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487A -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487A
KR20140067487A KR1020120134774A KR20120134774A KR20140067487A KR 20140067487 A KR20140067487 A KR 20140067487A KR 1020120134774 A KR1020120134774 A KR 1020120134774A KR 20120134774 A KR20120134774 A KR 20120134774A KR 20140067487 A KR20140067487 A KR 2014006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ngle
unit
ground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기
채경수
이희범
조호윤
유동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487A/ko
Publication of KR2014006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되는 광과 터치스크린이 직각이 되도록 설정하는 디지타이저 펜 및 그의 지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 광과 지면과의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 반사부의 각도조절을 위한 기동부, 및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각도정보를 토대로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에 디지타이저 펜 입력 시 오차발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DIGITIZER PEN AND DI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공학기술과 정보기술이 발전을 거듭함에 따라 업무환경을 포함한 일상생활에서 전자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자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최근의 소형화, 박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기기에는 직관적 입력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멀티터치 또한 용이한 터치스크린이 입력장치로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는 화면상의 지점을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 지점에 관한 정보를 입력 정보로 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제어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간단하면서도 오조작이 적고 공간 절약이 가능하며, IT 기기와의 연동성이 용이한 점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는 입력 원본의 아날로그 데이터인 좌표를 판독하여, 컴퓨터나 터치스크린에 디지털 형식으로 설계도면이나 도형을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입력장치이다. 특히 사용자는 디지타이저 펜을 화면에 터치함으로써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지타이저 펜으로 X, Y 위치를 입력하기 위하여 펜으로 터치하거나 커서를 움직이면 그 좌표 정보를 터치스크린의 감지부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기억장소로 전달하고, 특정 위치에서 펜을 누르거나 커서의 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되는 명령이 수행된다. 또한, 디지타이저 펜을 사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도형을 직접 입력시킬 수 있으므로 사람이나 기계가 그려 놓은 도형을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입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근래에는 입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3차원 디지타이저도 개발되었다.
다만,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 펜은 펜과 터치스크린 패널과의 각도가 직각인 경우에만 지시지점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만약, 디지타이저 펜과 터치스크린 패널이 수직이 아닌 다양한 각도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한 지점과 실제로 터치스크린이 의도한 지점의 좌표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펜은 사용자가 의도한 지시지점과 실제 터치스크린이 인식하는 인식지점의 차이로 인한 오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디지타이저 펜은 입력 시 빈번한 사용자 입력오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파생되었다. 이와 같은 오류가 반복하여 발생하면 터치스크린은 부하가 가중되고, 사용자는 재입력을 반복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파생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793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한 지점과 실제 인식 지점의 오차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한 지점과 실제 인식 지점의 오차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 광과 지면과의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 반사부의 각도조절을 위한 기동부, 및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각도정보를 토대로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광원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광원부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광, 레이저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한다.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은 광원부, 기동부,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은, 광을 조사하는 조사 단계, 광과 지면의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감지 단계로부터 제공받은 각도정보를 토대로 광과 지면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도록 설정하여 지면으로 반사시키는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설정 단계는 각도정보를 기 설정된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 과정, 및 기 설정된 정보와 비 일치하는 경우, 광과 지면의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반사부를 기동시킴으로써 입사되는 광의 조사각도를 보정하여 반사시키는 반사 과정을 포함한다.
설정 단계는 기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입사되는 광을 고정된 반사부에 의해 반사시키는 반사 과정을 포함한다.
기 설정된 정보는 광과 지면의 각도가 직각이 되는 각도이며, 반사부는 거울과 같은 반투명 반사체로 구성되고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모터(Motor)를 포함한 기동부에 의해 기동된다.
광은 적외선, LED 광, 레이저 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타이저 펜의 외부로 조사되는 광과 지면의 각도를 수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선택한 지점과 터치스크린이 실제 인식하는 지점의 오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터치스크린의 시스템 로드(Load) 및 사용자의 시간 로드를 방지하는 한편 터치스크린의 내구성과 사용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으로 터치스크린에 영역을 지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으로 터치스크린에 그림 또는 문자를 표기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각도와 지면의 각도를 수직으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 중 설정 단계를 자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함은 입력수단으로 터치 패널을 채택한 전자 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터치 방식의 셀룰러 폰(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키오스크(kiosk), 가전기기(home electronic instrument like TV, refrigerator etc.), 컴퓨터(computer like tablet pc) 등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8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디지타이저 펜의 내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각도를 터치스크린과 직각으로 반사시켜 사용자가 터치하는 지점(영역)과 터치스크린이 인식하는 지점(영역)의 오차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빛과 광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지면에 수평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디지타이저 팬과 터치스크린의 화면 또는 디지타이저 팬과 지면과의 각도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점'과 '영역'은 디지타이저 팬이 지시하는 좌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의미로 기재되었고, '지시' 와 '터치(touch)' 또한 임의의 지점 또는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의미로 기재되었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동작을 예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100)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110), 광과 지면과의 각도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부(120),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130), 반사부(130)의 각도조절을 위한 기동부(140), 및 센서부(120)로부터 감지된 각도정보를 토대로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반사부(1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동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100)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으로 터치스크린에 영역을 지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연필과 같은 필기구 형상의 디지타이저 펜(100)이 터치스크린(Touch-Screen)(A)의 임의의 지점(a)을 터치한다. 이때 디지타이저 펜(100)의 내부에 구비된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디지타이저 펜(100)의 종단으로 방출되면서 디지타이저 펜(100)이 터치한 임의의 영역(a)에 조사된다. 그러면 터치스크린(A)은 조사된 영역의 x, y 좌표 인식함으로써 입력이 완료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으로 터치스크린에 그림 또는 문자를 표기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3(a)와 같이 터치스크린(A)에 그림 또는 문자를 표기할 수 있고, 도 3(b)와 같이 디지타이저 펜(100)은 '예'를 터치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실행명령을 내릴 수 있다.
