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738A - 가상 주택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주택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738A
KR20220076738A KR1020200165531A KR20200165531A KR20220076738A KR 20220076738 A KR20220076738 A KR 20220076738A KR 1020200165531 A KR1020200165531 A KR 1020200165531A KR 20200165531 A KR20200165531 A KR 20200165531A KR 20220076738 A KR20220076738 A KR 2022007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e
generating
indoor space
structur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무
Original Assignee
디어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어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어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738A/ko
Publication of KR2022007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주택 설계 방법은, 가상 주택의 단위실내공간을 일정크기의 실면적이 반영된 3차원 블록으로 각각 나누어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택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조합하여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주택 설계 방법{METHOD FOR VIRTUAL DESIGNING HOUSE}
본 발명은 가상 주택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주택 구조가 다양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좀 더 자신이 원하는 구조로 설계하기를 원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의 주택을 직접 설계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없어 주택 설계 제작 시 설계자와 사용자 간의 소통이 쉽지 않다.
한편,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제10-1105385호(등록일자: 2012년01월05일)에는 규격화된 기본건축유닛을 조합 배치하여 사용자가 건축물을 직접 설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나, 한옥과 같은 목조건축물에 제한된 시스템이고, 내외부의 출입구조에 대한 선택을 위한 수단이 없으며, 사용자가 직접 설계한 주택 구조를 설계 도면 이외에 확인할 방법이 없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지 않다.
본 발명은 비전문가의 주택 설계가 좀 더 용이하며, 최종 확정된 주택구조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가상 주택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주택 설계 방법은, 가상 주택의 단위실내공간을 일정크기의 실면적이 반영된 3차원 블록으로 각각 나누어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택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조합하여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로 주택구조가 최종 확정되면, 상기 선택된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 및 상기 3차원 블록의 실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공사자재견적비용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퍼즐 형태로 조합하여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출입문과 창문의 위치, 종류 및 개수를 설정하여 제2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 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되고,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 간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주택 설계 시스템은, 가상 주택의 각 단위실내공간을 일정크기의 실면적이 반영된 3차원 블록으로 각각 나누어 제공하는 단위실내공간 제공부, 상기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단위실내공간 선택부, 상기 주택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조합하여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택구조 생성부, 및 상기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가상 주택 설계 시스템은, 상기 주택구조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로 주택구조가 최종 확정되면,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 및 상기 3차원 블록의 실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공사자재견적비용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1차 공사견적비용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주택구조 생성부는,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퍼즐 형태로 조합하여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주택구조 생성부, 및 상기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출입문과 창문의 위치, 종류 및 개수를 설정하여 제2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주택구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전문가의 주택 설계가 좀 더 용이하며, 최종 확정된 주택구조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구조 생성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실내공간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블록의 이미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개요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되는 3차원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구조 생성부의 블록 조합을 통해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외부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를 통해 실행되는 가상현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1000)은 정형화된 직육면체 형상의 3차원 블록을 이용한 건축 설계 프로그램으로서, 단위실내공간 제공부(100),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 주택구조 생성부(300),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400) 및 1차 공사견적비용 제공부(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실내공간 제공부(100),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 주택구조 생성부(300) 및 1차 공사견적비용 제공부(500)는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1)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400)는 VR(virtual reality) 기기(2)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구현 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개성 있는 주택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필요에 따라 설계자 또는 설계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사용자에 의해 직접 실행될 수 있다. VR 기기(2)는 생략 가능하며 