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992B1 -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992B1
KR101676992B1 KR1020160051572A KR20160051572A KR101676992B1 KR 101676992 B1 KR101676992 B1 KR 101676992B1 KR 1020160051572 A KR1020160051572 A KR 1020160051572A KR 20160051572 A KR20160051572 A KR 20160051572A KR 101676992 B1 KR101676992 B1 KR 10167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information
user
partition wall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훈 filed Critical 박상훈
Priority to KR102016005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992B1/ko
Priority to PCT/KR2017/004181 priority patent/WO2017188651A1/ko
Priority to US16/092,181 priority patent/US20190094836A1/en
Priority to US17/383,472 priority patent/US202103569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design data to control NC machines, e.g. CAD/CAM
    • G05B19/4099Surface or curve machining, making 3D objects, e.g. desktop manufacturing
    • B29C6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1343-D cad-c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252Generate machining program based on a simulation to optimize a machine parame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9Nc machine tool, till multiple
    • G05B2219/49007Making, forming 3-D object, mode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인테리어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하면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여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배송하도록 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이 선택되면 가상 공간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를 요청하면 해당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인테리어 서버; 및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서 형성된 3D 프린팅 정보를 전송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제작하는 3D 출력물 출력 센터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Manufacturing system for interior products using 3D prin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인테리어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하면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여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배송하도록 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 통신망과 컴퓨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컴퓨터를 이용한 분야는 그동안 기업전산화 작업에 머무르지 않고 전 산업 분야로 급속히 확대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실제공간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을 온라인상에 생성하여 제한된 공간 내에서 각종 집기 및 비품들을 인테리어(디자인)하는 기술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일명 e-모델하우스를 들수 있다.
그러나 e-모델하우스는 정해진 전체 면적 내에서 방, 거실, 주방, 욕실, 현관 등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갖는 공간들을 획일적으로 구획하고, 이들 구획된 공간에 거주자의 실생활에 필요한 가구들을 배치한 것들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일 뿐, 주어지는 조건들에 따라 공간분할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은 아직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 학원, 기업의 상담실 등 일정하게 고정된 공간을 칸막이벽(파티션)을 이용하여 여러 개 소공간으로 분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 공간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이동동선, 조명등의 조도 등 여러가지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인바, 이러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가변적인 공간분할에 매우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10-1492375에는 대공간으로 주어지는 가상공간을 여러 가지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복수의 소공간으로 분할하고, 이를 실제 공간에 적용시키는 일련의 흐름이 온라인상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주어진 조건들을 고려하여 가상공간을 여러 가지 형
태의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소공간으로 분할하고, 이를 오프라인상의 실제공간에 적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하고 만족스러운 공간 분할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최근에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제품들을 제작하는 기술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바, 상기 종래 기술에 3D 프린터 기술을 접목시킨다면 사용자들의 욕구나 시간 및 비용 절약이 가능할 것이다.
특허공개 10-2011-0105532호 특허공개 10-2003-0070524호 등록특허 10-1492375호
상기와 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테리어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하면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여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배송하도록 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이 선택되면 가상 공간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를 요청하면 해당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인테리어 서버; 및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서 형성된 3D 프린팅 정보를 전송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제작하는 3D 출력물 출력 센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인테리어 서버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하면 실제공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아 이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전송받으면, 이들 정보들을 상호 연계하여 가상공간에서 배치구조가 도출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며,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다양한 형상과 색상들을 제공하여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배송 센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는 인테리어 제품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배송 센터에 배송을 의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3D 프린팅 정보는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인테리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사용자를 통해 각종 선택 신호들을 입력받는 입력부;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품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들을 요청하여 전송받아 전송받는 각종 정보들을 연계하여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선택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최종 선택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제공부; 주문사항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들을 3D 프린터를 통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3D 프린팅 정보를 3D 출력물 출력 센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인테리어 서버가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이 선택되면 가상 공간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를 요청하면 해당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여 3D 출력물 출력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가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서 형성된 3D 프린팅 정보를 전송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D)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는 인테리어 제품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배송 센터에 배송을 의뢰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송 센터는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3D 프린팅 정보는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A-2)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A-3)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 인테리어 제품 목록에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A-4)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 공간을 제공하여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들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A-4) 단계는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이 칸막이벽인 경우에 실제공간 정보인 건물명, 주소, 면적, 가로 및 세로 길이, 현재 조명 개수, 조도, 설치위치를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실제공간 정보들을 토대로 이에 부합하는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인 칸막이벽 형태, 크기, 출입문 여부, 가상공간에 수용될 인원, 방 개수, 필요한 조도, 이동동선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받은 정보들을 연계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평면도에 따라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벽을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칸막이벽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칸막이벽을 적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여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근에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제품들을 제작하는 기술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바, 사용자들의 욕구나 시간 및 비용 절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1의 인테리어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방법에서 인테리어 제품이 칸막이벽인 경우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이 이루어지는 가상공간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이 이루어지는 가상공간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공간 분할을 위한 칸막이벽에 대한 다양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 예시도.
