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32Y1 - 주방용 선반 - Google Patents

주방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32Y1
KR200494232Y1 KR2020190005201U KR20190005201U KR200494232Y1 KR 200494232 Y1 KR200494232 Y1 KR 200494232Y1 KR 2020190005201 U KR2020190005201 U KR 2020190005201U KR 20190005201 U KR20190005201 U KR 20190005201U KR 200494232 Y1 KR200494232 Y1 KR 200494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helf
kitchen
auxiliary
shelf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487U (ko
Inventor
대 연 원
대 연 원
Original Assignee
원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대연 filed Critical 원대연
Priority to KR2020190005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3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넓이가 가변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주방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를 갖는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봉과, 상기 메인봉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본체(1); 상기 선반본체(1)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리대 상면에 지지되는 다리체(19); 상기 다리체(19)를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반본체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다리체(19)는 상기 선반본체(1)의 양쪽 저면에 고정되는 다리설치프레임(21)과; 상기 다리설치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되는 내측다리(23)와 외측다리(25)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본체 고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내측다리(23)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있는 조리대상판에 고정되는 클램프(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용 선반{Kitchen Shelf}
본 고안은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넓이가 가변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주방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를 갖는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선반은 주방에서 세척한 식기를 건조할 때 또는 각종 주방기구를 보관할 때 사용된다. 주방용 선반은 주방의 조리대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형식이 있고 주방의 수납장에 매달아놓는 형식이 있다. 어느 것이나 사용자의 편의성이나 설치환경에 따라서 주방용 선반은 물빠짐이 좋고 통기성이 좋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부식의 방지를 위하여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레스 소재로 제작된다.
주방의 면적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방용 선반의 면적도 제한이 있기 마련이다. 한가족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넓이라고 손님을 맞이하거나 기타 특별한 요리흘 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식기가 사용되며, 이 때는 기존의 주방용 선반이 턱없이 좁게 느껴질 수 있다.
한편, 주방용 선반은 필요성에 비하여 마땅하게 고정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 오버헤드형 수납장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나사못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쉽지 않고 싱크대 주변 공간의 바닥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을 하고자 하는 목적이 희석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1997-000659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1228호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 주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주방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면적이 가변될 수 있는 주방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하며 비용이 크게 상승하지 아니하며, 구조적으로 강성이 뛰어난 가변형 주방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봉과, 상기 메인봉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본체; 상기 선반본체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리대 상면에 지지되는 다리체; 상기 다리체를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반본체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다리체는 상기 선반본체의 양쪽 저면에 고정되는 다리설치프레임과;
상기 다리설치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본체 고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다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있는 조리대상판에 고정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반본체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본체는 그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선반은 복수 개의 보조봉; 상기 보조봉이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측다리와 외측다리의 하단은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설치프레임과 내측다리의 상단은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에 끼워져 슬라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더에 의해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연결바와 내측다리의 하단은 상기 연결바 위에 안장처럼 안장되는 안장홀더에 의해 연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클램프가 설치되는 내측다리로 하여금 전후방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방용 선반의 면적을 필요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주방용 선반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은 평상시에는 면적을 좁게 사용하다가 손님이 많아서 컵이나 식기 등 주방용품이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면적을 늘려서 많은 양의 주방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의 사용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주방용 선반의 다리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의 사용전 상태의 저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3, 5를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다른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이하, 주방용 선반이라 함)은 선반본체(1), 및 선반본체(1)의 측방향에서 인출될 수 있는 보조선반(3)으로 구성된다. 보조선반(3)은 선반본체(1)의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균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선반본체(1)는 복수 개의 메인봉(5)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다. 선반본체(1)는 직사각 형태의 받침면을 제공하되,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선반본체(1)는 물빠짐이 좋도록 그릴 형태로 되어 있다. 선반본체(1)는 복수 개의 메인봉(5)과, 이 메인봉(5)이 평행을 이룬 상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메인프레임(7)을 포함한다.