생략될 경우 해당 가상현실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단위실내공간 제공부(100)는 주택의 각 단위실내공간을 일정크기의 실면적이 반영된 3차원 블록(10)으로 각각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실내공간은 거실, 주방, 식당, 화장실, 계단, 방, 현관 등의 기능을 갖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정규격에 따라 3차원 블록(1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블록(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 상면(12), 하면(13) 및 제1 내지 제4 측면(14a, 14b, 14c, 14d)으로 이루어진 대략 정육면체 형태의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블록(10)의 가로Х세로Х높이가 대략 3mХ3mХ3m의 일정규격 또는 크기를 갖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3차원 블록(10)은 단위실내공간의 각 기능 별로 그 내부에 기본적인 인테리어가 표시될 수 있는데, 가령, 침실의 경우 침대, 화장대, 옷장 등을 나타내는 3차원 그래픽이 기본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주방의 경우 싱크대, 냉장고 등을 나타내는 3차원 그래픽이 표시됨으로써, 3차원 블록(10)의 조합 과정에서 해당 블록이 어떠한 블록인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는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는, 단위실내공간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텍스트 정보와 해당 공간의 개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3차원 블록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 B, C, D, E, F'라는 3차원 블록을 선택할 경우 이들에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A 블록은 침실 1, B 블록은 식당, C 블록은 주방, D 블록은 화장실, E 블록은 거실, F 블록은 현관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가 선택한 각 블록의 개수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건축물을 설계하려면 X축, Y축, Z축으로 된 3차원 공간에서 만들어질 건축물의 형태를 머릿속으로 상상하면서 실제 길이를 기입하여 평면과 단면, 입면을 그려야 하는데, 이것은 건축적인 전문훈련이 필요하다. 건축가는 이러한 설계작업을 SketchUp®이나 AutoCAD®와 같은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지만, 이러한 설계과정은 일반인에게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설계 시스템(1000)을 통해 제공되는 옵션에 따라 형태를 고르고 조합하여 쉽게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
즉,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블록으로 표시되는 단위실내공간을 자신에게 필요한 방, 거실, 화장실, 주방, 식당, 현관, 계단 등의 모듈들을 골라서 조합하면 이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여러 가지 조합의 경우의 수를 만들어 건물을 보여주기 때문에 일반인도 쉽게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고, 공간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건축적인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주택구조 생성부(300)는 주택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10)을 조합하여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택구조 생성부(300)는 제1 주택구조 생성부(310)와 제2 주택구조 생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택구조 생성부(310)는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10)을 퍼즐 형태로 조합하여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주택구조 생성부(310)는 조합 시뮬레이션부(311)와 조합 인터페이스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합 시뮬레이션부(311)는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10) 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선택 가능한 모든 단위실내공간이 선택되는 경우 모든 3차원 블록 즉 거실, 주방, 식당, 화장실, 계단, 방, 현관 등으로 조합되는 다양한 주택구조 케이스를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외에 선택된 단위실내공간의 조합에 따라서도 다양한 주택구조 케이스를 이미지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조합 별 주택구조 케이스를 확인한 후 원하는 케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조합 시뮬레이션부(311)는 사용자가 특정 블록(10)들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블록(10)들로 조합할 수 있는 케이스들을 시뮬레이션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시뮬레이션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합 시뮬레이션부(311)는 건축구조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부족한 일반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각 케이스 별 편의점, 인테리어 추천정보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조합 인터페이스부(312)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되고,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10) 간을 사용자가 직접 조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 B, C, D, E, F' 블록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A, B, C, D, E, F' 블록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C, D' 블록을 일렬로 배치하고, 'E, F' 블록을 'C' 블록 측면에 배치하여 하나의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3차원 그래픽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에서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블록들을 T자 구조로 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합 인터페이스부(31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해당 블록을 나타내는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을 드래그 앤 드랍 방식으로 이동시켜 다양한 조합을 직접 만들 수 있다.
상기 조합 인터페이스부(312)에는 3차원 블록 간 조합이 불가능한 설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1층이 하나의 블록으로만 구성되고 2층 이상에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조합, 현관이 2층에 배치된 조합, '방-화장실-방'과 같이 방과 방 사이의 공간이 열린 공동생활공간이 아니라 주택사용상 불편함이 예상되는 조합 등 다양한 조합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조합 인터페이스부(312)는, 사용자가 블록 조합을 상기와 같은 경우에 해당되는 조합으로 만든 경우 조합된 3차원 블록을 조합 중인 시뮬레이션에서 탈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층이 하나의 블록으로만 구성되고 2층 이상에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조합으로 만든 경우, 2층에 일부 블록을 1층으로 이동시키되, 1층으로 배치되는 것이 적절한 실내단위공간의 블록부터 이동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부적절하게 배치된 블록을 해당 조합에서 이탈 또는 탈락시킬 수 있다.
