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619B1 -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619B1
KR101675619B1 KR1020130023794A KR20130023794A KR101675619B1 KR 101675619 B1 KR101675619 B1 KR 101675619B1 KR 1020130023794 A KR1020130023794 A KR 1020130023794A KR 20130023794 A KR20130023794 A KR 20130023794A KR 101675619 B1 KR101675619 B1 KR 10167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791A (ko
Inventor
박종권
Original Assignee
박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권 filed Critical 박종권
Publication of KR2014010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 간(Pear to Pear: P2P)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기기 간 자동 필터링 및/또는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결된 두 블루투스 기기 간에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자동 페어링을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Mobile receip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bluetooth relay apparatus with automatic pairing function}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 간(Pear to Pear: P2P)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기기 간 자동 필터링 및/또는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결된 두 블루투스 기기 간에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을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인 이동통신단말기와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에 연결되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Point Of Sales System: POS)간 기기 간(P2P)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판매 시점 관리 서버에서 발행된 모바일 영수증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여 영수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주문된 제품 완료 통지 및 현금 영수증의 발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블루투스 모듈(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기기를 "블루투스 기기" 또는 "블루투스 장치"라 함)는 높은 전송 속도(3Mbit/sec) 및 보안에 월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복잡한 페어링 과정과 긴 접속시간(기본적으로 6초 이내) 등으로 인하여 한 번 접속하여 차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용도로 이용되어 음악 청취나 혹은 무선헤드세트 등에만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 페어링 과정의 긴 접속 시간은 블루투스 기기의 활용성을 제약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상점에서 물품을 구입한 후, 해당 구매자는 구매한 물품에 대한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이때 상점 주인은 물품 금액 지불에 대한 영수증을 구매자에게 발급해 주어야 한다.
삭제
통상, 물품 금액에 대한 결제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또는 현금 등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결제에 따른 영수증을 발행 받는다. 이런 영수증은 회계 자료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현금 결제한 영수증의 경우 연말 세금 정산 시에 유용하게 사용되므로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영수증은 매 거래 시마다 발급되므로, 그 수량이 상당하며, 증빙서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소 몇 개월 ~ 몇 년까지 보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관상의 부주의로 인하여 영수증을 분실하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해당 영수증의 정리 및 관리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아 해당 영수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신용카드로 결제한 영수증을 분실하는 경우에 해당 신용카드의 정보가 유출되어 금융상의 손해를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수증을 발행하는 사업자는 영수증을 프린트하여 발행하기 위해 영수증 용지 및 잉크 등과 같은 소비성 용품을 구매하여야 하므로 부가적인 비용이 지속적으로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10-2005-004931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 장비 간 접속 과정을 단순화하고 신속하게(1.5초 이내) 하여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자동 필터링 및/또는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페어링을 제공하는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 및 그 페어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모바일 영수증을 제공하여 영수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주문된 제품 완료 통지 및 현금 영수증의 발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영수증을 수신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초근접 거리 이내의 이동통신단말기만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의 송신신호 세기를 조절하여 송신하는 초근접 모드에서 모바일 영수증을 입력받아 블루투스 기기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블루투스 무선신호에 실어 무선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 및 상품의 결제에 따른 영수증 발행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초근접 모드를 설정하고, 자동 필터링을 통해 페어링된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후, 상품의 결제에 대한 모바일 영수증을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필터링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인 포스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는,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송신신호의 송신신호전계 강도를 조절하여 인근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 및 상기 포스 단말의 제어를 받아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통해 인근의 블루투스 기기들에 대해 자동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초근접 거리 이내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초근접 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기기정보로부터 디바이스 클래스, 서비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저장한 후, 블루투스 중계 장치에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통신단말기 중 수신신호 전계 강도가 기준치 범위내인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여 상기 자동 필터링을 수행하며, 필터링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자동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필터링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포스 단말기 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포스 단말에서 생성된 모바일 영수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모바일 영수증 응용프로그램 구동 상태에서 블루투스 기기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에 의해 자동 페어링을 수행한 후 접속하여 포스 단말과 연결된 후, 상기 포스 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모바일 영수증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근접 모드에서의 상기 초근접 거리는 