도 9는 고 7의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을 분할한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을 위한 가상공간의 3차원 이미지 예시도.
도13은 칸막이벽의 조립 예시도이며. 도14는 분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인테리어 서버(110),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 및 배송 센터(13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PC)가 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 이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서버(110)에 접속하여 인테리어 서버(110)가 제공하는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들의 2D 또는 3D 이미지 디자인들을 제공받는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들은 책상, 의자, 소파, 테이블, 책장, 캐비넷, 칸막이벽 등이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예들이며 이외에 다양한 다수의 제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된 인테리어 제품들중에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 공간을 제공하여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최종 선택한다.
이처럼 최종 선택이 끝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선택한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을 온라인 결제하여 3D 프린터를 이용한 제작과 설치를 의뢰하게 되며, 이후에 제작 과정은 인테리어 서버(110)를 통하거나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에 접속하여 제공받고, 배송 과정은 배송 센터(130)에 접속하여 제공받게 된다.
다음으로, 인테리어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이 접속하면 인테리어 제품들의 이미지를 2D 또는 3D로 제공한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110)는 사용자가 그 중에서 원하는 인테리어 제품들을 선택하면 실제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이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전송받으면, 이들 정보들을 상호 연계하여 가상공간에서 가장 효율적인 배치구조가 도출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며,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다양한 형상과 색상들을 제공하여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테리어 서버(110)는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프린터를 사용한 제작의 주문을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으면, 주문사항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들을 3D 프린터를 통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형성하여 3 D 출력물 출력 센터(12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는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로부터 인테리어 제품들에 대한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전달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제품들을 제작하여 배송 센터(130)에 배송을 의뢰한다.
다음으로, 배송 센터(130)는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방법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서버(110)에 접속하며(S10), 인테리어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여러가지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며, 2D 또는 3D 이미지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S20).
여기에서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들로는 책상, 의자, 소파, 테이블, 책장, 캐비넷, 칸막이벽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인테리어 서버(110)가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된 인테리어 제품 목록에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한다(S30).
그러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 공간을 제공하여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들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며(S4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된 시뮬레이션상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보면서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최종 선택한다(S50).
이러한 경우를 인테리어 제품이 칸막이벽인 경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는 실제 공간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실제공간에 대응되는 가상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건물명, 주소, 면적, 가로세로 길이, 현재 조명 개수, 조도, 위치 등)와, 상기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는데 필요한 정보(칸막이벽 형태, 크기, 출입문 여부, 가상공간에 수용될 인원, 방 개수, 조도, 이동동선 등)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그리고,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들을 토대로 실제 공간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공간을 복수 개의 소공간으로 분할하고, 이들 분할된 소공간이 실제공간에서 실현되도록 칸막이벽들을 배치하며 배치된 칸막이벽들에 대한 형상이나 색상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여 최종 디자인이 선택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최종 디자인을 선택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프린터를 통한 제작에 대한 구매 요청을 발생시키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이미지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재료 정보등을 형성하여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로 전송한다(S60).
여기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선택한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을 온라인 결제하여 3D 프린터를 이용한 제작과 설치를 의뢰하게 된다.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110)는 상기 인테리어 서버(120)로부터 인테리어 제품들에 대한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전달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칸막이를 제작하여 배송 센터(130)에 배송을 의뢰한다(S70).
그리고, 배송 센터(130)는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S80).