또한, 현관이 2층에 배치되는 조합으로 만든 경우, 해당 블록을 조합에서 탈락시켜 1층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방-화장실-방'과 같이 방과 방 사이의 공간이 열린 공동생활공간이 아니라 주택사용상 불편함이 예상되는 조합인 경우에는 '화장실'에 해당하는 블록을 해당 조합에서 이탈 또는 탈락시켜 미리 설정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설계나 상식이 미흡한 사용자도 적절한 블록조합의 설계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3차원 블록과 블록 간이 연결될 때 해당 블록에 포함되는 프레임(11)들 또한 중복되는데, 이러한 경우 즉 2개 이상의 프레임(11)들이 겹치거나 중복되는 경우 설계 프로그램 상에서 1개의 기둥으로 자동 변경되도록 설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택구조 생성부(32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출입문과 창문의 위치, 종류 및 개수를 설정하여 제2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주택구조 생성부(320)는 블록 접촉면 표시부(321), 블록 외측면 표시부(322), 내부구조 선택부(323) 및 외부구조 선택부(3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록 접촉면 표시부(321)와 내부구조 선택부(323)가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라고 함)를 통해 실행될 수 있으며, 블록 외측면 표시부(322)와 외부구조 선택부(324)가 또 다른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라고 함)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블록 접촉면 표시부(321)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주택구조 데이터 중 3차원 블록의 접촉면을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블록과 'B' 블록이 접해 있는 경우 A' 블록과 'B' 블록 간의 접촉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의 경우 방과 거실 사이, 방과 화장실 사이, 방과 주방 사이, 방과 식당 사이 등이 될 수 있으므로, 조합된 블록 간의 접촉면을 격벽 또는 간막이벽으로 인지하고, 인지된 해당 격벽 또는 간막이벽에 어떠한 출입수단을 적용할 것인지 또는 개방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설정에 따라서 서로 인접한 블록이 같은 종류의 실내단위공간인 경우 해당 블록 간의 접촉면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과 거실, 방과 방, 화장실과 화장실 등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조합되는 경우 거실의 크기를 확장하거나, 방의 크기를 확장하거나, 화장실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해당 블록 간 접촉면을 선택 가능하도록 별도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것이며, 동종의 블록이라도 서로 인접한 경우 해당 접촉면을 모두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블록 외측면 표시부(322)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주택구조 데이터 중 3차원 블록의 접촉면을 제외한 외측면을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블록의 경우 블록 간 접촉이 없는 외측면이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물론, 'C' 블록만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외벽이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내부구조 선택부(323)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블록 접촉면 표시부(312)를 통해 표시되는 각 접촉면에 대하여 단위실내공간 간의 개방여부 및 방문의 종류와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블록과 'B' 블록 간의 접촉면을 선택하면, 해당 블록 간의 출입문을 외여닫이문, 쌍여닫이문, 외미닫이문, 두짝미서기창 등 문과 관련된 건축기호가 또는 이름과 설명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문을 선택할수 있도록 하며, 그 위치 또한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지만, 'A' 블록과 'B' 블록 간에 별도의 출입문 없이 개방된 형태로의 선택도 가능하다.
한편, 내부구조 선택부(323)는 블록과 블록이 조합되면, 인접한 블록 즉 인접한 실내단위공간 간의 중복되는 기둥 형태나 종류, 내부 마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부구조 선택부(324)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블록 외측면 표시부(322)를 통해 표시되는 외측면에 대하여 창문 및 출입문의 종류와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여닫이창, 쌍여닫이창, 망사창, 외여닫이문, 쌍여닫이문 등 창문 및 출입문과 관련된 건축기호 또는 이름과 설명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창문과 출입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위치 또한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외부구조 선택부(324)는 블록과 블록이 최종 조합되면, 외부 마감재와 지붕 형태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주택구조 생성부(310)를 통해 제1 주택구조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후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한 방문, 출입문, 창문의 종류와 위치 개수 등의 설정과 선택이 완료되면 제2 주택구조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주택구조 생성부(300)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조합한 각각의 블록 간 전기배선, 배수라인 등의 블록 간의 내부 시설이나 시스템 설계에 대한 설정 또는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400)는 주택구조 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 즉 제2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400)는 가상현실 데이터 생성부(410)와 가상현실 데이터 실행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생성부(410)는 주택구조 데이터를 3차원 모델 데이터로 렌더링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택구조 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 또한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이나 이를 VR 기기(2)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상현실 데이터 생성부(410)는 스마트 기기(1)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생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는 VR 기기(2)로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가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실행부(420)는, VR 기기(2)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VR 기기(2) 자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데이터 실행부(420)는, 가상현실 데이터 생성부(410)를 통해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주택의 내부 구조, 모습, 크기 및 채광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데이터 실행부(4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VR 기기(2)를 착용하면 가상현실 데이터 생성부(410)를 통해 생성된 가상현실 데이터가 실행되어, 사용자가 가상주택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해당 주택내부의 구조, 모습, 크기 등을 체감 또는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자신이 설계한 주택을 최대한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의 설계도면 등으로 확인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주택의 설계 구조를 이해할 수 있으며, 해당 주택의 구조 설계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1차 공사견적비용 제공부(500)는, 주택구조 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로 주택구조가 최종 확정되면, 단위실내공간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된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 및 3차원 블록의 실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공사견적비용을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실내공간으로 표시되는 3차원 블록은 일정한 규격 정보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단위실내공간의 총 개수와 최종 확정된 주택 구조에서 각 단위실내공간의 종류 정보를 바탕으로 대략적인 공사자재견적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주택설계가 최종 확정되면, 본 실시예의 설계 시스템(1000)은 지정된 시공업체로 건축시공을 의뢰하며, 이때 건축신고와 건축허가를 위한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공사견적비용에서 건축 인허가 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제시할 수 있다.