30C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은;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에 있어서, 포스 단말이 임의의 결제에 따른 영수증 발생 이벤트의 발생 시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일정 거리 이내의 이동통신단말기만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신호 전계 강도로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초근접 모드를 설정하는 초근접 모드 설정 과정; 초근접 모드에서 포스 단말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자동 필터링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할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는 페어링 대상 블루투스 기기 선택 과정; 및 상기 포스 단말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이동통신단말기와 페어링에 의한 접속 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영수증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 및 저장시키는 모바일 영수증 제공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기기 선택 과정은, 포스 단말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광고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발생되면 자동 필터링에 의한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는 블루투스 기기 선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기기 선택 단계는,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된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 요청 시 수신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로부터 디바이스 클래스, 서비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검출 단계;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실은 블루투스 무선신호의 수신신호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신호전계강도 측정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측정된 수신신호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범위내의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송신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는 필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기준치는 -47d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의 자동페어링 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와 P2P 데이터 통신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빠른 접속을 제공할 수 있고, 빠른 접속으로 인한 블루투스 기술의 적용 분야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의 자동 페어링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P2P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영수증 제공을 위한 별도의 서버를 구비하지 않고 직접 전자 영수증을 제공하므로 별도의 서버구축 비용이나 통신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통신의 보안에도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영수증을 전자 영수증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므로 영수증의 분실 및 훼손을 방지하고, 영수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영수증을 프린트하지 않으므로 영수증을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트 용지 및 잉크 또는 카트리지 등과 같은 소비성 용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업자 측면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주문한 제품의 준비 및 완료를 통지하여 줄 수 있으므로 구매자가 주문한 제품의 준비 및 완료를 수시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매자 측면에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금 계산 시 전화번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므로 현금 영수증 발행 시 일일이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매자 측면에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의 자동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가 적용된 제1예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가 적용된 제2예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가 적용된 제3예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의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한 판매 시점 관리 서버에서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을 위한 자동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Point Of Sales System: POS,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은 사전적인 의미인 "판매 시점 관리 서버"라고 하기보다는 "포스 단말"이라 하므로 이하 "판매 시점 관리 서버" 및 "포스 단말"을 혼용하여 사용한다)의 구성 및 자동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는 제어부(10)와 저장부(220)와 데이터 통신부(30)와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자동 페어링 모듈(11),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2) 및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모듈(13)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의 자동 페어링 모듈(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페어링된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들 중 자동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자동 필터링을 통한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여 접속한 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 페어링 모듈(11)에 의한 자동 페어링 방법은 후술할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제어부(10)의 자동 페어링 모듈(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제어를 받아 자동 필터링을 통한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여 접속한 후 응용 서버인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와 접속된 블루투스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의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2)은 초근접 모드에서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제어하여 초근접 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들과만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고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2)은 초근접 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와 일반적인 페어링 또는 상기 자동 페어링 모듈(11)을 통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한다. 상기 초근접 거리는 30cm 이내의 거리이다.
그리고 제어부(10)의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모듈(13)은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또는 제2블루투스 무선통신부(50))를 제어하여 근거리 내에 있는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들과만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고, 수신신호의 수신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모듈(13)은 근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와 일반적인 페어링 또는 상기 자동 페어링 모듈(11)을 통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모드의 근거리는 30m 이내의 거리이다.