이후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작 과정은 인테리어 서버(110)를 통하거나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에 접속하여 제공받고, 배송 과정은 배송 센터(130)에 접속하여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테리어 서버(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111), 사용자를 통해 각종 선택 신호들을 입력받는 입력부(112), 인테리어 제품들에 대한 2D 또는 3D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품 제공부(113),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들을 요청하여 전송받아 전송받는 각종 정보들을 연계하여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선택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최종 선택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제공부(114), 주문사항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들을 3D 프린터를 통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변환부(115) 및 3D 프린팅 정보를 3D 출력물 출력 센터(110)로 전송하는 전송부(116)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방법에 있어서 칸막이벽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 제작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실제공간 정보(건물명, 주소, 면적, 가로세로 길이, 현재 조명 개수, 조도, 위치 등)를 인테리어 서버(110)에 전송하는 단계(S101); 상기 전송받은 정보 중 건물명 및 주소 등을 토대로 실제공간이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의 영업이 가능한 곳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2); 상기 단계(S102)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의 영업이 가능한 곳으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받은 실제공간 정보를 토대로 이에 부합하는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단계(S103); 상기 단계(S103)에서 생성된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는데 필요한 정보(칸막이벽 형태, 크기, 출입문 여부, 가상공간에 수용될 인원, 방 개수, 조도, 이동동선 등)를 전송받는 단계(S104); 상기 단계(S101)에서 전송받은 정보와, 상기 단계(S104)에서 전송받은 정보들을 연계하여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S105); 상기 단계(S105)에서 생성된 평면도에 따라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벽을 선택하는 단계(S106); 상기 단계(S106)에서 선택된 칸막이벽을 적용하여 가상공간이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는 디자인 완성단계(S107); 상기 단계(S104)에서 완성된 가상공간 디자인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8); 상기 단계(S108)에서의 만족에 따라 실제공간에 배치될 칸막이벽을 3D 프린팅 정보로 변환하여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로 전송하는 단계(S109);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에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칸막이들을 제조하고 배송을 배송 센터(130)에 의뢰하는 단계(S110) 및 배송 센터(130)에서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111)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S101), 단계(S103) 내지 단계(108)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테리어 서버(110)간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이고, 단계(S102)는 인테리어 서버(110)와 업종영업가능 여부 확인사이트, 예를 들어, 학원업종을 영위하려는 경우 교육청 및 구청 사이트간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고, 단계(S109)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인테리어 서버(110)와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와의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며, 단계(S110)은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와 배송 센터(130)간에 이루어지는 단계이고, 단계(S111)은 배송 센터(130)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간에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단계별로 구분 또는 통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가상공간 생성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테리어 서버(110)가 네트워크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테리어 서버(110)에 실제공간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이들 전송받은 정보를 토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공간에 대응하는 가상공간(102)을 생성한다.
실제공간은 사용자가 인테리어 하기 위한 실내공간을 말한다. 가상공간은 인테리어 서버(110)에 의해 온라인상에 생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실제공간에 대응되는 크기, 면적 및 형태를 소정비율로 축소한 공간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상공간에 배치될 칸막이벽 및 기타 구성요소들의 크기도 상기 가상공간의 축소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축소되어 온라인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가상공간(102)을 생성하기 위한 실제공간 정보는 가로 및 세로길이, 천장높이, 인테리어 공사 예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실제공간에 어떤 형태의 인테리어가 필요한지를 고려한 후, 원하는 인테리어 공사를 위한 목록 및 인테리어 공사 투입 예산 정보 등을 인테리어 서버(1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학원의 학습실을 인테리어하고자 한다면, 해당 건축물이 학원으로 인가 또는 허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러한 정보는 인테리어 서버(110)에 링크되어 있는 교육청 서버 등을 통해 제공받도록 한다.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공간(102)을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저장 관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제공간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 인테리어 서버(110)는 실제공간과 부합하는 형태의 가상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2. 평면도 생성
상기 실제공간은 다양한 종류의 업을 영위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사무실, 상품을 진열하는 상점, 커피 등 음료를 마시는 커피숍, 학습공간을 제공하는 학원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학원에 적용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학원을 운영하려는 사람은 학원을 하기에 적당한 건물을 물색하여 실제공간의 치수(가로, 세로길이, 천장높이등)를 실측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테리어 서버(110)로 전송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이미 전송받은 정보(건물주소, 건물명 등)를 토대로 이 건물이 학원으로서 영업 가능한 곳인지를 링크된 사이트를 통해 확인한다.
