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087B1 -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087B1
KR101677087B1 KR1020140160354A KR20140160354A KR101677087B1 KR 101677087 B1 KR101677087 B1 KR 101677087B1 KR 1020140160354 A KR1020140160354 A KR 1020140160354A KR 20140160354 A KR20140160354 A KR 20140160354A KR 101677087 B1 KR101677087 B1 KR 10167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inishing
feeding
automatic
pige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631A (ko
Inventor
전중환
이준엽
김지향
조원모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6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0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육성비육돈의 각 개체별로 섭취해야 하는 일일 사료섭취량 설정 및 일일 사료섭취량을 관리자의 선택에 의하여 하루 1~3회 나누어 급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자동급이 제어기; 사료를 저장하는 벌크빈; 상기 벌크빈으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으며, 각 육성비육돈방별로 시설되는 간이빈; 상기 간이빈 주위에 격벽으로 구획된 3개의 사료 급이홀; 및 상기 간이빈으로부터 사료가 배출되며, 상기 급이홀 일측에 시설되는 개체별급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개체별급이장치는 상기 간이빈으로부터 상기 자동급이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료를 배출시키는 사료배출구, 상기 사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는 급이통 및 NEC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Electronic growing-finishing pigs feeder device }
본 발명은 동물복지를 향상시키면서 육성비육돈을 효과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자동급이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분야의 동물복지와 관련된 국내?외 요구가 거세지고 있으며, 한-EU FTA 협상 시 중요 의제로 채택되면서 관련 산업과 학계를 포함한 기관에서 동물복지가 이슈화 되고 있다.
2012년부터 동물보호법에 의하여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를시행 중이다. 이는 국내외에서 동물복지 향상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고품질 축산물에 대한 소비 트랜드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동물복지의 향상은 대상 가축들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육시설의 개선과 개발이 절실한 현실이다. 돼지의 경우 임신돈과 분만돈에 대한 사육시설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있다.
따라서, 육성비육돈에 대한 충분한 사료 공급을 자동화할 수 있는 사육시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분야의 종래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 1277629호(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가금류 사육시설)에 게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277629호(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가금류 사육시설)
본 발명은 기존의 사육시설에서 충분한 사료섭취 공간이 제공되지 못하거나 서열에 의하여 위축되는 개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육성비육돈의 개체별로 급이 상태를 관리하여 최적의 급이를 제공하고 동물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물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높여서 최소한의 급이 시설 및 공간으로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각각의 육성비육돈의 맞춤형 급이를 제공할 수 있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육성비육돈의 각 개체별로 섭취해야 하는 일일 사료섭취량 설정 및 일일 사료섭취량을 관리자의 선택에 의하여 하루 1~3회 나누어 급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자동급이 제어기; 사료를 저장하는 벌크빈; 상기 벌크빈으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으며, 각 육성비육돈방별로 시설되는 간이빈; 상기 간이빈 주위에 격벽으로 구획된 3개의 사료 급이홀; 및 상기 간이빈으로부터 사료가 배출되며, 상기 급이홀 일측에 시설되는 개체별급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개체별 급이장치는 상기 간이빈으로부터 상기 자동급이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료를 배출시키는 사료배출구, 상기 사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는 급이통 및 NEC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개체별 급이 장치의 사료배출구와 인접하여 육성비육돈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온도 측정기 및 상기 급이통 전면 바닥에 육성비육돈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급이 제어기에서 제어되는 정보는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로 전송되며, 상기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기에서 상기 자동급이 제어기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 시스템이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이통은 육성비육돈의 머릿부분과 유사한 형태 및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EC리더기는 접근하는 육성비육돈을 육성비육돈의 전자이표로부터 인식하여 자동급이 제어기로 상기 개체별 급이 장치의 고유신호 및 육성비육돈의 인식신호를 전송하되,