저장부(2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과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부(30)는 RS-232, RS-422, LAN(802.1: TCP/IP) 등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로서, 판매 시점 관리 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블루투스 프로토콜로는 PC와의 무선 직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 SPP), 파일 공유 프로토콜인 객체 교환(Object Exchange: OBEX) 등이 있다.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는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들이 송신하는 블루투스 무선신호의 수신신호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01)로 제공한다.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초근접 모드와 근거리 모드에 따른 송신신호세기를 조절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송신신호에 실어 송신하고, 무선 송신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상기 초근접 모드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로부터 매우 가까운, 초근접 거리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300)들과 페어링 및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근거리 모드는 페어링 및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300)들과 비교적 먼 곳의 범위 내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가 초근접 모드와 근거리 모드 둘 모두를 지원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2블루투스 무선통신부(50)를 더 구비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는 초근접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하고, 제2블루투스 무선통신부(50)는 근거리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후술할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제어부(10)는 모바일 영수증을 제공받기 위한 임의의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초근접 모드에서 자동 페어링에 의해 접속하여 근거리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제2블루투스 무선통신부(50)와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여 제2블루투스 무선통신부(5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블루투스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근거리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하나의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초근접 모드와 근거리 모드를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초근접 모드에서는 근거리 모드 통신을 할 수 없고, 근거리 모드에서는 초근접 모드 통신을 할 수 없으므로 각각의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응용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할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이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이므로, 이하 상기 응용 서버가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한다.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 및 제어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입력부(130)는 가격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키(또는 "버튼"이라 함) 및 기능들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상품의 판매에 따른 가격 및 결제 등의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영수증 프린터(210) 등과 같은 외부기기들과 연결되어 제어부(110)와 외부기기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200, 210)들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60)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200, 210)와 RS-232, RS-422, LAN(802.1: TCP/IP) 등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로서, 유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161) 및 블루투스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162)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현금카드 및 직불카드 등으로부터 카드 정보를 읽는 카드 리더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자동 페어링 모듈(111), 초근접 블루투스 모듈(112),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모듈(113)을 포함한다.
자동 페어링 모듈(111)은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를 통해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한다.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12)은 초근접 모드 설정 시 구동되어 데이터 통신부(161)를 통해 접속된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를 통해 초근접 거리 이내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와 일반적인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상기 자동 페어링 모듈(111)을 통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한다.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모드 설정 시 구동되어 데이터 통신부(161)를 통해 접속된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를 통해 근거리 이내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와 일반적인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자동 페어링 모듈(111)을 통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여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1), 모바일 주문 모듈(112), 광고 제공 모듈(113),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14),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모듈(115)을 포함한다.
상기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가 후술할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 모바일 주문 모듈(115) 및 광고 제공 모듈(1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부(160)에 의해 접속된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200)를 통해 모바일 영수증을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모바일 주문 모듈(115)은 본 발명에 따라 상품 주문 시 입력부(130)를 통해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주문의 완료 정보 및 주문 상품의 준비 완료 정보를 주문을 할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하여 표시시키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광고 제공 모듈(116)은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1) 및 모바일 주문 모듈(115)과 연동하여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 주문 완료 정보 및 주문 상품의 준비 완료 정보 전송 시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의 자동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 또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를 제어하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에 의해 수행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의 흐름도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와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으나 그 주체만 다를 뿐 그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의 자동 페어링 모듈(11)은 초근접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에서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인접한 블루투스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한다(S311).
주변 블루투스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전계 강도가 측정되어 저장되면, 자동 페어링 모듈(11)은 각 블루투스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로부터 디바이스 클래스, 서비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저장한다(S313).
상기 정보들이 검출되면 자동 페어링 모듈(11)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각각에 대해 검출된 디바이스 클래스가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클래스와 일치하고(S315), 상기 검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이 미리 설정된 서비스 프로파일이 일치하는지(S317)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이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과 일치하면 자동 페어링 모듈(11)은 상기 측정된 수신신호 전계 강도가 기준치 범위내인 블루투스 기기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319). 상기 기준치 범위란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가 초근접 모드에서 송신한 블루투스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들이 송신한 블루투스 송신 신호들이 가질 수 있는 수신신호 전계 강도의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측정된 수신신호 전계 강도가 기준치 이상인 블루투스 기기가 있으면 자동 페어링 모듈(11)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를 페어링 블루투스 기기로 설정한다(S321).
다시 말하면, 자동 페어링 모듈(111)은 수신된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의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기준치 범위내이고, 서비스 프로파일 및 디바이스 클래스가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자동 페어링 모듈에 대응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자동 페어링 모듈은 드라이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블루투스 통신수단(미도시)을 통해 블루투스 기기들을 검색하고, 각 블루투스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신호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한다(S411).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기기들의 수신신호 전계 강도가 측정되어 저장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각 블루투스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로부터 디바이스 클래스, 서비스 프로파일, 블루투스 제조업체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한다(S413).
상기 정보들이 검출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검출된 디바이스 클래스와 미리 정의되어 있는 디바이스 클래스가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415).
