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893B1 - 신발 정리대 - Google Patents

신발 정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893B1
KR101674893B1 KR1020140165644A KR20140165644A KR101674893B1 KR 101674893 B1 KR101674893 B1 KR 101674893B1 KR 1020140165644 A KR1020140165644 A KR 1020140165644A KR 20140165644 A KR20140165644 A KR 20140165644A KR 101674893 B1 KR101674893 B1 KR 10167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upport bar
bar
side plates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635A (ko
Inventor
박지영
Original Assignee
박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영 filed Critical 박지영
Priority to KR102014016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8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정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신발을 수납하도록 하여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바닥에 묻어있는 모래나 이물질이 떨어지더라도 하부에 위치한 신발에 묻거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하는 신발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사이에 다층으로 구비되는 신발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발 수납부의 하부에는 모래받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정리대{Shoe Shelf}
본 발명은 신발 정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신발을 수납하도록 하여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바닥에 묻어있는 모래나 이물질이 떨어지더라도 하부에 위치한 신발에 묻거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하는 신발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사용되는 신발장은 목재 등으로 제작되어 양 측판 사이에 긴 판체 형상의 선반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신발을 수납하도록 하고 있고, 신발수납을 많이 하기 위하여 하나의 신발을 상하로 겹치도록 위치시키는 개별 신발 정리대를 적용하여 종전에 한 켤레를 나란히 보관하는 공간에 2켤레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신발을 꺼낼 때 신발만 꺼내지 못하고 신발 정리대를 함께 꺼낸 후 다시 신발 정리대를 넣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식당 등 출입자가 많은 경우 개별적인 신발 정리대를 사용하는 번거로움과 여러 개의 신발 정리대가 쉽게 흐트러져 일일이 정리해 주어야 하는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최근 들어 간이 용도로 활용되는 종래의 신발 선반에 대하여 살펴보면, 양측의 수직 측판(1) 사이에 2열 이상의 다단으로 위치되도록 수평지지봉(2)을 설치하여 다단의 수평지지봉(2)에 신발을 올려 놓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신발선반은 통상의 신발수납대와 같이 신발을 각 선반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일 뿐 신발의 수납량을 높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377748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양측의 측판지지대(11) 사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2열로 설치되는 수평받침봉(12)을 2단 이상으로 구비하는 신발선반(10)에 있어서, 상기 수평받침봉(12)에 탈착되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신발정리대(20)의 후방 저면에 탈착홈(23)을 형성하여 신발정리대(20)의 앞 부분을 들어올려 그 안으로 신발을 수납할 수 있고 상면에 다른 신발을 올려놓아 이중으로 신발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착홈(23)은 반원형으로 형성하면서 수평받침봉(12)에 끼워질 때 입구가 억지 끼워지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377748호에 기재된 기술은 한 층에 다단으로 신발을 수납하여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으나, 상부에 위치한 신발의 바닥에 묻어있는 모래나 이물질이 하부에 위치한 신발로 떨어져 신발의 내부에 모래나 이물질이 삽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불쾌감을 느끼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신발을 수납할 수 있는 신발 수납부를 다층으로 형성하되, 상기 신발수납부는 측판의 전부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와 제1지지바의 후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바는 제1지지바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지지바의 후단에는 신발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바를 구비함으로써, 일측에만 추락 방지바를 구비하여도 안정적으로 신발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신발 정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신발 수납부의 하부에 모래받이를 각각 구비하도록 하여, 신발의 하부에 묻어있는 모래나 이물질이 떨어질 때, 하부에 위치하는 신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측판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모래받이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부를 형성하여 서랍식으로 삽탈되도록 하여, 모래받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신발 정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사이에 다층으로 구비되는 신발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발 수납부의 하부에는 모래받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래받이의 양측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돌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발 수납부는 양 측판을 연결하되 측판의 전부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와, 양 측판을 연결하되 측판의 후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바는 제1지지바의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지지바의 후부에는 양 측판을 연결하되 제2지지바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추락방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는 걸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은 제2지지바가 설치되는 부분에 상하로 높이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바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판은 제1지지바가 설치되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제1지지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보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신발을 수납할 수 있는 신발 수납부를 다층으로 형성하되, 상기 신발수납부는 측판의 전부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와 제1지지바의 후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바는 제1지지바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지지바의 후단에는 신발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바를 구비함으로써, 일측에만 추락 방지바를 구비하여도 안정적으로 신발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신발 수납부의 하부에 모래받이를 각각 구비하도록 하여, 신발의 하부에 묻어있는 모래나 이물질이 떨어질 때, 하부에 위치하는 신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측판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모래받이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부를 형성하여 서랍식으로 삽탈되도록 하여, 모래받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신발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개선된 신발 수납장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정리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2지지바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바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 선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정리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2지지바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신발 정리대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100)과 상기 측판(100)의 사이에 다층으로 구비되는 신발 수납부(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판(1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100)의 사이에 신발 수납부(20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발 수납부(200)는 상기 한 쌍의 측판(100)을 서로 연결하되 측판(100)의 전부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210)와 한 쌍의 측판(100)을 서로 연결하되 측판(100)의 후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바(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바(210)와 제2지지바(220)의 이격 간격은 일반적인 신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1지지바(210)와 제2지지바(220)의 상부에 신발을 올려둘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바(210)와 제2지지바(220)의 길이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공간이 넓은 곳에서는 길이를 넓게 형성하여 다수의 신발을 한꺼번에 한 층의 신발 수납부(20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좁은 곳에서는 한 켤레의 신발만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신발 수납부(200)를 형성하는 제2지지바(220)는 제1지지바(2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발을 수납할 때 높이가 높은 뒷굽 부분이 제2지지바(2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발을 수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바(220)의 후부에는 한 쌍의 측판(100)을 연결하도록 추락방지바(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추락방지바(220)는 제2지지바(2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1지지바(21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바(220)에 의해 제1지지바(210)와 제2지지바(220)의 상부에 놓여지는 신발은 제2지지바(220)쪽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상기 추락방지바(230)가 제2지지바(220)의 후부에 설치되어 신발의 단부가 상기 추락방지바(220)에 지지되게 되므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바(210)와 제2지지바(220)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경우,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신발 수납부(200)로부터 신발이 쉽게 이탈될 수 있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지지바(210)와 제2지지바(220)의 높이가 상이하여, 일측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힘이 가해지는 단부에 추락방지바(230)가 구비되어 신발의 단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판(100)이 사이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신발 수납부(200)의 하부에는 모래받이(110)가 각각 구비되어 신발에서 떨어지는 모래나 이물질을 수용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부에 신발이 위치하게 되며, 이럴 경우 상부에 위치한 신발의 바닥에 묻어있는 모래나 다른 이물질이 떨어져 하부에 위치한 신발의 상부에 묻거나 신발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신발 수납부(200)의 하부에 각각 모래받이(110)를 구비함으로서, 상부에 위치한 신발에서 떨어지는 모래나 이물질을 수용하여, 하부에 위치한 신발과 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발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래받이(110)는 내부에 모래나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가이드돌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1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0)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모래받이(110)는 측판(100) 사이에 서랍식으로 삽탈될 수 있어, 모래받이(110)에 수용된 모래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신발 정리대의 청소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판(100)의 외측면에는 걸이부(1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부(130)에는 구두주걱(미도시) 등을 걸어 둠으로써, 사용자가 신기 불편한 부츠나 구두 등을 신을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100)사이에 형성되는 신발 수납부(200)는 양 측판(100)을 연결하는 제1지지바(210)와 제2지지바(2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지지바(220)는 제1지지바(2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판(100)은 제2지지바(220)가 설치되는 부분에 상하로 장홈형상의 높이조절홈(140)이 형성되는데, 상기 높이조절홈(1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14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바(22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142)에 대응되도록 고정돌기(222)가 형성된다.
그래서, 신발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2지지바(220)의 높일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신발의 형태에 맞게 적절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신발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신발 수납부(200)를 형성하는 제1지지바(210)가 설치되는 측판(100)의 부분에는 관통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02)의 단부에는 고정볼트(152)에 의해 제1지지바(210)의 단부와 결합되는 보조판(150)이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관통공(102)을 통하여 제1지지바(21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판(150)에 의해 견고하게 제1지지바(21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 정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신발을 수납하도록 하여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바닥에 묻어있는 모래나 이물질이 떨어지더라도 하부에 위치한 신발에 묻거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하는 신발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100 : 측판 110 : 모래받이
112 : 수용부 114 : 가이드돌부
120 : 가이드홈 130 : 걸이부
200 : 신발 수납부 210 : 제1지지바
220 : 제2지지바 230 : 추락방지바