학원으로 영업이 가능한 건물로 확인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각종 정보(조명, 창문, 출입문, 안내데스크, 칸막이벽, 가상공간에 수용될 인원, 방 개수 등)를 토대로 적합한 공간 배치가 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104)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평면도(104) 생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칸막이벽을 토대로 이루어지며, 이들 칸막이들은 출입문이 구성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출입문이 구성 또는 구성되지 않은 칸막이벽 선택은, 상기 가상공간의 면적(크기)과 여기에 수용될 인원 및 방 개수, 책상배치, 이동동선 등을 참조하여 결정된다.
또한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된 조명등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서 조명등의 조사범위에서 벗어나 어두운 곳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조명등이 서로 다른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벽 사이에 위치되도록 평면도가 생성되면, 칸막이벽에 의해 소공간으로 분할된 곳을 향한 조명등의 조도는 낮아져 학습에 불편을 초래하는 반면에, 칸막이벽 사이만 불필요하게 조도가 높아지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단, 창문이 있는 곳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소공간은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비춰지는 자연광이 소정 조도의 조명등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도 감안하여 칸막이벽에 의해 분할되는 소공간마다 대체로 균등한 조도의 조명이 조사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맑은 날, 흐린 날, 비오는 날 등 날씨에 따라 자연광의 조도가 달라질 것이므로 이러한 점들을 모두 감안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순히 창문의 위치 및 크기 등만 고려하여 설계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테리어 서버(110)에 전송된 실제공간의 조명등 위치 및 개수를 참조하지 않는 대신에, 일단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소공간으로 분할한 후 이에 부합되도록 조명등의 위치 및 개수 등을 별개의 정보로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실제공간 인테리어시 이들 정보들을 토대로 조명등의 개수 및 위치 등을 변경하여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평면도 생성은, 각 분할된 소공간마다 배치될 책상의 수(수용인원에 대응), 그 분할공간에서 수업할 선생님의 교탁 위치, 학생들의 이동동선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칸막이벽이 설치된 상태에서 2열 종대로 책상이 12개 배치된다고 가정할 경우, 좌측 열에 배치된 책상에 앉는 학생의 이동동선을 우측 열에 배치된 책상과의 사이로 할 것인가, 아니면 좌측 열에 배치된 책상과 좌측에 배치한 칸막이벽 사이로 할 것인가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이동동선이 확보되도록 생성하고, 더욱 고려할 사항은 창문의 개폐구조(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이동통로의 간격(폭)을 어느 정도로 하여야 할 것인가, 칸막이벽으로 분할되는 소공간의 출입문이 어디에 설치되는가 등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소공간들 사이의 이동통로 간격(폭)을 1미터로 설계하되, 소공간 출입문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소공간들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입문의 폭, 출입문을 동시에 개방할 경우 부딪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폭을 가변적으로 설계하고, 가능한 출입문은 동일위치에서 개방되지 않도록 소공간들의 출입문 위치를 엇갈리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칸막이벽으로 분할되는 소공간들 사이의 이동동선, 즉 소공간에서 벗어나 주출입문을 통해 실제공간 외부로 나가고자 할 때의 이동동선 거리도 가장 효과적인 동선이 확보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인테리어 서버(110)는 상기 고려사항들을 모두 반영하여 크게는 강의실, 복도 및 안내 데스크 등으로 구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104)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에 의해 제공되는 평면도(104)를 확인 후, 강의실, 복도 및 안내 데스크 등의 위치, 크기 및 형태 등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상공간 디자인은 실제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칸막이벽이 설치되는 지점의 치수 등을 나타낼 수도 있고, 칸막이벽으로 분할되는 소공간 내에 배치되는 교탁과 책상 등의 위치도 치수로 표시될 수 있다.
3. 칸막이벽 선택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테리어 서버(110)에 상기 평면도에 따라 배치될 칸막이벽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전송받은 칸막이벽을 상기 가상공간에 배치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가 생성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칸막이벽(106a 내지 106d)들 중에서 적합한 칸막이벽을 선택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벽은, 출입문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형'(106a), 상기 전면 및 이에 연결된 제1측면으로 구성된 'ㄱ형'(106b), 상기 전면 및 그 양측에 연결된 제1측면과 제2측면으로 구성된 'ㄷ형'(106c), 상기 전면과 그 양측에 연결된 제1측면과 제2측면 및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배면으로 구성된 'ㅁ형'(106d)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강의실 및 복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적용할 수 있다.
