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862B1 -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862B1
KR101676862B1 KR1020150049217A KR20150049217A KR101676862B1 KR 101676862 B1 KR101676862 B1 KR 101676862B1 KR 1020150049217 A KR1020150049217 A KR 1020150049217A KR 20150049217 A KR20150049217 A KR 20150049217A KR 101676862 B1 KR101676862 B1 KR 10167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ir
suction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112A (ko
Inventor
이동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글로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글로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글로비즈
Priority to KR102015004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8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3/00Rotary appliances
    • F28G3/16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은, 흡입통로와 토출통로가 형성된 덕트; 및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통로에 연통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토출통로에 연통되는 제2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열교환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부와 흡입부가 상기 열교환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된다.

Description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SELF CLEANING TYPE TOTAL HEAT EXCHANGE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열교환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을 포함한 항온항습기나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는 건축물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외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통해 실내에서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시켜 주기 위한 에어 필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 필터의 경우 해당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필터의 손상 등을 방지하해경우 세척 또는 청소를 필히 해주어야만 한다.
그런데 근래에는 빈번히 발생하는 황사현상과 자동차 배기가스, 공사장의 비산먼지 등에 의한 대기오염 인자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거주공간과 생산시설현장의 공기 질을 요구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공기조화기의 에어 필터교체 및 관리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기는 건식 공기정화기와 습식 공기정화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건식 공기정화기의 경우는 다양한 구조로 개발된 에어 필터를 공기 유로 상의 정화기 내에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에어 필터로 포집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러한 건식 공기정화기는 오염물질의 포집량이 증대하면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효율이 감소하게 되고, 에어 필터에 쌓인 오염물질들로 인하여 송풍기의 공기압력이 상승함과 동시에 공기의 풍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의 풍량이 감소하게 되면 실내의 온도나 습도가 변화하게 되어 냉방이나 난방으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에너지 사용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수시로 에어필터를 점거하고, 에어 필터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된 습식 공기정화기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액체로 제거하고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습식의 세정식 공기정화기의 처리방법은 일반적으로 세정액을 정화시키고자 하는 공기에 분사시켜 공기에 포함된 미립자의 오염물질을 분리 흡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습식 공기정화기는 기존의 건식 설비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순환되는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에어 필터를 통과하기 전이나 후에 물을 분사시켜 에어 필터와 함께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대부분 필터에서 걸러지게 되어 필터를 자주 교환하거나 세척해야하고, 그에 따른 관리 역시 계속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앞서 설명된 공기정화기의 필터 청소를 위한 장치들은 전열교환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전열교환시스템의 열교환체 내부를 청소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보다 향상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열교환체를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열교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은, 흡입통로와 토출통로가 형성된 덕트; 및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통로에 연통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토출통로에 연통되는 제2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열교환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부와 흡입부가 상기 열교환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체를 경계로 상기 열교환체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통로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타측에서 상기 토출통로를 따라 흐르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열교환체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흡입통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흡입통로의 단면적이 상기 토출통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흡입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체 양측의 압력차, 온도차 또는 습도차를 측정하기 위해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상기 열교환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들의 측정결과를 근거로 상기 노즐부 또는 흡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체의 회전시에만 상기 노즐부 또는 흡입부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전열교환시스템은 실내에서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오염된 공기의 일부가 다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체의 성능이 항상 최선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장비수명을 반영구화하고 궁극적으로 실내에 외기로서 공급되는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허니콤 매트릭스 구조로 되어 있는 열교환체를 상시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전열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열교환체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열교환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대기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건물내부의 냉난방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최근 시공되는 건물들에는 외부공기가 직접유입되는 창문을 없애고 내부 공기를 기계적으로 순환시키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두고 있다. 그러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만 하면 공기가 탁해지는 문제가 있어, 외부공기 중 일부를 건물 내로 도입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결국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혼합되면서 실내오염물질이 계속 축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공기를 건물 내로 도입시키면 냉난방기기의 현열과 잠열 부하도 동시에 증가한다. 이로 인해, 냉난방기기를 추가로 가동시켜야 하고, 냉난방기기를 추가로 가동시키기 위해서 전력이 소모되므로, 건물의 유지관리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질 개선과 에너지 절감이라는 요구가 점차 증대되면서, 상기한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전열교환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열교환시스템의 일 예로서, 적정온도와 습도로 냉난방이 되어있는 실내 공기를 배출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공급시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 엔탈피(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회수할 수 있는 회전형 전열교환기( ROTARY ENTHANLPHY HEAT EXCHAGER)를 들 수 있다. 회전형 전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배치되거나 덕트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형 전열교환기는 그 특성상 전열교환기 소자의 구조가 미세한 벌집형상의 허니컴 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미세분진 및 다양한 화학물질로 오염된 채로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 혹은 덕트의 외부공기 인입구에 공기여과필터가 설치되어 있다고 하여도 공기여과용 초급필터만으로는 허니컴 매트릭스의 오염물질 적층을 방지하기에 부족하다. 특히, 허니컴 매트릭스의 눈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전열교환기의 압력손실증가 및 이로 인한 효율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전열교환기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전열교환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열교환시스템(100)은 냉난방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OUTDOOR AIR, SUPPLY AIR)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환기(RETURN AIR, EXHAUST AIR)를 열교환하여 냉난방 에너지를 회수하는 장치이다. 즉, 2 내지 20 rpm 으로 열교환체(113, 도 4 참조)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외기와 환기 간의 온도차 및 습도차를 이용하여 현열과 잠열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열교환체(113)는 모재로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알루미늄의 열전달 특성에 의해 현열을 회수한다. 그리고, 알루미늄에 제습제(desiccant)가 함침되어 수증기 흡착원리에 의해 잠열이 회수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전열교환시스템(100)은 열교환체 모듈(110)과 덕트(150)를 포함한다.
