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752B1 -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752B1
KR101675752B1 KR1020160076802A KR20160076802A KR101675752B1 KR 101675752 B1 KR101675752 B1 KR 101675752B1 KR 1020160076802 A KR1020160076802 A KR 1020160076802A KR 20160076802 A KR20160076802 A KR 20160076802A KR 101675752 B1 KR101675752 B1 KR 10167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llet
injection hose
collet holde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태
Original Assignee
정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태 filed Critical 정용태
Priority to KR102016007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21D20/028Devices or accesories for injecting a grouting liquid in a bore-ho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의 천공구에 삽입되는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강관이 지름방향으로 팽창하여 지반에 정착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캡에 결합되는 콜렛홀더; 상기 콜렛홀더 후부에 형성된 원추 형상의 요홈에 삽입되는 콜렛; 상기 콜렛홀더의 후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콜렛을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 고정되게 하는 체결너트; 및 상기 콜렛홀더, 상기 콜렛, 및 상기 체결너트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강관 쪽으로 노출되는 주입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콜렛은 상기 콜렛홀더의 요홈에 대응되는 것으로 복수로 분할된 원추 형상의 쐐기로서,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주입호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지반의 천공구에 삽입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강관의 후단부에 콜렛홀더, 콜렛, 체결너트, 및 주입호스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강관의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어 강관이 지름방향으로 팽창하여 지반에 정착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강관 팽창형 록볼트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Inje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panding steel pipe type rock bolt}
본 실시예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록볼트는 암반 등의 지반에 설치하는 지보재로서, 터널 등의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지하구조물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한다.
통상적으로는 지반에 천공구를 형성한 후, 천공구에 록볼트를 삽입하고 몰탈 등의 정착재료를 주입하거나, 천공구에 먼저 정착재료를 주입하고 록볼트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정착재료가 양생되면서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록볼트에 의해, 지반의 변형과 이완이 억제되고, 지하구조물이 안정화되어 지반의 붕괴가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록볼트가 설치된 후 지보효과를 발휘하기까지 정착재료의 양생시간이 필요하므로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정착재료가 양생되기 전에 발파, 굴착하는 경우에는 암반 붕락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록볼트의 설치시 록볼트가 천공구 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등 설치 불량으로 인해 천공구와 록볼트 사이의 공극에 정착재료가 균일하고,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록볼트의 전면접착 성능이 저하되어 지보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시공의 편의성 등에 따라 천공구를 형성함에 따라 천공구의 천공 직경에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정착재료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시공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관 팽창형 록볼트가 개발되어 있다. 강관 팽창형 록볼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진 폴딩부가 형성된 강관과, 상기 강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단부를 밀폐하는 전단캡과,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캡을 포함하고, 이를 천공구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강관에 고압의 유체를 주입하여 강관을 팽창시켜 지반에 정착시켜 설치하는 록볼트이다.