또한, 상기 전자이표는 전자이표 접속부의 전면부는 평면으로 하고, NFC 칩이 내장되는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의 후면부 아래는 둥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의 후면부 아래는 둥글게 형성된 부분은 돼지의 경사진 얼굴 하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의 전면부는 길이가 58~60mm의 길이로 형성되며, 개체번호를 수기 혹은 바코드를 붙일 수 있도록 명판부가 형성되며, 직경이 약 26 ~ 30mm인 원형의 전자이표 고정부와 돼지 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에는 상기 전자이표 고정부에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화살촉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살촉형 돌출부의 화살촉부가 전자이표 고정부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과하여 펼쳐지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육성비육돈의 군사형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료섭취 공간 부족이나 서열에 따른 위축 개체의 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자동급이장치를 통하여 노동시간을 감축시켜 인력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개체별 전산관리를 통하여 사료섭취량 감소, 이상체온 및 이상 징후가 감지되는 개체를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생산성 및 관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급이를 관리하면, 하나의 간이빈 주위로 3개의 급이홀을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동물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시설물을 제공하면서, 동물복지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급이시설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감지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감지장치에 사용되는 전자이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특정 실시 예 들은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는 육성비육돈을 대상으로 개체인식을 통하여 자동으로 개체별 사료급이를 해주는 것으로써, 간이빈(11) 하나에 3개의 개체별 급이장치(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는 사료를 저장하는 벌크빈(14), 각 육성비육돈방별로 시설되는 간이빈(11), 간이빈(11) 주위에 격벽(21, 22, 23)으로 120°각도로 구획된 3개의 사료 급이홀,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간이빈(11)으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며, 상기 급이홀 일측에 시설되는 개체별급이장치(15) 및 자동급이 제어기(31)가 포함된다.
자동급이 제어기(31)는 개체별로 섭취해야하는 일일 사료섭취량 설정 및 일일 사료섭취량을 관리자의 선택에 의하여 하루 1~3회 나누어 급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자동급이 제어기(31)는 NFC 리더기(32)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개체별 급이 유무, 급이 시간, 급이량 및 잔량 등을 확인하고 다음 급이량을 결정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급이시설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간이빈(11) 둘레를 격벽으로 구획되어 3개의 사료 급이홀이 각각 120°각도를 가지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동물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시설물을 제공하면서, 동물복지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급이시설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자동급이 제어기(31)는 육성비육돈방별로 사료의 사용량을 판단하여 벌크빈(14)으로부터 사료 공급구(12)를 통하여 사료를 간이빈(11)으로 공급하도록 사료 공급구(12)의 밸브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체별 급이장치(15)는 간이빈(11)으로부터 자동급이 제어기(31)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료를 급이통에 배출시키는 사료배출구(16), 사료배출구(16)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는 급이통(17) 및 NEC리더기(32)를 포함한다.
또한, 개체별 급이 장치(15)에는 적외선 온도 측정기를 더 포함한다.
적외선 온도 측정기는 사료섭취 시 가축에게 자극을 주지 않고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사료배출구 위 또는 인접하여 위치된다.
측정된 체온신호는 자동급이 제어기(31)를 통하여 관리자의 컴퓨터 및 휴대전화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급이통 전면 바닥에 육성비육돈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한다.
급이통(17)에 사료를 먹기 위하여 접근하는 육성비육돈의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신호는 자동급이 제어기(31)를 통하여 관리자의 컴퓨터 및 휴대전화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는 측정된 체온과 체중 변화를 통하여 육성비육돈의 상태를 파악하고 사료량 조절 및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급이통(17)은 육성비육돈이 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접근했을 때 NFC 정보전달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육성비육돈의 머릿부분과 유사한 형태 및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NEC리더기(32)는 육성비육돈이 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접근했을 때 NFC 정보전달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급이통의 입구 상부에 위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감지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NEC리더기(32)는 접근하는 육성비육돈을 육성비육돈의 전자이표(90)로부터 인식하여 자동급이 제어기(31)로 개체별 급이 장치(15)의 고유신호 및 육성비육돈의 인식신호를 자동급이 제어기(31)로 전송한다.