열교환체 모듈(110)은 후술하는 노즐부(120, 도 4 참조) 및 흡입부(130, 도 4 참조)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체(113)는 원통형 바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된다.
덕트(150)는 각각 흡입통로(151)와 토출통로(152)를 구비하며, 흡입통로(151)와 토출통로(152)는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격벽은 칸막이와 실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로 구분하기 위해, 열교환체(113)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격벽을 제1 격벽(111, 도 4 참조)이라 하고, 타측에 배치된 격벽을 제2 격벽(112, 도 4 참조)이라고 하기로 한다. 그리고 흡입통로(151)에는 흡입팬(154)이 배치되고, 토출통로(152)에는 배출팬(155)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통로(152)에는 열교환체(113)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습도를 감소시킨 후 배출하는 재생히터(157)가 배치될 수도 있다. 덕트(150)는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흡입통로(151)에는 히트펌프장치가 배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히트펌프장치(160)는 압축기(161), 사방변(162), 제1, 제2 열교환기(163, 164) 및 팽창장치(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열교환기(163)는 토출통로(152)에서 열교환체 모듈(110)의 공기 토출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61), 사방변(162), 팽창장치(165) 및 제2열교 환기(164)는 상기 덕트(150)의 외부 또는 토출통로(152)에 설치된다. 그리고, 덕트(150)의 외부에 상기한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2열교환기 근처에는 팬(164a)을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기(163)는 열교환체 모듈(110)에서 열교환된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킨 후에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실내공간을 일정한 온도로 냉난방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열교환체(113)의 도면이다.
도 2는 현열을 회수하는 원리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잠열을 회수하는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차가 발생할 때 열교환체(113)가 회전하게 되면 알루미늄 모재의 열전달 특성에 의해 고온에서 열을 흡수하여 저온으로 열을 전달하여 냉난방시 온도차에 의해 현열을 회수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차가 발생하면 열교환체(113)에 함침된 제습제가 흡착을 통해 다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여 건조한 공기 쪽으로 증발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잠열로서 가습 및 제습과 함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열교환시스템(100)은 덕트(150), 열교환체(113), 노즐부(120) 및 흡입부(130)를 포함한다.
덕트(150)는 격벽(111, 112)을 사이에 두고 흡입통로(151)와 토출통로(152)를 구비한다.
열교환체(113)는 덕트(150)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열교환체(113)는 일면과 타면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형성되는 데, 제1 영역은 흡입통로(151)와 연통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토출통로(152)와 연통되는 영역이다.
허니콤 형태의 열교환체(113)는 내부의 통로가 좁기 때문에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통로에 쌓이는 경우 통로가 좁아지거나 막힐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열교환체(113)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열교환체(113)의 정상적인 작동이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즐부(120)와 흡입부(130)가 열교환체(11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노즐부(120)는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거나 하나의 노즐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채로 열교환체(11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부(120)는 열교환체(113)를 향하여 연성세재나 압축수 또는 고압의 가스(가스는 일 예로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노즐부(120)는 열교환체(113)를 향하여 연성세재나 압축수 또는 고압의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흡입부(130)는 그 내부를 진공에 가깝게 저압상태로 형성하여 열교환체(113)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노즐부(120)를 통해 배출된 연성세재나 압축수 또는 고압의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체(113) 내부에 쌓여있던 이물질도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다.
노즐부(120)와 흡입부(13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마이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의 동작을 통해, 연성세재, 압축수 및 고압의 가스 중 어느 하나부터 노즐부(120)를 통해 순차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적으로 연성세재와 압축수를 분사하여 열교환체(113)의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2차적으로 고압의 가스를 분사하여 내부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혹은 압축공기만을 분사하여 분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흡입할 수 있다.
열교환체(113) 양측의 압력차, 온도차 또는 습도차를 측정하기 위해 제1 센서부(141)와 제2 센서부(142)가 열교환체(113)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센서부들의 측정결과를 근거로 노즐부(120) 또는 흡입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특정 위치에서 열교환체(113) 양측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가 막히거나 좁아진 것으로 제어부가 판단하고, 노즐부(120)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노즐을 동작시키거나 해당 위치로 노즐을 이동시켜 열교환체(113)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부(141)와 제2 센서부(142)는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체(113)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 센서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3 센서부(143)를 통해 열교환체(113)의 회전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부(120) 또는 흡입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열교환체(113)의 회전시에만 상기 노즐부(120) 또는 흡입부(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열교환시스템(100)은 덕트(150), 열교환체(113), 노즐부(120) 및 흡입부(130)를 포함한다.