그러나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강관을 팽창시키기 위해 유체를 고압으로 주입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유체의 누출이 과다하여 효율이 떨어지거나, 유체가 주위로 비산되거나 바닥으로 누출됨으로 인하여 작업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입하는 유체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강관이 하향경사로 설치되는 경우 팽창 후 강관 내의 물이 배수되지 않아 강관이 부식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강관이 상향경사라 하더라도 팽창 후 하측으로 자연 배수됨으로써 바닥이 젖게 되어 작업이 불편하거나, 또는 완전 배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8472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2822 특허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1875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콜렛홀더, 콜렛, 체결너트, 주입호스, 고압발생장치, 진공흡입장치를 포함하고, 특히, 강관의 후단부에 고정된 후단캡에 콜렛홀더를 체결한 후에,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형성된 요홈에 콜렛을 삽입하고, 상기 콜렛홀더에 체결너트를 나사체결함으로써,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호스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유체 주입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너트와 콜렛홀더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입호스의 전방부에 플랜지를 형성하거나, 주입호스의 전방부를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주입호스의 전방부에 별개의 밀폐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주입호스가 콜렛홀더에 긴밀하게 설치되어 유체의 누출이나 압력의 손실 없이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입호스의 후단부에 고압발생장치와 진공흡입장치를 병렬로 구비하고, 레버를 이용하여 주입호스가 고압발생장치 또는 진공흡입장치로 연결되도록 전환함으로써, 고압발생장치를 작동시켜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강관을 팽창, 천공구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강관이 팽창된 후에는 진공흡입장치를 작동시켜 강관 내부의 유체를 진공 흡입하여 간편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고,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진 폴딩부가 형성된 강관과, 상기 강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단부를 밀폐하는 전단캡과,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캡을 포함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에 유체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강관을 지름방향으로 팽창시켜 지반의 천공구에 정착시키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단캡에 결합되며, 후부에 원추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콜렛홀더;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되는 콜렛; 상기 콜렛홀더의 후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콜렛을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 고정되게 하는 체결너트; 및 상기 콜렛홀더, 상기 콜렛, 및 상기 체결너트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강관 쪽으로 노출되는 주입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콜렛은 상기 콜렛홀더의 요홈에 대응되는 것으로 복수로 분할된 원추 형상의 쐐기로서,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주입호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후단캡은 전단캡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후단캡 부분의 폴딩부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단캡 중앙 부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후단캡 부분의 상기 폴딩부는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단캡 중앙 부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후단캡 부분의 상기 폴딩부는 접혀져서 상기 후단캡의 원주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단캡 중앙 부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후단캡의 전방부는 나팔 또는 원추 형상의 전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너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전후 강관 팽창형 록볼트는 서로 연통되어 상기 유체를 전체 길이에 주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주입호스의 전방부는 직경방향으로 확장된 링형플랜지가 구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링형플랜지의 외측 단부에서 후방쪽으로 연장된 관형플랜지가 더 구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콜렛홀더의 전방에 상기 링형플랜지에 대응하는 링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콜렛홀더의 전방에 상기 관형플랜지에 대응하는 관형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링형플랜지에 대응하는 링형홈과 상기 관형플랜지에 대응되는 관형홈이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콜렛홀더의 관통공의 전방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이며, 상기 주입호스의 전방부는 상기 콜렛홀더의 관통공의 전방부에 대응하는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주입호스의 전방부는 별개의 밀폐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밀폐부재는 상기 주입호스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밀폐부재는 상기 주입호스의 전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밀폐부재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밀폐부재는 상기 주입호스와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주입호스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고압발생장치를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주입호스의 후단부에는 상기 고압발생장치와 병렬로 구비되는 진공흡입장치를 더 포함하며, 레버에 의해 상기 주입호스가 상기 고압발생장치 또는 상기 진공흡입장치로 연결되도록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이용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은, 지반에 상기 천공구를 형성하는 천공구형성단계; 상기 천공구에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를 삽입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후단캡에 상기 콜렛홀더를 체결하고,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상기 콜렛을 삽입하며,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콜렛홀더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주입호스를 고정하는 체결단계; 상기 고압발생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주입호스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강관을 팽창시켜 상기 천공구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단계; 및 상기 체결너트와 상기 