4. 디자인 완성
인테리어 서버(110)는 상기 생성된 평면도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칸막이벽 정보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공간(102)에 칸막이벽(106a 내지 106d)이 배치된 가상공간 디자인(108)을 제공한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형'(106a) 칸막이벽 하나, 'ㄱ형' 칸막이벽(106b) 두 개, 'ㄷ형' 칸막이벽(106c) 하나, 'ㅁ형' 칸막이벽(106d) 하나 및 안내 데스크(107)로 구성된 실내공간 디자인(108)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지만,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ㄷ형' 칸막이벽(106c)의 경우, 도 7에서는 정면에 해당되는 벽면에 출입문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8에서는 측면에 해당되는 벽면에 출입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칸막이벽의 형태는 물론, 출입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에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는 다양한 이미지들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이미지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공간 디자인(108)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칸막이벽의 종류 이외에도, 전면과 배면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칸막이벽(106e)이 추가적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의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ㅁ형' 칸막이벽(106d)의 좌측에는, 전면과 배면으로 이루어진'11형'칸막이벽(106e)이 배치되어야 한다.
'11형'칸막이벽(106e)이 배치되어 있는 최종적인 가상공간 디자인(108)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인테리어 서버(110)는 칸막이벽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는 가상공간 디자인이 생성되면, 이를 이용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도의 모습 등을 3차원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이미지는,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뷰(veiw)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공간 디자인(108) 중 X위치에서의 뷰(view)를 요청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위치에서의 뷰(view)를 3차원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공간 디자인(108) 중 Y위치에서의 뷰(view)를 요청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위치에서의 뷰(view)를 3차원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공간 디자인(108)이 완성되기 이전에도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3차원 이미지는, 상기 'ㅁ형'칸막이벽(106d) 및 상기 '11형'칸막이벽(106e)이 형성되기 전의 3차원 이미지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공간에서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이미지들을 제공받으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직접 디자인할 수 있다.
한편, 칸막이벽(106a 내지 106e)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가상의 칸막이벽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으나, 도어가 없는 칸막이벽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은 실제공간에 설치되는 칸막이벽과 동일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는 실제의 인테리어 공사에 적용되는 칸막이벽과 동일한 형태의 가상의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가상공간 디자인을 제공하므로 가상공간 디자인과, 실제의 인테리어 공사에 의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실내공간은 동일한 형태가 된다.
5. 칸막이벽 주문
도 8,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공간 디자인이 완성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칸막이벽을 인테리어 서버(110)에 주문한다.
이때, 인테리어 서버(110)는 칸막이벽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 칸막이벽 설치를 위한 비용 및 칸막이벽 설치를 위한 공사 기간 등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 정보들을 확인한 후 칸막이벽을 주문한다.
한편, 칸막이벽을 실내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인테리어 공사에는, 상기 칸막이벽 설치 이외에도 다양한 장식, 예를 들어, 칸막이벽의 마감재,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등과 같은 추가적인 인테리어 부품들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칸막이벽 이외에 요구되는 부품들을,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6. 3D 프린팅 정보 형성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가상의 칸막이벽에 대응되는 칸막이벽을 상기 가상공간 디자인을 이용하여 실제공간에 설치할 것을 요청하는 칸막이벽 주문이 수신되면, 인테리어 서버(110)는 상기 칸막이벽 주문사항에 따라 제작된 칸막이벽을 3D 프린터가 제작할 수 있도록 3D 프린팅 정보로 변환하여 3D 출력물 출력 센터(130)로 전송한다.
도 13은 칸막이벽의 조립 예시도이며. 도 14는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는 패널(10) , H-BAR(20) , 유리칸막이틀(30) , 유리(40) , 상부마감틀(50) , 표면직물패브릭(10a)(10b) , 석고보드(11a)(11b) , 각재(12) , 흡음단열재(13) , 직물고정타카핀(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칸막이벽을 3D 프린터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테리어 서버(110)에 의해 제작된 칸막이벽들의 3D 이미지에 두께를 부여해야 한다. 왜냐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칸막이벽들은 두께를 가지고 있는데 인테리어 서버(110)에 의해 형성된 3D 이미지는 두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테리어 서버(110)는 데이터 변환부(115)를 사용하여 칸막이벽들의 각각에 두께를 부여하기 위한 두께 정보를 형성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10) 내부에 흡음단열재(13)로 채워져 있는바,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구조물 정보를 추가해야 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10), H-BAR(20), 유리칸막이틀(30), 유리(40), 상부마감틀(50), 표면직물패브릭(10a)(10b), 석고보드(11a)(11b), 각재(12), 흡음단열재(13), 직물고정타카핀(14)들은 재료가 다르다.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인테리어 서버(110)는 각 구성요소에 재료를 한정해야 한다.
