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928B1 -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928B1
KR101677928B1 KR1020140149596A KR20140149596A KR101677928B1 KR 101677928 B1 KR101677928 B1 KR 101677928B1 KR 1020140149596 A KR1020140149596 A KR 1020140149596A KR 20140149596 A KR20140149596 A KR 20140149596A KR 101677928 B1 KR101677928 B1 KR 10167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fixed
bas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733A (ko
Inventor
최성환
김태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9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Abstract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개리시 가동 접점을 백 스톱에 이용하지 않으면서 가동 접점의 백 스톱을 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 장치는,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 블록; 각각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두 개의 고정 접점 단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를 상기 전자 블록 방향의 내측에 고정하고 상기 아마추어의 움직임에 따라 요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개리되는 가동 접점이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 접점 스프링; 및 상기 전자 블록 및 상기 고정 접점 단자를 유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의 상기 선단부는 두 갈래로 갈려져 각각 상기 가동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두 갈래의 틈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고정 점점과 상기 가동 접점의 개리시 상기 걸림부의 상기 가동 접점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릴레이 장치{RELAY DEVICE}
본 발명은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팔보 타입으로 배치된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요동에 의해 접촉 및 개리되는 구조를 가진 외팔보 타입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 장치는 입력신호가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여 다른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칭 기구로서, 작동 방식에 따라 접점식 릴레이, 서멀(Thermal) 릴레이, 압력식 릴레이, 광 릴레이 등으로 구분된다. 자동차, 산업자동화 제어기기 등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기 접점식 릴레이는 크게 래터(Ladder) 타입 릴레이와 외팔보(Cantilever) 타입 릴레이로 세분될 수 있다.
래더 타입 릴레이는 고정 접점에 대하여 적어도 한 쌍의 가동 접점이 동시에 직선 운동하여 접점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릴레이로서, 큰 자기력에 의해 접점이 구동되므로 대전류의 부하 제어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래더 타입 릴레이와 관련된 기술은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25806호에 게재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25806호는 고정 접점과, 이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을 구동시키는 전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전기 액츄에이터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이 코일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 코어와, 이 고정 코어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동 코어와, 이 가동 코어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고 주변에 배치되어 이 가동 코어의 이동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더 타입의 릴레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래더 타입 릴레이는 가동 접점이 동시에 모두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접촉 불량률이 높고, 적어도 세 개의 접촉편이 릴레이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인해 장치가 복잡하고 소형화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한편, 외팔보 타입 릴레이는 고정 접점에 대하여 하나의 가동 접점이 호형으로 회동운동하여 접점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릴레이로서, 래더 타입 릴레이에 비해 간소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외팔보 타입 릴레이는 가동 접점을 탄성력이 있는 판 스프링에 부착한 형태로, 가동 접점 부재인 판 스프링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리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외팔보 타입 릴레이가 개발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일본등록특허 제3898021호를 들 수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3898021호의 릴레이는 가동 접점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이 고정 접점에 접촉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판 스프링의 진동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킨 릴레이를 개시하고 있다. 해당 릴레이는 노이즈를 감소시키키 위한 방법으로 스토퍼에 가동 접점이 맞닿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스토퍼는 가동 접점 부재인 판 스프링이 개리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가동 접점과 맞닿아 판 스프링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제한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릴레이 장치는 스토퍼와 가동 접점이 직접 맞닿는 구조로, 스토퍼가 몰드 부재인 경우 가동 접점과의 접촉에 따른 발열에 의해 몰드 융해가 발생하고 따라서 스토퍼와 가동 접점 간의 용착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토퍼가 금속 부재인 경우 에폭시는 금속 표면에 더 잘 부착되고 따라서 스토퍼에 맞닿는 가동 접점에 에폭시가 침투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개리시 가동 접점을 백 스톱에 이용하지 않으면서 가동 접점의 백 스톱을 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 장치는,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 블록; 각각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두 개의 고정 접점 단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를 상기 전자 블록 방향의 내측에 고정하고 상기 아마추어의 움직임에 따라 요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개리되는 가동 접점이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 접점 스프링; 및 상기 전자 블록 및 상기 고정 접점 단자를 유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의 상기 선단부는 두 갈래로 갈려져 각각 상기 가동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두 갈래의 틈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고정 점점과 상기 가동 접점의 개리시 상기 걸림부의 상기 가동 접점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블록은,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 상기 두 개의 고정 접점 단자가 삽입되어 있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상단에 상기 두 개의 고정 접점 