콜렛홀더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철거하는 철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지반에 상기 천공구를 형성하는 천공구형성단계; 상기 천공구에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를 삽입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후단캡에 상기 콜렛홀더를 체결하고,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상기 콜렛을 삽입하며,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콜렛홀더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주입호스를 고정하는 체결단계; 상기 고압발생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주입호스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강관을 팽창시켜 상기 천공구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단계;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을 해제한 후 상기 주입호스를 상기 강관의 전단부까지 삽입하고, 상기 레버를 전환하여 상기 주입호스가 상기 진공흡입장치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단계; 상기 진공흡입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강관 내부의 물을 진공흡입하여 배출하는 배출단계; 상기 콜렛홀더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철거하는 철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콜렛홀더, 콜렛, 체결너트, 주입호스, 고압발생장치, 진공흡입장치를 포함하고, 특히, 강관의 후단부에 고정된 후단캡에 콜렛홀더를 체결한 후에,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형성된 요홈에 콜렛을 삽입하고, 상기 콜렛홀더에 체결너트를 나사체결함으로써,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호스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유체 주입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너트와 콜렛홀더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입호스의 전방부에 플랜지를 형성하거나, 주입호스의 전방부를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주입호스의 전방부에 별개의 밀폐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주입호스가 콜렛홀더에 긴밀하게 설치되어 유체의 누출이나 압력의 손실 없이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입호스의 후단부에 고압발생장치와 진공흡입장치를 병렬로 구비하고, 레버를 이용하여 주입호스가 고압발생장치 또는 진공흡입장치로 연결되도록 전환함으로써, 고압발생장치를 작동시켜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강관을 팽창, 천공구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강관이 팽창된 후에는 진공흡입장치를 작동시켜 강관 내부의 유체를 진공 흡입하여 간편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고,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팽창형 록볼트를 시공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에 의해 팽창되는 강관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가 강관 팽창형 록볼트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와 그 전단캡과 후단캡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전단캡 또는 후단캡의 폴딩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후단캡의 전방부에 전이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너트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의 주입호스의 전방부에 링형플랜지와 관형플랜지가 형성된 모습과, 콜렛홀더의 전방에 링형홈과 관형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의 콜렛홀더의 전방과 주입호스의 전방이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의 주입호스의 전방부에 밀폐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전방, 전단 등의 전은 천공구(1)의 안쪽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단, 후부 등의 후는 천공구(1)의 바깥쪽인 입구쪽을 의미한다. 또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와 유체 주입장치(50)의 관점에서 보면,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쪽이 전방 또는 전단이고, 유체 주입장치(50)쪽이 후방 또는 후단이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콜렛홀더(51)와, 콜렛(52)과, 체결너트(53)와, 주입호스(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압발생장치(57)와 진공흡입장치(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관 팽창형 록볼트(1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진 폴딩부(18)가 형성된 강관(12)과, 상기 강관(12)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단부를 밀폐하는 전단캡(14)과, 상기 강관(12)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캡(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은 강관(12)의 중심방향쪽을 외측은 강관(12)의 바깥방향쪽을 지칭한다.
전단캡(14)은 상기 강관(12)의 전단부에 용접,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어 강관(12)의 전단부의 펼쳐짐을 방지하고 또한 밀폐하는 구성이다.
후단캡(16)은 상기 강관(12)의 후단부에 용접,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후단부의 펼쳐짐을 방지하고, 후단캡(16)의 내측을 통해 유체가 강관(12)속으로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강관(12)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진 폴딩부(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폴딩부(18)의 형상은 본원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폴딩부(18)는 강관(12)의 일 외주면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폴딩부(18)는 그 개수도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폴딩부(18)의 내측방향으로의 돌출 깊이도 강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폴딩된 강관(12)은 후단캡(16)을 통해 유체가 주입됨으로써, 천공구(1) 내에서 지름방향으로 팽창하여 지반에 정착된다. 강관(12)의 팽창은 폴딩부(18)의 펼침만일 수도 있으나, 폴딩부(18)의 팽창과 함께 강관(12)이 외측면에 접하는 천공구(1)의 요철에 대응하여 강관(12)이 변형함으로써 천공구(1)에 강하게 정착되게 된다. 이러한 강관(12)의 변형은 강관(12)의 두께와 재질, 강관(12)속으로 주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상기 강관(12)의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는 기체나 액체 어느 것도 가능하며, 액체의 경우 물, 기름, 모르타르 등이 가능하다. 특히 모르타르의 경우 주입된 후 그대로 잔존함으로써 강관(12) 내측의 부식이 방지되고 모르타르에 의해 정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콜렛홀더(51)와, 콜렛(52)과, 체결너트(53)와, 주입호스(54)와, 고압발생장치(57)를 포함할 수 있고, 고압발생장치(57)와 병렬로 연결되는 진공흡입장치(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압발생장치(57)는 고압으로 공기 등의 기체나, 물 등의 액체를 고압으로 강관(12)속으로 주입하는 장치이다. 이 고압발생장치(57)에 의해 기체나 액체를 강관(12)속으로 주입함에 따라 강관(12)이 지름방향으로 팽창하여 지반의 천공구(1)에 정착되게 된다.
