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725B1 -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725B1
KR101676725B1 KR1020150093522A KR20150093522A KR101676725B1 KR 101676725 B1 KR101676725 B1 KR 101676725B1 KR 1020150093522 A KR1020150093522 A KR 1020150093522A KR 20150093522 A KR20150093522 A KR 20150093522A KR 101676725 B1 KR101676725 B1 KR 101676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elect
shift
cylin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길
조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5009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16H2063/204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the gear shift lever being the immediate final actuating mechanism, e.g. the shift finger being a part of the gear shift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L형 레버를 매개로 상호 연동되는 셀렉트로드와 시프트로드를 갖춘 복동형 편로드 실린더 한 쌍을 서로 근접하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보다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구동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Gear actuator of Dual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은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에서 기어 셀렉팅 및 시프팅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를 기반으로 하고 2개의 클러치를 구비한 변속기이다. 2개의 클러치가 각각 홀수단 기어와 짝수단 기어로의 동력 전달을 나누어 맡고 있어서, 하나의 클러치에 연결된 변속단으로 운행 중에 다른 하나의 클러치에 연결된 변속단의 기어를 미리 연결해 두고 나중에 해당 클러치를 연결함으로써 동력을 단절 없이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동력 손실이 적어 연비가 우수하므로 점차 널리 적용되고 있다.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클러치 부분에서 2개의 클러치를 각각 작동시키는 2개의 클러치 액추에이터와, 변속 기어 부분에서 변속단의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을 위한 4개의 기어 액추에이터(홀수단 셀렉트, 짝수단 셀렉트, 홀수단 시프트, 짝수단 시프트), 총 6개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한다.
종래 기어 액추에이터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4295호(선행문헌 1)에 게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게시된 기어 액추에이터는 셀렉팅을 위한 제1모터(2) 및 시프팅을 위한 제2모터(7)와, 제1모터(2)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레일로드(3), 회전레일로드(3)에 치합되어 좌우 이동함으로써 단부에 구비된 핑거(32)를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로드(31), 제2모터(7)의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기어(8)와, 회전기어(8)에 치합되어 전후 이동되는 직진레일로드(34)와, 직진레일로드(34)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핑거(32)의 전/후에 배치되어 핑거(32)를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35,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모터(2)의 작동으로 핑거(32)가 시프팅을 수행할 러그(40)로 이동하고(=셀렉팅), 이후 제2모터(7)의 작동으로 핑거(32)가 러그(40)를 목적하는 변속단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프팅)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랙로드(31), 가이드로드(35,36) 등의 부품들이 실제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는 러그(40) 설치 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이들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역시 길이가 긴 회전레일로드(3)와 직진레일로드(34) 등이 설치되며, 이들 회전레일로드(3)와 직진레일로드(34)를 구동하도록 각각 제1모터(2)와 제2모터(7)가 상이한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기어 액추에이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다 구성이 간단하고 컴팩트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구동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셀렉트실린더와 시프트실린더, 상기 셀렉트실린더와 시프트실린더에 각각 구비되고 피스톤이 서로 반대쪽 단부에 설치된 셀렉트로드와 시프트로드, 상기 셀렉트로드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시프트로드를 양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레버, 상기 시프트로드의 회동에 의해 시프트로드의 하방에 배치된 한 쌍의 러그 중 한 러그의 러그홈에 삽입되는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로드에 셀렉트로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핀가이드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로드에 시프트로드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핀가이드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레버는 중간 부분이 케이스 상부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부에 구비된 제1핀이 제1핀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타단부에 구비된 제2핀이 제2핀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핀가이드의 하면에 상기 핑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셀렉트로드의 이동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디텐트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텐트 기구는 셀렉트로드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과,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볼과, 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케이스의 상부 벽면에서 하방으로 관통홀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볼과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보스와, 보스의 관통홀 상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가압하는 캡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새로운 방식의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유압실린더로는 4개의 복동형 편로드 실린더를 이용하되, 서로 이웃한 유압실린더들의 피스톤이 서로 반대쪽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액추에이터를 얻을 수 있다.
피스톤로드(셀렉트로드 및 시프트로드)들이 모두 근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러그 설치 부분으로부터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축소하기에 유리하다.
