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843B1 -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843B1
KR101676843B1 KR1020140027416A KR20140027416A KR101676843B1 KR 101676843 B1 KR101676843 B1 KR 101676843B1 KR 1020140027416 A KR1020140027416 A KR 1020140027416A KR 20140027416 A KR20140027416 A KR 20140027416A KR 101676843 B1 KR101676843 B1 KR 101676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agent
foamed
heating
heater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146A (ko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현
Priority to KR102014002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8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에 따르면, 인조잔디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가소재를 혼합한 융해물에 에어를 투입시키며, 상기 융해물과 에어를 믹싱하여 발포제를 제조하는 발포제 제조단계; 상기 발포제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발포제를 인조잔디파일이 하향하도록 배치시킨 인조잔디기포층의 하측면에 발포하는 지지층 제조단계; 상기 지지층 제조단계에서 발포된 발포제의 외측면을 평탄화하는 지지층 평탄단계; 및 상기 지지층 평탄단계 이후에, 상기 발포제를 경화시키는 지지층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Artificial Gr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발포로 경량화 및 불연성을 갖으며, 친환경적이며, 계절의 변화 상관없이 인조잔디파일을 항상 푸르게 유지하여 사후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합성섬유를 소재로 하여 잔디의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잔디의 대용품으로서, 1956년 미국에서 처음 제작된 이래 주로 야구,축구, 골프 등의 스포츠 구장에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정원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기포층에 원사를 입모시켜 형성한 파일(Pile), 기포층 하부면에 형성된 지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완충 작용을 위해 선택적으로 기포층의 상부 및 파일 사이에 규사 등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형성된 충진층을 더 포함한다. 파일의 경우 최초에 나일론 소재로 개발되었으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소재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원사를 엮어 제직하는 라셀 공법 또는 모켓 공법으로 파일을 형성하는 경우 기포층은 폴리에스테르(PET) 소재의 기포지가 주로 사용되다가, 대량으로 파일을 형성할 수 있는 터프팅 공법이 개발되면서 폴리프로필렌 평직물 형태의 기포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지층은 인조잔디 구조체의 형태 안정성 강화, 소음 감소, 인열 강도 강화, 파일의 인발 강도 강화를 위한 층으로서 대부분 라텍스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라텍스는 햇빛에 의해 변색되어 파일이 푸르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더불어, 라텍스는 파일 또는 기포층을 형성하는 재료(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터)와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장기간 사용시 소정의 파일 인발 강도가 유지되지 않아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특히 기포층을 형성하는 재료가 극성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경우 소정의 파일 인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라텍스 도포량의 증가가 불가피하고 제조과정에서 라텍스의 건조 속도의 감소 및 건조 시간의 증가로 인해 제조비용의 상승 및 라텍스의 미건조에 의한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지지층은 PVC로 이루지나, 장시간 후 갈라짐과 부스러짐이 발생하고, 중량이 무거울뿐만 아니라 고밀도로 이루어져 화재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1129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106577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발포로 경량화 및 불연성을 갖으며, 친환경적이며, 계절의 변화 상관없이 인조잔디파일을 항상 푸르게 유지하여 사후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적외선온도변화를 통해 발포된 발포제의 내부, 중간, 외측 순으로 경화시킴에 따라 발포된 발포제의 내부전체적으로 고르게 경화시킬 수 있어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단계를 거쳐 냉각된 발포제의 외측면에 저온의 엠보판과 냉각팬을 이용하여 엠보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에 따르면, 인조잔디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가소재를 혼합한 융해물에 에어를 투입시키며, 상기 융해물과 에어를 믹싱하여 발포제를 제조하는 발포제 제조단계; 상기 발포제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발포제를 인조잔디파일이 하향하도록 배치시킨 인조잔디기포층의 하측면에 발포하는 지지층 제조단계; 상기 지지층 제조단계에서 발포된 발포제의 외측면을 평탄화하는 지지층 평탄단계; 및 상기 지지층 평탄단계 이후에, 상기 발포제를 경화시키는 지지층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은, 