이처럼 인테리어 서버(110)는 3D 이미지 정보에 두께를 부여할 수 있는 두께 정보를 형성하고, 칸막이벽 내부의 구조물 정보를 형성하며, 각 구성요소들을 재료 정보를 형성하여 전송부(116)를 통해 3D 출력물 출력 센터(130)로 전송한다.
7. 칸막이별 제작 및 배송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120)에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칸막이들을 제조하고 배송을 배송 센터(130)에 의뢰한다.
그리고, 배송 센터(130)에서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8. 공사 실시
칸막이벽 주문에 따라 전화 또는 이메일 등의 통신방법을 통해 칸막이벽의 제작 기간, 비용, 공사 시작 및 종료일시 등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되어 최종적으로 인테리어 공사 일정이 확정된다.
따라서 시공자는 칸막이벽 제작 후, 실제공간에 배치하는 인테리어 공사를 시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에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제품들을 제작하는 기술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바, 사용자들의 욕구나 시간 및 비용 절약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패널 20 : H-BAR
30 : 유리칸막이틀 40 : 유리
50 : 상부마감틀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인테리어 서버 111 : 인터페이스
112 : 입력부 113 : 제품 제공부
114 : 시뮬레이션 제공부 115 : 데이터 변환부
116 : 전송부 120 : 3D 출력물 출력 센터
130 : 배송 센터

Claims (10)

  1.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이 선택되면 가상 공간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를 요청하면 해당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인테리어 서버; 및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서 형성된 3D 프린팅 정보를 전송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제작하는 3D 출력물 출력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이 칸막이벽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제공간 정보인 건물명, 주소, 면적, 가로 및 세로 길이, 현재 조명 개수, 조도, 설치위치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실제공간 정보들을 토대로 이에 부합하는 가상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인 칸막이벽 형태, 크기, 출입문 여부, 가상공간에 수용될 인원, 방 개수, 필요한 조도, 이동동선을 전송받아 전송받은 정보들을 연계하여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평면도를 생성하여 생성된 평면도에 따라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벽을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칸막이벽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선택하며 선택된 칸막이벽을 적용하여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여 입체적으로 보여주며,
    상기 3D 프린팅 정보는 칸막이벽의 3D 이미지 정보와, 칸막이벽의 두께 정보, 칸막이벽의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칸막이벽의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배송 센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는 인테리어 제품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배송 센터에 배송을 의뢰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사용자를 통해 각종 선택 신호들을 입력받는 입력부;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품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들을 요청하여 전송받아 전송받는 각종 정보들을 연계하여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선택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최종 선택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제공부;
    주문사항에 따른 인테리어 제품들을 3D 프린터를 통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3D 이미지 정보와, 두께 정보,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3D 프린팅 정보를 3D 출력물 출력 센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6. (A) 인테리어 서버가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여 특정 인테리어 제품이 선택되면 가상 공간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를 요청하면 해당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3D 프린팅 정보를 형성하여 3D 출력물 출력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가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서 형성된 3D 프린팅 정보를 전송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제품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A-2)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인테리어 제품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A-3)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 인테리어 제품 목록에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A-4)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 공간을 제공하여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들을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4) 단계는 선택된 인테리어 제품이 칸막이벽인 경우에