삭제
또한 셀렉트 작동을 담당하는 피스톤로드에 디텐트 기구가 구비됨으로써 셀렉트 작동 후 무부하 상태에서 셀렉트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원하는 변속단으로의 정확한 시프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변속기케이스의 기어 액추에이터 설치 부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변속기 기어 액추에이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변속기 기어 액추에이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View A)로서 시프트로드의 피스톤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변속기케이스에서 기어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로 지칭함)가 장착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변속기 케이스에 개구(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1)의 주변에 액추에이터의 케이스가 안착되는 장착좌면(2)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좌면(2)에는 변속기 케이스와 액추에이터 케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1)의 형상은 액추에이터 하면의 개구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도 1에서는 개략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개구(1)의 내부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셀렉트 및 시프트될 러그(10)들이 정렬되어 있다. 러그(10)가 장착된 시프트레일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변속기 기어 액추에이터의 외관 사시도 즉, 액추에이터 케이스(2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상자 형상의 메인하우징(21) 양 측면에 각각 셀렉트실린더(22,24)와 시프트실린더(23,25)가 형성되어 있다.
셀렉트실린더(22,24)는 제1셀렉트실린더(22)와 제2셀렉트실린더(24)가 구비되고, 시프트실린더(23,25)는 제1시프트실린더(23)와 제2시프트실린더(25)가 구비되는데, 제1셀렉트실린더(22)와 제1시프트실린더(23)가 홀수단의 셀렉트와 시프트 조작을 담당하고, 제2셀렉트실린더(24)와 제2시프트실린더(25)가 짝수단의 셀렉트와 시프트 조작을 담당한다.
즉 본 발명은 4개의 복동형 편로드 실린더를 하나의 액추에이터 케이스(20)에 구성한 것이며, 특히 이웃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구비된 피스톤이 서로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기어 액추에이터의 크기(폭)를 감소시킨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시프트실린더(23,25)들이 액추에이터 케이스(20)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부에 근접 배치되고, 그 양쪽 외측으로 제1 및 제2 셀렉트실린더(22,24)가 각각 배치되되, 시프트실린더(23,25)들의 피스톤 위치가 서로 반대이고, 셀렉트실린더(22,24)들의 피스톤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홀수단용 유압실린더와 짝수단용 유압실린더 각각에 있어서도, 제1셀렉트실린더(22)와 제1시프트실린더(23)의 피스톤 위치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2셀렉트실린더(24)와 제2시프트실린더(25)의 피스톤 위치 또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메인하우징(21) 내부에는 제1셀렉트로드(30)와 제1시프트로드(40) 및 제2셀렉트로드(50)와 제2시프트로드(60)가 설치된다. 제1시프트로드(40)와 제2시프트로드(60)가 내측에 배치되고, 제1셀렉트로드(30)와 제2셀렉트로드(50)가 외측에 배치된다.
각 로드(30,40,50,60)의 단부에는 피스톤(31,41,51,61)이 구비된다. 각 피스톤(31,41,51,61)들은 해당 실린더(22,23,24,25)에 내장되어 유압을 전달받아(각 실린더로는 유압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결된 로드(30,40,50,60)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각 로드(30,40,50,60)들의 타단은 케이스(20)에서 실린더(22,23,24,25)가 형성된 반대쪽에 마련된 가이드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즉 제1셀렉트로드(30)의 피스톤(31)은 제1셀렉트실린더(22)에 설치되고, 제1시프트로드(40)의 피스톤(41)은 제1시프트실린더(23)에 설치되며, 제2셀렉트로드(50)의 피스톤(51)은 제2셀렉트실린더(24)에 설치되고, 제2시프트로드(60)의 피스톤(61)은 제2시프트실린더(25)에 설치되어 각각의 실린더(22,23,24,25)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셀렉트 작동은 핑거를 셀렉트 위치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는데 반해 시프트 작동은 러그와 러그에 연결된 시프트레일 및 그에 연결된 동기 기구들을 작동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셀렉트피스톤(31,51)에 비해 시프트피스톤(41,6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
제1셀렉트로드(30)와 제1시프트로드(40)는 제1레버(70)에 의해 연결된다. 제1레버(7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는 볼트(71)로 케이스(20) 상부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양 단부에는 각각 제1핀(72)과 제2핀(73)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제1레버(70)를 매개로 제1셀렉트로드(30)에 제1시프트로드(40)를 연동 회동시키기 위하여 제1셀렉트로드(30)에는 제1핀가이드(32)가 고정 설치되고 제1시프트로드(40)에는 제2핀가이드(42)가 고정 설치된다.
제1핀가이드(32)는 제1셀렉트로드(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의 가이드홈(32a)이 형성되고, 제2핀가이드(42)는 제1시프트로드(4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가이드홈(42a)이 형성된다.
제1레버(70)의 제1핀(72)은 제1핀가이드(32)의 가이드홈(32a)에 삽입되고, 제2핀(73)은 제2핀가이드(42)의 가이드홈(42a)에 삽입된다. 각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양측 돌출턱들은 각 핀의 이동을 억제하는 걸림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2셀렉트로드(50)와 제2시프트로드(60)는 제2레버(80)에 의해 연결된다. 이들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1셀렉트로드(30)와 제1시프트로드(40)가 제1레버(7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1;볼트, 82;제1핀, 83;제2핀, 51:제2셀렉트피스톤, 61:제2시프트피스톤, 52;제1핀가이드, 62:제2핀가이드)
한편, 홀수단용 기어 액추에이터에서 제2핀가이드(42)의 하단에는 도 4와 같이 제1핑거(42b)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액추에이터 비 작동 상태에서 제1핑거(42b)는 제1러그(11)와 제2러그(12)의 사이에 위치해 있는다.