특히 물과 같은 액체를 주입하여 강관(12)을 팽창시키는 경우, 팽창 후 물은 후단캡(16)을 통해 유출되게 된다. 이 경우 강관(12)이 상향 경사로 설치된 경우에는 용이하게 유출되나, 수평이나 하향 경사로 설치된 경우 유출이 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되어 강관(12)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관(12)이 상향 경사로 설치된 경우에도 유체 주입장치(50)를 철거한 후 바닥으로 유출시키는 경우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바닥이 젖게 되어 작업에 방해가 되고, 완전히 유출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압발생장치(57)와 병렬로 연결되는 진공흡입장치(58)는 강관(12)속에 주입된 물 등을 진공흡입하여 배출하는데 사용된다. 즉 물을 주입하여 강관(12)을 팽창시킨 후 레버(59)를 회전시켜 주입호스(54)가 진공흡입장치(58)로 연결되도록 전환함으로써, 물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흡입장치(58)로 배출된 물은 다시 고압발생장치(57)를 통해 재 주입이 가능하다.
물을 주입하여 강관(12)을 팽창시킨 후, 체결너트(53)를 풀면서 레버(59)를 회전시켜 주입호스(54)가 진공흡입장치(58)로 연결되도록 전환하면서 진공흡입장치(58)를 가동함으로써,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주입호스(54)를 강관(12)의 전단부로 삽입하여 진공흡입장치(58)를 가동함으로써 강관(12) 내의 물을 완벽하고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강관(12)의 내부에 물이 잔류되지 않으므로 시공 후 강관(12)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후단캡(16)을 전단캡(14)에 비해 직경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후단캡(16) 부분의 강관 폴딩부(18)의 크기를 작게하고, 폴딩부(18)의 중앙으로의 돌출을 작게 함으로써, 주입호스(54)를 강관(12)속으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즉, 강관(12)의 중앙 부분은 주입재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중앙부의 폴딩부(18)는 주입호스(54)의 삽입에 방해가 되지 아니하나, 후단캡(16) 부분의 폴딩부(18)는 변화가 없는 부분이므로 주입호스(54)의 삽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후단캡(16)의 크기를 크게하고 전단캡(14) 부분의 폴딩부(18)의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후단캡(16) 부분의 폴딩부(18)를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하여 후단캡(16) 부분의 중앙의 공간을 확보하거나, 또는 폴딩부(18)를 접어서 후단캡(16) 부분의 중앙의 공간이 확보되게 하여 주입호스(5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단캡(16)의 전방부에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의 전이부(17)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강관(12)은 주입재의 주입에 의해 팽창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직경의 변화가 없는 후단캡(16)의 전단부에서의 강관(12)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이부(17)는 후단캡(16) 전단부에서의 강관(12)의 팽창을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함으로써 과도한 응력집중을 방지하게 된다. 이 전이부(17)는 전단캡(14)의 후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강관 팽창형 록볼트(10)는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너트(20)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천공구(1)의 길이가 길 때 강관 팽창형 록볼트(10)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두 강관 팽창형 록볼트(10)가 연결되는 부분은 서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유체를 전체 길이에 주입되게 한다.