광원부(110)는 다양한 광의 조사를 위해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원의 예를 들면,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적외선 광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원,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광원 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터치스크린(A)은 광의 인식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이라고 설정한다.
한편, 센서부(120)는 광원부(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과 터치스크린(A) 간의 각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120)는 관성센서(Inertial Senso)의 일종인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미도시)와 같은 각도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센서부(120)는 각도 감지수단에 의해 디지타이저 펜(10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10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A)은 지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지타이저 펜(100)과 터치스크린(A)이 이루는 각도는 광원부(110)로부터 수평으로 조사되는 광과 터치스크린(A)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다. 또한, 이 각도는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도 동일하다. 왜냐하면, 지면과 터치스크린(A)은 수평이라고 간주되기 때문이다.
센서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각도정보를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광원부(110)로부터 발원하여 디지타이저 펜(100)의 외부로 조사되는 광을 터치스크린(A)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다음의 도 5와 같은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각도와 지면의 각도를 수직으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50)는 디지타이저 펜(100)과 수평으로 조사되는 광(b)을 수직으로 굴절시키기 위하여 기동부(140)의 기동을 제어하여 반사부(130)의 각도를 변경한다. 이를 위해 기동부(140)는 반사부(130)와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있고 광(b)이 지면과 직각을 유지하도록 반사부(1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기동부(140)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모터(Motor)와 같은 초소형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사부(130)는 입사되는 광(b)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거울과 같은 반투명 반사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50)에는 저장매체(미도시)가 구비되어 다양한 각도로 조사되는 광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보정각도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매체(미도시)는 제어부(1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보정각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광(b)과 터치스크린(A)이 이루는 각도가 45도라면, 광(b)과 터치스크린(A)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90)이 되도록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각도는 45도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반사부(130)의 각도가 45도 각도가 되도록 기동부(140)를 제어하여 반사부(130)를 설정량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반사부(130)의 반사각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광원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의 각도에 관계없이 디지타이저 펜(100)과 터치스크린(A)의 각도를 직각으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스크린(A)에 선택한 영역과 실제 인식하는 영역의 오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200)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110), 광과 지면과의 각도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부(120),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130), 반사부(130)의 각도조절을 위한 기동부(140), 센서부(120)로부터 감지된 각도정보를 토대로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반사부(1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동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 광원부(110), 기동부(140), 제어부(15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부(160) 및 광원부(110), 기동부(140), 제어부(15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2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스위치부(160)는 광원부(11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도록 2극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지타이저 펜(200)의 용도가 저항인식 터치스크린에 사용되거나 디지타이저 펜(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스위치부(160)를 통해 전원부(17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60)는 배터리로 동작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변환할 수 있다. 즉 전원부(160)는 DC-DC 컨버터 또는 AC-DC 인버터를 포함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센서부(120)가 전원을 소모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 연결된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원부(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160)는 디지타이저 펜(200)과 터치스크린(A)의 터치유무에 의해 스위치가 온/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부(160)는 접촉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부(160)는 접촉감지 센서에 의해 디지타이저 펜(200)과 터치스크린(A)과의 접촉정보가 감지되면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부(160)를 전기적으로 쇼트(Short)시키고, 반대의 경우 개방(Open)시켜 전원부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700)은 광을 조사하는 조사 단계(S710), 광과 지면의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S720), 및 감지 단계로부터 제공받은 각도정보를 토대로 광과 지면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도록 설정하여 지면으로 반사시키는 설정 단계(S730)를 포함한다.
도 7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7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디지타이저 펜의 내부에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된다(S710).
이를 위해 디지타이저 펜의 내부에는 적외선, LED 광, 레이저 광중 적어도 하나의 광이 조사되도록 다양한 광원이 구비될 수 있다.
그 후, 조사되는 광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감지한다(S720).
여기서 광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는 광과 터치스크린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고, 광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는 디지타이저 펜과 터치스크린 또는 지면이 이루는 각도와도 동일하다. 이는 광과 디지타이저 펜이 서로 수평이고 터치스크린과 지면이 서로 수평을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타이저 펜의 내부에는 펜과 터치스크린이 이루는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와 같은 각도 감지수단을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각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각도정보를 토대로 광이 터치스크린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정된다(S730).
