 크기의 입자로 형성되어 혼합됨으로써, 터치 스크린과의 접속 시 상기 금속 분말에 의해 스크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터치부(2)를 정전식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흡수하여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의 선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조사부(7)를 통한 적외선 조사 시 상기 터치부(2)의 전방을 향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부(2)의 일측부에는 직선형의 전도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전도부(15)는 은 또는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되되, 박막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전도부(15)에 접촉되는 대상의 온도 및 진동을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부(15)는 상기 터치부(2)의 전체 높이를 통해 형성되지 않고, 대략 상기 터치부(2)와 하우징부(10)가 만나는 기저부에서부터 상기 터치부(2) 높이의 2/3 내지 4/5 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터치부(2)를 터치 스크린에 접촉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부(15)에 의해 터치 스크린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요 시 상기 터치부(2)를 온도 등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부(2)의 내부에는 적외선조사부(7)가 설치된다.
상기 적외선조사부(7)는 적외선 광을 발광하기 위한 적외선광 발광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LED) 발광 소자 및 광필터를 포함하며, 또한 적외선 광을 집속하여 보다 강도를 높이기 위한 렌즈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적외선조사부(7)를 통해 필요 시 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적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10) 내에는 상기 적외선조사부(7)를 비롯한 각종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부는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많은 양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컴팩트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의 타측 단부에는 전원스위치(6)가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각종 구성들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의 전방에는 적외선광스위치부(8)가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광스위치부(8)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적외선조사부(7)를 온/오프하거나 상기 적외선조사부(7)를 통해 조사되는 적외선 광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10) 내에는 소형 PCB 기판 또는 IC 칩의 형태로 구성되는 제어부가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상기 통신부(16)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16)는 신호 전송 방식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예를 들어, 알에프 통신신호 또는 블루투스(BT) 통신신호 등으로 변환시켜 상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피씨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염도센서부(17)는 식품의 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염도센서부(17)를 통해 식품의 염도를 측정함으로써, 펜 사용자의 식사 때마다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염도센서부(17)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염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통신부(16)에 의해 염도 데이터를 연동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염도센서부(17)에 추가하여 식품의 당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당도센서부(18)를 설치하여, 스마트폰 사용자가 섭취하는 식품 내의 당도를 측정하여 표시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의 일일 당분 섭취량을 계산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 내에는 진동센서부(3)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센서부(3)를 통해 펜 사용자의 맥박 신호를 표시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맥박 신호 해석 에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10) 내에는 상기 전도부(15)를 통해 전달되는 대상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측정부(14)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도부(15)를 펜 사용자의 신체와 같은 대상체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에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측정부(19)가 설치되어, 펜 사용자의 혈액을 수용하여 혈액 내의 혈당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온도측정부(14)와 혈당측정부(19) 등을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에는 카메라부(40)가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부(4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형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장치용 펜의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펜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10)에는 소형의 엘씨디 액정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30)가 설치되어, 상기 각종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혈당 등의 결과 및 스위치들을 통한 펜 조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펜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 시 연동되는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 접촉부
3: 진동센서부
4: 하우징부
6: 전원스위치
7: 레이저발광부
8: 레이저발광스위치부
12: 밝기조절스위치부
14: 음량조절스위치부
15: 화면잠금스위치부
16: 통신부
19: 진동부
100: 스마트폰

Claims (6)

  1.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터치부와;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스위치부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와;
    적외선 조사를 위한 적외선조사부와;
    식품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염도센서부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각종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진동센서부와;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외부의 이동통신장치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외선조사부는 엘이디 발광소자와 광필터 및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또는 이피디엠과 같은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에 카본 또는 니켈 또는 은과 같은 전도성 금속분말을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터치부에는 직선형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전도부가 배치되되,
    상기 전도부는 상기 터치부와 하우징부가 만나는 기저부에서부터 상기 터치부 높이의 2/3 내지 4/5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식품의 당도를 측정하기 위한 당도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혈중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장치용 펜은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75723A 2014-12-09 2014-12-09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KR10167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23A KR101678930B1 (ko) 2014-12-09 2014-12-09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23A KR101678930B1 (ko) 2014-12-09 2014-12-09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32A KR20160070232A (ko) 2016-06-20
KR101678930B1 true KR101678930B1 (ko) 2016-12-02

Family

ID=5635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23A KR101678930B1 (ko) 2014-12-09 2014-12-09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806A (ko) 2016-12-20 2017-01-25 주식회사 쿨시스템 휴대폰과 연동되는 웰니스기기 사용자 측정데이터 기반 회원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260A (ko) * 2017-01-06 2018-07-16 김만중 음식물의 염도 및 나트륨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109B1 (ko) * 2002-08-08 2004-10-26 김재하 휴대용 전자식 청진기
KR20080097012A (ko) *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온도보정기능을 갖는 시료 측정 장치
KR100937742B1 (ko) * 2007-12-13 2010-01-22 이다정 필기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7487A (ko) * 2012-11-26 2014-06-05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806A (ko) 2016-12-20 2017-01-25 주식회사 쿨시스템 휴대폰과 연동되는 웰니스기기 사용자 측정데이터 기반 회원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32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092B1 (ko) 피부 케어 기기
KR102537543B1 (ko) 지능형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79462B1 (ko)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391937B (zh) 电子设备及控制电子设备的方法和移动终端
CN107977110A (zh) 用于获取指纹信息的电子装置和方法
JP6309540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564523B1 (ko)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EP3578019B1 (en) Pcb including connector and grounds with different potential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10383231A (zh) 电子设备及基于触摸输入控制电子设备的方法
CN108352459A (zh) 显示器和包括显示器的电子设备
US2019013181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375227B2 (en) Mobile terminal
US20160034052A1 (en) Color input device and its application kit
CN105229673A (zh) 一种装置和相关联的方法
CN110622108B (zh) 提供触觉反馈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CN105030204B (zh) 可穿戴设备执行模块的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
KR102650350B1 (ko) 피부 케어 기기 및 그의 피부 측정 방법
KR2017001070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94406A (ko) 광 센서들을 이용한 광통신
KR20180068410A (ko) 압전 소자 기반의 피드백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50115306A (ko)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7924286A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输入方法
CN108958587A (zh) 分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7924287A (zh) 电子设备及用于控制电子设备中的输入的方法
KR101678930B1 (ko)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