3mm 내지 60mm 의 길이를 갖고, 상기 가소재는, 친환경 가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 제조단계는, 상기 발포제에 에어를 1분당 1 내지 4ℓ의 양을 투입하며 상기 발포제를 에어와 함께 토출시켜 고발포형으로 발포하여 지지층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 평탄단계는, 원형 나이프 또는 평면 나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된 발포제의 두께가 1mm 내지 10mm 되도록 발포제의 외측면을 평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는, 상기 인조잔디기포층의 폭 방향 양쪽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상기 텐터기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인조잔디기포층을 고온의 챔버의 내부 일측에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의 챔버 내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는, 상기 발포된 발포제를 적외선 히터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는, 상기 발포된 발포제를 90℃ ~ 100℃로 가열시키는 제1가열단계; 상기 제1가열단계 이후에, 170℃ ~ 190℃로 가열시키는 제2가열단계; 상기 제2가열단계 이후에, 160℃ ~ 180℃로 가열시키는 제3가열단계; 상기 제3가열단계 이후에, 150℃ ~ 170℃로 가열시키는 제4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단계 내지 제4가열단계는, 상기 인조잔디기포층의 하측면부터 발포된 발포제의 외측면으로 가면서 발포제가 경화되고, 상기 인조잔디파일 측인 인조잔디기포층의 상측면은, 상기 제1가열단계 내지 제4가열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140℃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를 거쳐 경화된 발포제의 외측면에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싱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단계는,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를 거친 고온상태의 경화된 발포제 외측면에 엠보판을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가압된 엠보판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및 상기 제거단계에서 엠보판이 제거됨에 따라 엠보가 형성된 고온상태의 경화된 발포제를 냉각팬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판은, 10℃ ~ 15℃이며, 상기 냉각단계를 거쳐 냉각된 발포제의 외측면에 형성된 엠보는, 저온의 엠보판과 냉각팬의 급속냉각에 의해 상기 경화된 발포제에 형성된 엠보가 탄성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고발포로 경량화 및 불연성을 갖으며, 친환경적이며, 계절의 변화 상관없이 인조잔디파일을 항상 푸르게 유지하여 사후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적외선온도변화를 통해 발포된 발포제의 내부, 중간, 외측 순으로 경화시킴에 따라 발포된 발포제의 내부전체적으로 고르게 경화시킬 수 있어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냉각단계를 거쳐 냉각된 발포제의 외측면에 저온의 엠보판과 냉각팬을 이용하여 엠보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의 지지층 경화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의 엠보싱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은, 발포제 제조단계(S10), 지지층 제조단계(S20), 지지층 평탄단계(S30), 지지층 경화단계(S40)및 엠보싱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는 도 4를 기준으로, 인조잔디기포층(1)의 상부에 인조잔디파일(2)이 심어져 있고, 인조잔디파일(2)의 하부에 지지층(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인조잔디파일(2)을 인조잔디기포층(1)에 심는 과정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은, 미리 인조잔디파일(2)이 심어진 인조잔디기포층(1)의 하측면에 지지층(12)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발포제 제조단계(S10)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가소재를 혼합한 융해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그 융해물에 에어를 투입시키며, 융해물과 에어를 믹싱한다. 즉, 융해물과 에어를 혼합시키며 믹싱하여 발포제(3)를 제조한다.
여기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은 3mm 내지 60mm 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소재는, 친환경 가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층 제조단계(S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발포제(3)를 인조잔디파일(2)이 하향하도록 배치시킨 인조잔디기포층(1)의 하측면에 발포하여 지지층(12)을 제조한다.
또한, 지지층 제조단계(S20)는, 발포제(3)에 에어를 1분당 1 내지 4ℓ의 양을 투입하며 발포제(3)를 에어와 함께 토출시킨다. 이때, 발포제(3)는 고발포형으로 발포되어 지지층(12)이 제조된다.
이때, 지지층 제조단계(S20)는, 발포제(3)에 에어의 투입량을 줄여 저발포형으로 발포할 수도 있어, 지지층(12)은 에어의 투입 조절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즉, 고발포형 또는 저발포형으로 발포제(3)가 발포되어 지지층(12)이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조밀한 지지층(12)의 밀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불연성을 갖음에 따라 화재에 대해서 안전하다.
지지층 평탄단계(S30)는, 지지층 제조단계(S20)에서 발포된 발포제(3)의 외측면을 평탄화한다.