마찬가지로 짝수단용 기어 액추에이터에서 제2핀가이드(62)의 하단에는 제2핑거(62b)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핑거(62b) 역시 액추에이터 비 작동 상태에서 제3러그(13)와 제4러그(14)의 사이에 위치해 있는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트로드의 셀렉트 작동 후 무부하 상태에서 그 상태(셀렉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디텐트 기구를 구비한다.
즉 제2셀렉트로드(5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3열의 걸림홈(53)이 형성되고, 걸림홈(53)이 형성된 위치의 상부에 해당되는 케이스(20)의 메인하우징(21) 상부 내벽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보스(21a)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스(21a)의 관통홀에 볼(90)과 스프링(91)이 삽입되고, 관통홀의 상부에 스프링(91)을 가압하는 캡(92)이 장착된다. 따라서 스프링(9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볼(90)이 상기 세 걸림홈(53) 중 하나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제2셀렉트로드(50)의 전후방향 위치를 잡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텐트 기구는 제1셀렉트로드(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셀렉트실린더(22)의 유압 상태에 따라 제1셀렉트로드(30)는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한다. 제1셀렉트로드(30)가 전진(피스톤(31) 반대쪽 방향)하면 제1핀가이드(32)가 전진함으로써 제1레버(70)가 볼트(7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핀가이드(42)가 시계 방향(View A)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제2핀가이드(42) 하단의 제1핑거(42b)는 중립위치에서 제1러그(11)의 러그홈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1셀렉트로드(30)가 후진(피스톤(31)쪽 방향)하면 제1핀가이드(32)가 후진함으로써 제1레버(7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핀가이드(42)가 반시계 방향(View A)으로 회동되고, 이에 제2핀가이드(42)의 핑거(42b)는 중립위치에서 제2러그(12)의 러그홈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제1셀렉트로드(3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제1러그(11) 또는 제2러그(12)중 하나가 셀렉트된 후에는 제1시프트실린더(23)에 작용하는 유압 상태에 따라서 제1시프트로드(40)가 전진(피스톤(41) 반대쪽 방향) 또는 후진(피스톤(41)쪽 방향) 이동하게 된다.
제1시프트로드(40)가 전진하면 제2핀가이드(42)가 전진하므로 핑거(42b)가 셀렉트된 러그(11 또는 12 중의 하나)를 전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고, 제1시프트로드(40)가 후진하면 제2핀가이드(42) 역시 후진하므로 핑거(42b)가 셀렉트된 러그(11 또는 12 중의 하나)를 후진 방향으로 시프트시킨다.
상기와 같이 셀렉트된 러그가 시프트됨으로써 그 방향의 시프트 작동시 연결되도록 설계된 변속단의 기어열이 상호 동기 회전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진 방향으로 시프트된 상태의 제1시프트로드(40)는 후진량에 따라 원래의 중립위치로 복귀하거나 또는 러그를 후진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해당 러그의 후진 방향 시프트시 연결되도록 설계된 변속단으로의 변속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홀수단 기어 액추에이터의 셀렉트 및 시프트 작동은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짝수단 기어 액추에이터의 셀렉트 및 시프트 작동과 동일하므로 짝수단 기어 액추에이터의 셀렉트 및 시프트 작동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짝수단 기어 액추에이터는 제2셀렉트로드(5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제2핀가이드(62)의 제2핑거(62b)가 제3러그(13) 또는 제4러그(14) 중 하나를 셀렉트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제2시프트로드(6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셀렉트된 러그(13 또는 14 중 하나)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해당 방향 시프트시 연결되도록 설계된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2셀렉트로드(50)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렉트로드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걸려지는 볼과 볼을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텐트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과 걸림홈의 걸림 작동에 의해 셀렉트로드들이 전진 또는 후진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러그 셀렉팅이 이루어지고 시프팅이 이루어지기 전에 핑거(42b,62b)의 셀렉트 위치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이후의 시프트 작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홀수단 기어 액추에이터는 제1러그(11)와 제2러그(12)를 셀렉트 및 시프트하여 홀수단 변속을 담당하고, 짝수단 기어 액추에이터는 제3러그(13)와 제4러그(14)를 셀렉트 및 시프트하여 짝수단 변속(후진(R) 변속단 포함)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러그(11)가 1단/3단, 제2러그(12)가 5단/7단을 담당하고, 제3러그(13)가 2단/4단, 제4러그(14)가 6단/R단을 담당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어 액추에이터는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들의 피스톤 위치가 이웃한 유압실린더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되는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기어 액추에이터를 매우 단순하고 캠팩트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홀수단과 짝수단 기어 액추에이터의 구성이 동일함으로써 공용되는 부품이 많아 원가 절감에 도움이 된다.
