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803B1 -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 Google Patents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803B1
KR101563803B1 KR1020140019289A KR20140019289A KR101563803B1 KR 101563803 B1 KR101563803 B1 KR 101563803B1 KR 1020140019289 A KR1020140019289 A KR 1020140019289A KR 20140019289 A KR20140019289 A KR 20140019289A KR 101563803 B1 KR101563803 B1 KR 10156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ods
support
sin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134A (ko
Inventor
진우 이
Original Assignee
진우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 이 filed Critical 진우 이
Priority to KR102014001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8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의 물품이 위치되는 선반부가 인출 및 인입가능한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로 이격되는 2개의 봉을 포함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봉에 결착하며 물품이 위치되는 선반부로 구성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으로서, 선반부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선반 피스로 구성되되 지지대의 봉을 따라 횡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의 전,후로 일정 길이만큼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지지대의 봉에 결착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 선반 피스가 그 양 측면에 다른 선반 피스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을 갖지며, 이 결합 수단은 선반 피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과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반 피스의 저면에 지지대의 각봉과 결합하는 2개의 결착수단이 형성되되 이 결착수단의 이격 거리는 지지대의 2개의 봉의 이격 거리에 상응하며, 이 결착수단은 선반 피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봉 받침대와 홈부로 구성되되 이 홈부로 상기 지지대의 봉이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A shelf used in the cabinet below a kichen countertop}
본 발명은 싱크대 하부장에 사용되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반의 물품이 위치되는 선반부가 인출 및 인입가능한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부엌에는 싱크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납장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수납장에는 다양한 물품들이 수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싱크대 하부장에는 별도의 선반을 구비하고 물품들을 이 선반에 위치시켜 보관한다.
도 1에 도시된 공지의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이들 선반(1)은 물품이 위치되는 선반부(2)와 이 선반부가 결착하는 지지대(3)로 구성된다. 지지대(3)는 2개의 전,후로 이격되는 봉(4)을 포함하며, 선반부(2)는 이 봉(4)에 결착한다. 선반부(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선반부로 이루어지며, 이 선반부는 이동할 수 없도록 봉(4)에 완전 고정되게 구성되거나, 선반부(2)가 봉(4)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배수관(5)을 피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공지의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은 여기에 다양한 부엌용 물품을 수납함으로써 물품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등, 싱크대 하부장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주부들이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 선반에는 접시, 각종 솥, 후라이팬 등이 수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들 물품은 비교적 자주 사용하면서 무게가 어느 정도 나가기 때문에 싱크대 상부장에 수납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런 물품들을 공지의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에 수납한 경우, 주부들은 이들 물품들을 위치시키거나 꺼내기 위해 허리를 숙여야 하며, 때론 고개를 싱크대 하부장 내로 넣고 물품을 넣거나 꺼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은 공지의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의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에 물품을 위치시키거나 이 선반으로부터 다시 물품을 꺼내는 것이 매우 편리한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의 선반부에 위치되는 물품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선반부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전,후로 이격되는 2개의 봉을 포함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봉에 결착하며 물품이 위치되는 선반부로 구성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으로서, 선반부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선반 피스로 구성되되 지지대의 봉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지지대의 봉에 결착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 선반 피스가 그 양 측면에 다른 선반 피스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을 가지며, 이 결합 수단은 선반 피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과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반 피스의 저면에 지지대의 각봉과 결합하는 2개의 결착수단이 형성되되 이 결착수단의 이격 거리는 지지대의 2개의 봉의 이격 거리에 상응하며, 이 결착수단은 선반 피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홈부로 구성되되 이 홈부로 상기 지지대의 봉이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의 선반부가 지지대의 봉을 따라 횡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의 전,후를 따라 종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선반부를 인출하여 여기에 물품을 위치시킨 후 선반부를 인입시키고 물품을 싱크대 하부장으로부터 꺼낼 때는 다시 선반부를 인출하여 선반부로부터 물품을 집어들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며, 또한 선반부가 봉의 좌,우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선반의 사용 편의성이 매우 크다. 나아가서, 선반부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이들 피스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선반부의 횡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공지의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부의 선반 피스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반 피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부를 선반 지지대의 봉에 결합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선반부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싱크대 하부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30)은 지지대(10)와 선반부(20)로 구성된다.
지지대(10)는 종래의 지지대(3)와 마찬가지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11)와 이 지지부에 형성되는 홈으로 삽입되는 2개의 봉(15)으로 구성된다. 지지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자립(自立)하여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그대로 사용될 수 있으나, 지지대(10)를 싱크대 하부장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고정 수단으로 지지부(11) 하부에 나사 등이 결착하는 바닥 고정부(12)가 형성되어서 나사 또는 핀 등에 의해 지지대(10)가 싱크대 하부장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선반부(20)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선반 피스(21)로 구성된다.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선반 피스(21)는 그 일 측면에는 삽입 홈(23)이 형성되며 다른 측면에는 삽입 돌기(22)가 형성된다. 이 삽입 돌기(22)는 삽입 홈(23)으로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서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서, 이들에 의해 어느 하나의 선반 피스는 다른 선반 피스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 피스(21)들을 적당한 개수로 서로 결합시키면 원하는 폭을 갖는 선반부(20)가 형성된다.