전자이표(90)를 부착한 돼지(육성비육돈)가 급이시설에 접근하면 돼지의 고유 개체신호를 인식하며, 벌크빈에서 간이빈으로 이송된 사료의 일부가 자동급이 장치에서 개체별 일일 섭취량을 1~3회 선택적으로 나누어 사료배출구(16)를 통해 급이하도록 자동급이 제어기(31)에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체별 사료섭취량과 실제 섭취량 등의 정보들은 자동급이 제어기(31)로부터 관리자의 컴퓨터 및 휴대폰으로 전송되며 컴퓨터 및 휴대폰에서 통합적으로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제어 시스템이 구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체별 전산관리를 통하여 사료섭취량 감소, 이상체온 및 이상 징후가 감지되는 개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제어 시스템이 구축된다.
또한, 개체별로 섭취해야하는 일일 사료섭취량 설정 및 일일 사료섭취량을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의 선택신호에 의하여 하루 1~3회 나누어 급이할 수 있도록 제어 시스템이 구축된다.
또한, 자동급이 제어기(31)는 NFC 리더기에서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자의 컴퓨터와 휴대폰에서 개체별 급이 유무, 급이 시간, 급이량 및 잔량 등을 확인하고 이를 제어하도록 하고, 사료섭취와 관련된 정보제공 외에 개체별 체온을 측정하여 관리자의 컴퓨터와 휴대폰으로 알려주도록 제어시스템이 구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의 감지장치에 사용되는 전자이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이표는 NFC 정보전달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전자이표 접속부의 전면부는 평면으로 하고, NFC 칩(61) 내장을 위해 전자이표 접속부의 후면부 아래(51)는 둥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이표(90)에서 후면부 아래(51)의 둥글게 형성된 부분은 육성비육돈의 경사진 얼굴 하부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육성비육돈의 움직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면서 전체 구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NFC 전자이표 전면부는 개체번호를 수기 혹은 바코드를 붙일 수 있도록 명판부가 형성되며, 돼지의 움직임 및 급이 행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길이가 약 58mm인 전자이표 접속부(52), 직경이 약 27mm인 전자이표 고정부(55)가 돼지 귀를 사이에 두고 밀착 결합되도록 체결된다.
전자이표 접속부(52)에는 전자이표 고정부(55)에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화살촉형 돌출부(57)가 형성된다.
화살촉형 돌출부(57)의 화살촉부가 전자이표 고정부(55)에 형성된 결합홀(59)을 통과하여 펼쳐지면서 NFC 전자이표는 돼지 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착될 수 있다.
11: 간이빈
14: 벌크빈
15: 개체별급이장치
16: 사료배출구
17: 급이통
21, 22, 23: 격벽
31: 자동급이 제어기
32: NEC리더기
90: 전자이표

Claims (8)

  1. 육성비육돈의 각 개체별로 섭취해야 하는 일일 사료섭취량 설정 및 일일 사료섭취량을 관리자의 선택에 의하여 하루 1~3회 나누어 급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자동급이 제어기;
    사료를 저장하는 벌크빈;
    상기 벌크빈으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으며, 각 육성비육돈방 별로 시설되는 간이빈;
    상기 간이빈 둘레를 격벽으로 구획되어 각각 120°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는 3개의 사료 급이홀; 및
    상기 간이빈으로부터 사료가 배출되며, 상기 사료 급이홀 일측에 시설되는 개체별 급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개체별 급이장치는 상기 간이빈으로부터 상기 자동급이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료를 배출시키는 사료배출구, 상기 사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는 급이통 및 NEC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NEC리더기는 접근하는 육성비육돈을 육성비육돈의 전자이표로부터 인식하여 자동급이 제어기로 상기 개체별 급이 장치의 고유신호 및 육성비육돈의 인식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이표에서, 전자이표 접속부의 전면부는 평면으로 하고, NFC 칩이 내장되는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의 후면부 아래는 둥글게 형성되되, 상기 둥글게 형성된 부분은 장착시 육성비육돈의 경사진 얼굴 하부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별 급이 장치의 사료배출구와 인접하여 육성비육돈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온도 측정기 및 상기 급이통 전면 바닥에 육성비육돈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이 제어기에서 제어되는 정보는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로 전송되며, 상기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기에서 상기 자동급이 제어기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 시스템이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이통은 육성비육돈의 머릿부분과 유사한 형태 및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의 전면부는 길이가 58~60mm의 길이로 형성되며, 개체번호를 수기 혹은 바코드를 붙일 수 있도록 명판부가 형성되며, 직경이 26 ~ 30mm인 원형의 전자이표 고정부와 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이표 접속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8. 삭제