또한 중량체인 모터 대신 유압을 이용하므로 액추에이터 자체의 중량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러그 20 : 케이스
21 : 메인하우징 22 : 제1셀렉트실린더
23 : 제1시프트실린더 24 : 제2셀렉트실린더
25 : 제2시프트실린더 30 : 제1셀렉트로드
40 : 제1시프트로드 50 : 제2셀렉트로드
60 : 제2시프트로드 31,41,51,61 : 피스톤
32,52 : 제1핀가이드 42,62 : 제2핀가이드
42b,62b : 핑거 53 : 걸림홈
70 : 제1레버 80 : 제2레버
90 : 볼 91 : 스프링
92 : 캡

Claims (6)

  1.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셀렉트실린더와 시프트실린더;
    상기 셀렉트실린더와 시프트실린더에 각각 구비되고 피스톤이 서로 반대쪽 단부에 설치된 셀렉트로드와 시프트로드;
    상기 셀렉트로드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시프트로드를 양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레버;
    상기 시프트로드의 회동에 의해 시프트로드의 하방에 배치된 한 쌍의 러그 중 한 러그의 러그홈에 삽입되는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로드에 셀렉트로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핀가이드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로드에 시프트로드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핀가이드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레버는 중간 부분이 케이스 상부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부에 구비된 제1핀이 제1핀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타단부에 구비된 제2핀이 제2핀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핀가이드의 하면에 상기 핑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로드의 이동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디텐트 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텐트 기구는 셀렉트로드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과,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볼과, 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케이스의 상부 벽면에서 하방으로 관통홀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볼과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보스와, 보스의 관통홀 상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가압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6. 삭제
KR1020150093522A 2015-06-30 2015-06-30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KR101676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22A KR101676725B1 (ko) 2015-06-30 2015-06-30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22A KR101676725B1 (ko) 2015-06-30 2015-06-30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725B1 true KR101676725B1 (ko) 2016-11-17

Family

ID=5754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522A KR101676725B1 (ko) 2015-06-30 2015-06-30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7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4267A (ja) * 1989-12-22 1991-08-23 Jidosha Kiki Co Ltd 変速機操作装置
JP2009127663A (ja) * 2007-11-20 2009-06-11 Keihin Seimitsu Kogyo Kk 変速操作機構
KR20110011250A (ko) * 2009-07-28 2011-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클러치변속기의 변속장치
US20150068342A1 (en) * 2012-05-18 2015-03-12 Isuzu Motors Limited Vehicular transmiss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4267A (ja) * 1989-12-22 1991-08-23 Jidosha Kiki Co Ltd 変速機操作装置
JP2009127663A (ja) * 2007-11-20 2009-06-11 Keihin Seimitsu Kogyo Kk 変速操作機構
KR20110011250A (ko) * 2009-07-28 2011-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클러치변속기의 변속장치
US20150068342A1 (en) * 2012-05-18 2015-03-12 Isuzu Motors Limited Vehicular transmiss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6378B1 (en) Gear shift device of gearbox
US8505403B2 (en) Gear shifting actuator and method of shifting gear ratios
CN103827554B (zh) 用于档位段触发器的变速器超速档拨叉位置传感器
KR100996761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US20130305855A1 (en) Gear change actuator
EP0873483B1 (en) Gear-selection mechanisms and a gearbox
KR100933122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CN206958230U (zh) 挡位及槽道(xy)变速传动调节器
CN109114218B (zh) 手动变速器的变速机构
KR101676725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IT1315661B1 (it) Dispositivo per il comando sequenziale di cambi con azionamento aselezione ed innesto per veicoli a motore
KR101512226B1 (ko) 하나의 축을 이용한 농기계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1714656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오작동 방지 장치
EP3249265B1 (en) Shift fork module
KR101592643B1 (ko) 기어 시프트 유닛
KR10151924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JP6231802B2 (ja) 走行伝動装置
KR20110121275A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액츄에이터
CN205383249U (zh) 换挡操作机构、分动器和车辆
JP495770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KR100236225B1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JP5159564B2 (ja) レンジ式多段変速機
KR101551118B1 (ko) 차량용 변속 레버의 셋보드
CN114688247A (zh) 一种双离合预置档位操纵机构
CN103423430A (zh) 手动换挡机构及变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