선반 피스(21)의 저면에는 지지대(10)의 2개의 봉(15)의 각각과 결합하며 이들 봉의 이격 거리(L)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결착수단이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이 결착수단으로 선반 피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M)로 연장되는 홈부(24)로 구성된다. 이 홈부(24)는 선반 피스(21)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6), 이 연장부(26)로부터 선반 피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받침대(25), 및 선반 피스(21)의 저면에 의해 형성된다.이 홈부(24)의 길이는 봉 받침대(25)의 길이(즉, M)에 의해 결정되며 홈부의 높이는 연장부(26)에 의해 결정된다. 이 홈부(24)에는 지지대(10)의 봉(15)이 삽입되어 위치되며, 홈부(24)의 높이는 봉(15)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선반 피스(21)의 양 측면에는 선반 피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측홈(27)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30)의 설치 및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한쌍의 지지부(11)와 봉(15)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대(10)를 만든다. 이 지지대(10)는 그 자체로 자립(自立)할 수 있으므로 싱크대 하부장의 원하는 위치에 지지대를 위치시키거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바닥 고정부(12)를 싱크대 하부장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한다. 다음에는 원하는 개수의 선반 피스(21)를 그 결합수단 - 삽입 돌기(22)와 삽입 홈(23) - 으로 결합하여 원하는 폭을 갖는 선반부(20)를 만든다. 다음에는 이 선반부(2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받침대(25)와 홈부(24)로 구성된 결착수단의 홈부(24) 내로 봉(15)의 어느 하나가 삽입하도록 지지대(10)에 위치시킴으로써 선반(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설치된 선반(30)의 분리는 그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반(30)은 그 구성이 간단하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완료된 선반(30)의 선반부(20)를 도 6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선반부(20)는 봉(15)의 종방향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봉 받침대(25)와 홈부(24)로 구성되는 결착수단이 봉(15)의 이격 거리(L)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선반부(20)가 봉의 종방향을 따라 이동(인입 또는 인출)하더라도 봉(15)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인입, 인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2개의 선반 피스로 구성된 선반부(20)(점선으로 도시된 선반부)는 인출된 상태로 4개의 선반피스로 구성된 선반부(20)(실선으로 도시된 선반부)는 인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들 2개의 선반부의 최대 이동거리는 2M이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선반의 선반부(20)를 싱크대 하부장 내에서 일정 거리(2M)만큼 인입 및 인출할 수 있어 선반(30)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증대된다. 선반부(20)가 봉(15)을 따라 종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부(24)의 높이는 봉(15)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므로 봉(15)을 따라 횡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여서 선반부(20)의 사용 편의성은 더욱 커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30)이 싱크대 하부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경우, 선반(30)은 2개의 선반부(20)를 구비하며 두 선반부(20) 사이에 배수관(5')이 위치된 것을 보여준다. 이런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선반부는 상호 독립적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수관(5')이 얇은 경우 도시된 두 선반부를 결합하여 하나의 선반부로 구성하고 각 선반 피스(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27) 내에 배수관(5')이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홈(27)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서 선반부(20)가 인출, 인입되어도 배수관(5')과 간섭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의 범위 내지는 그 균등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선반(30)이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이 아니라 복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전,후로 이격되는 2개의 봉을 포함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봉에 결착하며 물품이 위치되는 선반부로 구성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에 있어서,
    선반부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선반 피스로 구성되되 지지대의 봉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지지대의 봉에 결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피스가 그 양 측면에 다른 선반 피스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이 선반 피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과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4.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피스의 저면에 지지대의 각봉과 결합하는 2개의 결착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트대 하주장용 선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이 선반 피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홈부로 구성되되 이 홈부는 선반 피스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이 연장부로부터 선반 피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받침대, 및 선반 피스의 저면에 의해 형성되며, 이 홈부로 상기 지지대의 봉이 삽입되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결착수단이 지지대의 2개의 봉의 이격 거리에 상응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KR1020140019289A 2014-02-19 2014-02-19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KR10156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89A KR101563803B1 (ko) 2014-02-19 2014-02-19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89A KR101563803B1 (ko) 2014-02-19 2014-02-19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34A KR20150098134A (ko) 2015-08-27
KR101563803B1 true KR101563803B1 (ko) 2015-10-27

Family

ID=5405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289A KR101563803B1 (ko) 2014-02-19 2014-02-19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97B1 (ko) * 2015-12-07 2018-06-08 (주)디아이에스 다기능 책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682B2 (ja) * 1992-08-10 2000-09-25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接続装置
KR200315819Y1 (ko) * 2003-03-03 2003-06-12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682B2 (ja) * 1992-08-10 2000-09-25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接続装置
KR200315819Y1 (ko) * 2003-03-03 2003-06-12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34A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3103B2 (ja) 喫食具用保持具
USD790261S1 (en) Merchandising display table
KR101563803B1 (ko)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CN105433667A (zh) 眼镜展示柜
CN201974003U (zh) 多工位搁物架
KR101740855B1 (ko) 가구용 선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US7900782B2 (en)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stemware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1500674B1 (ko) 책 인출 유닛을 포함하는 책장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CN103720219A (zh) 一种厨房调料工具收纳拉篮
KR200494232Y1 (ko) 주방용 선반
CN209789047U (zh) 一种承重效果好的钢木鞋架
KR101804754B1 (ko) 폭 조절 가능한 인출식 옷장 집게
KR200415672Y1 (ko) 코너 선반
US20030136751A1 (en) Expand-a-platter/tray
CN209750288U (zh) 一种可以自由组合的家用置物架
KR200480444Y1 (ko) 다용도 보관함이 구비된 테이블
JP2016067472A (ja) 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CN210708431U (zh) 一种玻璃窖炉用物料盘
CN210249131U (zh) 一种可调节抽屉分隔架及含有其的抽屉
CN212457608U (zh) 一种磁吸式冰箱外挂架
CN212213119U (zh) 一种夹缝柜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