도 3, 도 7을 참조하면, 콜렛홀더(51)는 상기 강관(12)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캡(16)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나사 결합, 커플러 결합 등 유체의 주입시 유체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는 어느 것도 가능하다. 또한, 콜렛홀더(51)는 후단캡(16)의 내측 즉, 내주면에 결합되거나, 외측 즉,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콜렛홀더(51)의 중앙에는 주입호스(54)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콜렛홀더(51)의 후부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콜렛(52)이 삽입될 수 있는데, 이 요홈은 원추 형상 또는 머리 잘린 원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콜렛(52)은 상기 콜렛홀더(51)의 후부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으로 복수 즉, 2개, 3개, 4개 등으로 분할된 쐐기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주입호스(54)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콜렛(52)은 원추 형상 또는 머리 잘린 원추 형상 등 상기 콜렛홀더(51)의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너트(53)는 상기 콜렛홀더(51)의 후부에 나사 결합되어 콜렛(52)을 콜렛홀더(51) 후부의 요홈에 삽입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주입호스(54)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주입호스(54)는 상기 콜렛홀더(51), 콜렛(52), 체결너트(53)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콜렛홀더(51)의 요홈에 콜렛(52)을 삽입하고, 콜렛홀더(51)에 체결너트(53)를 체결함으로써, 콜렛홀더(51)의 요홈에 콜렛(52)이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이에 따라 콜렛(52)의 관통공이 좁아지면서 주입호스(54)가 고정된다. 이 주입호스(54)는 강재,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주입호스(54)는 상기 콜렛홀더(51), 콜렛(52), 및 체결너트(53)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전단부가 강관(12) 쪽으로 노출되어 강관(12)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한다. 강관(12)의 후단부에 구비된 후단캡(16)에 콜렛홀더(51)를 나사 체결 등으로 체결한 후에, 상기 콜렛홀더(51) 후부의 요홈에 콜렛(52)을 삽입하고, 콜렛홀더(51)에 체결너트(53)를 나사체결함으로써, 주입호스(54)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콜렛홀더(51), 콜렛(52) 및 체결너트(53)를 먼저 결합하여 주입호스(54)를 고정한 후 후단캡(16)에 콜렛홀더(51)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콜렛홀더(51), 콜렛(52), 및 체결너트(53)의 간단한 구조로 후단캡(16)에 주입호스(54)를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의 설치 및 철거가 간편하고, 용이하다.
주입호스(54)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에 긴밀하게 설치하여 압력의 손실 없이 강관(12)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할 필요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입호스(54)의 전방부는 직경방향으로 확장된 링형플랜지(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주입호스(54)가 콜렛홀더(51)의 전단부에 긴밀히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주입호스(54)를 후방쪽으로 당기면서 체결너트(53)를 체결함으로써, 링형플랜지(31)가 콜렛홀더(51)의 전단부에 긴밀히 밀착되어 주입재의 누출이 방지되게 된다.
콜렛홀더(51)의 전방에는 상기 링형플랜지(31)에 대응되는 링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형플랜지(31)가 링형홈에 삽입됨으로써, 링형플랜지(31)는 콜렛홀더(51)의 전단부에 더욱 긴밀히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링형플랜지(31)의 단부에서 후방쪽으로 연장된 관형플랜지(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콜렛홀더(51)의 전방에 상기 관형플랜지(33)에 대응하는 관형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링형플랜지(31)에 대응하는 링형홈과 상기 관형플랜지(33)에 대응되는 관형홈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형플랜지(33)가 관형홈에 삽입되거나, 링형플랜지(31)와 관형플랜지(33)가 링형홈과 관형홈에 함께 삽입됨으로써, 주입호스(54)의 전단부와 콜렛홀더(51)의 전단부가 긴밀히 밀착되어 주입재의 누출이 방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입호스(54)의 전방부를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콜렛홀더(51)의 전방부도 주입호스(54)의 전방부에 대응하도록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입호스(54)의 전방부가 콜렛홀더(51)의 전방부에 긴밀히 밀착할 수 있고, 특히 주입호스(54)를 후방으로 당기면서 고정할 수 있어, 주입호스(54)를 콜렛홀더(51)에 밀착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주입호스(54)의 전방부는 외경만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외경과 내경 모두 원추 형상 또는 나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입호스(54)는 전방부에 별개의 밀폐부재(35)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결합은 나사로 결합하거나, 또는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35)는 주입호스(54)의 전단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전단부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35)는 밀폐에 도움이 되는 고무, 플라스틱 등 탄력성이 있는 재질이면 좋다. 이 밀폐부재(35)는 주입호스(54)를 콜렛홀더(51)의 후부에서 삽입한 후 전방에서 밀폐부재(35)를 결합함으로써, 콜렛홀더(51)에 주입호스(54)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밀폐부재(35)가 훼손된 경우 교체함으로써, 전체 주입호스(54)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를 이용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의 구성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를 이용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은, 천공구형성단계와, 설치단계와, 체결단계와, 고정단계와, 철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구형성단계는 지반에 천공구(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설치단계는 상기 천공구(1)에 강관 팽창형 록볼트(10)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이다.