올려놓은 물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낙하방지대(7)가 전방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후방에 각각 낙하방지대(9)가 설치된다. 낙하방지대(9)는 메인봉(5)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조금 다른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7)은 메인봉(5)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메인봉(5)이 압입으로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메인봉설치홀(8)이 터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선반본체(1)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그 중간에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반본체의 메인봉(5)은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다.
보조선반(3)은 선반본체(1)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선반(3)은 복수 개의 보조봉(15)과, 이 보조봉(15)이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17)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선반의 보조봉(15)은 메인봉(5)의 내부에 면밀히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보조봉(15) 역시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봉(5)은 직경 10mm, 보조봉(15)은 직경 9mm의 스테인리스 파이프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선반본체(1)의 하부에는 떨어지는 물을 받거나 포크나 젓가락 같은 작은 물품을 받아내기 위한 트레이(11)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11)는 서랍처럼 전방을 향해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반본체의 메인프레임(7)에는 트레이(11)를 빼내거나 끼워 넣기 위한 레일(13, 도 6 참조)이 설치된다.
선반본체(1)는 조리대의 주변에 설치하기 위한 다리체(19)를 포함한다. 다리체(19)는 다리체 고정수단에 의해 선반본체(1)를 지지한 상태에서 싱크대 주변에 설치된다. 다리체(19)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대 상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반본체(1)는 일반적인 선반과 같이 수직벽체에 직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도 3 참조).
상기 다리체(19)는 상기 선반본체(1)의 양쪽 저면에 고정되는 다리설치프레임(21)과, 다리설치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되며 조리대 상면에 지지되는 2개의 다리(23,25)를 포함한다. 선반본체(1)의 좌우측에 동일한 구조의 다리체(19)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어느 한쪽 다리체(19) 만을 대표로 도시 및 설명한다.
파이프 형태로 된 다리(23,25)의 하단에는 봉 또는 파이프로 된 연결바(27)가 연결되어 있다. 다리(23,25)는 벽체에 인접해있는 내측다리(23)와 사용자에 인접해 있는 외측다리(25)로 구성된다. 연결바(27)의 끝은 벽체에 지지될 수 있으며 패킹이 끼워져 있다. 연결바(27)는 벽체까지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 대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끔 구성할 수 있다.
선반본체 고정수단은, 일단은 내측다리(23)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있는 조리대상판(P)에 고정되는 클램프(29)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29)는 조리대상판(P)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판(31)과, 하면에 지지되는 하판(33)과, 내측다리(23)에 끼워지는 슬리브(35)와, 클램프(29)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손으로도 체결할 수 있는 형식의 고정볼트(37)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판(31)과 하판(33)의 간격은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클램프(29)의 설치 높이도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클램프(29)는 내측다리(23)의 연장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 된다. 클램프(29)의 형태 및 고정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게방식 또는 접착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다리체(19)의 구조를 설명한다.
다리설치프레임(21)에는 외측다리(25)를 연결하기 위한 외측홀더(41)와 내측다리(23)를 연결하기 위한 내측홀더(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홀더(41)와 내측홀더(43)는 반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측홀더(43)에는 2개의 평행한 판으로 구성된 가이드(45)가 더 연장되어 있다. 외측다리(25)의 상하단에는 각각 엘(L)자 형태의 엘보조인트(51,55)가 결합되어 있다. 상부엘보조인트(51)는 다리설치프레임(21)에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엘보조인트(55)는 연결바(27)에 끼워져 결합된다.
다리설치프레임(21)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봉(49)이 끼워진다. 안내봉(49)의 일단은 다리설치프레임(21)에 끼워지고 타단은 보조프레임(21')에 결합된다. 보조프레임(21')은 선반본체(1)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내측다리(23)의 상단에는 슬라이더(53)가 설치된다. 슬라이더(53)는 안내봉(49)에 끼워져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끔 구성된다. 슬라이더(53)에는 다리삽입부(53a)가 직각방향으로 마련되어 있고, 이 다리삽입부(53a)가 내측다리(23)의 상단에 끼워진다. 내측다리(23)의 하단에는 안장홀더(47)가 연결된다. 안장홀더(47)는 연결바(27) 위에 얹혀지며 연결바(27)를 따라서 움직이면서 연결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끔 측면이 "∩"형태로 되어 있다. 물론 안장홀더(47)는 링형태로 있을 수도 있다.
안장홀더(47)의 상부에도 다리삽입부가 마련되어 있어 내측다리(23)의 하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클램프(29)를 전후방향(도 3에서의 "K"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끔 한다. 즉 설치상황에 맞추어 내측다리(23)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클램프(29)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통의 편의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주방용 선반은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내측다리(23)와 외측다리(25)를 다리설치프레임(21)과 연결바(27)에서 살짝 빼낸 상태에서 다리설치프레임(21)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리(23,25)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본체(1)를 향해 접을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손으로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클램프(29)를 사용함으로써 주방용 선반을 싱크대 위에 오허헤드 타잎으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리체(19)의 구성을 다소 빈약하게 하더라도 주방용 선반의 지지강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리체(19)의 비중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조리대 상면의 공간을 좀 더 여유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조리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중에 상기 다리체(19)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중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이탈방지캡(22)이 외측다리(25)의 상단에 끼워질 수 있다. 이탈방지캡(22)은 슬라이드되면서 외측다리(25)와 다리설치프레임(21)에 동시에 끼워져 있을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선반본체 3 : 보조선반
5 : 메인봉 7 : 메인프레임
9 : 낙하방지대 11 : 트레이
13 : 레일 15 : 보조봉
17 : 보조프레임 19 : 다리체
21 : 다리설치프레임 22 : 이탈방지캡
23,25 : 다리
27 : 연결바 29 : 클램프
39 : 체결볼트 41 : 외측홀더
43 : 내측홀더 45 : 가이드
47 : 안장홀더 49 : 안내봉
51,55 : 엘보조인트 53 : 슬라이더
P : 조리대상판