기존의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인이 건축도면을 제작하는 경우 SketchUp®이나 AutoCAD®와 같은 별도의 전문훈련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건축물을 머리로 상상하면서 도면을 그려야 한다. 이때 건축적 훈련을 받지 못한 사람은 건축물을 구상하거나 도면 설계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또한, 일반인들은 적당한 공간의 크기를 가늠하지 못하기 때문에(예를 들어 화장실이나 주방 등을 매우 좁게 그리거나 매우 넓게 그림), 제작된 설계도면이 현실화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은, 일반인도 정형화된 직육면체를 이용하여 합리적인 공간을 계획하여 볼 수 있고, 쉽게 건축물의 형상을 만들고, 그 형태와 내외부 공간을 가상현실(VR)고글로 확인한 뒤 수정할 수 있으며, 최종 결정된 건물의 예상공사비와 건축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 등의 공사도면을 출력하여 쉽게 공사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 폰의 앱에서도 이러한 프로그램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이나 편의성 또한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가상 주택의 단위실내공간을 일정크기의 실면적이 반영된 3차원 블록으로 각각 나누어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택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조합하여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주택 설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로 주택구조가 최종 확정되면, 상기 선택된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 및 상기 3차원 블록의 실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공사자재견적비용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주택 설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퍼즐 형태로 조합하여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출입문과 창문의 위치, 종류 및 개수를 설정하여 제2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주택 설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 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되고,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 간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주택 설계 방법.
  5. 가상 주택의 각 단위실내공간을 일정크기의 실면적이 반영된 3차원 블록으로 각각 나누어 제공하는 단위실내공간 제공부;
    상기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단위실내공간 선택부;
    상기 주택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조합하여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택구조 생성부; 및
    상기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하우스 설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구조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주택구조 데이터로 주택구조가 최종 확정되면,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단위실내공간의 종류와 개수, 및 상기 3차원 블록의 실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1차 공사자재견적비용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1차 공사견적비용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구조 생성부는,
    상기 단위실내공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블록을 퍼즐 형태로 조합하여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주택구조 생성부; 및
    상기 제1 주택구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출입문과 창문의 위치, 종류 및 개수를 설정하여 제2 주택구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주택구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리스 하우스 설계 시스템.
KR1020200165531A 2020-12-01 2020-12-01 가상 주택 설계 방법 KR20220076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531A KR20220076738A (ko) 2020-12-01 2020-12-01 가상 주택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531A KR20220076738A (ko) 2020-12-01 2020-12-01 가상 주택 설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38A true KR20220076738A (ko) 2022-06-08

Family

ID=8198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531A KR20220076738A (ko) 2020-12-01 2020-12-01 가상 주택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7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217B1 (ko) * 2022-08-29 2022-12-26 한국가상현실 (주) 가상 공간을 규정하는 면들에 기초한 타일 디자인 방법
KR102523515B1 (ko) * 2022-07-21 2023-04-20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단위공간 개념을 도입한 사용자 선택형 메타버스 공간 조합 디자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515B1 (ko) * 2022-07-21 2023-04-20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단위공간 개념을 도입한 사용자 선택형 메타버스 공간 조합 디자인 시스템
KR102481217B1 (ko) * 2022-08-29 2022-12-26 한국가상현실 (주) 가상 공간을 규정하는 면들에 기초한 타일 디자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6739A (ko) 3차원 기반의 가상 주택 설계 시스템
US20130179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Touring of Model Homes
KR101676992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76738A (ko) 가상 주택 설계 방법
JP7244506B2 (ja) テトリスハウス設計システム
US201903115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of products to architectural design in real time
WO2016088335A1 (ja) 光環境設計支援装置、光環境設計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6209319A (ja) 住宅用3次元cgシステム
CN106663295B (zh) 利用隔断墙的虚拟空间分割方法
JP2006350461A (ja) 住宅用3次元cgシステム
JP6275764B2 (ja) 内観画像作成装置、内観画像作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5455554A (zh) 建筑辅助设计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计辅助设备
KR20230072191A (ko) 조립식 주택용 골조 구조체를 이용한 주택 설계방법
JP3986872B2 (ja) 屋内空間設計支援装置および方法
JP6584137B2 (ja) 建物用cadシステムおよび建物用cadプログラム
JP2017010413A (ja) 建物用cadシステムおよび建物用cadプログラム
JP7206706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4971940B2 (ja) 住宅の販売支援システム
Collin et al. Virtual reality activity based workplace simulation impact on healthcare facilities space management
KR20230072188A (ko) 조립식 주택용 골조 구조체
JP7287910B2 (ja) 設計支援装置
Elwageeh et al. A framework of integrating VR and IoT technology to test users’ preferences of artificial lighting variations in hotel guest room
JP7245627B2 (ja) 設計提案ツール
Tantawy The furniture layout using the interior design guidelines
García-Templado et al. Advanced Architectural Descriptions of Al-Andalus Islamic Palaces: Development Of A Knowledge-Based Descriptive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