단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박스 형상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블록은, 상기 베이스 블록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측벽과 상기 스토퍼를 연결하고 상기 후크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구를 구비하며 좌우 측벽에 수평 방향으로 상기 후크 부재가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블록은, 상기 코일에 연결된 코일 단자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으로 절곡되어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부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릴레이 장치는 가동 접점이 아닌 아마추어가 스토퍼에 걸리는 구조로서 용착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접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를 몰드 부재인 베이스 블록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에폭시 침투 문제를 해결하고 이물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릴레이 장치의 조립 공차를 줄이고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커버와 본체를 분리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릴레이 장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릴레이 장치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릴레이 장치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릴레이 장치의 B-B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커버와 본체를 분리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릴레이 장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릴레이 장치는 릴레이 본체(100)와, 이 릴레이 본체(100)를 덮는 커버(200)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 본체(100)는, 가동 접점(14a, 14b)을 갖는 가동 접점 어셈블리(1)와, 고정 접점(22a, 23a)을 각각 갖는 2개의 고정 접점 단자(22, 23)와, 코일을 갖고 그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 블록(3)과, 이들을 유지하는 베이스 블록(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어셈블리(1)는, 상기 전자 블록(3)에 의해 요동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14)과, 그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일단에 설치된 가동 접점(14a, 14b)과,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타단에 설치된 가동 접점 단자(14c, 14d)와,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내측에 설치된 판 형상의 아마추어(14e)를 포함한다
가동 접점 스프링(14)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전도성을 갖는 띠판 부재이다. 가동 접점 스프링(14)은 상기 가동 접점 단자(14c, 14d)로부터 연장된 선단 부분에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갖고 그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2개의 선단부에 각각 가동 접점(14a, 14b)이 설치된다.
가동 접점 스프링(14)은 그 한 변의 중간 영역의 내측에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판 형상의 아마추어(14e)가 고정되어 있다. 아마추어(14e)가 전자 블록(3)의 코일 어셈블리(31)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가동 접점 스프링(14)은 요크(32)의 상승면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아마추어(14e)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인데 고정 접점 단자(22, 23) 방향의 일변에 걸림부(14f)가 돌출되어 있다. 이 걸림부(14f)는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상기 두 갈래의 선단부의 틈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14f)는 베이스 블록(2)에 형성된 스토퍼(24)의 개방구에 인입되고 가동 접점(14a, 14b)의 개리시 상기 스토퍼(24)에 걸려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고정 접점 단자(22, 23)는 상기 2개의 가동 접점(14a, 14b)의 요동 방향에 설치된다. 고정 접점 단자(22, 23)는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그 선단부가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그 절곡된 선단부에 고정 접점(22a, 23a)이 각각 설치된다. 그 절곡된 선단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기저부(20)에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다. 고정 접점 단자(22, 23)의 일단은 베이스 블록(2)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인 상기 선단부에는 고정 접점(22a, 23a)이 가동 접점(14a, 14b)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접점 단자(22, 23)는 2 개로 구성되어 있고, 각 고정 접점 단자(22, 23)의 각 타단에 고정 접점(22a, 23a)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블록(2)은 절연 부재로서 몰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기저부(20)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세 개의 측벽이 상기 기저부(20)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에 2개의 고정 접점 단자(22, 23)를 각각 유지하는 고정 접점 단자 유지부(21a, 21b)를 갖는다. 고정 접점 단자 유지부(21a, 21b)에는 고정 접점 단자(22, 23)를 각각 삽입하기 위한 고정 접점 단자 맞춤 구멍(21c, 21d)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블록(2)의 상기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의 하부에는 요크(32)의 두 갈래로 나눠진 선단부가 끼워 맞춰지는 구멍(21e, 21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블록(2)의 상기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의 상부에는 스토퍼(24)가 연결부(25)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25)는 전자 블록(3)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고 있고 그 양 측벽은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5)의 상기 개방구에는 전자 블록(3)의 상부 플랜지부(31a)에 형성된 후크(31c)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후크(31c)의 선단은 화살표 형상으로서, 상기 연결부(25)의 상기 개방구에 인입되어 선단의 좌우 돌출부가 상기 연결부(25)의 측벽에 형성된 홈에 걸린다.
상기 스토퍼(24)는 상기 베이스 블록(2)과 상기 연결부(25)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2)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4)는 박스 형상으로서 전자 블록(3) 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되고 있다. 이 개방구로 아마추어(14e)의 걸림부(14f)가 인입되고, 고정 접점(22a, 23a)과 가동 접점(14a, 14b)의 개리시 상기 걸림부(14f)가 위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어, 아마추어(14e)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전자 블록(3)은, 코일 어셈블리(31)와, 요크(32)와, 코어(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일 어셈블리(31)는, 상하에 플랜지부(31a, 31b)가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연통 구멍이 형성된 코일 보빈에 코일이 감겨져 있으며, 그 코일의 양단부는 코일 보빈의 하측의 플랜지부(31b)의 측면에 끼워 넣어진 한 쌍의 코일 단자(31g)에 연결되어 있다.