체결단계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강관(12)의 후단부에 구비된 후단캡(16)에 콜렛홀더(51)를 체결하고, 상기 콜렛홀더(51) 후부의 요홈에 콜렛(52)을 삽입한 후, 체결너트(53)를 상기 콜렛홀더(51)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주입호스(54)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즉, 유체를 주입할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콜렛홀더(51) 후부의 요홈에 콜렛(52)을 삽입하고, 체결너트(53)를 콜렛홀더(51)에 나사체결하여 주입호스(54)를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콜렛홀더(51)를 후단캡(16)에 결합할 수도 있다.
고정단계는 고압발생장치(57)를 작동하여 주입호스(54)를 통해 강관(12)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강관(12)을 팽창시켜 천공구(1)에 고정되게 하는 단계이다.
철거단계는 체결너트(53)와 콜렛홀더(51)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를 철거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체결너트(53)는 그대로 둔 체로, 콜렛홀더(51)만의 체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한편, 강관 팽창형 록볼트(10)는 고압발생장치(57)와 진공흡입장치(58)를 함께 포함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를 이용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은, 천공구형성단계와, 설치단계와, 체결단계와, 고정단계와, 삽입단계와, 배출단계와, 철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구형성단계는 지반에 천공구(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설치단계는 상기 천공구(1)에 강관 팽창형 록볼트(10)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이다.
체결단계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강관(12)의 후단부에 구비된 후단캡(16)에 콜렛홀더(51)를 체결하고, 상기 콜렛홀더(51) 후부의 요홈에 콜렛(52)을 삽입한 후, 체결너트(53)를 상기 콜렛홀더(51)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주입호스(54)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즉, 유체를 주입할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콜렛홀더(51) 후부의 요홈에 콜렛(52)을 삽입하고, 체결너트(53)를 콜렛홀더(51)에 나사체결하여 주입호스(54)를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콜렛홀더(51)를 후단캡(16)에 결합할 수도 있다.
고정단계는 고압발생장치(57)를 작동하여 주입호스(54)를 통해 강관(12)의 내부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강관(12)을 팽창시켜 천공구(1)에 고정되게 하는 단계이다.
삽입단계는 강관(12) 내부에 주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로서, 먼저 상기 체결너트(53)의 나사의 체결을 해제한 후, 주입호스(54)를 강관(12)의 전단부까지 삽입한다. 그 후, 레버(59)를 전환하여 주입호스(54)가 진공흡입장치(58)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 경우 주입호스(54)를 강관(12)의 전단부까지 삽입한 후 체결너트(53)를 일부 또는 전부 체결할 수 있다.
배출단계는 상기 진공흡입장치(58)를 작동시켜 강관(12) 내부의 물을 진공 흡입하여 배출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체결너트(53)가 체결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 체결된 상태에서 주입호스(54)를 전후로 이용시키면서 물을 배출할 수도 있다.