    실제공간 정보인 건물명, 주소, 면적, 가로 및 세로 길이, 현재 조명 개수, 조도, 설치위치를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실제공간 정보들을 토대로 이에 부합하는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인 칸막이벽 형태, 크기, 출입문 여부, 가상공간에 수용될 인원, 방 개수, 필요한 조도, 이동동선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인테리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받은 정보들을 연계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평면도에 따라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벽을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칸막이벽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칸막이벽을 적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버가 가상공간을 복수 개 소공간으로 분할하여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3D 프린팅 정보는 칸막이벽의 3D 이미지 정보와, 칸막이벽의 두께 정보, 칸막이벽의 내부 구조물 정보 그리고 칸막이벽의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방법.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D) 상기 3D 출력물 출력 센터는 인테리어 제품 제작이 완료되면 배송 센터에 배송을 의뢰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송 센터는 배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그 과정을 배송 서버에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51572A 2016-04-27 2016-04-27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72A KR101676992B1 (ko) 2016-04-27 2016-04-27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7/004181 WO2017188651A1 (ko) 2016-04-27 2017-04-19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US16/092,181 US20190094836A1 (en) 2016-04-27 2017-04-19 Interior design product fabricating system using 3d printer, and method therefor
US17/383,472 US20210356936A1 (en) 2016-04-27 2021-07-23 Interior design product fabric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72A KR101676992B1 (ko) 2016-04-27 2016-04-27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992B1 true KR101676992B1 (ko) 2016-11-16

Family

ID=5754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572A KR101676992B1 (ko) 2016-04-27 2016-04-27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94836A1 (ko)
KR (1) KR101676992B1 (ko)
WO (1) WO201718865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69A (ko) * 2018-01-10 2019-07-18 (주) 군월드 분양인테리어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140515A (ko) * 2018-05-28 2019-12-20 김보경 Fdm 방식 3d 프린팅을 활용한 아이 오브제 주문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아이 오브제 주문 제작 방법
WO2020041341A1 (en) * 2018-08-21 2020-02-27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to fabricate contoured dividers
KR20200064750A (ko) 2018-11-29 2020-06-08 임영철 컬러 3d 프린터 장치
KR20200071794A (ko) 2018-11-29 2020-06-22 임영철 컬러 3d 프린터 제어방법
KR102324747B1 (ko) * 2020-10-13 2021-11-09 김우찬 네트워크 기반 3d 프린팅 통합시스템
KR102663323B1 (ko) * 2023-11-08 2024-05-03 (주)에스플랜아이엔에이 인테리어 디자인 제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959B1 (ko) * 2019-11-28 2021-04-16 주식회사 그래피 탑-다운 방식의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24A (ko) 2002-02-25 2003-08-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편리한 2차원 및 3차원인테리어 도면 동시 설계 방법
JP2004106524A (ja) * 2002-08-28 2004-04-08 Sanyo Electric Co Ltd 立体物生成システム
US20060025878A1 (en) * 2004-07-30 2006-02-02 Bran Ferren Interior design using rapid prototyping
KR20110105532A (ko) 2010-03-19 2011-09-27 (주)스파티필름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가능한 e-아파트먼트 하우징 시스템
KR101334540B1 (ko) * 2013-03-23 2013-11-28 한문희 가상 셀프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KR101400875B1 (ko) * 2013-08-01 2014-06-02 김현재 3d 도면 통합 출력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92375B1 (ko) 2014-05-15 2015-02-16 박상훈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5406A (en) * 1999-05-27 2000-12-26 Nanotek Instruments, Inc. 3-D color model making apparatus and process
US7656402B2 (en) * 2006-11-15 2010-02-02 Tahg, Llc Method for creating, manufacturing, and distributing three-dimensional models
US9959453B2 (en) * 2010-03-28 2018-05-01 AR (ES) Technologie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hree-dimensional rendering of a virtual augmented replica of a product image merged with a model image of a human-body feature
US9672550B2 (en) * 2010-09-24 2017-06-06 Amazon Technologies, Inc. Fulfillment of orders for items using 3D manufacturing on demand
WO2014146052A2 (en) * 2013-03-15 2014-09-18 Fath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ice quotes for 3d objects
JP6731338B2 (ja) * 2013-05-23 2020-07-29 キュー−ボット リミテッドQ−Bot Limited 建物表面の被覆方法及びそのためのロボット
WO2015065936A2 (en) * 2013-10-30 2015-05-07 Boyd Iv R Platt Additive manufacturing of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KR101547810B1 (ko) * 2013-12-13 2015-08-27 김태민 3차원 인쇄장치를 이용한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모델링 방법