또한, 지지층 평탄단계(S30)는, 원형 나이프 또는 평면 나이프를 이용하여 발포된 발포제(3)의 두께가 1mm 내지 10mm 되도록 발포제(3)의 외측면을 평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의 지지층 경화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지지층 경화단계(S40)는, 지지층 평탄단계(S30) 이후에, 발포된 발포제(3)를 경화시킨다.
또한, 지지층 경화단계(S40)는, 고정단계,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고정단계는, 텐터기(미도시)에 인조잔디기포층(1)의 폭 방향 양쪽을 고정시킨다. 이때, 인조잔디파일(2)은 인조잔디기포층(1)의 하측에 배치되고, 발포된 발포제(3)는 인조잔디기포층(1)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텐터기에 인조잔디기포층(1)의 폭 방향 양쪽이 고정되어 인조잔디기포층(1)의 중앙부가 처지지 않으며 발포된 발포제(3)가 중앙부로 쏠리지 않아 고른 두께로 경화될 수 있다.
이동단계는, 텐터기가 작동됨에 따라 인조잔디기포층(1)을 고온의 챔버(9)의 내부 일측에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고온의 챔버(9) 내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층 경화단계(S40)는, 발포된 발포제(3)를 적외선 히터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층 경화단계(S40)는, 인조잔디기포층(1)이 텐터기에 결합되고 챔버(9)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1번의 가열단계를 먼저 거친다. 그리고, 지지층 경화단계(S40)는, 고온의 챔버(9)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3번의 가열단계를 거친다.
즉, 지지층 경화단계(S40)는, 4번의 가열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가열단계는, 인조잔디기포층(1)이 텐터기에 결합되어 챔버(9)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챔버(9) 외부에서 제1가열기(5)로 발포된 발포제(3)를 90℃ ~ 100℃로 가열시킨다.
그리고, 제2가열단계는, 제1가열단계 이후 즉, 챔버(9) 내부로 들어가면서, 발포된 발포제(3)를 170℃ ~ 190℃로 가열시킨다. 다시 말해, 챔버(9)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2가열기(6)에 의해서 일측 온도는 170℃ ~ 190℃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175℃ ~ 190℃로 유지된다.
그리고, 제3가열단계는, 제2가열단계 이후에, 발포된 발포제(3)를 160℃ ~ 180℃로 가열시킨다. 즉, 챔버(9) 내부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3가열기(7)에 의해서 중가부 온도는 160℃ ~ 180℃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160℃ ~ 175℃로 유지된다.
제4가열단계는, 제3가열단계 이후에, 발포된 발포제(3)를 150℃ ~ 170℃로 가열시킨다. 또한, 챔버(9) 내부 타측에 설치된 제4가열기(8)에 의해서 타측 온도는 150℃ ~ 170℃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150℃ ~ 160℃로 유지된다.
즉, 제1가열단계는, 발포된 발포제(3)의 외측면을 경화시켜 텐터기를 따라 이동중에 외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가열단계 내지 제4가열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9)의 내부에서 인조잔디기포층(1)과 인접면(하부)으로부터 발포된 발포제(3)의 외측면(상부)으로 가면서 발포제(3)가 경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적외선 히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고온에서 적외선의 침투력이 강하기 때문에 고온을 통해서 발포된 발포제(3)의 하부를 먼저 경화시키고, 온도를 낮추며 중간부분 및 외측을 경화시킨다. 만약, 발포된 발포제(3)의 외측면을 가열시킨 뒤, 중간부, 하부를 가열시킬 경우에는 이미 상부가 경화되어 적외선의 침투가 어렵고 고온에 의해 타버릴 수 있다. 따라서, 챕버(9)의 내부에서 고온에서 저온으로 온도변화를 통해 발포된 발포제(3)의 하부, 중간부, 상부 순으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조잔디파일(2) 측인 인조잔디기포층(1)의 상측면은, 제1가열단계 내지 제4가열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140℃ 이하로 유지시켜 발포된 발포제(3)를 경화 및 인조잔디파일(2)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의 엠보싱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은 엠보싱단계(S50)를 더 포함한다.
엠보싱단계(S50)는, 지지층 경화단계(S40)를 거쳐 경화된 발포제(3)의 외측면에 엠보(13)를 형성한다.
여기서, 엠보(13)는, 볼록과 오목이 반복된 것이나, 특정한 무늬일 수 있다.