KR1020140160354A 2014-11-17 2014-11-17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KR10167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54A KR101677087B1 (ko) 2014-11-17 2014-11-17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54A KR101677087B1 (ko) 2014-11-17 2014-11-17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31A KR20160058631A (ko) 2016-05-25
KR101677087B1 true KR101677087B1 (ko) 2016-11-17

Family

ID=5611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54A KR101677087B1 (ko) 2014-11-17 2014-11-17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4709B (zh) * 2018-01-10 2024-01-12 志远升科(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种羊测定站
CN108651290B (zh) * 2018-05-17 2020-12-22 务川自治县宏牧羊业有限公司 病羊自动分离养殖舍
CN108887201B (zh) * 2018-06-21 2021-07-06 唐山观畴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型家禽饲喂器
CN109744155A (zh) * 2019-03-12 2019-05-14 知农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检测动物体温装置
CN110604071A (zh) * 2019-09-12 2019-12-24 四川农业大学 基于人工智能的非接触式种猪体温异常监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32B1 (ko) * 2013-01-11 2014-06-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629B1 (ko) * 2009-12-23 2013-07-30 이완섭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KR20120022035A (ko) * 2010-08-31 2012-03-09 최승찬 돈용 사료급여장치
KR101376235B1 (ko) * 2012-05-03 2014-04-02 대한민국 임신돈과 포유돈의 건식사료 및 액상사료 급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32B1 (ko) * 2013-01-11 2014-06-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31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087B1 (ko) 육성비육돈 자동급이 관리 장치
KR101696686B1 (ko) 포유모돈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3233848U (zh) 育肥猪分栏器
CN203788877U (zh) 一种智能畜牧养殖电子监控系统
CN114793945A (zh) 用于监控家畜动物的食物摄取的方法和系统
Brown-Brandl et al. A review of 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 monitoring in livestock facilities
KR20110092518A (ko)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RU2017135019A (ru) Взвешивающий модуль для гнезда в птицеводческом хозяйстве и гнездо
RU2016149078A (ru) Сеть данных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животных
CN103250651B (zh) 一种智能化妊娠母猪饲养管理系统
US10739183B2 (en) Device for the individualized monitoring of the feed conversion ratio of poultry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device
CN106843010A (zh) 牲畜圈养数据采集系统
EP24973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vidually checking and feeding animals without (working) identification label
CN105993992A (zh) 犊牛饲喂机器人
KR101889407B1 (ko) 가축용 사료 급이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가축용 사료 급이 시스템
Adrion et al. Adjustment of a UHF-RFID system for hotspot monitoring of fattening pigs
CN206491141U (zh) 一种畜牧用喂料装置
JP4663598B2 (ja) 給餌装置、給餌方法
CN105010162A (zh) 智能宠物饲喂器
Kapun et al. Behaviour and activity monitoring of growing-finishing pigs with UHF RFID
KR20170057916A (ko) 가축 출하 시스템 및 가축 출하 방법
CN109452190A (zh) 一种奶牛养殖场用自动喂食装置
KR20160069124A (ko) 돈용 사료급여방법
Li et al.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for monitoring specific behaviors of group housed broilers
KR20150074253A (ko) 가축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