덕트(150)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흡입통로(151)와 토출통로(152)를 구비한다.
열교환체(113)는 덕트(150)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열교환체(113)는 일면과 타면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형성되는 데, 제1 영역은 흡입통로(151)와 연통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은 토출통로(152)와 연통되는 영역이다. 열교환체(113)의 타면에 제3 영역이 형성된다. 제3 영역은 열교환체(113)를 경계로 열교환체(113)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흡입통로(151)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할 때, 타측에서 토출통로(152)를 따라 흐르던 공기 중 일부가 열교환체(113)의 회전으로 인해 흡입통로(15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통로(151)의 단면적이 토출통로(15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영역을 말한다. 즉, 제3 영역은 제2 격벽이 제1 영역을 향하여 좀 더 치우치면서 형성된 영역이다. 제3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토출통로(152)를 통해 환기되는 공기가 흡입통로(151)를 통해 재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노즐부(120)와 흡입부(130)가 열교환체(11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흡입부(130)는 제3 영역에 형성되고, 노즐부(120)는 흡입부(130)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들이 흡입통로(151)를 통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부(120)는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거나 하나의 노즐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채로 열교환체(11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부(120)는 열교환체(113)를 향하여 연성세재나 압축수 또는 고압의 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노즐부(120)는 열교환체(113)를 향하여 연성세재나 압축수 또는 고압의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흡입부(130)는 그 내부를 진공에 가깝게 저압상태로 형성하여 열교환체(113)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노즐부(120)를 통해 배출된 연성세재나 압축수 또는 고압의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체(113) 내부에 쌓여있던 이물질도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열교환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열교환시스템의 흡입부(131)는 제3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전열교환시스템의 흡입부(131)는 노즐부(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격벽을 경계로 상부에는 노즐부(12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흡입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들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술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전열교환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흡입통로와 토출통로가 형성된 덕트;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열교환체;
    상기 열교환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통로들을 구획하도록 상기 열교환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격벽과 상기 열교환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격벽; 및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노즐부와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체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통로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타측에서 상기 토출통로를 따라 흐르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열교환체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흡입통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격벽은 그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흡입통로의 단면적을 줄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1 격벽과 절곡된 상기 제2 격벽의 가상의 연장 평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흡입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체 양측의 압력차, 온도차 또는 습도차를 측정하기 위해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상기 열교환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는 상기 열교환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상기 흡입통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들의 측정결과를 근거로 상기 노즐부 또는 흡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체의 회전시에만 상기 노즐부 또는 흡입부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시스템.

KR1020150049217A 2015-04-07 2015-04-07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 KR10167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17A KR101676862B1 (ko) 2015-04-07 2015-04-07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17A KR101676862B1 (ko) 2015-04-07 2015-04-07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12A KR20160120112A (ko) 2016-10-17
KR101676862B1 true KR101676862B1 (ko) 2016-11-17

Family

ID=5725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217A KR101676862B1 (ko) 2015-04-07 2015-04-07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623B1 (ko) * 2021-07-13 2023-10-11 한국전력공사 열교환기의 세정 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7524A (ja) * 2009-07-08 2011-01-27 Breen Energy Solutions 空気予熱器を作動状態で清掃する方法
JP2011112343A (ja) * 2009-11-30 2011-06-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492A (ja) * 1991-12-09 1993-06-22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空気予熱器のダスト持込み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7524A (ja) * 2009-07-08 2011-01-27 Breen Energy Solutions 空気予熱器を作動状態で清掃する方法
JP2011112343A (ja) * 2009-11-30 2011-06-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12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JP5066767B2 (ja) 空気調和機
JP5288776B2 (ja) 空気調和機
KR102041255B1 (ko) 올인원 습식 공기청정조화 장치
JP2008138913A (ja) 空気調和機
KR20150117852A (ko) 제습기능과 가습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871442B1 (ko) 열회수 방식의 실내공기 관리장치
KR200415004Y1 (ko) 실내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WO2017043104A1 (ja) 除加湿装置
JP2000317248A (ja) ガス不純物の除去システム
KR100357285B1 (ko)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KR101676862B1 (ko) 자동세정재생형 전열교환시스템
KR101454660B1 (ko) 선박건조용 집진기 겸용 제습장치
KR20200086085A (ko)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1957240B1 (ko) 공기조화기
KR100299917B1 (ko) 제습장치
JP2006090572A (ja) 空気調和機
KR100628059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JP5495914B2 (ja) 家屋の空調システム
JP5518678B2 (ja) 空気清浄化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JP4416809B2 (ja) 負圧施工区画空調装置
JP4911968B2 (ja) 外気冷熱利用方法及び空調システム
JP2008095982A (ja) 空気清浄システム
CN108775632B (zh) 一种利用电渗效应降温和抑霜的空调室外机
JP2004190907A (ja) 多段式間接型熱交換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