철거단계는 상기 콜렛홀더(51)의 체결을 해제하여 강관 팽창형 록볼트(10)로부터 강관 팽창형 록볼트(10)의 유체 주입장치(50)를 철거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체결너트(53)의 체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천공구
10 : 강관 팽창형 록볼트
12 : 강관
14 : 전단캡
16 : 후단캡
17 : 전이부
18 : 폴딩부
20 : 연결너트
31 : 링형플랜지
33 : 관형플랜지
35 : 밀폐부재
50 : 유체 주입장치
51 : 콜렛홀더
52 : 콜렛
53 : 체결너트
54 : 주입호스
57 : 고압발생장치
58 : 진공흡입장치
59 : 레버

Claims (20)

  1.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접혀진 폴딩부가 형성된 강관과, 상기 강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단부를 밀폐하는 전단캡과,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캡을 포함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에 유체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강관을 지름방향으로 팽창시켜 지반의 천공구에 정착시키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단캡에 결합되며, 후부에 원추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콜렛홀더;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되는 콜렛;
    상기 콜렛홀더의 후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콜렛을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 고정되게 하는 체결너트;
    상기 콜렛홀더, 상기 콜렛, 및 상기 체결너트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강관 쪽으로 노출되는 주입호스;
    상기 주입호스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고압발생장치: 및
    상기 주입호스의 후단부에 상기 고압발생장치와 병렬로 구비되는 진공흡입장치;를 포함하며,
    레버에 의해 상기 주입호스가 상기 고압발생장치 또는 상기 진공흡입장치로 연결되도록 전환되고,
    상기 콜렛은 상기 콜렛홀더의 요홈에 대응되는 것으로 복수로 분할된 원추 형상의 쐐기로서,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주입호스를 고정하고,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주입호스를 상기 강관의 전단부로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후단캡은 전단캡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후단캡 부분의 폴딩부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단캡 중앙 부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캡 부분의 상기 폴딩부는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단캡 중앙 부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캡 부분의 상기 폴딩부는 접혀져서 상기 후단캡의 원주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단캡 중앙 부분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캡의 전방부는 나팔 또는 원추 형상의 전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너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전후 강관 팽창형 록볼트는 서로 연통되어 상기 유체를 전체 길이에 주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호스의 전방부는 직경방향으로 확장된 링형플랜지가 구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형플랜지의 외측 단부에서 후방쪽으로 연장된 관형플랜지가 더 구비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콜렛홀더의 전방에 상기 링형플랜지에 대응하는 링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콜렛홀더의 전방에 상기 관형플랜지에 대응하는 관형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링형플랜지에 대응하는 링형홈과 상기 관형플랜지에 대응되는 관형홈이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렛홀더의 관통공의 전방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이며,
    상기 주입호스의 전방부는 상기 콜렛홀더의 관통공의 전방부에 대응하는 나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입호스의 전방부는 별개의 밀폐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밀폐부재는 상기 주입호스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밀폐부재는 상기 주입호스의 전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밀폐부재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밀폐부재는 상기 주입호스와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1 내지 16중 어느 한 항의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이용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에 상기 천공구를 형성하는 천공구형성단계;
    상기 천공구에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를 삽입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후단캡에 상기 콜렛홀더를 체결하고,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상기 콜렛을 삽입하며,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콜렛홀더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주입호스를 고정하는 체결단계;
    상기 고압발생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주입호스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강관을 팽창시켜 상기 천공구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단계; 및
    상기 체결너트와 상기 콜렛홀더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철거하는 철거단계;를 포함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
  20. 청구항 1 내지 16중 어느 한 항의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이용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에 상기 천공구를 형성하는 천공구형성단계;
    상기 천공구에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를 삽입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강관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후단캡에 상기 콜렛홀더를 체결하고, 상기 콜렛홀더 후부의 요홈에 상기 콜렛을 삽입하며,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콜렛홀더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주입호스를 고정하는 체결단계;