여기서 설정 단계(S730)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 중 설정 단계를 자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설정 단계(S730)는 각도정보를 기 설정된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 과정(S731), 및 기 설정된 정보와 비 일치하는 경우, 광과 지면의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반사부(130)를 기동시킴으로써 광의 조사각도를 보정하여 반사시키는 반사 과정(S732)을 포함한다.
한편, 각도정보가 기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광을 고정된 반사부(130)로 조사시킨다(S733).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설정 단계(S730)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교 과정(S731)에서는 기 설정된 정보와 광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비교한다(S731). 기 설정된 정보는 광과 지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반사부(130)의 반사각을 보정하기 위한 각도이며, 디지타이저 펜에 구비된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장수단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비교 결과가 직각(90도)이 아닌 경우, 반사부(130)를 통해 광과 지면과의 각도를 직각으로 설정하여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킨다(S732). 여기서 반사부(130)는 거울과 같은 비투과 반사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130)는 광을 기 설정된 각도(90도)로 지면에 반사시키기 위하여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모터(Motor)와 같은 초소형모터를 구비한 기동부(140)와 기계적으로 체결된다.
만약 비교 결과가 90도인 경우에는 반사부(130)의 별다른 설정없이 입사되는 광을 지면으로 반사시킨다(S733). 왜냐하면, 각도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는 광과 터치스크린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90도)이 되도록 이미 반사부(130)가 고정된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디지타이저 펜의 외부로 조사되는 광과 지면의 각도를 수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선택한 영역과 터치스크린이 실제 인식하는 영역의 오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기 설정된 각도정보를 90도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한정에 불과하므로 다른 여러 각도로 복수 개 또는 단수 개로 설정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지타이저 펜 110: 광원부
120: 센서부 130: 반사부
140: 기동부 150: 제어부
160: 스위치부 170: 전원부
A: 터치 패널

Claims (10)

  1.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
    상기 광과 지면과의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
    상기 반사부의 각도조절을 위한 기동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각도정보를 토대로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기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광, 레이저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상기 기동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
  6. 1)광을 조사하는 조사 단계;
    2)상기 광과 지면의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3)상기 감지 단계로부터 제공받은 각도정보를 토대로 상기 광과 상기 지면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도록 설정하여 지면으로 반사시키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각도정보를 기 설정된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 과정, 및
    상기 기 설정된 정보와 비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광과 지면의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반사부를 기동시킴으로써 입사되는 광의 조사각도를 보정하여 반사시키는 제2 반사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사되는 광을 고정된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시키는 반사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광과 상기 지면의 각도가 직각이 되는 각도이며,
    상기 반사부는
    거울과 같은 반투명 반사체로 구성되고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모터(Motor)를 포함한 기동부에 의해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적외선, LED 광, 레이저 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펜의 지시방법.
KR1020120134774A 2012-11-26 2012-11-26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KR20140067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74A KR20140067487A (ko) 2012-11-26 2012-11-26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74A KR20140067487A (ko) 2012-11-26 2012-11-26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87A true KR20140067487A (ko) 2014-06-05

Family

ID=5112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74A KR20140067487A (ko) 2012-11-26 2012-11-26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4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232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이랜텍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WO2017095037A1 (ko) * 2015-11-30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857382A (zh) * 2020-07-31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笔及基于智能笔的显示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232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이랜텍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펜
WO2017095037A1 (ko) * 2015-11-30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690984B2 (en) 2015-11-30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857382A (zh) * 2020-07-31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笔及基于智能笔的显示方法
CN111857382B (zh) * 2020-07-31 2024-0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笔及基于智能笔的显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169B2 (en) Hybrid pointing device
US976665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guide function of gesture command and method thereof
JP5821964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54725B2 (en) Tracking movement of a writing instrument on a general surface
JP5664301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電子ペン入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000797B2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32924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876013B2 (ja) 入力装置
US8581848B2 (en) Hybrid pointing device
JP2013535066A (ja) 対話型システムのための起動オブジェクト
US20160041635A1 (en) Active stylus pen, electronic device and data input system
JP5664303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入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4508605A (zh) 与计算机连用的改良型装置
KR20140067487A (ko) 디지타이저 펜 및 이를 이용한 지시방법
US8581847B2 (en) Hybrid pointing device
US1020425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40077000A (ko) 터치 패널 및 이에 대한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 감지 방법
JP5284523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処理方法
KR20140112316A (ko) 모션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85245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미지 표시 장치
JP2012128828A (ja) コンピュータ装置、入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664300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入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659193A (zh) 多功能人机交互设备
KR102472784B1 (ko) 자이로 센서 기반의 광학식 전자펜의 호버링 처리 방법
KR102429967B1 (ko) 자이로 센서 기반의 광학식 전자펜의 디스플레이 엣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