디바이스 클래스가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있으면 상기 기기들 중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제조업체 식별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블루투스 제조업체 식별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417). 상기 등록되어 있는 블루투스 제조업체 식별정보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를 제조한 제조업체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등록된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에 대해서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는 후술할 모바일 영수증 제공 서비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등록된 제조업체 블루투스 기기이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서비스 프로파일 및 서비스명이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인지를 검사한다(S419, S421).
서비스 프로파일 및 서비스명이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이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상기 측정된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기준치 범위내인지를 판단하여(S423), 기준치 범위내이면 해당 블루투스 기기를 페어링 블루투스 기기로 설정(S425)한다.
다시 설명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디바이스 클래스, 제조업체 블루투스 식별정보, 서비스 프로파일 및 서비스명이 일치하고, 수신신호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인 블루투스 기기만을 필터링하여 선택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인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 및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와 연결되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 등과 같은 응용 서버의 구성 및 동작, 그리고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 또는 응용 서버에서의 자동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응용 서버가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이고, 상기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 및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가 적용된 제1예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은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 판매 시점 관리 서버(Point Of Sales System: POS)(200) 및 이동통신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접속 후,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와 이동통신단말기(300)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는 상기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제어를 받아 서로 다른 송신신호세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초근접 모드와 근거리 모드를 지원한다.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상품 구매에 대한 다양한 결제수단을 제공하고, 결제수단들 중 선택된 결제수단에 따른 결제 처리를 담당하며, 결제 완료에 따른 영수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상기 영수증을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연결된 영수증 프린터(210)를 통해 프린트하여 제공하거나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전자적인 모바일 영수증을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제공한다.
또한,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결제수단이 현금인 경우, 일일이 구매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지 않고,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2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현금 영수증을 발행한다.
또한,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근거리 모드로 접속되어 있을 때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이벤트 기간 또는 홍보용 쿠폰을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선택적으로 광고를 시청하거나 쿠폰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300)는 통상적으로 핸드폰,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음성통신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로 블루투스 무선데이터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다른 블루투스 기기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모바일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상기 저장된 다수의 모바일 영수증을 일별, 월별, 년별 단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고, 구매자, 즉 이동통신단말기(300) 사용자가 선택된 모바일 영수증을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모바일 영수증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고, 결제 날짜, 결제 수단, 상품 금액, 상품명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은 주문 처리 단말기(2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주문 처리 단말기(220)는 주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표시수단(미도시) 및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명령을 발생하는 버튼 또는 터치 좌표를 출력하는 입력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주문 처리 단말기(220)는 주방, 상품 창고 등에 설치되는 단말기로서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와 연결되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부터 주문된 상품 정보 및 상품을 주문한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고, 요리사 등과 같은 상품 준비자로부터 상품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입력받으면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상기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발송한다.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미리 설정된 경고음, 진동, 발광 등의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 발송 시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근거리 모드로 설정한 후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발송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주문 처리 단말기(220)가 상품 준비 완료 시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발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1과 같이 주문 처리 단말기(220)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에 의해 페어링 및 접속한 후,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직접 발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가 적용된 제2예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주문 처리 단말기(220)가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페어링 및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같은 경우,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상품 주문 정보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주문 처리 단말기(220)로 전송하고, 주문 처리 단말기(220)는 상품 주문 완료 통지 신호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에도 주문 처리 단말기(220)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중계 단말기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가 적용된 제3예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판매 시점 관리 서버가 주문 처리 단말기(22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2)를 더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주문 처리 단말기(220)와 제2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2)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1)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2블루투스 중계단말기(100-2)는 근거리 모드로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는 초근접 모드로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110)는 영수증 발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811). 상기 영수증 발행 이벤트는 주문된 상품에 대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의해 계산이 완료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영수증 발행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모바일 영수증이 선택되는지 일반 영수증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S813).
