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182B1 -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182B1
KR101676182B1 KR1020150113909A KR20150113909A KR101676182B1 KR 101676182 B1 KR101676182 B1 KR 101676182B1 KR 1020150113909 A KR1020150113909 A KR 1020150113909A KR 20150113909 A KR20150113909 A KR 20150113909A KR 101676182 B1 KR101676182 B1 KR 10167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witching operation
switching
uni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태호
최양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1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는 수냉대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상기 밸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된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전환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전환위치검출 센서부;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밸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전환동작시간, 및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trolling valve in water cooler}
본 발명은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재의 품질 향상과 실수율 향상을 충족하기 위하여 선, 후단부 품질 향상과 미수냉부에 의한 스크랩 처리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미수냉 거리 제어의 정확도 및 코블(Cobble) 최소화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HMD(Hot Metal Detector)와 롤 속도 제어를 이용한 선재 트래킹 제어방식으로 미수냉 거리를 제어와 수냉대 밸브의 동작지연시간을 보상하여 정확한 밸브의 온/오프 동작전환시간을 제어하였다.
하지만, 수냉대 밸브의 온/오프 동작전환시간은 밸브 제조사에서 정해준 값만을 참조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시간경과에 따른 밸브의 동작변화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밸브를 수냉대에서 분해하여 고속카메라를 통해 체크하는 등 많은 노력이 필요했으며, 트래킹 제어에 대한 정확도 역시 매번 수동 계산을 통한 확인 등 어려움이 많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53686호 (발명의 명칭: 연속적인 선재압연시의 미수냉부 길이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은 미수냉 거리 제어의 정확도 향상과 수냉대 밸브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는 수냉대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상기 밸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된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전환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전환위치검출 센서부;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밸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전환동작시간, 및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는 소재의 열을 감지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으로 인입되는 인입시점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는,상기 전환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전환동작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전환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전환동작 지연시간 산출부;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이 발생된 수냉대 밸브의 제어동작시점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만큼 앞당기도록 보정하는 지연시간 보정부; 상기 인입시점 및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완료된 시점을 산출하는 이동시간 추적부;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의 상태를 레벨단위로 분류하는 상태 분류부;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동작시점, 상기 전환동작시간, 상기 인입시점, 상기 이송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레벨단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정보 또는 청각정보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환위치검출 센서부는 복수 개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에 위치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방법은 수냉대 지역으로 인입되는 소재의 인입시점 및 이송완료시점을 열 감지 센서 및 모니터링부에서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송완료시점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된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전환위치정보를 전환위치검출 센서부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환동작시간 및 산출된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전환동작시간과 기 설정된 기준전환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이 발생된 수냉대 밸브의 제어동작시점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만큼 앞당기도록 보정하는 단계; 상기 인입시점 및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완료된 이송완료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의 상태를 레벨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동작시점, 상기 전환동작시간, 상기 인입시점, 상기 이송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선재 공정 중 수냉대 지역에 위치한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수냉대 밸브의 동작 상태와 소재(선재)의 위치를 추적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수냉대 밸브들의 전환동작에 따른 지연을 보정함으로써, 수냉대 지역 내에 위치하는 수냉대 밸브들의 분사시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수냉대 밸브 고장시 고장진단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소재의 판파단(Cobble)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람 기능을 통해 고장난 수냉대 밸브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수냉대 공정 시의 밸브 장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지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14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100)는 밸브 제어부(110), 전환위치검출 센서부(120) 및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제어부(110)는 수냉대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V1~Vn) 각각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환위치검출 센서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이 전환된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V1~Vn) 각각의 전환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전환위치검출 센서부(120)는 복수 개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들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에 위치한다.
상기 모니터링부(130)는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밸브 제어부(110)의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V1~Vn)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전환동작시간, 및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100)는 열 감지 센서(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 감지 센서(140)는 수냉대 지역으로 이송되는 소재(S)의 위치를 열 감지를 통해 추적하여, 상기 소재(S)가 상기 수냉대 지역으로 인입되는 인입시점(inlet time)을 제공하는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부(130)는 전환동작 지연시간 산출부(131), 지연시간 보정부(132), 이동시간 추적부(133), 밸브상태 분류부(134) 및 표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연시간 산출부(131)는 상기 전환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전환동작시간과 내부에 기설정된 기준전환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연시간 보정부(132)는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이 발생된 수냉대 밸브의 제어동작시점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만큼 앞당기도록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시간 추적부(133)는 상기 인입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완료된 시점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상태 분류부(134)는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의 상태를 레벨단위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135)는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동작시점, 상기 전환동작시간, 상기 인입시점 및 상기 이송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130)는 상기 밸브상태 분류부(134)에 분류된 레벨단위가 기 설정값 이상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정보 또는 청각정보를 제공하는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개시된 모니터링부(130)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온도 측정부, 영점 보정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 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와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방법(S100)은 도 1의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방법(S100)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된다.
먼저, 수냉대 지역으로 인입되는 소재의 인입시점 및 이송완료시점을 열 감지 센서 및 모니터링부에서 검출(S110)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이송완료시점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밸브 제어부(110)에서 제어(S120)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된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V1~Vn) 각각의 전환위치정보를 전환위치검출 센서부(120)에서 검출(S130)하면, 모니터링부(130)에서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밸브 제어부(110)의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V1~Vn)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환동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V1~Vn) 각각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S140)함으로써, 작업자는 수냉대 밸브(V1~Vn)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40은 아래와 같은 과정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
상기 S140은 상기 전환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전환동작시간과 내부에 기설정된 기준전환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S141)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이 발생된 수냉대 밸브(V1~Vn)의 제어동작시점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만큼 앞당기도록 보정(S142)하는 과정과 상기 인입시점 및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완료된 시점을 산출(S143)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V1~Vn)의 상태를 레벨단위로 분류(S144)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동작시점, 상기 전환동작시간, 상기 인입시점, 상기 이송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대 밸브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선재 공정 중 수냉대 지역에 위치한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수냉대 밸브의 동작 상태와 소재(선재)의 위치를 추적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수냉대 밸브들의 전환동작에 따른 지연을 보정함으로써, 수냉대 지역 내에 위치하는 수냉대 밸브들의 분사시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수냉대 밸브 고장시 고장진단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소재의 판파단(Cobble)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람 기능을 통해 장애발생이 있는 수냉대 밸브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수냉대 공정 시의 밸브 장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110: 밸브 제어부
120: 전환위치검출 센서부
130: 모니터링부
131: 지연시간 산출부
132: 지연시간 보정부
133: 이동시간 추적부
134: 밸브상태 분류부
135: 표시부
140: 열 감지 센서