US9731471B2 (en) * 2014-12-16 2017-08-15 Hrl Laboratories, Llc Curved high temperature alloy sandwich panel with a truss core and fabrication method
CN104532986B (zh) * 2014-12-23 2017-10-3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3d打印内隔墙及其施工方法
US10814369B2 (en) * 2015-08-07 2020-10-27 Arconic Technologies Llc Architectural manufactures, apparatus and method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US20170058509A1 (en) * 2015-09-02 2017-03-02 Caterpillar Inc.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US9959370B2 (en) * 2015-09-11 2018-05-01 Caterpillar Inc. Network portal for 3D printable structures
CN105328904A (zh) * 2015-11-03 2016-02-17 深圳长朗三维科技有限公司 3d打印方法
CN107199694B (zh) * 2016-03-09 2019-11-01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多材料三维模型的打印方法
US10074449B2 (en) * 2016-06-21 2018-09-11 Raytheon Company Additively manufactured concrete-bearing radiation attenua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24A (ko) 2002-02-25 2003-08-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편리한 2차원 및 3차원인테리어 도면 동시 설계 방법
JP2004106524A (ja) * 2002-08-28 2004-04-08 Sanyo Electric Co Ltd 立体物生成システム
US20060025878A1 (en) * 2004-07-30 2006-02-02 Bran Ferren Interior design using rapid prototyping
KR20110105532A (ko) 2010-03-19 2011-09-27 (주)스파티필름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가능한 e-아파트먼트 하우징 시스템
KR101334540B1 (ko) * 2013-03-23 2013-11-28 한문희 가상 셀프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KR101400875B1 (ko) * 2013-08-01 2014-06-02 김현재 3d 도면 통합 출력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92375B1 (ko) 2014-05-15 2015-02-16 박상훈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69A (ko) * 2018-01-10 2019-07-18 (주) 군월드 분양인테리어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15617B1 (ko) * 2018-01-10 2019-08-28 (주)군월드 분양인테리어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140515A (ko) * 2018-05-28 2019-12-20 김보경 Fdm 방식 3d 프린팅을 활용한 아이 오브제 주문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아이 오브제 주문 제작 방법
KR102110651B1 (ko) * 2018-05-28 2020-05-28 김보경 Fdm 방식 3d 프린팅을 활용한 아이 오브제 주문 제작 시스템
WO2020041341A1 (en) * 2018-08-21 2020-02-27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to fabricate contoured dividers
KR20200064750A (ko) 2018-11-29 2020-06-08 임영철 컬러 3d 프린터 장치
KR20200071794A (ko) 2018-11-29 2020-06-22 임영철 컬러 3d 프린터 제어방법
KR102324747B1 (ko) * 2020-10-13 2021-11-09 김우찬 네트워크 기반 3d 프린팅 통합시스템
KR102663323B1 (ko) * 2023-11-08 2024-05-03 (주)에스플랜아이엔에이 인테리어 디자인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4836A1 (en) 2019-03-28
WO2017188651A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992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787230B (zh) 一种家居仿真设计系统及方法
CN106055762A (zh) 一种家居装修设计系统及方法
Mansfield Architectural lighting design: A research review over 50 years
KR20220076739A (ko) 3차원 기반의 가상 주택 설계 시스템
Zamani et al. Co-visibility and pedagogy: innovation and challenge at the High Museum of Art
Staines Universal design: A practical guide to creating and re-creating interiors of academic libraries for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KR101492375B1 (ko) 칸막이벽을 이용한 가상공간 분할방법
US11525273B2 (en) House designing system
US20080281561A1 (en) Internet Enabled Consultation System, Method and Service for Interior Design of Real and Virtual Spaces
Larson et al. Open source building—reinventing places of living
KR20220076738A (ko) 가상 주택 설계 방법
CN113869979A (zh) 一种家居用品装饰、设计方案定制服务平台
O’Halloran et al. Multimodal semiosis and semiotics
Hines et al. Building new environments: the physical space
Boone Library design–the architect’s view. A discussion with Tom Findley
US20210356936A1 (en) Interior design product fabricating system
KR20210022945A (ko) 공간 인테리어 색채추천방법
Radha Smart home design flexibility as an enabler of sustainability and the reception in Sulaiymaniah, Kurdistan Region-Iraq
Christoffersen Creating library learning spaces that support twenty-first century pedagogy and student learning
Acharya Opening the Electrome: Redefining home for energy studies through design practice
JP2009282988A (ja) エージェントプロセスを促進する環境最適化システムと方法
Amoruso et al. Representation and new technologies for the contemporary library, innovating the cultural experience design
JP7287910B2 (ja) 設計支援装置
Fox et al. Hong Kong projects and tr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