    상기 고압발생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주입호스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강관을 팽창시켜 상기 천공구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단계;
    상기 체결너트의 체결을 해제한 후 상기 주입호스를 상기 강관의 전단부까지 삽입하고, 상기 레버를 전환하여 상기 주입호스가 상기 진공흡입장치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단계;
    상기 진공흡입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강관 내부의 물을 진공흡입하여 배출하는 배출단계;
    상기 콜렛홀더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를 철거하는 철거단계;를 포함하는 강관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
KR1020160076802A 2016-06-20 2016-06-20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KR10167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02A KR101675752B1 (ko) 2016-06-20 2016-06-20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02A KR101675752B1 (ko) 2016-06-20 2016-06-20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752B1 true KR101675752B1 (ko) 2016-11-14

Family

ID=5752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802A KR101675752B1 (ko) 2016-06-20 2016-06-20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7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557B1 (ko) * 2017-06-02 2018-04-04 정용태 팽창형 록볼트 시공장치에 의한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
KR20200027698A (ko) 2018-09-05 2020-03-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발력 발현을 고려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내압 제어방법 및 장치
CN112627858A (zh) * 2020-12-09 2021-04-09 中铁隧道局集团有限公司 用于车站通道的注浆套筒的处理方法
CN112832836A (zh) * 2021-03-04 2021-05-25 淮北市平远软岩支护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针对于锚杆锚索盖板弹射问题的支护方法和支护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504A (ja) * 2003-10-08 2005-04-28 Nisshin Steel Co Ltd ロックボルト加圧・膨張方法
JP2005146702A (ja) * 2003-11-17 2005-06-09 Nisshin Steel Co Ltd ロックボルト加圧・膨張用シールヘッド
JP2006257768A (ja) * 2005-03-17 2006-09-28 Nisshin Steel Co Ltd 連結用鋼管膨張型ロックボルト
KR101038472B1 (ko) 2010-10-29 2011-06-02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JP2012167786A (ja) * 2011-02-16 2012-09-06 Bridgestone Corp パイプ継手
KR101231875B1 (ko) 2012-04-18 2013-02-08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KR101232822B1 (ko) 2010-10-29 2013-02-13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504A (ja) * 2003-10-08 2005-04-28 Nisshin Steel Co Ltd ロックボルト加圧・膨張方法
JP2005146702A (ja) * 2003-11-17 2005-06-09 Nisshin Steel Co Ltd ロックボルト加圧・膨張用シールヘッド
JP2006257768A (ja) * 2005-03-17 2006-09-28 Nisshin Steel Co Ltd 連結用鋼管膨張型ロックボルト
KR101038472B1 (ko) 2010-10-29 2011-06-02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KR101232822B1 (ko) 2010-10-29 2013-02-13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JP2012167786A (ja) * 2011-02-16 2012-09-06 Bridgestone Corp パイプ継手
KR101231875B1 (ko) 2012-04-18 2013-02-08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557B1 (ko) * 2017-06-02 2018-04-04 정용태 팽창형 록볼트 시공장치에 의한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
KR20200027698A (ko) 2018-09-05 2020-03-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발력 발현을 고려한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내압 제어방법 및 장치
CN112627858A (zh) * 2020-12-09 2021-04-09 中铁隧道局集团有限公司 用于车站通道的注浆套筒的处理方法
CN112832836A (zh) * 2021-03-04 2021-05-25 淮北市平远软岩支护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针对于锚杆锚索盖板弹射问题的支护方法和支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752B1 (ko) 강관 팽창형 록볼트의 유체 주입장치 및 시공방법
US7891911B2 (en) Friction tube anchor and inflation adapter for the latter
EP1647752B1 (en) Pipe joint
KR102244516B1 (ko) 멀티캡을 포함하는 락볼트 및 그를 이용한 락볼트 시공방법
CN101175939A (zh) 阴阳部件组装体
KR101838803B1 (ko) 앵커 겸용 패커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공법
KR200416528Y1 (ko) 접착형 록볼트
KR102000598B1 (ko) 패커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그라우트 주입장치 및 터널의 비탈면 보강공법
JP4656797B2 (ja) パイプラインへのシェル組立体の固定方法
KR101934104B1 (ko) 강관 팽창을 이용한 앵커 겸용 배수관 및 그 설치방법
KR101831557B1 (ko) 팽창형 록볼트 시공장치에 의한 팽창형 록볼트 시공방법
KR101546351B1 (ko)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20150103862A (ko) 락볼트
JP4671645B2 (ja) 離脱防止管継手
JP6486793B2 (ja) ロックボル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92139B1 (ko)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JP7173684B2 (ja) ロックボルト構造の構築方法
KR101795189B1 (ko) 어스앵커용 분리확장형 즉시 패커
KR200396383Y1 (ko) 선단 고정 기능을 갖는 충전 장치
US4711501A (en) Rock crushing device
KR102183344B1 (ko)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KR101729989B1 (ko) 지반차수보강방법
KR20070011154A (ko) 신속 커플링의 나사 결합부 안전 장치
KR200316682Y1 (ko) 록볼트용 몰탈캡
JP2009052646A (ja) 支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