이때, 일반 영수증이 선택되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연결된 영수증 프린터(210)를 통해 영수증을 출력한다. 이는 일반적인 영수증 출력 구성이므로 도 5에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모바일 영수증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12)을 구동하여 초근접 모드를 설정한 후,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을 구동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로부터 초근접 거리 이내로 근접시킬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할 것이다(S815).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300)의 근접 요청은 계산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품 구매자가 이동통신단말기(300)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로부터 초근접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12)와 연동하여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블루투스 기기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블루투스 기기들 중 이전에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817). 이때의 블루투스 기기는 이동통신단말기(300)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가 있으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자동 페어링 모듈(111)과 연동하여 검색된 이동통신단말기(300)가 하나이던 둘이던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을 수행하여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한다(S819). 이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 주변에는 계산을 하기 위한 다수의 사람들이 있을 수 있고, 이 사람들이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초근접 모드의 설정 후,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근거리 모드에서도 자동 필터링에 의한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선택 과정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가 선택되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접속한(S520) 후 상기 계산 완료에 따라 생성된 모바일 영수증을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S821).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적용되는 경우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블루투스 중계 장치(100)에 의해 선택되어 페어링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할 것이다.
반면,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기기들 중 이전에 등록된 블루투스 기기가 없으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1)은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초근접 모드로 인근의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와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 수행하여 상호 접속한 후(S823), 모바일 영수증을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S825). 상기 모바일 영수증의 전송은 이전 모드인 초근접 모드의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근거리 모드로 전환한 후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모바일 영수증의 전송 후 바로 초근접 모드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에 의한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들에 대한 자동 필터링 및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에 의한 모바일 영수증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도 4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300)가 자동 필터링에 의한 자동 페어링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 또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동시에 페어링 요청이 발생된 경우 자동 필터링에 의해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선택하고, 다른 이동통신단말기(300)와 페어링 중이면 페어링 중인 이동통신단말기(300) 이외의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거절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의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서, 페어링 및 접속이 완료된 이후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11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주문 완료 신호의 입력 여부에 의해 구매자에 의한 주문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한다(S911).
구매자에 의한 주문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모바일 주문 모듈(115)을 구동한다. 구동된 모바일 주문 모듈(115)은 주문 시 입력된 상품 정보와 페어링 시 획득되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주문정보를 주문 처리 단말기(220)로 전송한다(S913). 이때, 모바일 주문 모듈(115)은 주문 완료 정보를 상기 주문을 할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물론, 이때의 이동통신단말기(300)는 페어링되어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300)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 주문 모듈(112)은 상기 주문 완료 시 광고 제공 모듈(113)로 광고를 요청하여 광고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광고를 주문 완료 정보와 함께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하여 광고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문 처리 단말기(220)는 상기 주문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주문정보를 LCD 등과 같은 표시부에 표시한다(S915).
상기 표시 후 주문 처리 단말기(220)는 입력수단(미도시)으로부터 주문 상품이 준비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상품 준비 완료 통지 명령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917).
이때 상품 준비 완료 통지 명령이 발생하면 주문 처리 단말기(220)는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919).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수신한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상품의 준비 완료를 통지할 이동통신단말기(300)가 페어링 및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921). 만일, 상기 주문 완료 시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페어링에 의한 접속 후 주문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은 이전에 수행되었으므로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이때, 상기 상품 준비 완료를 통지할 이동통신단말기(300)가 페어링 및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아니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종료하고, 페어링 및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이면 근거리 모드에서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S923).
상기 주문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진동, 경고음 또는 점등 등으로 구매자에게 상품 준비 완료 통지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경보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측면에서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영수증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어야 한다(S1011).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영수증 발행 모드인지(S1013), 호출 모드인지(S1015)를 판단한다. 상기 영수증 발행 모드인지, 호출 모드인지의 판단은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신호가 초근접 모드 신호인지, 근거리모드 신호인지를 검사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는 송신되는 신호에 초근접 모드 신호인지 근거리모드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해야 할 것이다.
영수증 발행 모드이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블루투스 기기인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을 검색한다(S1017).
상기 블루투스 기기 검색 후, 이동통신단말기(300)는 검색된 기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S1019), 있으면 자동 필터링 수행한다(S1021).
상기 자동 필터링 수행 후,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자동 필터링된 블루투스 기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S723), 필터링된 블루투스 기기가 있으면 해당 기기와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여(S1024) 접속한다(S1025).
상기 접속 후, 결제 수단이 현금이고 고객의 현금 요청에 의한 현금 영수증 발행 명령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지(S1027), 카드 결제에 따른 서명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S731)를 검사한다(S1031).