요크(32)는, 대략 직각을 형성하는 2면, 즉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블록(2)의 기저부(20)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코어 어셈블리(31)가 놓이는 하면의 선단이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의 폭은 좁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그 선단의 끝 부분이 코일 단자(31g)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면에는 코어(33)와 걸어 맞춰지는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코어(33)는 헤드와 몸통이 있는 축체로서 헤드의 직격은 몸통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는 직경이 축소된 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코어(33)의 헤드는 상측 플랜지부(31a)의 위로 돌출되면서 그 상측 플랜지부(31a)에 걸리도록 연통 구멍보다 직경이 크다. 요크(32)의 하면에 코일 어셈블리(31)가 올려지고 연통 구멍 및 상기 하면에 형성된 구멍(32a)에 코어(33)가 삽입 통과된다. 요크(32)의 하면으로 약간 돌출된 코어(33)의 하단부가 상기 구멍(32a)을 직경이 확대되도록 압입한다. 따라서, 코일 어셈블리(31)와 요크(32), 코어(33)는 일체가 되도록 코킹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블록(3)은, 한 쌍의 코일 단자(31g)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자 블록(3)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윗쪽에 위치한 아마추어(14e)가 흡인되어 가동 접점(14a, 14b)이 아래쪽으로 요동하고, 전압을 끊는 경우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가동 접점(14a, 14b)이 윗쪽으로 개리된다.
커버(200)는, 베이스 블록(2)과 대략 동일 치수의 헐겁게 끼움 가능한 개구부를 가진 밀폐성을 갖는 상자 형상을 나타내고, 열강화성 수지 부재를 통하여 개구부의 내면이 베이스 블록(2)의 둘레 가장 자리부에 시일링되어 덮여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릴레이 장치는, 한 쌍의 코일 단자(31g)에 통전하기 전에는 아마추어(14e)의 걸림부(14f)가 스토퍼(24)에 걸려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가동 접점(14a, 14b)은 아래쪽의 고정 접점(22a, 23a)과는 개리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한 쌍의 코일 단자(31g)에 통전함으로써, 아마추어(14e)가 전자력에 의해 코어(33)에 흡인되어, 가동 접점(14a, 14b)이 아래쪽의 고정 접점(22a, 23a)에 가압한 상태로 맞닿아 양쪽 접점이 닫힌다.
도 3은 도 1의 릴레이 장치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릴레이 장치의 A-A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스프링(14)은 그 한 변의 중간 영역의 내측에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판 형상의 아마추어(14e)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아마추어(14e)는 고정 접점 단자(22, 23) 방향의 일변에 걸림부(14f)가 돌출되어 있다. 가동 접점 스프링(14)은 그 선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도 3과 같이 상부에서 보았을 때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그 갈라진 틈으로 아마추어(14e)의 걸림부(14f)가 보인다. 상기 걸림부(14f)는 베이스 블록(2)에 형성된 스토퍼(24)의 개방구에 인입되어 있다. 스토퍼(24)의 폭은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상기 두 갈래로 갈라진 틈의 폭보다 작아,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스토퍼(24)의 폭(w1)은 가동 접점 스프링(14)의 폭(w2)의 1/4인 것이 적당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2)과 상기 스토퍼(24)를 연결하는 연결부(25)는 전자 블록(3)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구에는 전자 블록(3)의 상부 플랜지부(31a)에 형성된 후크(31c)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4는 고정 접점(22a, 23a)과 가동 접점(14a, 14b)의 개리시의 상태로, 아마추어(14e)의 걸림부(14f)가 스토퍼(24)의 개방구로 인입되어 있고, 고정 접점(22a, 23a)과 가동 접점(14a, 14b)의 개리시 아마추어(14e)의 걸림부(14f)는 스토퍼(14)의 상부면에 맞닿아 더 이상 위로 요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아마추어(14e)에 고정된 가동 접점 스프링(14)도 접점 개리시에 위로 더 이상 요동을 하지 않게 되어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억제된다.