Claims (9)

  1. 수냉대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온에서 오프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상기 밸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된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전환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전환위치검출 센서부;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밸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전환동작시간, 및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재의 열을 감지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으로 인입되는 인입시점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전환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전환동작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전환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전환동작 지연시간 산출부;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이 발생된 수냉대 밸브의 제어동작시점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만큼 앞당기도록 보정하는 지연시간 보정부;
    상기 인입시점 및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완료된 시점을 산출하는 이동시간 추적부;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의 상태를 레벨단위로 분류하는 상태 분류부;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동작시점, 상기 전환동작시간, 상기 인입시점, 상기 이송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레벨단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정보 또는 청각정보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위치검출 센서부는,
    복수 개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에 위치하는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6. 삭제
  7. 수냉대 지역으로 인입되는 소재의 인입시점 및 이송완료시점을 열 감지 센서 및 모니터링부에서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송완료시점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된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전환위치정보를 전환위치검출 센서부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환동작시간 및 산출된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냉대 밸브들 각각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동작시점을 이용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환동작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전환동작시간과 기 설정된 기준전환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이 발생된 수냉대 밸브의 제어동작시점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만큼 앞당기도록 보정하는 단계;
    상기 인입시점 및 상기 소재가 상기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되는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가 수냉대 지역 내에 이송완료된 이송완료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환동작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수냉대 밸브의 상태를 레벨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위치정보, 상기 제어동작시점, 상기 전환동작시간, 상기 인입시점, 상기 이송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방법.
  9. 삭제
KR1020150113909A 2015-08-12 2015-08-12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67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09A KR101676182B1 (ko) 2015-08-12 2015-08-12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09A KR101676182B1 (ko) 2015-08-12 2015-08-12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182B1 true KR101676182B1 (ko) 2016-11-15

Family

ID=5752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09A KR101676182B1 (ko) 2015-08-12 2015-08-12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7671A (zh) * 2020-10-29 2021-02-05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ar的调节阀状态监测与快速响应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431A (ja) * 1996-03-06 1997-09-16 Toshiba Corp 巻取機温度制御装置
KR19980053686A (ko) 1996-12-27 1998-09-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데이터 출력 버퍼 회로
KR20010036561A (ko) * 1999-10-09 2001-05-07 김영환 온도 모니터링을 이용한 냉각 가스 제어장치
KR20030052625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코일의 착지 조절용 열감지 가이드장치
KR100401999B1 (ko) * 1999-07-23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수냉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431A (ja) * 1996-03-06 1997-09-16 Toshiba Corp 巻取機温度制御装置
KR19980053686A (ko) 1996-12-27 1998-09-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데이터 출력 버퍼 회로
KR100401999B1 (ko) * 1999-07-23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수냉제어방법
KR20010036561A (ko) * 1999-10-09 2001-05-07 김영환 온도 모니터링을 이용한 냉각 가스 제어장치
KR20030052625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코일의 착지 조절용 열감지 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7671A (zh) * 2020-10-29 2021-02-05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ar的调节阀状态监测与快速响应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6347B (zh) 用於操作一電表之方法及裝置
US9129511B2 (en) Presence decid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09724119B (zh) 一种能避免误判保护功能失效的家电类加热器具
KR101676182B1 (ko) 수냉대 밸브 제어감시 장치 및 방법
US1073008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t-rolled steel sheet, steel sheet cutting location setting device, steel sheet cutting location setting method, an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11052441B2 (en) Meandering control device for rolling line
JP2014140154A5 (ko)
WO2019233069A1 (zh) 一种空调器的除霜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US20180143654A1 (en) Warm-up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JP2016156671A (ja) 金属帯エッジ部の欠陥検出方法および金属帯エッジ部の欠陥検出装置
JP2017042813A (ja) サイジングプレス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1746991B1 (ko) 소재 냉각영역 검출 장치 및 선재 냉각영역 검출 방법
JPH03281008A (ja) ヒートストリーク発生の予測方法及び温度センサーロール
CN105529280A (zh) 一种探测烘烤制程中晶圆位置是否倾斜的方法
KR101498897B1 (ko) 압연 소재의 온도편차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224840A1 (en) Equipment Life Diagnostic Device
JP2001208617A (ja) 温度センサー切り換え装置及び切り換え方法
US20190101875A1 (en) Output control unit, outpu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output control unit
US20210325859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fabrication equipment
KR20140091764A (ko) 액츄에이터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액츄에이터의 구동 시간 측정 방법
GB2513653A (en) Hot metal detector
JP6627609B2 (ja) 冷却制御方法及び冷却装置
US20210018267A1 (en) Operation support apparatus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for heat-treatment furnace, and a heat-treatment faci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TWI599656B (zh) 鋼熱軋系統與其溫度控制方法
CN111715860A (zh) 一种在线测量高温板坯宽度尺寸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