현금 영수증 발행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현금 영수증 발행을 위한 전화번호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 제공한다(S1029). 이때,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현금 영수증을 생성하여 모바일 영수증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300)로 발송할 것이다.
상기 전화번호 제공 후, 이동통신단말기(300)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바일 영수증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1039), 모바일 영수증이 수신되면 모바일 영수증을 저장한 후 표시한다(S1041). 이때, 표시되는 모바일 영수증은 현금 영수증일 것이다.
반면, 서명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S1031),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서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S1033), 서명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한다(S1035).
서명이 완료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완료된 서명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737). 그러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서명이 포함된 모바일 영수증을 생성하여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할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상기 서명 전송 후 모바일 영수증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739), 모바일 영수증이 수신되면 저장한 후 표시한다(S1041). 이때 표시된 모바일 영수증은 서명을 포함하는 카드 전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상기 영수증 발행 모드인지(S1023), 호출 모드인지(S1025)의 판단에서 호출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을 통해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 또는 주문 처리 단말기(220)로부터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1043),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 진동, 경고음, 점등 등의 경보를 발생시켜 구매자에게 알린다(S104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한 판매 시점 관리 서버에서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을 위한 자동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모바일 영수증 모드에서의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판매 시점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110)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입력부(130)로부터 모바일 영수증 발생 키 신호가 입력되면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112)을 통해 초근접 모드를 설정한다(S1111). 상기 초근접 모드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의 송신신호 세기를 -47dB로 설정하여 30cm 이내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들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모드이다.
상기 초근접 모드가 설정되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100)을 통해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S1113).
상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의 브로드캐스팅 후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상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수신한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5).
상기 접속 요청이 발생되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접속을 요청한 블루투스 기기가 하나인지를 판단한다(S1117).
판단 결과, 접속을 요청한 블루투스 기기가 하나이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접속을 요청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 페어링에 의해 접속한다(S1123).
반면, 하나 이상이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접속을 요청한 블루투스 기기들을 자동 필터링을 수행하여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만을 선택하여 페어링을 수행하여 접속한다(S1121).
상기 설명에서는 접속을 요청한 블루투스 기기에 대해서 자동 필터링 및 페어링을 수행하여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검색된 블루투스 기기들에 대해 자동 필터링을 수행하여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에 대해 페어링을 수행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에 의해 접속되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브로트캐스팅 대기모드를 설정한다(S1125). 상기 브로드캐스팅 대기 모드에서 상기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다. 상기 브로드캐스팅 대기모드는 송신신호의 세기를 20dB로 설정하여 근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장치들과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유지하는 근거리 모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브로드캐스팅 대기 모드를 설정한 후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페어링된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영수증을 제공한다(S1127). 이때에도 상기 모바일 영수증은 초근접 모드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근거리 모드로 전환한 후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데이터 통신 수행 중 접속 해제 이벤트가 발생되면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114)은 브로드캐스팅 대기 모드를 해제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S931). 상기 접속 해제 이벤트는 블루투스 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고, 입력부(130)의 접속 해제 키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110: 제어부 11, 111: 자동 페어링 모듈
12, 112: 초근접 블루투스 통신 모듈
13, 113: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모듈 20, 120: 저장부
30 데이터 통신부 40: 블루투스 통신부
50: 제2블루투스 통신부 100: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
114: 모바일 영수증 제공 모듈 115: 모바일 주문 모듈
116: 광고 제공 모듈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통신부 200: 판매 시점 관리 서버
210: 영수증 프린터 220: 주문 처리 단말기
300: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19)

  1.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영수증을 수신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초근접 거리 이내의 이동통신단말기만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의 송신신호 세기를 조절하여 송신하는 초근접 모드에서 모바일 영수증을 입력받아 블루투스 기기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 및
    상품의 결제에 따른 영수증 발행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초근접 모드를 설정하고, 자동 필터링을 통해 페어링된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접속한 후, 상품의 결제에 대한 모바일 영수증을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필터링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판매 시점 관리 서버인 포스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는,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송신신호의 송신신호전계 강도를 조절하여 인근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 및