도 5는 도 1의 릴레이 장치의 B-B선의 부분 단면도로서 릴레이 장치의 하단부만을 나타낸다. 요크(32)의 코어 어셈블리(31)가 놓이는 하면의 선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고 그 선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블록(2)에는 상기 요크(32)의 상기 선단부가 인입될 수 있는 요크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단자(31g)에서 연결되면서 그 코일 단자(31g)로부터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체결부(31h)도 역시 베이스 블록(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블록(2)에는 상기 체결부(31h)가 인입될 수 있는 체결부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크(32), 코일 단자(31g), 그리고 전자 블록(3)의 상부 플랜지부(31a)가 모두 베이스 블록(2)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릴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스토퍼들은 가동 접점과 맞닿는 구조로 되어 있어, 스토퍼가 몰드 부재인 경우 발열에 의해 용착 고장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24)는 가동 접점(14a, 14b)과 맞닿는 것이 아닌 아마추어(14e, 14f)와 맞닿는 구조로서 접점 간의 용착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 접점(14a, 14b)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스토퍼는 금속 재질이고 스토퍼를 베이스 블록에 압입하는 구조로서 엑폭시가 스토퍼의 표면에 잘 부착되고 따라서 가동 접점으로의 에폭시 침투의 문제가 있고 압입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24)를 몰드 부재인 베이스 블록(2)에 일체로 형성하고 아마추어(14e, 14f)를 백 스토핑에 사용함으로써 에폭시 침투 문제를 해결하고 이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24)를 몰드 부재인 베이스 블록(2)에 일체로 형성하여 릴레이 장치의 조립 공차를 줄이고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4 : 가동 접점 스프링 14e : 아마추어
14f : 걸림부 14a, 14b : 가동 접점
22, 23 : 고정 접점 단자 22a, 23a : 고정 접점
2 : 베이스 블록 24 : 스토퍼
25 : 연결부 31 : 코어 어셈블리
31c : 후크

Claims (4)

  1.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 블록; 각각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두 개의 고정 접점 단자;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를 상기 전자 블록 및 상기 고정 접점 단자를 향하는 내측면에 고정하고 상기 아마추어의 움직임에 따라 요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개리되는 가동 접점이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 접점 스프링; 및 상기 전자 블록 및 상기 고정 접점 단자를 유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의 상기 선단부는 두 갈래로 갈려져 각각 상기 가동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두 갈래의 틈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블록은,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 상기 두 개의 고정 접점 단자가 삽입되어 있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상단에 상기 두 개의 고정 접점 단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박스 형상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의 개리시 상기 걸림부의 상기 고정 접점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블록은,
    상기 베이스 블록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측벽과 상기 스토퍼를 연결하고 상기 후크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구를 구비하며 좌우 측벽에 수평 방향으로 상기 후크 부재가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릴레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블록은,
    상기 코일에 연결된 코일 단자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으로 절곡되어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부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KR1020140149596A 2014-10-30 2014-10-30 릴레이 장치 KR10167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96A KR101677928B1 (ko) 2014-10-30 2014-10-30 릴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96A KR101677928B1 (ko) 2014-10-30 2014-10-30 릴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33A KR20160050733A (ko) 2016-05-11
KR101677928B1 true KR101677928B1 (ko) 2016-11-21

Family

ID=5602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596A KR101677928B1 (ko) 2014-10-30 2014-10-30 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275B1 (ko) 2016-12-23 2018-08-1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릴레이 장치
CN108417451B (zh) * 2018-04-25 2024-01-02 厦门宏发电声股份有限公司 一种强制导向的交直流通用继电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68B1 (ko) * 2011-03-14 2014-08-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계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7134A (ja) * 2012-03-09 2013-09-19 Panasonic Corp 接点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68B1 (ko) * 2011-03-14 2014-08-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33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6617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8354906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9082575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0164725B (zh) 电磁继电器
JP6168785B2 (ja) 有極電磁継電器
JP6025414B2 (ja) 電磁継電器
JP2006210289A (ja) 電磁継電器
CN106057582B (zh) 电磁继电器
KR101458440B1 (ko) 접점개폐기구 및 전자계전기
US9613772B2 (en) Contact device
JP5120162B2 (ja) 電磁継電器
KR101677928B1 (ko) 릴레이 장치
JP5448693B2 (ja) 電磁継電器
KR101888275B1 (ko) 릴레이 장치
JP6765012B2 (ja) 静的リードとボビンとの挿着構造
JP5701110B2 (ja) 電磁継電器
CN212365865U (zh) 触点装置、电磁继电器和具备电磁继电器的装置
JP5822804B2 (ja) 電磁リレー
JP6319684B2 (ja) 電磁継電器
WO2014038498A1 (ja) 電磁リレー
JP2019530194A (ja) 電磁リレー
KR102197518B1 (ko) 전자 접촉기
JP6675103B2 (ja) 電磁継電器
KR20200101136A (ko) 릴레이 장치
KR20180092511A (ko) 전자접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