엠보싱단계(S50)는, 가압단계, 제거단계 및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가압단계는, 지지층 경화단계(S40)를 거친 고온상태의 경화된 발포제(3) 외측면에 엠보판(10)을 가압한다.
여기서, 엠보판(10)은, 10℃ ~ 15℃인 동시에, 고온의 경화된 발포제(3)에 가열되더라도 그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냉수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단계는, 가압단계에서 가압된 엠보판(10)을 제거한다.
이때, 경화된 발포제(3)의 외측면에 엠보(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층(12)의 재질 및 가소제의 성질 때문에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기 때문에 곧바로 냉각단계가 이루어진다.
냉각단계는, 제거단계에서 엠보판(10)이 제거됨에 따라 엠보(13)가 형성된 고온상태의 경화된 발포제(3)를 냉각팬(11)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팬(11)을 이용하여 엠보(13)가 형성된 고온상태의 경화된 발포제(3)를 급속냉각시켜 탄성력에 의한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냉각단계를 거쳐 냉각된 발포제(3)의 외측면에 형성된 엠보(13)는, 저온의 엠보판(10)과 냉각팬(11)의 급속냉각에 의해 경화된 발포제(3)에 형성된 엠보(13)가 탄성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인조잔디는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인조잔디파일(2), 인조잔디기포층(1) 및 지지층(12)을 포함한다.
인조잔디파일(2)은 인조잔디기포층(1)의 상측면에 심어진다.
지지층(12)은, 인조잔디기포층(1)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층(12)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가소재를 혼합한 융해물에 에어가 포함된 고발포형 또는 저발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층(12)의 외측면에는 엠보(13) 또는 특정무늬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는 지지층(12)이 고발포형 또는 저발포형으로 이루어져 경량이며, 실내 배란다, 실내 인테리어, 레저시설, 경기장 등에 용이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연성 및 친환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계절의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푸르게 유지할 수 있어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기포층 2: 파일
3: 발포제 5: 제1가열기
6: 제2가열기 7: 제3가열기
8: 제4가열기 9: 챔버
10: 엠보판 11: 냉각팬
12: 지지층 13: 엠보

Claims (10)

  1. 인조잔디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가소재를 혼합한 융해물에 에어를 투입시키며, 상기 융해물과 에어를 믹싱하여 발포제를 제조하는 발포제 제조단계;
    상기 발포제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발포제를 인조잔디파일이 하향하도록 배치시킨 인조잔디기포층의 하측면에 발포하는 지지층 제조단계;
    상기 지지층 제조단계에서 발포된 발포제의 외측면을 평탄화하는 지지층 평탄단계;
    상기 지지층 평탄단계 이후에, 상기 발포제의 상측에서 제1가열기와 챔버를 통해 상기 발포제를 복수단계로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지지층 경화단계; 및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를 거쳐 경화된 발포제의 외측면에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제1가열기를 통해 90℃ ~ 100℃로 가열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제2가열기와 제3가열기 및 제4가열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포제를 190℃ ~ 150℃의 범위에서 복수단계로 온도를 낮추면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은, 3mm 내지 60mm 의 길이를 갖고,
    상기 가소재는, 친환경 가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평탄단계는,
    원형 나이프 또는 평면 나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된 발포제의 두께가 1mm 내지 10mm 되도록 발포제의 외측면을 평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는,
    상기 발포된 발포제를 적외선 히터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는,
    상기 발포된 발포제를 제1가열기를 통해 90℃ ~ 100℃로 가열시키는 제1가열단계;
    상기 제1가열단계 이후에, 제2가열기를 통해 170℃ ~ 190℃로 가열시키는 제2가열단계;
    상기 제2가열단계 이후에, 제3가열기를 통해 160℃ ~ 180℃로 가열시키는 제3가열단계;
    상기 제3가열단계 이후에, 제4가열기를 통해 150℃ ~ 170℃로 가열시키는 제4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단계 내지 제4가열단계는, 상기 인조잔디기포층의 하측면부터 발포된 발포제의 외측면으로 가면서 발포제가 경화되고,
    상기 인조잔디파일 측인 인조잔디기포층의 상측면은, 상기 제1가열단계 내지 제4가열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140℃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제조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단계는,
    상기 지지층 경화단계를 거친 고온상태의 경화된 발포제 외측면에 엠보판을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가압된 엠보판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및
    상기 제거단계에서 엠보판이 제거됨에 따라 엠보가 형성된 고온상태의 경화된 발포제를 냉각팬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판은, 10℃ ~ 15℃이며,
    상기 냉각단계를 거쳐 냉각된 발포제의 외측면에 형성된 엠보는, 저온의 엠보판과 냉각팬의 급속냉각에 의해 상기 경화된 발포제에 형성된 엠보가 탄성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제조방법.