    상기 포스 단말의 제어를 받아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통해 인근의 블루투스 기기들에 대해 자동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포스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초근접 거리 이내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초근접 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기기정보로부터 디바이스 클래스, 서비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저장한 후, 블루투스 중계 장치에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통신단말기 중 수신신호 전계 강도가 기준치 범위내인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여 상기 자동 필터링을 수행하며, 필터링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자동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필터링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포스 단말 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포스 단말에서 생성된 모바일 영수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모바일 영수증 응용프로그램 구동 상태에서 블루투스 기기인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에 의해 자동 페어링을 수행한 후 접속하여 포스 단말과 연결된 후, 상기 포스 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모바일 영수증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근접 모드에서의 상기 초근접 거리는 30C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14.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에 있어서,
    포스 단말이 임의의 결제에 따른 영수증 발생 이벤트의 발생 시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일정 거리 이내의 이동통신단말기만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신호 전계 강도로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초근접 모드를 설정하는 초근접 모드 설정 과정;
    초근접 모드에서 포스 단말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자동 필터링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할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는 페어링 대상 블루투스 기기 선택 과정; 및
    상기 포스 단말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이동통신단말기와 페어링에 의한 접속 후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영수증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 및 저장시키는 모바일 영수증 제공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기기 선택 과정은,
    포스 단말이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를 통해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광고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발생되면 자동 필터링에 의한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는 블루투스 기기 선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기기 선택 단계는,
    상기 포스 단말과 연결된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 요청 시 수신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로부터 디바이스 클래스, 서비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검출 단계;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실은 블루투스 무선신호의 수신신호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신호전계강도 측정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중계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클래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측정된 수신신호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범위내의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송신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하는 필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범위의 최저값은 -47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영수증 제공 방법.
KR1020130023794A 2013-02-18 2013-03-06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75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138 2013-02-18
KR1020130017138 2013-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91A KR20140103791A (ko) 2014-08-27
KR101675619B1 true KR101675619B1 (ko) 2016-11-22

Family

ID=5174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94A KR101675619B1 (ko) 2013-02-18 2013-03-06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629B1 (ko) * 2015-02-09 2021-06-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통신장치 및 단말장치
KR20160117970A (ko) * 2015-04-01 2016-10-11 원시스템주식회사 Ble를 이용한 전자결제 시스템
KR101783871B1 (ko) * 2016-05-24 2017-10-10 (주)엠씨페이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KR101847282B1 (ko) * 2016-08-22 2018-04-10 천정서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312A (ko) 2004-06-23 2005-05-25 한국현금영수증(주) 현금영수증 단말장치
KR100822160B1 (ko) * 2005-04-15 2008-04-16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0533B1 (ko) * 2005-11-09 2007-08-20 박희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맹점 판촉 및 고객관리 시스템및 방법
KR20110027009A (ko) * 2009-09-09 2011-03-16 김강석 전자 영수증 시스템
KR101748369B1 (ko) * 2010-12-09 2017-06-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신 단말 장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단말 장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91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79505A1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CN106022895A (zh) 自动售货系统
KR101675619B1 (ko) 초근접 거리에서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영수증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4048677A (ja) 情報処理装置、受注方法、及び受注システム
CN109615037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101773924B1 (ko) 전자영수증 및 전자처방전 자동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286946B1 (ko)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US202100123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of program, and storage medium of mobile terminal program
CA2893356A1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JP20200354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190086995A (ko) 모바일 자가 결제 앱
JP719128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4229072A (ja) レシート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70098422A (ko) 오프라인 결제용 결제 리모콘, 이를 통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및 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
JP2019096074A (ja) Posシステム、会計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13299A (ko)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의 제어방법
JP6446812B2 (ja) Posシステム及び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10108700A (ko) 쿠폰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JP5364386B2 (ja) 販売支援システム、店頭収容ラック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2113579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90073625A (ko) 무인 주문 방법 및 무인 주문기
KR101658196B1 (ko) 모바일 결제 지원 서버장치
KR20160002467A (ko)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JP6388232B2 (ja) 取引処理装置、取引処理方法及び取引処理プログラム
JP2019029017A (ja) 決済制御システム、仲介サーバ及び決済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