Claims (4)

  1.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봉과, 상기 메인봉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본체(1); 상기 선반본체(1)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리대 상면에 지지되는 다리체(19); 상기 다리체(19)를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반본체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다리체(19)는 상기 선반본체(1)의 양쪽 저면에 고정되는 다리설치프레임(21)과;
    상기 다리설치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되는 내측다리(23)와 외측다리(25)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본체 고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내측다리(23)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있는 조리대상판에 고정되는 클램프(29)를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내측다리(23)와 외측다리(25)의 하단은 연결바(27)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설치프레임(21)과 내측다리(23)의 상단은 안내봉(49)과 상기 안내봉(49)에 끼워져 슬라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더(53)에 의해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연결바(27)와 내측다리(23)의 하단은 상기 연결바(27) 위에 안장처럼 안장되는 안장홀더(47)에 의해 연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클램프가 설치되는 내측다리(23)로 하여금 전후방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본체(1)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본체(1)는 그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선반은 복수 개의 보조봉; 및 상기 보조봉이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4. 삭제
KR2020190005201U 2019-12-20 2019-12-20 주방용 선반 KR200494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01U KR200494232Y1 (ko) 2019-12-20 2019-12-20 주방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01U KR200494232Y1 (ko) 2019-12-20 2019-12-20 주방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87U KR20210001487U (ko) 2021-07-01
KR200494232Y1 true KR200494232Y1 (ko) 2021-09-03

Family

ID=7686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01U KR200494232Y1 (ko) 2019-12-20 2019-12-20 주방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32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910Y2 (ko) * 1985-05-04 1990-02-20
KR890003037Y1 (ko) * 1985-06-10 1989-05-15 김성주 경운기의 전륜장치
JPH0679446U (ja) * 1993-04-19 1994-11-08 ハラダ工業株式会社 調理用パイプ棚
KR970006596A (ko) 1995-07-03 1997-02-21 구자홍 저주파 진동세탁기의 레조네이터
KR200481228Y1 (ko) 2015-05-18 2016-08-31 유상현 주방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87U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59528A1 (en) Pull-down shelf for furniture
WO2001085008A3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200494232Y1 (ko) 주방용 선반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CN203169000U (zh) 一种插放碗架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CN103720219B (zh) 一种厨房调料工具收纳拉篮
KR200495766Y1 (ko)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
CN105124947B (zh) 可移动的厨房及组合柜
CN211511712U (zh) 一种伸缩水槽架
CN201267410Y (zh) 锅盖
KR102036017B1 (ko) 싱크대의 걸레받이 서랍
KR102038312B1 (ko) 슬라이드 접이식 배식대
KR101804754B1 (ko) 폭 조절 가능한 인출식 옷장 집게
KR101563803B1 (ko) 싱크대 하부장용 선반
RU192068U1 (ru) Стол для офиса
CN209750288U (zh) 一种可以自由组合的家用置物架
EP1553862A1 (en) Clothes file concept and clothes-filing hangers
KR20190103546A (ko) 선반형 주방용품 걸이대
CN213248708U (zh) 一种组合式碗碟架结构
CN209789047U (zh) 一种承重效果好的钢木鞋架
CN210095560U (zh) 一种稳定性好的组合式厨房用具放置架
CN214595629U (zh) 可调节多功能沥水架
KR20180079140A (ko)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