Claims (8)

  1.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사이에 다층으로 구비되는 신발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신발 수납부의 하부에는 모래받이가 구비되며,
    상기 신발 수납부는 양 측판을 연결하되 측판의 전부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와, 양 측판을 연결하되 측판의 후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바는 제1지지바의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바의 후부에는 양 측판을 연결하되 제2지지바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추락방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측판은 제1지지바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제1지지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보조판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받이의 양측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돌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제2지지바가 설치되는 부분에 상하로 높이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바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대.
  8. 삭제
KR1020140165644A 2014-11-25 2014-11-25 신발 정리대 KR10167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44A KR101674893B1 (ko) 2014-11-25 2014-11-25 신발 정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44A KR101674893B1 (ko) 2014-11-25 2014-11-25 신발 정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35A KR20160062635A (ko) 2016-06-02
KR101674893B1 true KR101674893B1 (ko) 2016-11-11

Family

ID=5613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644A KR101674893B1 (ko) 2014-11-25 2014-11-25 신발 정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8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688Y1 (ko) * 2003-04-02 2003-07-02 오수근 신발장
KR200337299Y1 (ko) * 2003-09-24 2003-12-31 권홍순 신발 보관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315U (ko) * 2007-07-06 2009-01-12 오세준 조립식 탁자
KR20130120861A (ko) * 2012-04-26 2013-11-05 권홍순 신발정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688Y1 (ko) * 2003-04-02 2003-07-02 오수근 신발장
KR200337299Y1 (ko) * 2003-09-24 2003-12-31 권홍순 신발 보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35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7505B2 (ja) 家具用棚板支持構造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US20150289645A1 (en) Shoe storage apparatus
KR200485024Y1 (ko)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KR101674893B1 (ko) 신발 정리대
ATE406133T1 (de) Einsatz für einen geschirrkorb einer geschirrspülmaschine
KR101070707B1 (ko) 착탈식 배식카트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130058932A (ko) 물품보관대
CN205738580U (zh) 一种用于拖把桶的包装盒
KR101563803B1 (ko)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KR101377748B1 (ko) 신발 선반
KR200401358Y1 (ko) 다용도 선반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JP2007029394A (ja) 収納棚
KR20140132926A (ko) 보강대 일체형 선반
KR20130005793U (ko) 다용도 선반
KR101021586B1 (ko) 가구용 착탈식 선반
JP7235555B2 (ja) 収納棚
CN220695605U (zh) 一种拉篮及应用有该拉篮的消毒柜
JP3184535U (ja) 簡易履物置き棚台
KR200353387Y1 (ko) 배식판 반납 카트
KR101186195B1 (ko) 수장고용 수납장
JP2010273760A (ja) 履物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