  10.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KR1020140027416A 2014-03-07 2014-03-07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16A KR101676843B1 (ko) 2014-03-07 2014-03-07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16A KR101676843B1 (ko) 2014-03-07 2014-03-07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46A KR20150105146A (ko) 2015-09-16
KR101676843B1 true KR101676843B1 (ko) 2016-11-17

Family

ID=5424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16A KR101676843B1 (ko) 2014-03-07 2014-03-07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8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44B1 (ko) 2020-02-06 2020-09-14 박준혁 탄성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성인조잔디매트
KR102555184B1 (ko) 2022-12-05 2023-07-13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코팅 경화 시스템
KR20240048856A (ko) 2022-10-07 2024-04-16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코팅 경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3578B (zh) * 2017-01-03 2018-08-24 广东护城高新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分子塑钢组合板桩
CN106632870B (zh) * 2017-01-04 2018-10-02 广东护城高新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高分子抗冲击塑钢板桩
KR102304524B1 (ko) * 2020-04-07 2021-09-27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인조잔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2126B1 (ko) * 2021-03-31 2022-04-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85B1 (ko) * 2003-01-14 2005-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음기능을 가지는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8008B1 (ko) * 2008-04-25 2009-07-16 주식회사 폴리쉘 발포시트 제조방법
KR101112985B1 (ko) * 2011-02-11 2012-02-24 주식회사 유신섬유 벌키성 인조잔디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468A (ja) * 1992-12-25 1994-07-12 Three Bond Co Ltd 近赤外光硬化型発泡樹脂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ガスケット複合部材の製造方法
KR101106577B1 (ko) 2011-10-18 2012-01-19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고투수성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85B1 (ko) * 2003-01-14 2005-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음기능을 가지는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8008B1 (ko) * 2008-04-25 2009-07-16 주식회사 폴리쉘 발포시트 제조방법
KR101112985B1 (ko) * 2011-02-11 2012-02-24 주식회사 유신섬유 벌키성 인조잔디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44B1 (ko) 2020-02-06 2020-09-14 박준혁 탄성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성인조잔디매트
KR20240048856A (ko) 2022-10-07 2024-04-16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코팅 경화 시스템
KR102555184B1 (ko) 2022-12-05 2023-07-13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코팅 경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46A (ko)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843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TWI755582B (zh) 鞋物件及其製作方法及利用共用模具製造多個不同的鞋物件的方法
US4617208A (en) Non-directional, synthetic, outdoor carpet
KR101398802B1 (ko) 열차단 기능의 인조잔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US20070286982A1 (en)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CN104088435B (zh) 免胶铺装止滑地板
KR102128227B1 (ko) 인라인으로 구성된 인조가죽 제조장치 및 인조가죽 제조방법
US20080261004A1 (en) Textile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JP2020197115A (ja) 全量回収可能な人工芝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101988259B1 (ko) 침수 후 인발력 및 직배수력이 뛰어난 4중 구조의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101587741B1 (ko) 친환경 폴리우레탄 인조잔디 백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매트 제조방법
US5763001A (en) Resurfaced carpe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N110439219A (zh) 微发泡塑胶地板及其生产工艺
US3573142A (en) Molded thermoplastic artificial sod having a fabric backing
KR101370799B1 (ko)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27100B1 (ko) 인조 잔디 제조 방법
JP4966037B2 (ja) 人工芝生及び人工芝生の製造方法
KR102077798B1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4724B1 (ko) 비선형 인조잔디 파일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5920A (ko)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US8118967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KR102651654B1 (ko) 재활용 가능한 인조잔디매트 및 상기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CN106111456A (zh) 一种生产快速渗液式人造草坪的涂胶发泡破裂成型设备
KR101977179B1 (ko)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이용한 골프장 티 꽂이 매트 제조방법
JP2851241B2 (ja) 人工芝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